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성별 가사노동시간 측정: 시간일지와 서베이문항 방식 비교

        김은지 ( Eun Ji Kim ),김수정 ( Su Jeong Kim ) 한국조사연구학회 2009 조사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시간일지 방식의 생활시간조사와 서베이문항 방식의 노동패널 자료를 대상으로 하여 탐색적 수준에서 측정방식의 차이가 성별 가사노동시간 추정에서 어떤 차이를 낳는지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의 경우 서베이문항 방식에서 남성은 자신의 가사노동시간을 과다보고하고 여성은 과소보고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보고차이에 관한 기존연구에 비추어 볼 때 남성의 과다보고는 일치하지만 여성의 과소보고는 매우 독특하다. 하위집단별 가사노동시간 분포를 살펴보면, 남성의 경우 사별/이혼자 집단에서 과다보고의 경향이 뚜렷이 나타난 반면 여성의 경우 유급노동, 돌봄 및 가사노동 부담이 큰 집단에서 과소보고의 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보고차이는 가사노동과 관련된 젠더화된 사회규범과 시간부족 인식에 비추어 설명될 수 있었다. 기존연구에서는 과소보고에 대한 이론이 제대로 발달되지 않았는데, 본 연구는 시간부족인식이 여성의 과소보고를 설명하는 중요한 이론적 가설이 될 수 있음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stimates of housework time by gender using two representative methods of time use study: Time Diary and Stylized Survey Questionnaire. Our analysis is based on the data from the Lifetime Use Survey(2004), which used time-diary questions, and the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KLIPS 2004), which used stylized questions on housework hours. The results show that men over-report their housework time in the stylized time use questions. In contrast, women under-report their housework time, which is unusual in the previous studies on response errors and reporting gap. Subgroup analysis shows that widowed/divorced men tend to over-report their contribution to housework more than other groups whereas among women, groups burdened with employed work, caring and housework underestimate their housework time. This reporting gap is explained by gendered norm and perception of time pressure. The theory to explain under-reporting of the housework time has been undeveloped in the previous studies. Our study suggests that perceptions of time pressure be an important factor to explain women`s reporting gap of housework estimates.

      • KCI등재

        기획논문 : 맞벌이 임금근로자 부부의 가사노동시간은 상호 대체재인가? 법정근로시간단축제도 시행에 따른 시장노동시간의 변화를 이용하여

        지민웅 ( Min Woong Ji ),조민수 ( Min Soo Cho ) 한국여성경제학회 2014 여성경제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1999년과 2009년 통계청 생활시간조사의 맞벌이 임금근로자부부를 대상으로, 부부 간에 가사노동시간이 상호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러한 영향이 남녀 간에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실증한다. 가계 내 구성원의 시간 배분과 관련한 주요 이론들에 따르면, 부부의 가사노동시간은 동시에 결정되거나 상호간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배우자의 가사노동시간 증감이 본인의 가사노동시간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를 살펴볼 때는 이러한 요인들에 의해 초래되는 내생성을 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2004년 이후 시행되고 있는 법정근로시간단축제도라는 외생적 충격에 주목한다. 우리의 분석에 따르면 제도 시행 이후 초과근로수당지급을 피하려는 사용자의 노력으로 인해 시장노동시간이 남녀 모두 지난 10년간 실제로 크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외부적 충격에 의한 시장노동시간의 변화는 본인 및 배우자의 가사노동시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부부 가사노동시간의 상호 대체성을 분석할 때 도구변수로 적절하다. 이러한 외부적 충격과 함께 시장노동시간을 통해서만 가사노동시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또 다른 변수(주당 40시간을 초과하여 근로하는 지의 여부)를 추가적인 도구변수로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평일의 경우 남성은 여성배우자의 1일 가사노동시간이 1분 증가하면 본인의 1일 가사노동시간을 0.12분 감소시키는 반면 여성의 가사노동시간은 남성배우자의 가사노동시간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맞벌이 임금근로자 가정에서 여성이 대부분의 가사노동을 책임지고 있는 현실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남성의 가사노동시간만 여성배우자의 가사노동시간에 대체재 성격을 띠고 있음을 의미한다. Research on the substitutability of spousal housework time is complicated by the endogeneity or reverse casuality arising from time allocation decisions in dual-earner households. With data from the 1999 and 2008 Korean Time Use Survey, this study uses the reduction of the standard workweek from 44 to 40 hours in 2004 to construct instrumental variables(IVs) estimates of the effect of housework hours by spouse(home production or child caregiving) on the other spouse``s housework hours. Our results show that the husband``s housework time decreases along with the wife``s time doing housework, whereas the husband``s housework time has no impact on the wife``s housework hours. The findings imply failure of work-housework balance in the households and suggest that only the wife``s housework time serves as a substitute for the husband``s housework time.

      • KCI등재

        부부의 가사노동 동기화 수준이 아내의 가사분업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주익현 ( Ikhyun Joo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8 社會科學論集 Vol.49 No.2

        본 연구는 아내의 가사분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요인들을 탐색하는데 연구 목적을 두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남편과 아내가 어떤 종류의 가사활동을 해야 아내의 가사분업만족도가 증가하는지, 그리고 이 활동들을 배우자와 함께 하는 것이 아내의 가사분업만족도를 높일지, 홀로 하는 것이 아내의 가사분업만족도를 높일지 실증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2014년 시간대 자료로 주중 외벌이, 주중 맞벌이, 주말 외벌이, 주말 맞벌이 부부를 집단별로 구분한 다음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첫째, 모든 집단에서 아내의 핵심가사노동시간량이 증가할수록 아내의 가사분업만족도가 감소한다. 둘째, 주말 외벌이 집단을 제외하면 남편의 핵심가사노동시간량이 증가할수록 아내의 가사분업만족도는 감소했다. 셋째, 주말 외벌이 부부의 경우 아내가 핵심가사를 홀로 수행할수록 가사분업만족도가 낮아졌다. 넷째, 주중 맞벌이와 주말 외벌이 집단의 경우 남편이 핵심가사를 홀로 수행하는 비율이 높을수록 아내의 가사분업만족도가 증가하였다. 이상의 분석결과가 가지는 이론적 함의는 아내의 가사분업만족도가 부부의 가사노동 동기화 정도에 따라 증감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는 점이다. 방법론적 함의는 시간대 변수를 활용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확인되는 새로운 변수를 생성했다는데 있다. 실천적 함의는 아내의 가사분업만족도가 높아지기 위해서는 남편들이 아내가 핵심가사노동을 하지 않을 때 핵심가사노동을 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My dependent variable is wives’ satisfaction about division of housework labour. My research question is what factors affects wives’ satisfaction about division of housework labour. To be more specific, I focus on kinds of housework and how much time couples do housework together. Then I analyze Korean Time Use Survey data in 2014.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husbands’ doing core-housework has positive effects and wives’ doing core-housework has negative effects on wives’ satisfaction about division of housework labour. Also, wives’ core-housework time ratio to do it alone decrease wives’ satisfaction. Finally, husbands’ core-housework time to do it alone increase wives’ satisfaction about division of housework labour. This research’s theoretical implication is focusing couples’ degree of time-synchro doing housework. Generating this variable and emphasizing its’ significance is this paper’s substantive implication. In order to increase wives’ satisfaction, husbands have to do housework when their wives stay away from their house because doing housework with their wives cannot reduce wives’ housework burden.

      • KCI등재

        맞벌이 부부의 가사노동 시간과 분담에 관한 연구

        허수연 ( Huh Sooyeon ),김한성 ( Kim Hansung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9 한국가족복지학 Vol.64 No.-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time-availability, relative resource, and gender-role attitudes as the main factors explaining time use and division of housework in dual-earner households in Korea. For empirical analysis we use 2014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and extract 714 dual-earner couples aged 20 to 60 with pre-school children. We find that when wives’ paid labor time decrease, and when husbands’ paid labor time increase, wives tend to spend more time on housework. For husbands, when their paid labor time decrease, when they have more egalitarian attitudes, and when wives’ relative income increase, husbands tend to spend more time on housework. Also, when wives paid labor time increase, when husbands’ paid labor time decrease, when wives’ relative income increase, when husbands have more egalitarian attitudes, couples divide housework time more equally. On the base of the results, we discuss the limitation of these factors that cannot explain fully the gendered housework division in Korea.

      • KCI우수등재

        남자가 여자를 ‘도와줄’ 때: 부부 간 가사노동 분업에서 시간대 동기화의 중요성

        주익현(Ikhyun Joo),최성수(Seongsoo Choi) 한국사회학회 2019 韓國社會學 Vol.53 No.2

        기존 연구들은 일반적인 통념과 달리 남편의 가사노동 시간이 증가할 때 아내의 가사노동 시간량이 감소하지 않거나 심지어 증가하는 양상을 보고하고 있다. 본 연구는 왜 이런 관계가 나타나는지를 설명하기 위해 남편과 아내가 각각 수행하는 가사노동 ‘시간대’의 중요성에 초점을 맞춘다. 생활시간조사 2014년 자료를 활용한 분석 결과 첫째, 남편의 가사노동 시간이 증가할수록 아내의 가사노동 시간량이 대체로 증가하며, 둘째, 남편이 혼자 가사노동을 수행하는 경향이 강할수록 아내의 가사노동 시간이 감소하였다. 셋째, 남편의 추가적인 가사노동은 남편이 혼자보다는 아내와 함께 가사노동을 수행하는 비율이 높을수록 아내의 가사노동 시간 부담을 가중시킨다. 이러한 결과는 맞벌이/외벌이 여부, 주중/주말 여부, 가사노동 유형 등과 상관없이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남편이 가사노동을 아내와 함께 하려고 할수록 남편의 가사노동은 아내에게 도움이 아니라 추가적인 부담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이 결과는 한국 사회 기혼 여성들의 과중한 가사 부담을 줄이기 위해 남편의 가사 참여를 독려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며, 경직된 정시근무 대신 전반적인 근로시간 단축과 유연근무를 가능하게 하는 제도와 관행이 확산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Existing research has documented that husband"s additional housework does not reduce wife"s housework and even may increase it. In this study, we highlight the importance of "when" housework is done by husband and wife, respectively, to explain why such an unintuitive pattern emerges. We examine this issue using data from the Korea Time Use Survey 2014. Results from our analyses reveal three main findings. First, as reported by prior studies, the longer hours husband spends doing housework, the more likely that wife’s housework time is extend. Second, the stronger husband’s tendency is to do the housework alone, rather than doing it with the wife, the more likely wife’s housework time decreases. Third, the input of husband’s housework time adds extra housework hours to wife more remarkably when husband tends to do housework only with his spouse rather than by himself. These patterns hold consistently across different types of our samples, such as dual-earner and single-earner couples, on weekdays and weekend, and for core and non-core housework. Our result implies that merely encouraging husbands to do more of the housework to reduce wives" burden cannot be an effective solution. Rather it suggests that policies for promoting organizational practices of shortening excessively long work hours and allowing for more flexible work schedule are needed.

      • KCI등재

        아내 소득기여도가 맞벌이 부부의 가사노동시간에 미치는 효과: 조사시기와의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주익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22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Vol.26 No.1

        The first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investigate whether wives' income contributions affect the time spent on housework by dual-earner couples. The second purpose was to investigate period interaction effects on the effect of wives' income contributions. For this, Korean Time Use Survey data 2004-2019 was analyzed. The analysis target was dual-earner couple aged 20-59 years. The dependent variable was time spent on housework, and the analysis method was tobit regres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were three findings: First, there was a U-shaped relation between wives' income contributions and wives' housework time. Second, this relationship became stronger as time progressed. Third, although wives' income contributions positively affected husband housework time, husband housework time was actually zero before 2019.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not economic perspective, but gender perspective, is more useful for understanding dual-earner couples' division of housework.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아내 소득기여도가 맞벌이 부부의 가사시간이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두 번째 목적은 아내 소득기여도 효과에 대한 조사시기 조절효과를 살피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2004년부터 2019년까지의 통계청 생활시간조사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20세 이상 60세 미만 맞벌이 부부이다. 종속변수는 맞벌이 부부의 가사시간이며, 분석방법은 토빗 분석이다. 분석 결과 세 가지 사실들을 발견하였다. 첫째, 아내 소득기여도와 아내 가사시간 사이에는 U자형 관계가 있었다. 둘째, 시간이 흐르면서 아내 소득기여도와 아내 가사시간 사이의 U자형 관계는 점점 더 강해지고 있었다. 셋째, 아내 소득기여도가 증가할수록 남편 가사시간은 증가하지만 2019년 이전까지 남편의 가사시간은 사실상 0에 가까웠다. 이상의 결과들은 맞벌이 부부의 가사분업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경제학적 관점이 아닌 젠더적 관점이 더 유용함을 보여준다.

      • KCI등재

        한국 기혼 남성의 가사노동 여부와 기혼 여성의 우울과의 관련성: 여성가족패널조사 활용

        안정현,이단비,남진영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2022 대한보건연구 Vol.48 No.1

        Purpose: The purpose of our study is to identify depressive symptoms factors among married women and analyze the effect of married men’s housework on married women’s depressive symptom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6,685 married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2020. A chi-squared test was used to assess baseline characteristic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 and depressive symptoms. In subgroup analysi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find the association between married men’s participation in housework and depressive symptoms by leisure time and time married men spent with family. Results: Married women were depressed when married men did not participate in housework (OR=1.42, 95% CI=1.15-1.74). Among married women who spend more and less time in leisure time, married women’s depressive symptoms were associated with married men who did not participate in housework (more leisure time: OR=1.46, 95% CI=1.09-1.95; less leisure time: OR=1.36, 95% CI=1.01-1.82). Also, married women were increased risk of depressive symptoms when married men did not participate in housework among married women with married men who were not spend time with family (OR=1.48, 95% CI=1.12-1.95).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married men who did not participate in housework were risk factor related to married women’s depressive symptom. The government need to consider married men’s housework when they are preparing measures to improve married women’s mental health.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analyze in consideration of a model including the quality of housework. 연구목적:본 연구는 기혼 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기혼 남성의 가사 노동 여부가 기혼 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2020년 여성가족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6,685명의 기혼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일반적 특성과 우울의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층화 분석에서, 기혼 여성의 여가시간과 기혼 남성의 가족과 보내는 시간으로 기혼 남성의 가사노동 여부와 기혼 여성의 우울 사이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기혼여성은 기혼 남성이 가사노동을 하지 않았을 때 우울하였다 (OR=1.42, 95% CI=1.15-1.74). 여가시간이 많은 기혼 여성과 여가시간이 적은 기혼 여성 모두 기혼 남성이 가사노동을 하지 않는 경우 우울 위험과 관련성이 있었다 (여가시간이 많은 기혼 여성:OR=1.46, 95% CI=1.09-1.95; 여가시간이 적은 기혼 여성: OR=1.36, 955 CI=1.01-1.82). 또한, 기혼 남성이 가족과 보내는 시간이 적은 기혼 여성 중에서, 기혼 남성이 가사노동을 하지 않을 경우 기혼 여성의 우울 위험과 관련성이 있었다 (OR=1.48, 95% CI=1.12-1.95). 결론:본 연구를 통해 기혼 남성이 가사노동을 참여하지 않을 경우 기혼 여성의 우울과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므로, 여성의 정신건강 개선을 위한 정책 마련 시 기혼 남성의 가사노동 참여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추후 연구에서는 가사노동의 질을 포함한 모형을 고려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맞벌이가구 여성과 남성의 가사노동시간에 관한 연구

        허수연(Heo Su-Yeon) 한국여성학회 2008 한국여성학 Vol.24 No.3

        본 연구는 비공식적 영역인 가정에서 행해지는 무급 가사노동의 성평등한 분담을 위한 기초연구자료로서 여성과 남성의 가사노동 시간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자료를 통해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을 위해 ‘시간 가용성'이론, ‘상대적 자원’이론, ‘사회화된 성역할’이론에서 가사노동의 중요한 예측요인으로 제시하고 있는 변수로서 본인의 노동시간, 배우자의 노동시간, 본인의 소득, 배우자와의 소득 차(gap), 전통적 성역할에 대한 태도를 선정하여 가사노동 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분석자료로는 통계청이 2004년 발간한 생활시간조사를 활용하였으며, 미취학 자녀가 있는 20~50대 맞벌이 가구 여성과 남성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검증결과 여성과 남성 모두 가사노동 시간사용에 가장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본인의 노동시간과 배우자의 노동시간으로 나타났으며, 이외 여성의 경우 소득 수준이, 남성의 경우 전통적 성역할에 대한 태도가 각각 가사노동 시간사용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맞벌이 가구 여성은 노동시간이 길수록, 배우자의 노동시간이 짧을수록,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더 적은 가사노동시간을 사용하였으며, 맞벌이 가구 남성은 노동시간이 짧을수록, 배우자의 노동시간이 길수록, 전통적 성역할에 대해 반대할수록 더 많은 가사노동시간을 사용하였다.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discuss reconciliation of work and family policy to provide parental right and labor right of women and men, and investigate factors that affect women's and men's time use for their houseworks. For empirical study, the research used time diary data and selected samples of married women and men of dual earner family with children under schoolage. To search for factors that affect time use for housework, the research used Muliple Regression Analysis and found some interesting results. For married women, respondents' age(negative), educational achievement (positive), time use for paid work(negative), and gender equality perspective(negativ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time use for her housework. For married men, educational achievement (positive), time use for paid work(negative), and gender equality perspective (negativ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time use for his housework. Of all the independent variables, respondent's time use for paid work affected dependent variable(time use for housework) most significantly. The results indicate that family-friendly working time policy, equal work and opportunity, and cultural change for gender role could help more gender equal division of housework and balance of work and family.

      • KCI등재

        가사기술은 진정 가사노동으로부터의 해방을 가져왔는가?: 20세기 미국에서 가전제품의 확산과 가사노동 시간의 변화

        김덕호(Deok-Ho Kim) 한국아메리카학회 2018 美國學論集 Vol.50 No.2

        While the household technology had been introduced and expanded, the optimistic view that the household technology would liberate the housewife from the housework also had been settled down. However, did the home appliances embodied of the household technology really contribute to reduce the time of housework? Ruth S. Cowan, a historian of technology, asserted that the more housemakers have the home appliances, the more they have housework time or at best same housework time. Joel Mokyr, a renowned economic historian, called it ‘Cowan paradox.’ Through the various time surveys of housework time since 1920s, this paper will investigate on whether the time of housework had been really reduced due to the introduction and diffusion of the home appliances such as vacuum cleaners, washing machines, or electric irons.

      • KCI등재

        맞벌이 부부의 가사노동시간에 대한 연구

        이창순 ( Chang Soon Lee )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4 社會科學硏究 Vol.40 No.2

        본 연구는 통계청의 2009년 생활시간조사 원자료를 이용하여 부부의 경제적 능력, 유급노동시간, 젠더역할관의 주요 변인들을 중심으로 맞벌이 부부의 가사노동분담을 분석하고 있다. 상대적 자원이론, 시간제약 이론 등의 경제적 교환관점은 가사노동시간의 개인차에 대하여는 설명하고 있으나 부부간의 차이에 대한 설명은 매우 약하다. 젠더이데올로기 관점은 이러한 교환논리가 놓치고 있는 부분을 일정부분 메꾸고 있다. 아내의 가사노동에는 아내의 경제력이나 유급노동을 제외하면 남편의 젠더이데올로기 등의 남편의 영향이 매우 큰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반면에 남편의 가사노동에는 아내의 영향이 거의 없는 않는 것으로 나타나 아내의 경제력이나 유급노동여부가 남편의 가사참여를 끌어내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가사노동에서의 젠더보상행동 역시 남편에서는 나타나지 않고 주로 아내에게서 나타나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gendered division of housework in the dual-earner households using 2009 Time Use Survey Data of Statistics Korea. The problem in the division of housework is wives do the most of housework no matter what their paid work time. Among three major perspectives, though relative resource and time availability perspectives provides some explanations on individual differences in housework time, gender ideology perspective captures more successfully the gendered nature of the division of housework. While the gender role attitude and educational level of husbands are strongly associated with the variation in wives’ housework time, the paid work and economic power of wives barely account for husbands’ housework participation. Even the non-normative economic roles presses wives more, not husbands, to do gender compensation behavi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