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글문화의 정신사

        민현식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6 한국언어문화학 Vol.13 No.3

        한국언어문화의 정신사는 한자문화와 한글문화의 정신사로 나뉘는데 그중에 한글문화의 정신사는 세종 정신, 훈민과 정음의 정신, 한글정신으로 나눌 수 있다. 세종정신은 ‘훈민정음 어제서문’에 나타난 자주, 애민, 실용의 정신이다. 훈민과 정음의 정신은 국민 교육용으로 나온 ‘용비어천가’ 편찬과한자음 표준화를 목적으로 한 ‘동국정운’ 편찬에서 드러난다. 한글 정신은 개화기에 국망의 운명 속에 문맹 타파를 위한 한글 보급의 계몽 정신과 서재필, 주시경, 이승만 등 개화파 지식인들의 한글체논설 운동을 통한 한글문체 수립 운동을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은 한글정신사의 흐름 속에 누적된 지도부의 부패와 국민의 우민화는 조선의 식민지화로 귀결되고 민족과 한국어는 시련기를 겪으나 한글정신사를 잇는 주시경과 그 제자들의 조선어학회가 중심이 되어 문화적으로 극복하였다. 해방 후 한글은 문맹퇴치의 도구로 언어 활력의 빛을 발해 대한민국번영의 기초가 되었다. 한국어의 인구자본, 정치자본, 경제자본, 문화자본이 동력이 된다면 한글의 정신사는 한국어의 국제화에 큰 동력이 될 것이다. The intellectual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is divided into the intellectual history of the culture of Chinese characters and that of the Hangeul culture. The intellectual history of the Hangeul culture is subdivided into Sejong, Hunminjeongeum, and Hangeul spirits.The Sejong spirit is the spirit of autonomy, love for the people, and pragmaticality, which appear in the preface of “Hunminjeongeum”. As hunmin refers to educating people and jeongeum means a right sound, the Hunminjeongeum spirit is found in publishing “Yongbieocheonga,” targeting national education, and “Dongkukjeongwoon(the right sound of Chosun),” for standardizing the sound of Chinese characters. The Hangeul spirit is subdivided into the Hangeul enlightenment spirit, as indisseminating Hangeul to eliminate illiteracy in the time of enlightenment, and Hangeul style of writing spirit, which was promoted by the Hangeul-style editorial movement by intellectuals such as Jaepil Seo, Shikyung Joo, and Syngman Rhee. The corruption of the leadership and obscurantism of the people that accumulated in the course of the above intellectual history of Hangeul led to the colonialization of Joseon, which affected the Korean language negatively and caused much suffering to the people of Joseon. The Korean Language Society led by Shikyung Joo and his students, which is in line with the intellectual history of Hangeul, overcame this ordeal by promoting the anti-Japanese cultural movement. After the liberation, Hangeul became a foundation of the prosperity of Korea as a tool to eradicate illiteracy and to emit the light of language vitality. The intellectual history of Hangeul will be a dynamic force for the internationalization of the Korean language with power supplied by population capital, political capital, economic capital, and cultural capital of the Korean language.

      • KCI등재

        위당 정인보의 한글 인식과 한글 글쓰기

        이지원 ( Lee¸ Ji Won ) 연세사학연구회 2021 學林 Vol.48 No.-

        위당 정인보는 20세기 전반기 당대 최고의 한학자이면서 민족주의를 발휘하는 민족의 문화정체성 만들기에 앞장섰던 인물이다. 그는 일제 식민지하에서 일본어가 ‘국어·국문’으로 통용되던 시기에 일본어로 글을 짓지 않고, 근대의 주체적인 민족의식·문화의식을 지키기 위해 많은 글을 썼다. 근대 문명전환기에 지식장이 바뀌면서 한문과 국문의 글쓰기는 문자의 사회적 위상변화를 반영하였다. 민족의 근대 문화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하는 ‘조선학’의 학문관에서 국문인 한글에 대한 인식과 한글 글쓰기는 피할 수 없었다. 근대적 독서문화를 염두에 두고 교육과 언론의 자장에서 활동했던 정인보는 옛 글의 글쓰기 경험을 토대로 근대적인 한글 글쓰기를 시도했다. 정인보는 근대적 민족의식에서 한문으로 된 옛글을 참고하고 당 시대의 정신이 담긴 ‘조선의 글’을 쓰는 것을 중심에 두었다. 그는 성음이 겨레를 만드는 중요 요소임을 강조하고 28자 소리의 한글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옛 것의 정신과 정취를 근대에 재현하고자 다양한 시도를 하였다. 그리하여 한문의 고서들에 대한 한글 글쓰기를 통해 새롭게 해설하였으며, 현대적인 감성에 전통적인 취의를 넣는 시조 짓기를 시도하였다. 그의 한글 글쓰기는 광복 후 국경일 기념의 노랫말 등으로 유려하게 발휘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그의 한글 글쓰기는 한글 고어의 양식을 답습하는 경향도 남아있었다. 그의 한글 글쓰기는 통일적인 한글맞춤법이 정착하기 이전 한글 글쓰기의 과도기적 탐색과 연습 과정을 보여주기도 한다. 또한 해방 후 민족 분단의 현실에서 분단의 정체성 보다는, 민족·국민이나 단체 등 집단적 정체성의 감성을 고조하고, 근대 국가의 당위성과 감격을 강조하는 것이 중심이었다. 그의 한글 글쓰기는 20세기 전반기 식민지 상황에서 근대 민족의 문화정체성 만들기가 중요한 시대 과제였던 과도기에 근대 한국학을 개척했던 학문관이 투영된 한글 인식과 한글 글쓰기로서 의미를 갖는다. Jeong In-Bo was the best scholar of Chinese studies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and he took the lead in creating a national cultural identity that demonstrated nationalism. He did not write in Japanese at a time when Japanese was commonly used as the ‘Korean language’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he wrote a lot to protect the modern subjective national and cultural consciousness. As the knowledge field changed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of modern civilization, writing in Chinese and Korean reflected the change in the social status of characters. In the academic view of ‘Chosun Studies’, which seeks to establish the nation’s modern cultural identity, recognition of Hangeul, the Korean language, and writing in Hangeul were unavoidable. Jeong In-Bo, who was active in education and journalism based on the modern reading culture at the time, attempted to write in modern Hangeul based on his writing experience of old writings. Jeong In-Bo focused on writing ‘Korean writings’ that contained the spirit of the era by referring to the old Chinese texts in the modern national consciousness. He emphasized that the voice is an important factor in making the Korean people,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28-character Hangeul. He also made various attempts to reproduce the spirit and flavor of the old in the modern era. Thus, he gave a new interpretation of the ancient books in Chinese characters through writing in Hangeul, and attempted to compose a SIJO that puts traditional flavor into modern emotions. His writing in Hangeul was also fluently displayed in lyrics to commemorate the National Day after Liberation. However, his writing in Hangeul also had a tendency to follow the style of the ancient Korean language. In addition, the lyrics after Liberation were centered on heightening the sense of collective identity, such as a nation, nation, or group, rather than the agony of the reality of national division, and emphasizing the justification and emotion of a modern nation. His writing in Hangeul has meaning as a recognition of Hangeul and writing in Hangeul, reflecting the academic view that pioneered modern Korean studies in the transitional period, when the creation of a modern nation’s cultural identity was an important task in the colonial situation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 세종시의 한글문화도시 콘텐츠 개발 전략과 사업 방안 연구

        배준영 ( Bae Jun-young ) 콘텐츠문화학회 2024 콘텐츠문화연구 Vol.7 No.-

        이 논문은 세종시가 가진 한글문화 자원을 몇 가지 측면에서 검토해 보고 앞으로의 발전 방안을 제시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글문화도시를 지향하는 세종시가 앞으로 도시의 정체성과 브랜드 이미지를 ‘한글’을 토대로 구축하고자 할 때 어떠한 점들을 보완하여 한글문화도시로서의 문화콘텐츠를 생산해 나갈 수 있을지 그 전략과 구체적인 사업의 방안들을 제안해 보았다. 1장은 서론으로서, 이 논문의 목적과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세종시가 지니고 있는 한글문화 콘텐츠 자원의 현황과 문제점을 검토해 보았다. 3장에서는 2장에서 검토한 문제점을 토대로 세종시 한글문화 콘텐츠의 발전 전략을 단계별로 제시해 보고, 구체적인 사업 방안을 제안해 보았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세종시가 가진 한글 역사성의 한계점을 보완해 나가기 위해 한글 역사 자원의 수집과 연구를 가장 우선시하여야 함을 역설하고, 이를 토대로 한글문화 아카이브 구축과 한글 관련 여러 기관과의 연계, 다방면의 한글 콘텐츠 개발 등의 방향성과 사업안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Hangeul cultural resources of Sejong City from several aspects and suggest ways to develop them in the future. This thesis suggests strategies and specific projects to produce cultural contents as a Hangeul Culture City by complementing what Sejong City, which aims to build its identity and brand image based on 'Hangeul', can do in the future. Chapter 1 is an introduction, presenting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thesis. Chapter 2 examined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Hangeul cultural content resources in Sejong City. Chapter 3 presents a step-by-step strategy for the development of Sejong City's Hangeul cultural contents based on the problems reviewed in Chapter 2, and proposes specific business plans. In particular, this thesis emphasizes the need to prioritize the collection and research of Hangeul historical resources to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s of Sejong City's Hangeul history, and proposes directions and business plans such as building a Hangeul cultural archive, linking with various Hangeul-related organizations, and developing multifaceted Hangeul contents.

      • KCI등재

        중국 조선족 시의 문화적 위상

        윤의섭 한중인문학회 2011 한중인문학연구 Vol.32 No.-

        중국 조선족 시는 선택과 배제, 그리고 혼성성의 과정을 거쳐 오면서 특정 문화로서의 지 위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중국인으로서의 국적 취득, 반우파투쟁기, 문화혁명기, 개혁개방기 등 60여년의 질곡을 거치면서도 문화적 유산을 잃어버리지 않은 중국 조선족 시인들의 노고 가 있었기에 가능한 것이다. 중국 조선족 시의 전개 과정은 말하자면 선택적 문화 전통의 계 승과 창조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중국 조선족 시의 특징은 문화적인 관점에서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우선 중국 조선족의 시가 한글로 쓰이고 있다는 사실이다. 다음, 한글 문학의 생산과 독자 수용의 연결 관계가 출판, 배급, 비판 활동 등의 문학 제도에 의해 견지되 고 있어 중국 조선족 문학계의 한글 문화가 견고한 생명성을 발현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중 국 조선족의 시가 보여주는 문화는, 토착된 환경 속에서 한글 문화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특수성을 보여준다. 문학을 통해 중국에서 전개되고 있는 중국 조선족의 한글 문화는 전 세계 를 염두에 두고 볼 때 거대한 문화 집단이 갖고 있는 문화적 공동체의 힘을 보여준다. 이때 우리는 근원적인 공유에서 출발한 문화의 연관성에 집착하기보다는 현재적 관점에서 다원적 으로 분포된 한글 문화끼리의 공시적 연관성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Korean Chinese poetry, after the process of selection and exclusion and mix, has now become a specific culture. This was possible only by the effort of Korean Chinese poets who hadn't given up their cultural legacy, despite the 60 years of suffering in becoming Chinese, anti-right wing struggles, the Cultural Revolution and the periods of opening to other countries. The development of Korean Chinese poetry can be described as a process of keeping the selective cultural tradition and creativity. Korean Chinese poetry can be characterized by 3 aspects. First aspect is that Korean Chinese poems are written in Hangeul. Second, Hangeul culture in Korean Chinese literary world has a firm ground and vitality, being supported by publishing, distribution and critique which connect the producers with the readers of Hangeul literature. In addition, the culture presented in Korean Chinese poetry suggests a new direction for Hangeul culture within a settled environment. In a broader perspective of the world, Hangeul culture among Korean Chinese people developed in China through literature indicates the power of a cultural community within a large cultural group. Therefore, we should focus more on general association among different types of Hangeul cultures in a contemporary aspect, instead of cultural association based on a shared ground.

      • KCI등재

        한글 교육 및 문화시설에 대한 수요조사 연구

        김옥규,박준모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24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26 No.4

        케이팝이 전세계적인 인기를 얻으면서 한글과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교육의 관점에서 언어는 문화와 같이 학습될 때 가장 효과적이다. 이를 위해서는 한글 교육과 문화 체험을 동시에 할 수 있는 복합시설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한글교육 및 문화체험을 위한 대표시설의 현황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교육시설은 교육기능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어서 문화체험 기능은 거의 갖추고 있지 못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문화시설의 경우에도 교육기능은 전혀 갖추고 있지 않았다. 내국인과 외국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서도 교육과 문화 전반에 대한 수요가 있었다. 따라서 한글교육 및 문화시설을 복합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복합화를 추진함에 있어 신규시설은 그 자체로 복합화를 하도록 게획하되, 종전시설은 시설간 연계를 하는 것을 우선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As K-pop has gained worldwide popularity, interest in Hangeul and Korean culture is increasing.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language is most effective when it is learned with culture. To this end, a complex facility is needed to provide both Hangeul education and cultural experience at the same time. In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of representative facilities for Hangeul education and cultural experiences in Korea was investigat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educational facilities are only focused on educational functions, so they have little cultural experience function. Even in the case of cultural facilities, there was no educational function at all. In the results of a survey of Native Koreans and foreigners, there was also a demand for education and culture as a whole.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it is important to combin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cultural facilities. In promoting the complexation, it is reasonable that new facilities should be set to be complexed by themselves, but the previous facilities should be prioritized to link between facilities

      • KCI등재

        옥천 ‘안남어머니학교’의 한글교육과 공동체적 결사체의 의미

        박선미 비교민속학회 2020 비교민속학 Vol.- No.71

        이 연구에서는 충북 옥천군 안남면 ‘안남어머니학교’를 통해 농촌 여성노인들의 한글실력 향상이 개인의 삶과 지역사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안남어머니학교’가 공동체인지 결사체인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안남어머니학교’는 ‘강한 결사체’의 속성과 ‘옅은 공동체’의 속성을 동시에 지닌 ‘공동체적 결사체’로 판단되었다. ‘안남어머니학교’는 지역의 지도자들과 농촌 여성노인들이 한글교육이라는 공통 목표를 위해 의도적이고 인위적으로 만든 결사체이다. 전통 공동체가 지리적 경계를 공유하고 자연발생적으로 가입되며 특정한 사유로 인해 지리적 경계를 이탈할 때 공동체 구성원의 자격이 박탈된다면, ‘안남어머니학교’는 가입과 탈퇴가 자발적인 결사체의 속성을 지니고 있다. ‘안남어머니학교’ 어머니학생들은 학생회를 자치적으로 운영하면서 평등하고 민주적인 의사결정을 하고 있었다. 하지만 갈등이 발생했을 때 최종적으로 남성교사와 남성 중심적 서열에 따라 중재되는 것은 유교이념에 근거한 서열에 따라 의사를 결정하고 갈등을 중재해 온 전통 공동체의 원리이다. 한편, ‘안남어머니학교’ 어머니학생들은 전통 공동체처럼 일상생활에서 호혜성이 발휘되지는 않지만 학교에서의 공동식사와 다양한 체험활동 등에서 정서적 연대의식을 지니는 ‘옅은 공동체’의 속성을 보인다. 즉 어머니학생들에게 학교는 한글공부만 하는 곳이 아니라 일종의 사회생활의 한 영역으로 자리하며 노년의 즐거움을 담보하는 문화로서 정착되어 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안남어머니학교’의 어머니학생들은 한글실력이 향상되면서 스스로의 정체성을 재확인하였고 이는 사회활동에 적극 참여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삶의 주체성을 확립해 가고 있었다. 즉 어머니학생들은 더 이상 개인적이고 사적인 영역에만 머무르지 않고 지역의 다양한 문화 활동에 참여하면서 공적 주체로 거듭났다. 또한 ‘안남어머니학교’의 성공적인 사례는 지역의 한글학교를 설립하고 한글교실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이처럼 ‘안남어머니학교’는 지역사회의 변화를 추동하는 원동력이 되었고 노인 복지와 문화의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데도 기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rural aged women’s improvement of Hangeul proficiency influences their personal lives and the community with Chungbuk Okcheon-gun Annam-myeon ‘Annam Mother School’ and als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Annam Mother School’. To address the goal, this author has analyzed the attributes of the community and associ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Annam Mother School is found to be ‘a community association’ equipped with the attributes of both ‘a strongly-bonded association’ and ‘a weakly-bonded association’. ‘Annam Mother School’ is an association organized ‘intentionally’ and ‘artificially’ by the region’s leaders and rural aged women for the common goal of Hangeul education. Although in a traditional community, they share the geographical boundary, join in it ‘spontaneously’, and lose their community membership when they leave the geographical boundary for a particular reason, ‘Annam Mother School’ has the attributes of an association that the members can join and leave ‘voluntarily and ‘autonomously’. Mother students at ‘Annam Mother School’ operate the student council autonomously and make ‘equal’ and ‘democratic’ decisions; however, ‘the awareness of ranking’ grounded on Confucian ideology in the traditional community is preconditioned here. Particularly when any conflict arises, it is intervened by androcentrism and ranking in the end, which means they apply the principle of the traditional community making decisions based on the ranking of Confucian ideology and intervening conflicts. Meanwhile, mother students at ‘Annam Mother School’ hardly exhibit reciprocality in their everyday lives unlike in the traditional community, but they show ‘emotional solidarity’ in a variety of experiential activities, for example, group dinner at school, which reveals its attributes as ‘a weakly-bonded community’. Moreover, mother students at ‘Annam Mother School’ find their own identity again as their Hangeul proficiency grows, and this allows them to participate in social activity more positively and establish their subjectivation in life as well. In other words, not just remaining in personal or private area any more, mother students come to be reborn as a public subject as they take part in diverse cultural activities in their region. Also, the successful case of ‘Annam Mother School’ did influence the region as they attempted to build more Hangeul schools and operate Hangeul programs. As mentioned above, ‘Annam Mother School’ has formed the drive to change the community and contributed to creating the social value of senior welfare and culture.

      • KCI등재

        국립한글박물관 관람 프로그램을 활용한 한국 문화체험수업 방안

        박재현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15 언어와 문화 Vol.11 No.1

        This study aims at proposing an exhibition programme with storytelling in the National Hangeul Museum for foreigners who learn Korean. To this end, other studies are examined first involving storytelling and the programme of touring and experiencing Korean alphabet in the National Hangeul Museum. Based on these, this study offers a content of the exhibiting and experiencing programme applied an educational storytelling method. This would draw a picture in a cultural experiencing class for beginners in Korean learning. Many Korean learners have different backgrounds because of their origin history and culture. So, it is important to select what they are viewed through the guided tour. Also, a theme of the story should be well decided depending on why they learn Korean, what they like, and how well they speak Korean, so on. In this reason, this study focus on the main characteristics in educational storytelling, for example the story introduced in the circumstances of teaching and learning, the learner-centered class, and interactions between story and learners. According to that, the exhibitions will be chosen, and also what story tells about are explained after dividing 3 different themes in which Korean learners can interact. Besides, this study shows how to make a study programme for Korean learners and suggests that in cultural experiencing classes, cultural relativism should be crucially considered for students

      • KCI등재

        한국 교회의 아프리카 선교사역과 한국문화의 국제화

        이은선 ( Lee Eun Seon )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2021 역사신학 논총 Vol.39 No.-

        아프리카 지역에 대한 선교사 파송은 1969년에 시작되어 1980년대부터 본격적인 선교사 파송이 이루어졌고, 현재는 2,000명이 넘는 선교사들이 사역하고 있다. 아프리카 선교사들 가운데 태권도, 새마을운동, 한글 등의 한국문화를 매개로 활용하며 선교사역을 하는 분들이 늘어나고 있다. 선교사들이 한국문화를 아프리카에서 활용하는 중요한 목적 가운데 하나가 그들과의 접촉점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활용을 통해 여러 가지 한국문화가 아프리카에서 뿌리는 내리는 국제화의 길이 열리게 되었다. 그러한 한국문화의 국제화의 가장 중요한 분야가 세계적으로 인기를 끄는 태권도이다. 아프리카에서 태권도는 이슬람을 믿는 현지인들과 자연스럽게 접촉할 수 있는 통로이고, 그들에게 올바른 정신 자세를 심어주고, 더 나아가 태권도 사범이란 새로운 직업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새마을운동은 탄자니아, 우간다, 르완다를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새마을운동은 운동에 필요한 지도자들을 육성하고, 마을 사람들의 협력을 통한 자립의 길을 찾아가며 소득을 증대시켜 복음전파의 길이 열리고 있다. 한글 교육 사업은 한류의 확산에 따라 아프리카인들이 한글을 배우고자 하는 열망이 생겨나면서 교육 기회가 확산되어 가고 있다. 짐바브웨에서는 국립대학에서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고, 한국인들이 세운 탄자니아연합대학과 쿠미대학을 비롯한 여러 대학들에서 한글교육이 시행되고 있다. 한국선교사들이 아프리카에서 복음을 전파하는 과정에서 태권도, 새마을운동, 한글 보급을 통해 복음전파의 접촉점을 만들면서 한국문화의 국제화와 한국의 국위선양에도 기여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지금까지의 다양한 사례들을 종합적으로 연구하여 앞으로의 효율적인 선교방안으로 활용하면서 한국문화의 국제화에도 기여하는 역할이 마련되어야 하겠다. Missionary dispatch to Africa began in 1969 and began in earnest in the 1980s. Currently, more than 2,000 missionaries are working. An increasing number of African missionaries are doing missionary work using Korean culture such as Taekwondo, Saemaul Undong, and Hangeul as a medium. One of the important purposes of missionaries using Korean culture in Africa is to establish a point of contact with them. And through such utilization, the path of internationalization was opened, where various Korean cultures took root in Africa. The most important field of such internationalization of Korean culture is Taekwondo, which is popular all over the world. In Africa, Taekwondo is a natural way to contact local Muslims, instilling in them the right mental attitude, and furthermore, providing a new job opportunity as a Taekwondo instructor. Saemaul Undong has been well received in Tanzania, Uganda, Rwanda and other countries. The Saemaul Undong is opening the way for the spread of the gospel by nurturing leaders necessary for the movement, finding a way to self-reliance through the cooperation of villagers, and increasing income.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ject, educational opportunities are spreading as Africans have a desire to learn Hangeul as the Korean Wave spreads. In Zimbabwe, Korean language is taught at national university,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being implemented at several universities including United African University of Tanzania and Kumi University established by Koreans. In the process of preaching the gospel in Africa, Korean missionaries are contributing to the internationalization of Korean culture and the promotion of Korea's national prestige by creating a point of contact through Taekwondo, Saemaul Undong, and the spread of Hangeul. Therefore, the role of contributing to the internationalization of Korean culture should be prepared by comprehensively studying these various cases so far and utilizing them as an effective missionary plan in the future.

      • KCI등재

        한·일 한국어 평가 도구에 나타난 문화 항목 분석 연구

        주현희,우에다 아스카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23 한국문화연구 Vol.45 No.-

        본 연구에서는 한·일 한국어 평가 도구, 한국어능력시험(TOPIK), 한글능력검정시험, 일본 대학입학공통시험의 한국어 시험의 읽기 텍스트에 나타난 문화 항목을 비교, 분석하였다. 특히 최근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의 증가가 한국어 평가 도구의 문화 항목 구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읽기 텍스트에서는 최근 한국 사회에서 발생하고 있는 사회 문제를 규제하기 위한 법과 제도들을 다루고 있었다. 1인 가구의 증가와 'MZ세대, 1코노미'와 같은 새로운 세대의 등장으로 한국 사회에 새로운 문화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변화하는 현대 한국 사회와 문화를 반영한 읽기 텍스트가 많았다. 그리고 한국 문화 형성의 주체로서의 한국인들을 다루고 있는 것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한국어 평가 도구의 읽기 텍스트 문화 항목 구성에 일정 부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며, 문화 항목의 폭 또한 넓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study, the Cultural Items appeared in the reading texts of the Korean language test of the Korea-Japan Korean Language Assessment tools,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est (TOPIK), the Hangeul Language Proficiency Test, and the Japanese University Entrance Test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particular, we also looked at how the recent increase in interest in Korean culture affected the composition of cultural items in the Korean language Assessment tools.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reading text deals with the Cultural Items of laws and institutions to regulate recent social problems. And with the increase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the emergence of new generations such as the "MZ Generation, 1 Economy," new cultural phenomena are occurring in Korean society. There were many reading texts reflecting the changing modern Korean society and modern Korean culture, and it was also found that it deals with Koreans who emerged as subjects of society and culture. It is supposed that the increased interest in Korean culture through this study has had some influence on the selection of the topic of reading text in the Korean language Assessment tools. And Cultural Items have been broadened in the reading text.

      • KCI등재

        한국전쟁기 학술원의 창립과정과 한글간소화파동

        유상수 숭실사학회 2020 숭실사학 Vol.0 No.44

        The intention of this article is to demonstrate how Rhee Syngman Regime established the material mobilization system during the Korean War era by taking advantage of anti-communist ideology. To understand this, I tried to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llectuals who were involved in the foundation of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and the various control methods by the government forces. This article is divided into three parts. The first part shows the course of establishing the academic research institutes by the intellectuals right after the national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zation. During the course of the establishment of Joseon Academy of Sciences, which led to the foundation of wartime scientific institute, the intellectuals around Baek Nam-woon wished building a new nation and the revolution of reality. However, during the course of the upheaval - after liberation, division of Korea into north and south, and then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 these intellectuals greatly lost their ground and even exploited in the situation of competitive structure between the South and North Koreas. In the second part, the passage of the Cultural Protection Act and the foundation of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are covered. The Cultural Protection Act was claimed for the purpose of guaranteeing the freedom of study and art, improving the status of the scientists and artists so that contribute to create and develop the national culture. But in fact, this law acted as another's instrument, for Rhee Syngman to establish a strong anti-communism system needed to his own presidential term extension. In the last part, the role of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during the Hangeul Simplication Dispute was examined. The Academy was summoned to the Hangeul Simplication Dispute caused by Rhee Syngman authoritarian rule. In the process, not only the Academy was criticised for it, but also the members of the Academy were agitated internally, which frankly show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llectuals and the political authorities, the former served as a puppet of the latter. 이 글은 한국전쟁기에 반공이데올로기를 통한 동원체제의 구축을 파악하려는 의도로 작성되었다. 이를 파악하기 위해서 학술원의 창립과정에 있었던 지식인들과 국가의 다양한 통제와의 관계를 집중적으로 살펴보려고 하였다. 이를 살펴보기 위해서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첫 번째 부분에서는 해방을 직후한 시기부터 지식인들에 의한 학술기관의 설립과정을 살펴보았다. 조선학술원의 창립과 전시과학연구소의 설립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백남운 등을 중심으로 결합된 지식인들은 신국가 건설과 현실변혁을 꿈꾸었으나 해방과 분단, 전쟁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그 역량이 크게 줄었고, 남과 북의 경쟁체제에 적극 동원되어야 하는 상황으로 전락하였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문화보호법의 통과와 학술원이 창립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문화보호법은 ‘학문과 예술의 자유를 보장하고 과학자와 예술가의 지위를 향상시킴으로써, 민족문화의 창조 발전에 공헌함을 목적’으로 하여 탄생하였으나 이 법이 발의되고 통과되는 시점은 공교롭게도 이승만이 자신의 임기연장을 위해 직선제로의 개헌을 위해 일으켰던 부산정치파동과 맞물려 있었다. 이승만이 자신의 임기를 연장시키기 위해 강력한 반공극우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의 소용돌이에 휘말리게 되었던 것이다. 세 번째 부분에서는 한글간소화파동 중의 정부의 학술원에 대한 통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승만의 권위주의적 통치행태로 인해 불거진 한글간소화파동에 학술원은 소환되었다. 이 과정에서 학술원은 외부로부터의 비판 및 내부적인 동요를 겪었으나 전문성을 활용한 능동적 모습을 통해 정권의 학술통제 시도에 대해 저항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이는 지식인이 권력으로부터 자유롭기 어려움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