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일 소년사법제도의 최신 동향 분석 - 소년법원보조제도의 강화에 주목하며 -

        안수길 ( An Sugil ) 한국소년정책학회 2021 少年保護硏究 Vol.34 No.1

        Zur Umsetzung der “Richtlinie (EU) 2016/800 des Europäischen Parlaments und des Rates vom 11. Mai 2016 über Verfahrensgarantien in Strafverfahren für Kinder, die Verdächtige oder beschuldigte Personen in Strafsachen sind”, hat die Bundesrepublik Deutschland am 09. 10. 2019 das “Gesetz zur Stärkung der Verfahrensrechte von Beschuldigten im Jugendstrafverfahren” verkündet. Durch dieses Gesetz, das seit 17. 12. 2019 in Kraft getreten hat, wird vor allem die “Jugendgerichtshilfe” (JGH) im Jugendgerichtsgesetz (JGG) gestärkt, die im Jugendstrafverfahren sowohl die beteiligten Behörden als auch den jugendlichen Beschuldigten dadurch unterstützt, aus erzieherischer Sicht die Persönlichkeit und Lebenssituation des Jugendlichen zu erforschen und sich vor der Jugendstaatsanwaltschaft oder den Jugendgerichten dazu zu äußern, ob es eine besondere Schutzbedürftigkeit besteht und welche Maßnahmen ergriffen werden sollen. In dieser Abhandlung habe ich den wesentlichen Inhalt der neuen Vorschriften des JGG analysiert, die die JGH gestärkt haben: die Berichterstellung durch die JGH zu einem früheren Zeitpunkt, die Pflicht zur Aktualisierung des Berichts der JGH (§ 38 Abs. 3), die Anwesenheitspflicht der JGH in der Hauptverhandlung (§ 38 Abs. 4), die Möglichkeit des Verlesens des JGH-Berichts in der Hauptverhandlung (§ 50 Abs. 3), die Begleitung des Jugendlichen durch die JGH (§ 51 Abs. 6), die früzeitige Information der JGH (§ 70 Abs. 2 JGG) usw. In Deutschland wird diese Neuregelung im Großen und Ganzen begrüßt, da es unzweifelhaft ist, dass sie sich darum bemüht, erneuten Straftaten eines Jugendlichen entgegenzuwirken, nämlich das Ziel des JGG zu erreichen. Diese Bemühung in Deutschland, so meine ich, sollten wir zum Anlass nehmen, um unser Jugendstrafrecht zu revidieren.

      • KCI우수등재

        검찰의 소년범죄의 처리와 예방대책에 관한 개선방안

        조규홍 ( Gyu Hong Jo ) 법조협회 2007 法曹 Vol.56 No.11

        최근 핵가족화의 진전, 맞벌이부부의 증가 등으로 인하여 소년에 대한 가정의 통제가 느슨해져 가고 있고, 소년범죄의 재범율이 높은 점에 비추어 볼 때, 소년범죄의 1차적인 처리를 담당하고 있는 검찰이 소년범죄에 대한 보다 전문적이고 효율적인 대책을 강구할 필요성이 절실하다. 세계각국은 비행소년에 대한 처우의 개별화를 위해 각기 고유한 제도를 마련해 조사와 분류를 실시하고 있다. 이때, 어느 기관이 어느 단계에서 소년범에 대하여 조사, 처리하는지는 제도에 따라 다르나 그를 위하여 전문적인 지식과 능력을 지닌 인력이 활용되고 있음은 동일하다. 소년범죄사건에 대하여 우리나라는 현재, 검사가 사건의 경중, 소년의 가정환경, 범행의 경위, 피해회복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기소유예, 조건부기소유예, 가정법원소년부송치, 기소 등을 하며, 범죄예방의 기구로 범죄예방위원을 두고 있다. 그러나, 소년범죄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재범을 줄이기 위해서는 보다 ``전문화``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즉, 소년범죄 수사검사전담검사의 지정 및 전문화교육이 필요하며 소년전담직원의 채용 및 전문화교육도 절실히 요구된다. 그리고, 범죄예방위원이 소년조사 및 선도에 전념할 수 있도록 전문화하고, 활동영역을 축소조정하며, 실행그룹과 지원그룹으로 분리하여 검찰의 소년범죄사건 처리 및 예방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게 하는 등의 개선책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소년사법보호제도의 구조와 도입가능성

        정희철 한국보호관찰학회 2014 보호관찰 Vol.14 No.2

        독일 소년법원법 제38조와 아동․소년부조법 제52조에 법적 근거를 두고 있는 독일 소년사법보호제도는 단순히 소 년법원의 보조자 역할을 넘어서서 소년부조의 일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소년정책의 핵심에 속한다. 그런 의미에서 독일 사회법 제8편 제52조는 소년법원보조라는 의미의 용어보다 “형사소송에서 소년부조의 협력”이라는 용어를 선택함으로써 더욱 중립적 의미와 지위를 부여하고 있다. 이러한 소년사법보호제도의 중심에서 활동하고 있는 전 문인력이 소년사법보호관이다. 소년사법보호제도는 리스트가 가이드라인을 발전시킨 소년법원운동에서 태동되어 소년범죄자에 대한 법적 특별 처우를 규정한 소년법원법을 낳기에 이르렀고, 거의 비슷한 시기에 소년부조기관에 관련된 규정이 소년복지법에 규정되기에 이르렀다. 소년부조제도의 조직적 기틀을 다진 소년복지법은 공적 소년부조기관이 아동과 소년의 교 육을 지원하고 감독하도록 규정하고 있었고, 아동과 소년의 교육이 위협을 당할 때 국가가 개입할 수 있는 구성요 건과 보호교육을 그 내용에 담고 있었다. 소년부조법과 소년형법의 이원적 체계는 이렇게 성립되었다. 현행 독일 법제에서 소년사법보호관은 조사기능, 감독기능 그리고 교육적 원호와 후견의 세 가지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주로 소년형사절차에서 소년법원을 보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에서는 소년사법보호관의 조사와 감독기 능이 통제와 보고라는 일종의 억압적 업무를 수행하는 것이 사실이지만, 그보다는 소년사법보호관이 소년부조의 전문적 측면인 사회교육적 후견과제가 강조된 소년부조의 핵심적 기능을 수행하는 데에 더 중점이 있다고 보는 것 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소년사법보호관의 이중적 과제로 인하여 독일 소년부조 관련 이론과 실무영역에서 내적 역 할갈등 또는 역할충돌이라는 문제가 현재 제기되고 있고, 이를 극복할 다양한 개선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The juvenile court (JGH) is gem. I §38 Juvenile Court Act (JGG) exerted by the youth services in cooperation with associations for youth services. The Youth Office, the JGH transferred to free associations of youth services, but retains the responsibility for proper execution (§ 52 SGB VIII). The JGH has three key features. The JGH in Germany is in accordance with § 38 II S. 2, 3 JGG the court and also the other investigative agencies through exploration of personality, development and the environment of the accused support (identifying function). The JGH to oversee the youth. This is true gem. §38 II S. 5, 6 JGG specifically for the fulfillment of the conditions and instructions (monitoring function). And the JGH is also intended to help the young people. According to §38 II S. 7~9 JGG be used in case of doubt juvenile court assistants as Beteuungshelfer. The JGH is working with the Probation and she cares for juvenile prisoners to reintegration assistance (welfare and educational services). As problem areas with respect to the organizational status and activities of the JGH can be particularly rename: Rellenkonflikt, stigmatization by reports on the problems of youth and the youth court walker problem, the question of the best organizational form of the JGH, the observable cooperation problems between lawyers and social scientists, the data protection issues, etc.

      • KCI등재

        독일의 소년범죄 대응 현황 및 그 시사점

        고명수 한국소년정책학회 2024 少年保護硏究 Vol.37 No.1

        We have been contemplating the appropriate response to juvenile crime for a long time. Despite various attempts, we are still struggling to adequately address juvenile crimes and fostering the healthy growth of juveniles remains challenging. To achieve this, it is important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when protective measures against juvenile delinquency. The Ministry of Justice has announced plans to strengthen education in detention centers and to establish juvenile delinquency prevention centers in the private sector, focusing on educational principles to properly educate morally and mentally immature juveniles. To successfully implement this plan, this paper analyzes Germany's juvenile justice system and draw insights from it. In Germany, when disciplining juvenile offenders, care is taken to ensure that the principles of subsidiarity and proportionality are observed. Informal measures, such as diversion and offender-victim mediation, are prioritized, followed by community-based measures, and then measures in facilities. Among the community-based measures, supportive disciplines are prioritized over repressive sanctions. By structuring sanctions in this way, the most appropriate and least burdensome measures are imposed on the juvenile offender. In Germany, the “Jugendamt” is comprehensively responsible for child and juvenile welfare from a socio-educational perspective. It forms a tripartite relationship with parents and private welfare organizations to support appropriate childcare and actively assists children and juveniles at risk. Employees of the “Jugendamt” function as juvenile justice officers under the Juvenile Court Act. They do not merely investigate and supervise juvenile offenders but also support and guide juveniles throughout the entire judicial process, providing educational assistance. Establishing a comprehensive child and juvenile welfare organization like the “Jugendamt” would help promote their welfare consistently and systematically while also maintaining and enhancing the professionalism of the relevant tas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