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플립러닝을 적용한 교직과목에서 교수설계 질, 지식공유태도, 지식공유행동 및 만족도 간의 관계 규명

        김남희 ( Nam-hee Kim ),주영주 ( Young-ju Joo ),유화영 ( Hwayoung Yu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8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플립러닝 환경에서 학습자 지식공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플립러닝 교수설계 질, 지식공유태도를 설정하고 지식공유행동 결과 변인으로 만족도를 선정한 후 이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플립러닝의 만족도를 높여줄 수 있는 교수설계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학습자들이 능동적으로 지식공유행동에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A대학의 교육학개론 수강생 13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플립러닝 교수설계 질은 지식공유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플립러닝 교수설계 질과 지식공유태도는 지식공유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플립러닝 교수설계 질과 지식공유행동은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식공유태도는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지식공유행동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습자의 지식공유행동을 높이기 위해 학습자 중심 교수전략과 같은 환경적 요인과 지식공유태도와 같은 개인적 요인을 함께 고려해야 함을 의미한다. 또한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 플립러닝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nstructional design implications that can enhance the satisfaction of the flipped learning and to find ways for learn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knowledge sharing activities. As an outcome variable, learner satisfaction, which is a positive evaluation of learning experiences, is included in the research model. In addition, the predictors of knowledge sharing behaviors included the flipped learning quality rooted on the four indicators of F-L-I-P<sup>TM</sup> as an environmental factor, and knowledge sharing attitude as a personal factor. Eventually, the research aims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both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in terms of instructional design strategies for successful flipped learning.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134 students who enrolled in an ‘Introduction to pedagogy’ course in a university located in South Kore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to validate the proposed model. First, flipped learning quality recognized by learner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knowledge sharing attitude. Second, flipped learning quality and knowledge sharing attitude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knowledge sharing behavior. Lastly, flipped learning quality and knowledge sharing behavio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whereas knowledge sharing attitud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satisfaction. This means that not only the environmental aspects of instructional design and operation but also the positive perception of learners about knowledge sharing were important for increasing knowledge sharing behavior. Also, the more the learner-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are fully implemented, the higher the positive perception of the learner's knowledge sharing.

      • KCI등재

        교사학습공동체 교사들이 인식하는 ‘수업 나눔’의 의미와 그 특징

        김종훈(Jonghun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3

        이 연구는 자발적이고 지속적인 노력을 통한 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 사례를 탐색하고, 효과적인 전문성 신장 방안의 전략으로서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한 수업 나눔사례를 탐색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로 이루 어진 한 교사학습공동체를 대상으로 질적 사례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교사들이 인식하는 ‘수업 나눔’의 의미는 무엇인지, 이들의 의미형성에 나타난 주요 특징은 무엇인지를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이 인식한 수업 나눔의 의미는 ‘교수 실천에 대 한 성찰의 기회’, ‘협력적 학습의 장’, ‘공동의 수업 설계 과정’, ‘정서적 유대감을 공유하는 공간’이었다. 또한, 교사들에 의해 형성된 수업 나눔의 의미에는 교사의 전문성 신장과 관련된 주요 특징들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이 글은 향후 교사의 의미형성과 관련된 후속 연구와 교사교육 관련 제도 및 정책에 주는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case of improving teachers’ professionalism through voluntary and continuous efforts of sharing pedagogical experiences through teacher learning community. Specifically, this article examined the meaning of ‘lesson sharing’ formed through teacher learning community and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teachers’ meaning-making. For elementary teachers, lesson sharing means ‘the opportunity to reflect on teaching practice’, ‘the field of collaborative learning’, ‘the process of collective lesson planning’, and ‘the space to share emotional bonds’. In addition, the meaning of lesson sharing formed by teachers was found to be related to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Based on the findings, the article suggeste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and teacher education in relation to teachers’ meaning-making.

      • SCIESCOPUSKCI등재

        Fast Generation of Multiple Custom Instructions under Area Constraints

        Wu, Di,Lee, Im-Yong,Ahn, Jun-Whan,Choi, Ki-Young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 2011 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Vol.11 No.1

        Extensible processors provide an efficient mechanism to boost the performance of the whole system without losing much flexibility. However, due to the intense demand of low cost and power consumption, customizing an embedded system has been more difficult than ever. In this paper, we present a framework for custom instruction generation considering both area constraints and resource sharing. We also present how we can speed up the process through pruning and library-based design space exploration.

      • KCI등재

        Fast Generation of Multiple Custom Instructions under Area Constraints

        Di Wu,Imyong Lee,Junwhan Ahn,Kiyoung Choi 대한전자공학회 2011 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Vol.11 No.1

        Extensible processors provide an efficient mechanism to boost the performance of the whole system without losing much flexibility. However, due to the intense demand of low cost and power consumption, customizing an embedded system has been more difficult than ever. In this paper, we present a framework for custom instruction generation considering both area constraints and resource sharing. We also present how we can speed up the process through pruning and library-based design space exploration.

      • KCI등재

        초등 교사들의 온라인상에서의 수업자료 공유에 대한 사례연구

        서경혜 ( Kyoung Hye Seo ),최유경 ( You Kyung Choi ),김수진 ( Su Jin Kim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1 초등교육연구 Vol.24 No.2

        In recent years, increasing number of teachers have participated in online teacher communities and shared their instructional materials in order to improve their teaching. However, little has been known what kinds of instructional materials teachers share online. The present study explored teachers` sharing of instructional materials in online teacher communities. For this purpose, Indischool, an online teacher community, was selected and what kinds of instructional materials were shared in indischool online teacher community was examined. The findings showed that, first, teachers shared a variety of instructional materials including PowerPoint presentation files, multimedia materials, student learning activity sheets, exercise sheets, and so on. Second, teachers` instructional materials focused on how to deliver the textbook contents to students. In particular, the instructional materials effective to draw students` attention were popular among teachers. Third, teachers` instructional materials were mostly finished products so that teachers could use them immediately without further revision or modification. Further, most of them were one-shot use. These features of instructional materials seemed to reflect the circumstanc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taught more than 10 subject matters and different grades almost every year. Based on these findings, how to respond to the teachers` needs for instructional materials and support teachers` efforts to improve their teaching was discussed.

      • KCI등재

        수업나눔을 적용한 단위학교 수업협의 사례 연구

        김효수,진용성 한국교원교육학회 2017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4 No.3

        본 연구는 기존의 수업 개선 프로그램과 달리 수업자의 성찰을 돕는 방향으로 동료교사들과 공동체성을 구축하고 단위학교에 수업협의 문화를 변화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수업코칭 기반 수업나눔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있다. 이에 수업코칭 기반 수업나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8개 학교에 실행해보고, 그 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수업협의문화 변화를 추동하는 영향요인을 살펴봄으로써, 단위학교 적용의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설문과 질적 자료 분석을 통해 수업나눔 프로그램의 의미와 한계를 도출할 수 있었다. 먼저, 수업나눔의 의미는 개인적 측면으로 수업의 본질 추구, 수업에 대한 폭넓은 이해, 교사의 자존감 회복, 수업에 대한 자신감 증가 등이 나타났고, 관계적 측면으로 격려와 지지의 공동체 경험, 학생과의 관계와 일상의 삶으로 확대, 마음의 연결됨을 경험, 존재로의 만남 경험 등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계로는 시간부족, 강제성, 직면 단계의 어려움, 여전히 부담스런 수업공개가 두드러졌다. 수업나눔을 통한 수업협의문화를 추동하게 하는 영향요인 도출 결과 자발성, 관계, 시간, 학교분위기, 관리자 마인드, 교육청의 지원 등이 있었다. 첫째, 자발성이 높은 집단이 그렇지 않는 집단에 비해 휠씬 수업나눔에 대한 만족도와 필요성이 높았고, 수업나눔 적용 수준이 높았다. 둘째, 충분한 시간이 확보된 학교가 그렇지 않은 학교에 비해 수업나눔 적용이 원활하였다. 셋째, 교사들이 충분한 관계성이 형성된 학교가 그렇지 않은 학교에 비해 수업나눔 적용이 촉진되었다. 넷째, 외부촉진자와 내부촉진자의 선순환 역할이 중요했다. 외부촉진자인 수업코치와 단위학교 내에 수업협의 문화 변화를 선도하는 사람 혹은 그룹인 내부촉진자가 있을 때 좀 더 수업나눔이 잘 정착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단위학교 기반의 수업나눔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8개학교를 대상으로 비교적 장기간 실행해보고 이에 대한 교사들이 인식하는 학교의 수업협의문화 변화 양상과 요인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study suggests an instructional sharing program based on a 'instructional coaching'. This program i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programs to improve class in a way that it helps a teacher consider his or her class, building up a community with other teachers and changing the customary class criticism at schools. The study is to develop an instructional sharing program based on a coaching of teaching and apply that at 8 schools, and to compare the processes at schools to find factors of changing school culture, then to consider how to conduct the program at schools. The implication and the limitation of the instructional sharing program were able to be found by surveying and qualitative data analysis. First, in terms of advantages of the instructional sharing, a teacher can seek the essence of class, understand the class better, build self-esteem, get self-confidence in class. In addition, when it comes to relation, a teacher can benefit from a encouraging and supporting community, have out-of-classroom fellowship with students, have open hearts each other, and have personal and informal fellowship with students. On the other hand, there are limitations such as limited time, unwillingness, tendency of avoiding objectively facing oneself as a teacher, negative feeling on showing one’s class to others. The promoting factors of the discussion-on-class-culture throughout the instructional sharing are one’s willingness, relation, time, school environment, the philosophy of school administrators, and the assistance from an education off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instructional sharing program based on unit schools and to implement them for a long time in 8 schools. Based on this, it is worthwhile to examine the change and factors of school culture that teachers perceive.

      • KCI등재

        국어과 `수업코칭` 대화분석―수업 후 수업나눔 단계를 중심으로

        진용성 ( Jin Yongseong ) 국어교육학회 2017 國語敎育學硏究 Vol.52 No.3

        이 논문에서는 국어과 수업혁신을 위한 방안으로서, 수업코칭의 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2장에서는 수업코칭의 개념과 절차를 이론적 토대 차원에서 다루었다. 이는 3장에서 수업코칭의 대화를 분석하는 틀로서 적용 하였다. 3장에서는 연구 대상과 대화 분석의 방법을 제시하고, 4장에서는 국어과 수업코칭 대화에 나타나는 질적인 특징을 거시적·미시적 차원에서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코치와 수업자 사이의 적극적인 쌍방향의 의사소통이 나타났다. 둘째, 수업나눔의 단계는 선형적이지 않고, 다양한 패턴과 유형을 보였다. 셋째, 수업코치의 공감적 듣기와 수업자의 자기노출의 실제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we analyze instructional coaching conversation. Chapter 2 deals with the concepts and procedures of instructional coaching and how we apply this model as a framework for analyzing conversations. In Chapter 3, we present methods of dialogue analysis. Chapter 4 analyzes the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Korean instructional coaching dialogue.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active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coach and teacher; the execution of various types of instructional sharing; effective emotional listening by the instructional coach; and self-exposure of the teacher.

      • KCI등재

        재사용과 공유를 위한 수업 자료 큐레이션 시스템 기능에 대한 연구

        박양하,문성빈 한국문헌정보학회 2015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9 No.2

        This study intends to design a curation system to support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for reusing and sharing instructional materials efficiently. It is proved through interviewing teachers at the chalkface that they utilize instructional materials, and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elementary schools and secondary schools about the media for creating the instructional materials, and the purpose of using them. The functional requirements of curation system for reusing and sharing instructional materials are derived from questionnaires. The investigation of the existing curation system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strategies for policy, design, standard, and tools for effective operation of the digital curation system. The tasks and the functions of the curation system designed by reflec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The tasks related to individual workspace include ‘authentication’, ‘system configuration’, ‘registration’ of created materials, ‘material keeping’ for the individual, and ‘reusing (editing)’. The tasks related to sharing workspace contain ‘receiving’ for sharing, ‘archiving’ for accessing, ‘peer evaluation’, ‘accessing’ through the retrieval, and ‘bulletin board’.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고등학교 수업 자료의 재사용과 공유를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큐레이션 시스템의 기능을 도출하는 것이다. 수업 자료의 활용현황을 조사한 면담을 통해 현장 교사들이 수업 자료를 자주 사용하고 있다는 것과 수업 자료 생산 매체 및 수업 자료 사용 목적이 초등학교와 중․고등학교 간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설문 조사를 통해 재사용과 공유를 위한 큐레이션 시스템의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큐레이션 전략에 관한 기존의 연구를 조사하여 효과적인 시스템 운영을 위한 정책, 디자인, 표준 및 도구에 대한 전략을 식별하였다. 이상의 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설계한 큐레이션 시스템의 업무와 기능은 다음과 같다. 개인 작업 공간에서 구현되어야 하는 업무는 인증, 환경설정, 등록, 보관, 편집을 통한 재사용이다. 공유를 위한 공동 작업 공간으로 구현되어야 하는 업무는 접수, 저장, 동료 평가, 접근이다.

      • KCI등재

        만 5세 이야기 나누기 활동에서 나타난 유아교사의 교수화법에 대한 사례연구 : 질문 및 피드백을 중심으로

        유소라(Yu, Sora),김민진(Kim, Min-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5

        본 연구는 만 5세 이야기 나누기 활동에서 나타나는 유아교사의 교수화법을 사례연구방법으로 살펴봄으로써 유아교사의 질문과 피드백이 어떠한 맥락에서 발생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유치원 만 5세 한 학급의 담임교사 1명과 24명의 유아들이 참여하였으며, 30회의 이야기 나누기 활동 참여관찰과 2회의 담임교사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주제 관련 질문하기, 주제 관련 개념 설명하기, 다른 유아에게 다시 질문하기, 유아의 응답을 그대로 반복하기, 유아의 응답에 대해 긍정 반응하기, 유아의 응답에 대해 부정 반응하기, 활동에 대한 유아의 느낌과 생각 질문하기로 범주화하였다. 이러한 유아교사의 질문과 피드백은 발생 맥락에 따라 유아의 사고를 지원하거나, 제한함을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각 수업 상황에 적절한 교수화법에 대한 교사교육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 what context questions and feedback by early childhood teachers occur by adopting a case study method in examining the instructional communication of an early childhood teacher in story sharing activities with 5-year-old children. One homeroom teacher and 24 children from a 5-year-old kindergarten clas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participatory observation of the story sharing activities and an interview with the teache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the teacher’s instructional communication was categorized into asking subject-related questions, explaining subject-related concepts, asking another child again, repeating a child s response verbatim, responding positively to a child s response, responding negatively to a child’s response, and asking questions about a child’s feelings and thoughts about the activity. It was found that these questions and feedback by the early childhood teacher support or limit children’s thinking depending on the context in which they occurr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support teacher training for instructional communication appropriate to each class situation.

      • KCI등재

        초등과학 수업에서 자연 나눔 학습 방법의 적용 효과 -4학년 식물 단원을 중심으로-

        최선영 ( Sun Young Choi ),김혜란 ( Hye Ran Kim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1 초등과학교육 Vol.3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learning program using sharing nature that can be utilized in Korean elementary science classes and explore the its effects of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inquiry ability, scientific attitude of students after applying it. Sharing Nature used a playful and inspirational teaching strategy and was named after Flow Learning based on universal principles of how people learn. To examine the effects of Sharing Nature Learning Program this learning materials were applied to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and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ere selected from 4th graders at a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Icheon City, Gyeong-gi prov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foun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udent`s enhancement of the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inquiry ability, scientific attitude. In conclusion, Sharing Nature Learning Program is useful to develop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inquiry ability, scientific attitude and had better be widely applied to science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