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년유지형 임금피크제가 연령차별로서 무효인지 여부

        최윤정 사법발전재단 2022 사법 Vol.1 No.61

        The peak-wage system is a wage model that either slashes or freezes wages when an employee reaches a certain age, practically putting a cap on wage growth, with the intention of guaranteeing stable employment of older persons and reducing labor burden for businesses under the traditional seniority-based wage structure, by (1) maintaining the retirement age, (2) extending the retirement age, or (3) adjusting wages on condition of rehiring. The subject decision pertains to the question of whether the peak-wage system with a retirement age maintained as is constitutes age discrimination under Article 4-4(1) of the Act on Prohibition of Age Discrimination in Employment and Elderly Employment Promotion (hereinafter “Elderly Employment Act”) and is therefore null and void, in a case where a company introduced the peak-wage system based on the existing retirement age kept unchanged, under which the amount of wages is reduced for workers who have reached a certain age. In 2008, the Elderly Employment Act inserted Article 4-4 which prohibits age discrimination “without reasonable grounds” in most areas related to working conditions, including recruitment, employment, and wages. The part where age discrimination matters most in relation to the peak-wage system is discrimination in the realm of wages. The gist of the subject case can be summarized into the following: (1) whether the provision of Article 4-4(1) of the Elderly Employment Act that prohibits age discrimination against the elderly is an imperative provision; and (2) if it is, whether the peak-wage system introduced in the instant case constitutes age discrimination without reasonable grounds and is therefore considered null and void. With regard to the gists of the case above, the subject decision determined, considering the contents of the provisions related to prohibition of age discrimination under the Elderly Employment Act and the legislative intention to substantively embody the constitutional right of fairness, that Article 4(1) of the Elderly Employment Act is an imperative provision. Then the Court set forth the standards for determining whether the peak-wage system based on the retirement age maintained at its current level constitutes age discrimination without reasonable grounds. Based on the above reasoning, the subject decision determined that the peak-wage system in the subject case constituted age discrimination without reasonable grounds and therefore was invalid. Discrimination on the basis of age is not discrimination in areas where it is particularly required by the Constitution to maintain fairness, and since age-related authority is predetermined for everyone, age discrimination is distinguished from discrimination on the basis of race or gender. Age discrimination is a disadvantage that a majority of workers will someday experienc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age discrimination and that age is not unrelated to labor productivity, the reasonableness of the peak-wage system cannot be denied on the sole grounds that workers see their wage cut once they reach a certain age, and the reasonableness of the peak-wage system must be determined by examining the purpose to be attained and by weighing pros and cons of the peak-wage system in individual cases. It was also from this perspective that the subject decision stated that whether there are reasonable grounds for age discrimination must be determined by comprehensively examining (1) the reasonableness of the purpose of introducing the peak-wage system; (2) the magnitude of disadvantages incurred upon targeted workers; (3) whether compensatory measures were introduced with respect to the wage cut and its appropriateness; and (4) whether the resources slashed by the peak-wage system has been appropriated for the original purpose of the introduction of the peak-wage system. The subject case is the first Supreme Court decision that has made an explicit determination on whether the peak-w... 임금피크제는 특정한 연령이 되면 임금을 인하하거나, 임금을 동결하여 더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하는 제도로서, 전통적인 연공급 임금체계에서 고령자의 안정적인 고용을 보장함과 동시에 기업의 인건비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정년을 보장하거나(정년유지형), 정년을 연장하거나(정년연장형), 또는 재고용하는 조건(고용연장형)으로 임금을 조정하는 제도이다. 대상판결은 근로자의 기존 정년을 유지하면서 일정한 연령에 도달한 근로자의 임금을 삭감하는 내용의 정년유지형 임금피크제가 취업규칙으로 도입된 사안에서 그 임금피크제가 구 「고용상 연령차별금지 및 고령자고용촉진에 관한 법률」(2020. 5. 26. 법률 제1732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고령자고용법’이라 한다) 제4조의4 제1항의 연령차별에 해당하여 무효인지 여부가 쟁점이 된 사건이다. 2008년 고령자고용법은 제4조의4를 신설하여 모집·채용, 임금 등 근로조건과 관련된 대부분의 영역에서 ‘합리적인 이유 없이’ 연령을 이유로 한 차별을 금지하고 있는데, 임금피크제에서 문제 되는 영역은 ‘임금’에서의 차별이다. 이 사건의 쟁점은 ① 고령자고용법 제4조의4 제1항의 연령차별 금지규정이 강행규정인지 여부와, ② 강행규정이라면 이 사건 성과연급제가 합리적 이유 없는 연령차별에 해당하여 무효인지 여부이다. 대상판결은 ① 쟁점과 관련하여, 고령자고용법상 연령차별금지에 관한 규정들의 내용과 헌법상 평등권을 실질적으로 구현하려는 입법 취지를 고려할 때 고령자고용법 제4조의4 제1항은 강행규정에 해당한다고 판단하였고, 나아가 ② 쟁점과 관련하여 정년유지형 임금피크제가 합리적 이유 없는 연령차별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기준에 관하여 설시한 후, 이 사건 임금피크제는 합리적 이유 없는 연령차별에 해당한다고 보아 무효라고 판단하였다. 연령에 의한 차별은 헌법에서 특별히 평등을 요구하고 있는 영역의 차별은 아니고, 연령에 따른 지위는 모든 사람이 거칠 것이 예정되어 있으므로, 인종이나 성에 의한 차별과는 다른 특수한 면이 있다. 연령에 따른 차별은 대다수의 근로자가 언젠가 겪을 것이 예상되는 불이익이다. 이처럼 연령에 의한 차별의 특성, 연령은 노동생산성과 무관하지 않은 점 등을 고려하면 일정 연령에 도달한 근로자들의 임금을 감액한다는 사정만으로 합리성을 부정하기는 어렵고, 개별 사안에서 임금피크제로 달성하려는 목적, 이익과 불이익의 비교형량을 통하여 합리적 이유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대상판결도 이러한 견지에서 정년유지형 임금피크제에 관하여 도입 목적의 타당성, 대상 근로자들이 입는 불이익의 정도, 임금 삭감에 대한 대상 조치의 도입 여부 및 그 적정성, 임금피크제로 감액된 재원이 임금피크제 도입의 본래 목적을 위하여 사용되었는지 등 여러 사정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연령차별의 합리적 이유 유무를 판단해야 한다고 설시하였다. 대상판결은 정년유지형 임금피크제가 연령차별로 무효인지 여부에 관하여 명시적 판단을 한 최초의 대법원판결로서, 임금피크제의 목적과 기능을 고려하면서도 근로관계 영역에서 대법원이 그동안 설시하여 온 차별 법리에 부합하는 판시를 하였으며, 연령차별 여부에 관한 구체적 판단 기준을 설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강행규정에 위배된 합의의 무효 주장과 신의성실의 원칙

        박상언 민사판례연구회 2015 民事判例硏究 Vol.- No.37

        The imperative provis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by the law to realize or protect certain common good, invalidates certain types of contracts and is thus bound to collide with the principle of private autonomy in some legal situations, which authorizes contracting parties to create legal relations according to their free will. The doctrine of Treu und Glauben, which legally mediates individual matters by balancing conflicting interests, sometimes conflicts with the imperative provision that rules certain matters uniformly, while also conflicting with the principle of private autonomy by balancing contracts' legal effects. In a case when one of the contracting parties claims the invalidity of a contract that violates the imperative provision, the conflicts become even more severe between the imperative provision, the principle of private autonomy and the doctrine of Treu und Glauben. The Supreme Court concludes that workers’ claim of the invalidity of the agreement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that violates the imperative provision on ordinary wage guarantee may be denied when such a claim is against the doctrine of Treu und Glauben. This article examines the priority of the normative goal of imperative provision over the principle of private autonomy and the doctrine of Treu und Glauben and presents elements to be considered in determining such a priority, especially when the imperative provision not only invalidates certain contracts but also aims to realize and guarantee certain parties' interests. Although the Supreme Court has used conceptual tools such as 'subjective attributable reason' or 'protection of specific trust' in analyzing such conflicting cases between the imperative provision and the doctrine of Treu und Glauben, the Supreme Court’s decision relies on abstract criteria and lax requirements in the judgment studied in this article, which results in unsatisfactory and insufficient reasoning and an excessive role of the doctrine of Treu und Glauben. The criteria and requirements suggested by the Supreme Court should be applied through strict and deliberate review and the normative goal of the imperative provision regarding the ordinary wage should be thoroughly considered during the review and reasoning, so that a balance can be maintained between strict enforcement of the Labor Standards Act and fairness in each individual matter. 법질서가 특정한 공익을 실현하거나 그에 대한 침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특정한 법률행위를 보호하지 않기로 결단한 효력규정인 강행규정과, 법률관계를 당사자의 의사에 따라 규율하려는 사적 자치의 원칙은 충돌하기 마련이다. 개별사안에서의 구체적 이익형량을 통하여 구체적 법률관계를 법질서에 부합하도록 규율하려는 신의칙은, 한편으로는 법률효과를 일률적, 획일적으로 규율하려는 강행규정과 충돌하기도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구체적 사안의 법익형량을 내세워 사적 자치의 영역에 개입하는 과정에서 사적 자치의 원칙과도 충돌한다. 강행규정에 반하는 합의를 한 당사자가 그 합의의 무효를 주장하는 사안에서는 당사자가 객관적으로 종전의 행위에 반하는 행동을 함으로써 신의칙 적용 여부가 문제됨에 따라 강행규정과 신의칙, 사적 자치 원칙의 충돌상황이 더욱 부각된다. 이러한 사안에서 우선 강행규정의 규범목적이 관철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신의칙과 사적 자치의 원칙이 양보하여야 할 것이어서 강행규정이 추구하는 법익이 훼손되지 아니하거나 그에 대한 침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만 신의칙을 들어 법률행위의 무효 주장을 배척할 수 있다고 해야 한다. 특히 대상판결과 같이 통상임금 강행규정이 소극적인 법률행위의 무효를 넘어 초과근로수당의 지급을 보장함으로써 근로자 이익을 직접 실현하고, 초과근로를 억제하려는 규율 방식을 택한 경우에는 당사자가 이를 악용하려는 등의 주관적 귀책사유로 인하여 강행규정이 예정한 법적 상태를 배제하는 것이 정당화될 정도의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신의칙을 적용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우리 판례가 유사한 사안에서 구체적 신뢰보호나 주관적 귀책사유 등의 판단요소를 제시하여 왔음에도 대상판결은 이를 적극 활용하지 아니한 채 추상적이고 완화된 기준을 제시하였다. 대상판결이 제시한 구체적인 고려요소 가운데 묵시적 개별합의, 오인과 착오로 인한 임금합의의 경위, 합의의 당사자가 아닌 전체 근로자를 기준으로 한 재정적 부담 판단 등의 요건은 엄격하고 신중하게 판단되어야 하고, 당사자의 진정한 의사에 기한 새로운 합의의 추정과 예상 외의 이익 등을 판단함에 있어서는 통상임금의 초과근로 억제 기능과 강행규정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나아가 대상판결에 따른 분쟁의 처리과정에서 신의칙 법리의 시적 적용범위, 기업의 수익과 경영상 어려움의 판단, 기업의 유형에 따른 판단 등의 쟁점을 분석함에 있어서는, 근로기준법의 강행규범성과 구체적 사안에서의 형평성이 조화롭게 자리매김되는 방향으로 해석, 운용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삼균주의 立論의 定則과 발전 단계론

        김인식 숭실사학회 2023 숭실사학 Vol.- No.51

        The Principle of Three Equalities(Sam Kyun chuui) is the synthesis of Cho SoAng's theory of national movement. It is containing that the reality of Japaneseimperial aggression, a ploy for national independence, the Argument of StateFormation after liberation and a plan to make the world peaceful. In the process ofcreating and completing such a system of the Sam Kyun chuui, a rule is identified. The Sam Kyun chuui has always begun to strengthen the Korean ProvisionalGovernment and its ruling party, the Korean Independence Party. This is closelyrelated to the theoretical system of the Sam Kyun chuui. The theory to get the country back and the theory for establishing a countryform the foundation and superstructure of the Sam Kyun chuui, respectively. Toexplain it further more, the ‘theory of National Revolution’ forms the foundation, andthe ideal of ‘Three Equalities(Sam Kyun)’ forms the superstructure. The theory ofNational Revolution again consists of ‘the one-party system(Party-State System)’,based on of the ‘National Unique Party(Idangchiguk)’, and the ‘imperative supportplan on Provisional Government’ that demands the dominance of ProvisionalGovernment. In The Declaration of Korean Independence of Korea(1919), the initial stage of theSam Kyun chuui is confirmed. But the concept of ‘the organize a positive party’wasn’t formed at that time. Since 1922, Cho So Ang has suggested the ideal typeabout the independence party to strengthen the Provisional Government, and theconcept of ‘the organize a positive party’ here for the first time. When the KoreanIndependence Party was founded in January 1930, the Sam Kyun chuui became theparty principle. As a result, the ‘National Unique Party’ and ‘Imperative support planon Provisional Government’ became the basis of the Sam Kyun chuui. And fanally,the framework of the Sam Kyun chuui was completed. The 1930s was a time that the Sam Kyun chuui were advocated internally and externally. In November 1941,the Provisional Goverment proclaimed the Konkukgangryeong(Principles and Plansfor National Reconstruction). The Sam Kyun chuui was recognizwd as the ‘bestaxiom’ to build a contry in the Konkukgangryeong. In this way, the Sam Kyunchuui has moved to the stage of practice.

      • KCI등재

        고령사회에서 정년유지형 임금피크제 효력의 판단기준에 관한 소고: 대법원 2022. 5. 26. 선고 2017다292343 판결 중심으로

        전병주,김현수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4 人文 社會科學硏究 Vol.32 No.1

        · 연구 주제: 정년유지형 임금피크제에 의하여 근로자에게 이전보다 감액된 임금을 지급함으로써 고령자고용법을 위반했다며 소송을 제기한 사건에서 쟁점 조항의 강행규정성을 인정하고, 연령차별의 합리적 이유에 관한 판단기준을 제시한 판례를 분석함. · 연구 배경: 고령사회에 직면한 한국 사회에서 고령자의 일자리와 빈곤율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다변화된 양질의 일자리 확충과 임금피크제 도입 등을 통하여 고령층의 고용을 유지하거나 확대할 필요성이 제기됨.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정년유지형 임금피크제에 의하여 감액된 임금을 지급받은 근로자가 연령을 이유로 한 차별행위라고 주장한 사건에서 연령차별의 합리적 이유에 관한 판단기준을 최초로 제시한 대법원 판례를 검토함. · 연구방법: 정년유지형 임금피크제에서 연령차별의 합리적 이유에 관한 판단기준을 제시한 판례를 분석하고, 그 과정에서 대법원이 제시한 새로운 판단기준에 대한 법리적 검토와 실무적 쟁점 등을 규명함. · 연구결과: 임금피크제를 시행하는 경우 그에 대한 조치가 무효인지 여부는 도입 목적의 타당성, 근로자가 입는 불이익 정도, 임금 삭감에 대한 대상(代償) 조치 여부 및 그 적정성 등의 여러 사정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 사건의 연령차별에는 합리적 이유가 없다고 판단함. 다만, 임금피크제에 의하여 절감된 재원의 사용 방식에 대해 별도의 개별기준으로 적용하기보다 도입 목적의 타당성에 포함하여 사업장 특성에 맞추어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함. 나아가, 이번 판결 법리는 정년연장형 임금피크제로 분류되는 경우에도 하나의 참고기준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됨. · 공헌점 및 기대효과: 정년유지형 임금피크제에서 연령차별의 합리적 이유에 관한 판단기준을 최초로 제시한 대법원 판결을 분석하여 판단기준의 적정성을 검토하고, 그 기준을 당해 사건에 적용함으로써 산업현장의 갈등을 해소하고 근로자의 안정적인 노년기 삶을 담보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데 연구 의의가 있음. · Research topics: Analysis of a Supreme Court precedent that provided judgement criteria for the reasonable grounds of age discrimination in cases where reduced wages were paid under the wage peak system with retirement ages kept at the same level, potentially violating the Elderly Employment Act. · Research background: The necessity of expanding employment opportunities and introducing a peak-wage system to address the job and poverty issues of the elderly is raised.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Examination of a Supreme Court precedent that first established judgement criteria for the reasonable grounds of age discrimination and Article 4-4(1) of the Elderly Employment Act is an imperative provision in a case where a worker, having received reduced wages under the peak-wage system, claimed age discrimination. · Research method: Analysis of the precedent that established judgement criteria for reasonable grounds of age discrimination in the peak-wage system, clarifying the legal review and practical issues raised by the new judgement criteria proposed by the Supreme Court in the process. · Research results: In implementing the peak-wage system, the validity of related measures must be judged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validity of the purpose behind the peak-wage system, the extent of the disadvantages suffered by the targeted employees, the presence and appropriateness of measures against wage reduction, and whether the reduced funds were used for the original purpose of the peak-wage system. ·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 By analyzing the Supreme Court decision that first provided judgement criteria for reasonable grounds of age discrimination in the peak-wage system, the study holds significance in providing fundamental data necessary for resolving industrial conflicts and ensuring a stable elderly life for workers.

      • 정관에 기재되지 않은 재산인수와 신의성실의 원칙 - 대법원 2015. 3. 20. 선고 2013다88829 판결 -

        권재열 ( Kwon Jae Yeol ) 법조협회 2016 최신판례분석 Vol.65 No.8

        본래 재산인수는 상법상 정관에 기재하여야 할 사항이며(제290조 제3항), 만약에 그것이 정관에 기재되지 않은 경우에는 효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 사건 판결에 따르면 원고는 장래 설립·운영할 회사에 토지를 현물로 출자하거나 매도하기로 약정하고 피고회사가 설립된 후에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쳤다. 동 회사가 이 사건 토지에 관한 재산인수가 정관에 기재가 없어 무효임을 알았더라면 바로 주주총회의 특별결의로 이를 추인할 수 있었을 것으로 보임에도 불구하고 추인하지 않고서 오랫동안 원고가 동 회사의 회장 등의 지위에서 경영에 관여해 오다가 회사설립 후 약 15년이 지난 시점에서 정관에 기재가 없는 재산인수에 해당한다는 이유를 들어 무효를 주장하였다. 이에 대하여 대법원은 당해 재산인수는 무효이지만 그가 토지 양도의 무효를 주장하는 것은 신의성실의 원칙에 반하여 허용될 수 없다고 판시하였다. 이 사건 판결은 변태설립사항으로서의 요건을 갖추지 못한 재산인수는 원칙적으로 절대적인 무효이지만, 예외적으로 신의성실의 원칙에 의하여 그러한 무효를 주장하는 것이 배척될 수 있음을 밝히고 있다. 이 사건 판결에서 신의성실의 원칙과 강행규정이 충돌할 경우 대법원이 전자를 우선적용한 것은 구체적인 합리성 확보차원에서 타당하다. 특히 회사의 거래에는 많은 이해관계자가 관여하므로 거래안전이 상법(회사법)의 중요한 이념으로 자리잡고 있다는 점까지 감안한다면 이익의 비교형량을 통하여 신의성실의 원칙이 적용되는 경우가 장래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신의성실의 원칙의 확대적용이 법적 안정성을 해칠수 있음에 주의하여야 하며, 심지어 사법부와 입법부 사이의 갈등마저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은 유의하여야 한다. Article 290 of the Korean Commercial Code requires the matters on irregular incorporation to be entered in the articles of incorporation. One of those matters is the acceptance of assets. If the matters regarding the assets agreed to be transferred to the corporation after its incorporation are not entered in the articles of incorporation, they will be invalid. Because Article 290 of the Code is imperative, the parties to the contract for the acceptance of assets do not have the power to change the invalidity of the contract which is against Article 290. In a Korean court case, a former CEO claimed that his contract for the acceptance of assets with his former corporation is invalid because the acceptance is not entered in the articles of incorporation and therefore the assets should be returned to him. However, the Korean Supreme Court ruled that his claim is not accepted due to prior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good faith to the violation of the imperative provision such as Article 290. The Supreme Court`s ruling is reasonable and thus acceptable in the perspective of the protection of the other party`s good faith.

      • KCI우수등재

        최신판례분석 : 정관에 기재되지 않은 재산인수와 신의성실의 원칙 - 대법원 2015. 3. 20. 선고 2013다88829 판결 -

        권재열 ( Kwon Jae Yeol ) 법조협회 2016 法曹 Vol.65 No.8

        Article 290 of the Korean Commercial Code requires the matters on irregular incorporation to be entered in the articles of incorporation. One of those matters is the acceptance of assets. If the matters regarding the assets agreed to be transferred to the corporation after its incorporation are not entered in the articles of incorporation, they will be invalid. Because Article 290 of the Code is imperative, the parties to the contract for the acceptance of assets do not have the power to change the invalidity of the contract which is against Article 290. In a Korean court case, a former CEO claimed that his contract for the acceptance of assets with his former corporation is invalid because the acceptance is not entered in the articles of incorporation and therefore the assets should be returned to him. However, the Korean Supreme Court ruled that his claim is not accepted due to prior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good faith to the violation of the imperative provision such as Article 290. The Supreme Court`s ruling is reasonable and thus acceptable in the perspective of the protection of the other party`s good faith.

      • KCI등재

        미국의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계약에 대한 최초판매원칙 적용에 관한 연구

        강보라 한국저작권위원회 2013 계간 저작권 Vol.26 No.3

        소프트웨어 라이선싱에서 저작권자들은 라이선스가 “판매가 아니라 라이선스(licenses but does not sell)”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을 통하여 소프트웨어 이용자들이 유체적 복제물을 영원히 보유할 수 있게 되더라도 즉, 라이선스 기간의 제한이 없는 경우에도 이들은 그 복제물의 “소유자”가 될 수 없고 최초판매원칙 또한 적용되지 않게 된다고 주장한다. 저작권자와 이용자가 라이선스계약을 맺은 경우에 있어서 이를 소유권 이전으로 볼 것이냐 아니면 라이선스 계약으로 볼 것이냐에 따라서 최초판매원칙의 적용여부가 달라지게 된다. 이에 대해 본 논문에서는 양자의 거래가 소유권이전인지 아니면 라이선스인지에 대한 판별법에 대해서 미국의 태도를 살펴보고 타당한 방법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최초판매원칙의 적용요건을 위반한 라이선스계약의 경우 그 효력이 있는지가 문제된다. 이는 당해 규정이 강행규정인지 여부와 관련 있다. 만약 강행규정이 아닌 경우 이와 달리 규정한 라이선스계약은 무효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들이 강행규정인 경우 이를 위반한 라이선스계약은 효력이 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는 최종소비자라이선스계약(End User License Agreement:EULA)과 같이 불특정 다수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체결되는 계약이 소유권의 이전으로 판단되어 최초판매원칙이 적용됨에도 불구하고 재판매 등을 제한하는 경우 가장 문제된다.

      • 한국민주당 창당과 데마고기 - 송진우의 동향에서 발원한 경로를 중심으로 -

        김인식 ( Kim In-sik ) 숭실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3 인문학연구 Vol.52 No.-

        정당이 난립하는 해방정국에서 1945년 말경에 이르면, 정견을 발표할 역량을 지닌 정당은 朝鮮共産黨·朝鮮人民黨·國民黨·韓國民主黨(한민당) 4개 정당으로 압축되면서 통칭 ‘4대 정당’으로 불리었다. 신국가건설운동의 視空間이었던 해방정국에서, 이들 유력 정당이 민중들의 정치 열망을 수렴하여 어떻게 정치활동으로 표출하는가는 곧바로 국가건설의 방향성을 결정짓는 일이었다. 해방정국기 ‘4대 정당’의 지도자들이 주도한 정당의 이념과 노선은 과거 식민지시기 독립운동의 연장선에서 표현되었다. ‘4대 정당’은 식민지시기 항일 운동의 경력이 존재하였고, 대표되는 인물로 구심력을 형성하였다는 데에 공통점이 있었다. 한민당은 朝鮮人民共和國(人共)처럼 ‘벽보 내각(조각)’을 졸속하게 구성하지 는 않았지만, 미군 진주를 앞두고 人共에 대항하여 급속하게 발기한 정당이었다는 점에서, 양자는 일치하는 특징을 지녔다. 이 점에서 한민당은 정강·정책의 동질성에 근거한 이념정당이 아니라, ‘反조선건국준비위원회’·‘反인민공화국’이라는 대립의식과 적대성을 공유하는 정치세력들의 연합체로 출발하였다. 정당이 타 정치집단·정당과 정치 이념·노선을 둘러싸고 政戰함은 상례이지만, 특정 정치세력을 향한 적대성을 結黨의 명분으로 삼은 예는 ‘4대 정당’ 중한민당이 유일하였다. 한민당의 창당에는 정적을 배격하는 데마고기를 유포하면서 이 명분을 합리화하였다는 데에서 다른 정당과 구별되는 특징이 있었다. 데마고기의 방향은 건국준비위원회와 人共을 친일·공산주의·親蘇 세력으로 매도하면서, 重慶의 대한민국임시정부를 과대평가하여 絶對支持하는 이른바 ‘중경임시정부 절대지지론’의 두 가지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데마고기는 한민당 구성원의 해방 전후의 동향과 밀접한 상관성이 있었고, 그 중심에는 송진우가 자리잡고 있었다. 이 논문은 8·15해방 직후 한민당 결당의 명분이 된 데마고기가, 8·15해방 전 송진우의 정국 구상에서 발원하였음에 주목하면서 송진우와 한민당 인사들의 정국 구상을 살펴보려는 데 목적이 있다. As the Korean Peninsula transitioned into a state of liberation with multiple political parties after World War II, by the end of 1945, the political landscape was dominated by four prominent parties: the Communist Party of Korea(朝鮮共産黨), the People's Party of Korea(朝鮮人民黨), the National Party(國民黨), and the Korea Democratic Party(한민당), collectively referred to as the 'Four Major Parties.' In the post-liberation period, these influential parties had the responsibility of channeling the political aspirations of the people, and their ideologies and policies played a crucial role in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the nation's reconstruction. The ideologies and approaches of the 'Four Major Parties,' led by their respective leaders in the post-liberation era, were an extension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that took place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ese parties shared a commonality in having a history of anti-Japanese activism during the colonial period and were represented by figures who had gained prominence. While the Korean Democratic Party did not form a 'puppet government' like the Korean People's Republic(人共), it quickly emerged as a party that opposed the the Korean People's Republic(人共) in the face of the imminent arrival of U.S. forces. Hence, the Korean Democratic Party began as a coalition of forces that harbored a sense of opposition and hostility, rather than an ideological party based on a specific set of principles and policies. It is customary for political groups and parties to engage in political warfare against other groups and parties based on political ideologies and policies. However, the Korean Democratic Party was unique among the 'Four Major Parties' in using hostility towards specific political forces as the raison d'être for its existence. The Korean Democratic Party rationalized its existence by propagating anti-people's government and anti-communism, thus setting it apart from the other parties. Demagoggi's direction was two-fold: criticizing the Preparatory Committee for Korean Rehabilitation and the Korean People's Republic as pro-Japanese, communist, and pro-USSR forces, and overestimating and supporting the Joongkyung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under Jung Gyeong, the so-called ‘absolute support theory for the Joongkyung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Demagoggi was closely related to the post-liberation activities of Korea Democratic Party members, with Song Jin-woo at its core.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roots of the rationale for the founding of the Korea Democratic Party immediately after August 15, the day of liberation, and Song Jin-woo's vision for the country's governance prior to August 15.

      • KCI등재

        의료기관 개설규제 위반에 대한 요양급여비용 환수처분의 이원적 규율

        최혁용 한국법학회 2024 법학연구 Vol.93 No.-

        본 연구는 의료기관 개설규제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한 민사적, 의료법적, 국민건강보험법적 제재수단을 연구대상으로 한다. 그 중에서도 의료법이 금지한 의료기관 개설행위에 대한 가장 중요한 제재는 국민건강보험법과 의료급여법상의 요양급여비용 환수처분이다. 국민건강보험법 위반 여부에 따라 형법상 사기죄, 이득액에 따라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위반(사기)죄와 민사상 불법행위책임이 추가로 성립한다. 이런 규제는 비의료인의 의료기관 관리를 개설단계에서 차단하기 위한 실효성 확보 방안이면서 건강보험 재정 건전성을 제고하는 수단이 되기도 한다. 그런데 대법원은 의료인의 중복개설·중복운영에 대하여는 요양급여비용환수처분이 부적법하다고 판결하였다. 또한 대법원은 비의료인의 의료기관 개설은 효력규정인데 반하여 의료인의 중복개설·중복운영은 단속규정으로서 사법상 효력을 달리한다고도 보았다. 대법원의 이러한 태도는 재산죄인 사기죄 성립을 위한 부당이득을 인정할 수 있는지, 형벌의 보충성에 반하지는 않는지, 도구적 합리성은 유지되는지에 대한 의문이 있고, 또한 의료인과 비의료인에 대한 규율 적용의 차별이 가지는 정당성에도 의심이 간다. 비의료인이 개설한 의료기관도 의료법이 정한 절차에 따라 신고, 허가, 등록 등의 과정을 거쳐 유효하게 개설된 의료기관인 것은 마찬가지다. 그리고 의료인에 의해 진료가 실시되고 그에 따라 요양급여가 청구되었다면 적법한 의료기관 내에서의 행위와 질적인 차이가 없는 것 역시 마찬가지다. 개설규제에 대해 이원주의, 신분주의를 적용한 대법원의 해석은 법적용의 비합리성, 의료기관 개설을 통한 직업의 자유에 대한 과잉규제, 의료기관 관리, 운영 등 비의료적 영역을 포함하는 체계통합의 장애라는 한계를 노정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icacy of civil, Medical Act, and National Health Insurance Act enforcement mechanisms in securing effective regulation of medical institution establishment. Among these, the most critical sanctions against prohibited medical institution establishment acts under the Medical Act are the reimbursement provisions under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ct and the Medical Aid Act. Violating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ct predicates the establishment of criminal charges under the Criminal Law for fraud, in addition to civil liabilities for unjust enrichment. These regulations serve two purposes: they aim to prevent non-medical personnel from managing medical institutions from the establishment phase to ensure the efficacy of regulations, and to enhance the fiscal soundness of health insurance. However, the Supreme Court has ruled that the reimbursement of healthcare benefits for multi-institution establishment and operation by medical personnel is not unlawful. Moreover, the Court has distinguished between the establishment of medical institutions by non-medical personnel as effectual regulations and the multi-institution establishment and operation by medical personnel as regulatory regulations, thus differently interpreting their legal effects. The stance of the Supreme Court raises questions regarding the acknowledgment of undue profit necessary for the establishment of property crimes such as fraud, the violation of the principle of subsidiarity of criminal law, and the maintenance of instrumental rationality. It also casts doubt on the legitimacy of differential regulatory application between medical and non-medical personnel. Medical institutions established by non-medical personnel, following the due process stipulated by the Medical Law involving notification, permission, and registration, are validly established just as those by medical personnel. Furthermore, if medical services are provided by medical personnel and healthcare benefits are claimed accordingly, there is no qualitative difference from the actions within legally established medical institutions. The interpretation by the Supreme Court, applying dualism and status-based regulations to establishment regulations, exposes the irrationality of legal application, the excessive regulation on the freedom of professio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medical institutions, and the obstacles to the integration of non-medical areas such as management and operation of medical institu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