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쥬디스 버틀러(Judith Butler)의 ‘젠더 수행성’과 ‘취약성’ 그리고 그 신학적 적용

        최순양(Soonyang Choi)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19 신학논단 Vol.96 No.-

        According to modern gender studies, sexuality is something we are born with and gender is educated and socially constructed. For Judith Butler, however, sexuality is not something already completed nor something born with. Judith Butler argues that ‘sexuality’ is also already gender. Sexuality is not naturally we are born with. it is socially constructed. According to Butler, there is no independent and naturally born subjectivity previous to her(his) action and performance. Butler calls this ‘gender performativity.’ This article will examine Butler’s gender genealogy and it‘s application to ‘gender studies, and psychology of Jacques Lacan. After the argument about Butler’s deconstruction of ‘sexuality and gender’ I will apply them to theological discussions. The theological arguments are composed as three: one is how we understand the image of God not as the subject of Western hetero male but as that of all kinds of human beings. Second aspect is about how church educate women church members as fixed gender roles such as ‘mother’ and sustainer of family. Butler explains that what women are supposed to be and to act is decided by social and legal authority. Likewise, church and theology can be functioning as a legal and lawful authority. Third theological argument is ‘theology of the vulnerability and apophasis.’ According to Butler’s gender performativity, I insist that theological doctrine should not be limited to single human subjectivity such as western male. In here I will argue how much theological definition of human being and women can be widened.

      • KCI등재

        ‘벌거벗은 생명’과 주디스 버틀러의 오독

        이선현(SeonHyeon Lee) 한국비평이론학회 2023 비평과이론 Vol.28 No.1

        세계화로 인한 국민국가의 쇠퇴가 주권의 약화와 동일시되는 경향 속에서 조르조 아감벤의 주권권력과 호모 사케르는 많은 비판을 받았다. 그 중에서도 주디스 버틀러는 국민국가의 기반이 되는 국민을 발명하기 위해 국민 내부의 이질성이 제거되는 과정은 아감벤이 제시하는 주권권력의 작동과 ‘벌거벗은 생명’의 양산으로는 설명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버틀러는 전 지구적인 폭력의 상황이 영토적 조건을 벗어났다는 의미에서 ‘국가 없음’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과 더불어 국민국가의 근거를 흔들고 이에 저항할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한 ‘국가 없음’을 주장한다. 영토를 넘어서 생산되는 디아스포라와 권력의 작동을 보았을 때 오늘날 이러한 배제는 주권권력이 아닌 신자유주의 통치성에 의해 일어나며, 국가 폭력을 비판하고 이에 저항하기 위해 박탈당한 디아스포라의 형태를 구체화하려면 작동 권력을 여러 방식으로 볼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버틀러에게 디아스포라의 개념은 바로 이러한 박탈당한 자들의 저항적 실천이자 윤리적 요청으로 제시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벌거벗은 생명’에 대한 버틀러의 비판이 오독임을 밝히고자 한다. 버틀러의 잘못된 해석은 푸코와 아렌트를 읽어내는 아감벤과의 관점의 차이로 발생한다. 버틀러에게 주권권력은 시대착오적인 것이라면 아감벤에게 주권권력의 본래 모습은 생명정치이다. 또한 버틀러는 아렌트를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을 구분하고 사적 영역에 대한 차별적 관점을 견지하였다고 본 반면, 아감벤은 아렌트가 이러한 공/사 구분이 허물어지고 있는 근대의 현실에 주목했다고 읽는다. ‘벌거벗은 생명’은 버틀러의 비판처럼 정치체 밖에, 사적 영역에 존재하지 않는다. 국민으로 소속감을 가진 자들이 순식간에 ‘벌거벗은 생명’이 되는 것처럼 디아스포라와 국민은 서로 겹쳐 있다. 즉 국민에 속해 있다 하더라도 언제든 디아스포라가 될 수 있는 잠재성이야 말로 디아스포라의 정체성을 다시 사유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Giorgio Agamben’s ideas of sovereign power and ‘Homo Sacer’ received a lot of criticism because the decline of nation-states due to globalization tends to be equated with the weakening of sovereignty. Especially, Judith Butler argues that the process of removing the heterogeneity within the citizens to invent those who are the foundation of the nation-state cannot be explained by the operation of sovereign power and the mass production of ‘bare lives’ presented by Agamben. Butler explains the ‘statelessness’ in the sense that the situation of global violence is out of territorial conditions, and also highlights the ‘statelessness’ to deconstruct the basis of the nation-state and explore the possibility of resisting it. According to her, given the diaspora produced across territories and the operation of power, this violent exclusion today is caused by neoliberal governmentality, not sovereign power. And it is necessary to see power working in many ways to materialize the diaspora and resist state violence. For Butler, the concept of diaspora is presented as a resistance practice and ethical request of the dispossessed. However, this thesis aims to reveal that Butler’s criticism against ‘bare life’ is misread. Butler’s misinterpretation arises from the difference in perspective of Agamben, who reads Michel Foucault and Hannah Arendt. If sovereignty is an anachronism to Butler, the original form of sovereignty is biopolitics to Agamben. In addition, Butler considers Arendt distinguishing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realms and maintaining a discriminatory perspective on the private, whereas Agamben reads that Arendt paid attention to the modern reality in which this public/private distinction is collapsing. Unlike Butler’s criticism, ‘bare life’ does not exist outside of the polity or power. Even if the citizen belong to the nation state, there is the potential for them to become a “bare life,” or diaspora at any time, which reveals the possibility of rethinking the identity of the diaspora.

      • KCI등재

        주디스 버틀러와 몸의 정치윤리

        정혜욱(Haeook Jeong) 한국비평이론학회 2024 비평과이론 Vol.29 No.1

        이 글은 뉴럴링크나 생성형 인공지능과 같은 눈부신 과학적 발전에도 불구하고 ‘왜 몸이 여전히 문제인가’라는 주디스 버틀러의 문제의식에 공명하면서 시작된다. 9-11 이전의 초기작에 중점을 두고 주디스 버틀러를 읽을 사람이라면, 버틀러가 몸보다는 언어와 담론에 보다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주장할 수 있다. 물론 초기작부터 버틀러가 몸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젠더 트러블』(1990), 『문제는 몸이다』(1993), 『흥분할 수 있는 발화』(1997) 등에서 버틀러가 우리에게 고통을 주는 규범이나 강제적 호명을 어떻게 ‘재의미화’할 것인가에 보다 많은 강조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2000년대 이후의 저작보다 언어적 영역이나 담론을 넘어서는 몸의 차원에 상대적으로 소홀했던 것처럼 보이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위태로운 삶』(2004) 이후 버틀러는 신체적 차원을 상당히 명시적으로 강조한다. 즉 언어와 담론 차원의 ‘재의미화’를 넘어서, 몸이 이러한 언어적 규범을 초과하고 경합하며, 몸 자체가 어떻게 세계와 영향을 주고 받으면서 세계를 변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는가라는 문제에 보다 초점을 맞춘다. 따라서 이 글의 목적은 팬데믹이라는 전례 없는 사건을 통해 몸들의 정치에 대한 최근의 성찰을 보여주고 있는 『이 세계는 어떤 세계인가: 팬데믹 현상학』을 포함하여 최근작을 중심으로 몸의 열림과 취약성, 상호의존성, 상호얽힘, 다공성(porosity)을 통해 몸의 감각이 삶가능성(livability)을 위한 세계의 변화를 어떻게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인지를 살피고, 프리케리티와 프리케리티의 불평등한 분배를 살피고 이에 저항하기 위한 몸들 사이의 가능한 연대 형태를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첫째, 버틀러가 팬데믹을 거치면서 사유한 몸의 문제를 메를로퐁티와 같은 현상학자들을 경유하여, 몸의 감각(senses), 상호의존성(interdependency) 및 상호 얽힘(entrelac, interlacing)을 살핀다. 둘째, 몸의 정치윤리를 사유하기 위하여, 프리케리티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몸에 대한 현상학적 논의를 어떻게 보충하는가를 살피고, 셋째, #흑인의 생명도 소중하다, #단 하나의 생명도 잃을 수 없다 등의 연대 형태를 살피고, 이를 통해 버틀러의 이론이 현 시대의 몸, 취약성, 프리케리티, 그리고 정체성주의에 사로잡히지 않는 열린 연대에 대해 어떠한 해석과 제안을 하는지,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러한 제안이 위기의 시대를 사는 오늘날에 얼마나 시의성을 갖는지, 어떤 통찰력을 제공하는지를 살피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은 팬데믹이라는 특수한 상황 속에서 몸의 위태로움과 연대의 필요성을 재조명하여, 인류가 직면한 공동의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어떻게 서로 연결되고 연대하고 연대할 것인가라는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This study commences by engaging with Judith Butler's critical inquiry into the enduring significance of the body amidst the rapid advancements in fields like Neuralink and generative AI. Butler’s early works including Gender Trouble, Bodies that Matter, and Excitable Speech, extensively investigate the ‘resignification’ of oppressive norms and coercive interpellations, a focus that initially seemed to underplay the role of physical embodiment. Since Precarious Life(2004), however, Butler’s scholarship has notably shifted to more explicitly incorporate the bodily dimension. She extends her inquiry beyond the ‘re-signification’ in language and discourse to explore how the body itself can exert influence and drive transformative change in the world. This paper aims to explore contemporary reflections on the body's politics,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global events like the pandemic. It examines Butler’s recent works, including What World Is This?, to understand how the body's openness, vulnerability, interdependence, entanglement, and porosity may catalyze transformative shifts towards a more livable world. The paper also examines the unequal distribution of precarity and potential solidarity forms among bodies as a form of resistance. To fulfill these aims, the paper first reviews Butler’s views on bodies during the pandemic, drawing on phenomenologists like Maurice Merleau-Ponty, with a special emphasis on corporal sensory perception, interdependency, and interconnectedness. It then introduces the concept of precarity to deepen the discussion on the body’s politics. Furthermore, it evaluates forms of solidarity, exemplified by movements like #BlackLivesMatter and #NiUnaMenos, to explore how Butler’s theory advocates for an open solidarity that moves beyond identity politics. The study concludes by assessing how Butler’s insights provide timely and profound contributions to the current era of crisis.

      • KCI등재

        주디스 버틀러와 문화번역의 과제

        정혜욱(Hae ook Jeong) 한국비평이론학회 2015 비평과이론 Vol.20 No.1

        오늘날 버틀러는 2012년의 아도르노 상 수상 이후 정치적 논란의 한가운데 있는 가장 실천적이고 가장 핫한 동시대 이론가 중의 한명이며, 최근으로 들면서 문화번역이 그녀의 이론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커져가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페미니즘이나 젠더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주디스 버틀러에 대한 연구가 오래전부터 활성화되어왔기는 하지만, 발터 벤야민이나 자크 데리다, 호미 바바나 가야트리 스피박 등이 문화번역 연구에서 활발한 논의를 불러일으켰던 것과 달리, 주디스 버틀러의 사유와 문화번역의 문제의식을 같이 연결시킨 연구를 찾아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문화번역의 문제를 중점적으로 논의하고 있는 『우연성』, 보편성, 헤게모니 에서 2012년도에 출판된 『갈림길들: 유대성과 시오니즘 비판』에 이르기까지, 동시대의 문화ㆍ지리ㆍ정치의 맥락 속에서 버틀러의 문화번역의 윤리가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 지 그 의의를 살피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논문의 1장에서는 주디스 버틀러의전체 저작에서 문화번역이 가지는 의의를 살폈고, 2장은 버틀러의 핵심 개념인 수행성이 보편의 개념과 연관하여 어떤 의의를 가지는 지를 살폈다. 3장에서는 버틀러가 오늘날 문화번역적 사유의 선구자인 발터 벤야민의 번역관을 새로이 조명함으로써, 벤야민의 번역에 대한 사유가 어떻게 버틀러의 비폭력에 기반한 문화번역의 윤리와 연결되는지, 그리고 마지막 장에서는 헤겔의 인정 투쟁에 대한 버틀러의재해석이 어떻게 버틀러에 의해 재해석된 벤야민의 번역관과 어떻게 조우하는지를 살핌으로써, 버틀러의 문화번역이 새로운/다른 문화와 새로운/다른 윤리적 자아를 형성하고 차이를 보유하는 '공동거주'의 윤리로 나아갈 수 있는 통로가 되는 지를 살피고자 했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cultural translation in Judith Butler's theoretical frameworks. Butler's influence on gender and queer theories has been widely acknowledged since the publication of her book Gender Trouble: Feminism and the Subversion of Identity. Although she confessed that her work in Gender Trouble turned out to be one of cultural translation in 1999, the significance of her thought for the field of cultural translation has yet to be fully explored. This article, thus, explores the task of cultural translation through a critical engagement of the recent works of Judith Butler from Contingency, Hegemony, Universality to Parting Ways: Jewishness and the Critique of Zionism. First, this paper explicates why transl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challenging normalized meanings of the universal and how to translate the universal across boundaries. Second, this paper tries to show hows that cultural translation is not a mere transmission of information and that Butler's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ranslation cannot be discussed without considering how ethics, politics and law closely relate to each other by examining the way she reads Walter Benjamin's essays including "The Task of the Translator" and "Critique of Violence." Finally, this paper deals with how Butler's traversing of Hegel's concept of recognition leads to the ground of anti-fundamentalist ethics which retains uncalculative difference, and that cultural translation might be useful for finding a way to think about cohabitation understood as coarticulation with alterity.

      • KCI등재

        근대적 주체 이후의 행위성: 주디스 버틀러의 행위성 이론

        전혜은 ( Hye Eun Jun ) 한국영미문학페미니즘학회 2011 영미문학페미니즘 Vol.19 No.2

        This essay aims to seek an alternative agency theory which doesn`t depend upon the notion of modern subject. This study calls into question the established notions of agency that are based on the concept of an autonomous and coherent modern subject, because those notions cannot account for both oppression and the resistance to power and thus, especially, not only cannot account for the agency of social marginalities or subalterns but also commit the epistemological violence that forecloses their agency. In an effort to challenge these notions, this study examines Judith Butler`s agency theory. First, Butler`s agency theory rearticulates an agency beyond the dichotomy of oppression vs. freedom, and through deconstructing the epistemological frame that defines and regulates subject and agency, it reestablishes a theory for the agency of social marginalities which is produced as the excluded form from the contemporary hegemonic matrices of intelligibility. Second, Butler`s agency theory is based on the repetition in structure. Butler demonstrates that new meanings and values can be created through suspending reiterations which sustain the hegemonic regime of power, and through redeploying and reappropriating power in the course of reiterating differently. This kind of agency is ``the performative contradiction.`` We live and move on boundaries or gaps within the regime of power, and those acts can sometimes be seen as obedience, but can sometimes open some possibilities of subversion. Third, Butler reestablishes the subject as the implicated to the other. From the start a subject is formed in relationality. Thus a subject is redefined as a being who is ungrounded and incoherent, and thus have a partial unknowingness of the self, a primary opacity to the self. Starting with this concept of subject, an alternative agency escapes from the arrogance of modern subject which can know and control everything, and involves the ethical responsibility that is based on relations of dependency, and practices the representation that embraces and shows the failure of representation.

      • KCI등재

        백합물의 퀴어-친화적 확장성-주디스 버틀러와 무성애 논의를 중심으로-

        유운기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24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74

        백합물은 일반적으로 여성 간의 사랑을 다루는 로맨스 장르로 이해된다. 이 논문은 여기서 ‘여성’에 트러블을 일으켜보고자 한다. 페미니즘 담론에서오랫동안 ‘여성’은 하나의 단일한 의미가 아니라 여러 의미들이 복합적으로작동하는 용어로 이해되어 왔으며 그중에서도 섹슈얼리티는 생물적 성인 ‘섹스’와 사회구성적 성인 ‘젠더’로 나뉘어 논해져 왔다. 그런데 주디스 버틀러에따르면 ‘섹스’라고 이해되는 것들조차도 대부분 ‘젠더’로 다시 이해되며, ‘여성’이라는 주체는 실재하는 것이 아니라 구성된 것이다. 오히려 섹스가 실재하는 것이라는 이해가 젠더의 결과이며, 이 젠더는 수행적으로 만들어지는 것이므로 얼마든지 재구성될 수 있다. 이 논문은 이를 통해 ‘여성(범주) 없는 페미니즘’을 주창했던 주디스 버틀러의 주장을 따라가며, ‘여성(범주) 없는 백합물’이 가능한지 묻는다. 그리고 이를 통해 백합물이 가진 퀴어 친화적 양상이이성애 규범성을 넘어 유성애 규범성까지도 문제 삼을 수 있는지 그 확장성을탐색한다. 이러한 논의를 위하여 본고는 우선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이론을 소개하고 ‘여성’이라는 범주가, 무엇보다 ‘섹슈얼리티’라는 범주가 단일하고 고정된개념이 아니라 수행적으로 형성되는 복합성과 불일치성을 지닌 여러 정체성의 다발임을 밝힌다.(II) 이어서 백합물에서 호명하는-호명되는 ‘여성’이 누구인지를 그 장르적 고고학을 통해 알아보고, 이 궤적 속에서 백합물과 에스물의 관계 그리고 ‘여성을 사랑하는 여성’을 이상화했던 레즈비어니즘과 상관하여 백합물이 갖는 함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III) 덧붙여 어떠한 성-정체성이 고정되지 않는 것이라면 그것이 곧 성-정체성의 퀴어성과 닿아있음을 논의하고, 이를 통해 백합물의 퀴어친화적 확장성을 드러낸다.(IV) 이윽고 앞의 논의를 기반으로 퀴어 친밀성에 대한 논의를 무성애에 대한 논의로 전유하여,무성애의 관점에서 백합물을 분석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만든다.(V) 이는 백합물에 대한 탐구임과 동시에 섹슈얼리티에 대한 탐구이기도 하며, 백합물에서 재현되는 ‘여성’을 문제 삼는 것을 넘어서 섹슈얼리티 자체 그리고 ‘사랑’을 문제 삼는 작업으로 이어진다 할 수 있다. The Yuri is generally understood as a romance genre that deals withlove between woman. This paper seeks to cause trouble for ‘woman’here. In feminist discourse, ‘woman’ has long been understood not asa single meaning but as a term with multiple meanings operating in acomplex manner. and among that, sexuality has been divided into ‘sex’,a biological sexuality, and ‘gender’, a socially constructed sexuality. However, according to Judith Butler, even things that are understood as‘sex’ are mostly re-understood as ‘gender’, and the subject called ‘woman’is not real but constructed. Rather, the understanding that sex is real isa result of gender, and since this gender is performatively created, it canbe reconstructed as much as desired. This paper follows the argumentof Judith Butler, who advocated ‘feminism without woman(category),’and asks to possiblity of ‘Yuri without woman(category)’. And, In doingso, it explores the ways in which Yuri’s queer friendly attitude canproblematize sexual normativity beyond hetero-sexual normativity. In order to that, this paper first introduces Judith Butler’s gendertheory and explains that the category of ‘woman’ and, above all, thecategory of ‘sexuality’ are not a single and fixed concept, but rathera bundle of identities with complexities and inconsistencies that areconstructed performatively.(II) Second, through the archaeologyof the Yuri genre, this paper explore who is the “woman” are calledand called by Yuri. And in this context,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Yuri and ‘S’, and the meaning of Yuri as itrelates to lesbianism, which idealized “women who love women.”(III)Third, this paper argue that if gender-identity is not fixed, it is incontact with the queerness of gender-identity. And reveals the queerfriendly extensibility of Yuri.(IV) Finally, in the previous discussion,the discussion of queer intimacy is appropriated by the discussion ofasexuality, and make a theoretical framework for analyzing Yuri fromthe perspective of asexuality.(V) This is an exploration of Yuri and atthe same time an exploration of sexuality. And It can also be said that itgoes beyond problematizing the ‘women’ has been represented in Yuriand will continue to work problematizing sexuality itself and the ‘Love’.

      • KCI등재후보

        『오렌지만이 과일은 아니다』에 나타난 전복적 젠더 정체성 ―주디스 버틀러의 퀴어이론을 중심으로

        이희정 ( Heejung Lee ) 21세기영어영문학회 2021 영어영문학21 Vol.34 No.2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Jeanette Winterson’s Oranges Are Not the Only Fruit, from the perspective of Judith Butler’s queer theory, particularly using Butler’s views on performativity and melancholia. According to Butler, the radical disjunction between heterosexuality and homosexuality is simply not true: there are structures of psychic homosexuality within heterosexual relations. Therefore, the abjected outside is, after all, no more than the inside of the melancholic subject as its own founding repudiation. For Butler, gender as an identity is a tenuous social construction built through a repetition of stylized acts. Consequently, the postulation of an objective gender identity turns out to be a fiction which regulates behaviors and social roles. Jeanette, the heroine, embarks on a journey of discovering her sexuality, which is in conflict with compulsory heterosexuality. The pain that Jeanette had to endure as a homosexual, as well as her methods of recovery from that pain, takes on an expansive meaning when Butler’s discussion of gender identity is applied to the work. This paper focuses on the possibility of discovering new gender identities through Jeanette, the subject of paradoxical obedience that repeatedly performs gender norms but constantly deviates from consistency in the repetition.

      • KCI등재

        한나 아렌트의 비선택적 공거와 주디스 버틀러의 프레카리티 정치학: 몸의 정치학과 윤리적 의무

        조현준 ( Cho Hyun June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7 비교문화연구 Vol.48 No.-

        이 논문은 미국의 젠더 이론가이자 퀴어 학자로 알려진 주디스 버틀러의 후기의 정치윤리 사상, 그중에서도 `프레카리티` 정치윤리 사상을 한나 아렌트의 `비선택적 공거`와 연결해서 최신저서 『집회의 수행성 이론 소고』(2015)를 중심으로 고찰하려 한다. 점점 제한된 사회적 정치적 불안정에 놓이게 되는 지구상 모든 인구의 평화로운 공존을 모색하려는 버틀러의 프레카리티 정치 사상은 레비나스의 타자 윤리학과 아렌트의 정치철학의 영향을 받아 윤리와 정치를 결합하고자 한다. 우선 인간은 인간의 조건인 이 지구상에서 자신이 누구와 살지를 결정할 수 없다. 이런 `비선택적 공거`는 한나 아렌트가 『인간의 조건』에서 주장하는 `행위`의 근본적 조건인 `다원성`과 관련된다. 인간의 모든 측면이 정치에 어느 정도 관련되지만 다원성은 특히 정치적 삶의 필요조건일 뿐 아니라 가능조건이라는 면에서 절대 조건이다. 두 번째로 버틀러에게 유대적 선민사상을 부정하는 비선택적 공거는 내가 모르는 다른 여러 타인들과 함께 사는 삶의 가능성, 모두가 근본적으로 취약하기 때문에 상호의존속에 살아가는 보편적 프레카리티의 정치로 연결될 수 있다. 다원적 인간이 지구상에 공존한다는 사실은 인간의 몸이 가지는 근본적 취약성과 상호 의존성에 근간한 `몸의 정치학`을 가능케한다. 불안정성과 구분되는 `프레카리티`는 지구상에 디아스포라처럼 확산되는 다양한 인간의 불확실한 삶에서 평등과 자유를 확장할 수 있기에 윤리적이다. 프레카리티에 입각한 윤리적 의무 개념은 버틀러가 『불확실한 삶』 이후 『갈림길』뿐 아니라 『전쟁의 틀』에서도 강조한 개념이다. 누구든 사회세계의 프레카리티를 피할 수 없으며 그럼 점에서 프레카리티의 보편적 차원이 우리 모두의 비토대적 연결점이 된다. 버틀러가 주장하는 상호의존성은 평등의 관점에서 지속가능한 상호의존성을 양성하기 위한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형식의 투쟁이며, 평등을 향한 윤리적 요구는 근거리와 원거리의 가역성에 달려있다. 다시 말해 상호의존성이 비선택적 공거의 특징이라면 원근의 가역성은 프레카리티 시대의 윤리적 의무다. 윤리적 요구는 비선택적 공거, 비의도적 근접성이라는 조건 때문에 모르는 사람의 삶도 존중해야하고, 이런 의무는 정치적 삶의 사회적 조건속에 있으며, 이는 아렌트의 평등 및 레비나스의 노출과 맞닿는다. `비선택적 공거`와 `비의도적 근접성`에 입각한 버틀러의 프레카리티 정치는 정치와 윤리의 접합이자 보편 주체의 비토대적 연결점이다. This essay examines `precarity politics` by Judith Butler, a well-known gender theorist and queer philosopher, in Notes Towards a Performative Theory of Assembly (2015) focused on concepts as unchosen cohabitation of Hannah Arendt and unwilled proximity of Emmanuel Levinas. Butler`s precarity politics is the condition of our dispossessed political beings with fundamental vulnerability and interdependency that cannot choose with whom we will live on this Earth. Butler`s political ethics is twofold: on one hand, she examines significance of `action`` the most significant vita activa in the public area, and `plurality`` the condition―not only the necessary condition but the possible condition―for a political life suggested by Hannah Arendt in Human Condition; on the other hand, Butler reflects upon global precarity based on a diasporic precarious life in the social world towards freedom and equality. Unchosen cohabitation of plural humans on Earth, and global pervasion of precarity, that indicates “politically induced condition in which certain populations suffer from failing social and economic networks of support and become differentially exposed to injury, violence, and death,” so called “differential distribution of precariousness,” are practical possibilities of ethical and equal cohabitation of different ethnic groups in the social world. Ethical obligations or ethical demand to respond to others` suffering in distance and proximity originated from precarity politics, mentioned in Precarious Life, Parting Ways, and Frames of War, could be non-foundational joint of plural people living together globally. We should presume the `reversibility` of distance and proximity in others` suffering, based on responsiveness and responsibility of others, if we want to stay attuned to the pain of others we never chose to live together. That is the significance of Butler`s `precarity politics` with `ethical obligation` to accept `unchosen plurality` of living population on Earth, and `reversibility between of distance and proximity,` in her `new plural and embodied body politics` or `new corporeal ontology`, through human primary vulnerability, fundamental interdependency, being exposed and responsive to suffering of others.

      • KCI등재

        『자기만의 방』과 『여인무사』를 통해 본 「뮬란」의 여성 주체 번역 실천 : 주디스 버틀러의 문화 번역에 나타난 정치와 윤리의 가능성

        조현준 한국여성문학학회 2016 여성문학연구 Vol.39 No.-

        This study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competing universalities' and 'constitutive contradiction' in Judith Butler's 'cultural translation' and explores the possibility of overlapping between politics and ethics of the cultural translation in the female subject of Disney's animated feature Mulan(1998) through A Room of One's Own(1929) by Virginia Woolf and The Woman Warrior(1976) by Maxine Hong Kingston. For this it investigates the task of Butler's cultural translation in the various rhetorical and cultural contexts of the three texts in which the meaning and force of universal claims of human rights of women as modern subjects are made, focused on the meaning of 'money' and 'a room' that Woolf suggested as requirements of women's liberation. According to Judith Butler, no assertion of universality takes place apart from a cultural norm and no assertion can be made without at once requiring a cultural translation given the array of contesting norms that constitute the international field above all things. Without the translation of 'competing universalities', the very concept of universality cannot cross the linguistic and cultural borders it claims to be able to cross. The politics of multiculturalism could be understood as a politics of translation in the service of adjudicating and composing a movement of competing and overlapping universalities. Secondly, assimilation of the particular into the universal leaves its trace, an unassimilable remainer, which renders universality ghostly to itself. The task of cultual translation is one that necessitated precisely by the 'performative contradiction' of the ghostly particular, the spectral doubling in the universal that takes place when one with no authorization to speak within and as the universal nevertheless lays claims to the terms. For the translation to be in the service of struggling for hegemony, the dominant discourse will have to alter by virtue of claiming universalities of excluded and marginalized particular ones in the discourse, admitting the foreign vocabulary into its main lexicon, and changing the dominant discourse itself. Transformed cultural translation of 'money' and 'a room' represented in Mulan through A Room of One's Own and The Woman Warrior can shed light on the possibility of connecting the politics and ethics and broaden the horizon of cultural translation in terms of 'competing universalities' and 'performative contradiction'. By creative chasms and violent shuttling, Butler's cultural translation can restage competing universalities and lead to performative re-signification and re-articulation of regulatory norms and laws. The chasm in translation can become the condition of contact with what is outside me, the vehicle for an ec-static relationality and the ethical scene where one language meets another and contact with alterity happens. 이 논문은 버틀러의 문화번역에 나오는 ‘경쟁하는 보편성’과 ‘수행적 모순’의 중요성을 고찰하고 영국 여성작가 버지니아 울프의 『자기만의 방』(1929)과 중국계 미국 여성작가 맥신 홍 킹스턴의 『여인 무사』(1976)을 경유해 디즈니 애니메이션 「뮬란」(1998)에 나타난 보편 여성 주체에 대한 문화번역의 정치성과 윤리성의 접합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울프가 여성 해방의 조건으로 제시했던 ‘돈’과 ‘방’의 의미를 중심으로 근대적 주체로서의 여성의 인권에 관한 보편적 주장의 의미와 힘이 형성되는 이 세 텍스트의 수사적이고 문화적인 맥락에서 버틀러의 문화번역 논의를 탐구하고자 한다. 버틀러에 따르면 우선 보편성에 대한 어떤 주장도 문화적 규범과 별개로 발생할 수 없으며, 국제적인 장을 구성하는 경합하는 규범들의 배열을 생각한다면 그 즉시 문화번역을 요구하지 않고는 보편성 주장은 이루어질 수 없다. 이런 ‘경쟁하는 보편성’에 대한 번역 없이는 보편성의 개념 자체가 자신이 넘는다고 주장하는 언어적, 문화적 경계를 넘을 수 없다. 경쟁하며 중첩되는 보편주의를 판정하고 구성하는 가운데 다문화주의의 정치성은 번역의 정치로 이해될 수 있다. 두 번째로 특수성의 보편성으로의 동화는 그 흔적, 즉 동화불가능한 잔여물을 남기는데 이것이 보편성을 스스로에게 유령적이게 만든다. 문화번역의 과제는 바로 이런 보편성안의 유령 같은 특수성이라는 ‘수행적 모순’을 필요로 하며 내부에서 보편자로 말할 권한이 없지만 그 용어를 주장하는 사람에게 목소리를 주는 것이다. 번역이 헤게모니 투쟁이 되기 위해서는 배제되고 주변화된 이들이 지배담론 안에서 보편성을 주장하고 지배 담론이 외래 어휘를 자국어 사전에 수용하면서 지배 담론 자체가 변화해야 할 것이다. 『자기만의 방』과 『여인 무사』를 통해 「뮬란」에 재현된 ‘돈’과 ‘방’의 변화된 문화 번역은 ‘경쟁하는 보편성’과 ‘수행적 모순’의 관점에서 정치학과 윤리학을 연결할 가능성을 밝힐 수 있다. 버틀러의 문화번역은 창의적 틈새와 격렬한 운동으로 경쟁하는 보편성을 다시 무대화하여 규제적 규범과 법을 수행적으로 재의미화하고 재발화할 수 있다. 번역의 틈새는 나의 외부에 있는 것과의 접촉, 즉 탈아적 관계성의 매개이자 한 언어가 다른 언어를 만나 타자와의 접촉이 발생하는 윤리적 장면이다.

      • KCI등재

        주디스 버틀러의 <불확실한 삶>에 나타난 제1세계 지식인의 자기 제한적 실천으로서의 문화 번역

        이선현(Seonhyeon Lee) 한국비평이론학회 2022 비평과이론 Vol.27 No.2

        본 논문은 젠더 트러블 이후 주디스 버틀러의 사상적 변화를 불확실한 삶 에 대한 독해를 통해 주의 깊게 조망한다. 젠더 트러블에서 강조되었던 성적 자율성의 문제는 불확실한 삶 에서 관계성에 관한 사고로 확장된다. 자유라는 진보적인 내용도 위치성을 고려하지 않은 단일한 보편성 속에 담기면 폭력적일 수 있다. 이것은 자유를 요구하는 것 자체가 발화자의 위치나 타자와 맺고 있는 관계를 벗어나 이해될 수 없다는 버틀러의 인식적 변화인 셈이다. 9/11 사건으로 인한 타자와의 조우와 이에 대한 미국의 반응은 이러한 인식적 전환을 가져온 결정적 계기로 작동한다. 제1세계로서의 미국은 ‘자유’와 ‘진보’라는 이름으로 이슬람이라는 타자를 배제하고 전쟁을 자행했다. 불확실한 삶 은 이런 제1세계 지식인으로서의위치성에 대한 버틀러의 고민과 반성이 담긴 텍스트이다. 자유에 대한 요구를 단일한 보편성이 아닌 다양한 문화적 맥락과 다수의 문화적 규범의 경쟁 속에 어떻게담아낼 수 있을까?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버틀러는 문화 번역이라는 관점에서 보편성을 재구성한다. 문화 번역을 핵심으로 하는 보편성이란 각 입장의 다양성을 인정해주는 것이 아니라, 자아의 형성에 본질적인 타자성을 이해함으로써 주체의 주권적 지위를 허무는 과정이다. 이것은 포용이나 동화의 과정이 아니라, 양쪽의 언어의 규범적 체계를 변화시키는 것이다. 버틀러는 이러한 번역의 과정을 탈자적 관계성으로 설명한다. 탈자적 관계성은 단순한 감정적 공감을 넘어 주체의 구성근본에 타자가 자리하고 있고, 우리 모두 사회체계에 의존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버틀러는 말걸기의 구조를 통해 타자의 말걸기에 응답하지 않음으로 타자를 탈인간화 시키는 규범을 고찰하고 제1세계인의 특권적 지위를 허물 것을 주장한다. 불확실한 삶 에 나타난 윤리적 책임감이란 바로 제1세계 지식인으로서 자신이 속한곳의 규범을 변화시키려는 자기 제한적 실천으로서 문화 번역의 과정이다. This paper carefully examines Judith Butler's ideological change after Gender Trouble through reading Precarious Life. The issue of sexual autonomy emphasized in Gender Trouble is extended to thinking about relationality in Precarious Life. Even the progressive content of freedom can be violent if it is contained in a single universality that does not consider speaker’s position. This is Butler's cognitive change that demanding liberation itself cannot be understood outside of the speaker's position or relationship with others. The encounter with others due to the 9/11 incident and the American reaction to it act as a decisive moment that brought about this cognitive shift. The United States, as the First World, waged war in the name of ‘freedom’ and ‘progression’, excluding others called Islam. Precarious Life is a text that contains Butler's thoughts and reflections on her position as a first-world intellectual. How can the demand for freedom be contained in the competition between various cultural contexts and multiple cultural norms rather than a single universality? To answer this question, Butler reconstructs universality in terms of cultural translation. The universality including cultural translation is not acknowledging the diversity of each position, but is a process of breaking down the sovereign status of the subject by understanding the alterity essential to the formation of the self. This is not a process of inclusion or assimilation, but a change in the normative system of both languages. Butler explains this process of translation as ecstatic relationality. Ecstatic relationality goes beyond simple emotional empathy and shows that the other is at the root of the composition of the subject, and that we are all dependent on the social system. Butler criticizes the norms that dehumanize the other by not responding to the other's address, and argues for breaking down the privileged status of the people in the first world. The ethical responsibility shown in Precarious Life is the process of cultural translation as a self-limiting practice to change the norms of her place as a first-world intellectu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