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젝’으로 읽는 ‘조지 플로이드’ 현상 -‘기원’의 기원성에 관해-

        김진환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인문학연구 Vol.0 No.60

        Dichotomies such as appearance and essence, origin and ending, good and evil, subject and object are the basic framework of Western thought. Dichotomous thinking inevitably has an exclusionary structure. Those who are once deported can never be incorporated into the existing order. This way of thinking manifests itself in a number of phenomena; imperialism at the national level, racial discrimination at the cultural level, and sexism when it comes to gender. However, the structure of binary opposition is in itself insecure and incomplete. Essence can only exist through appearances. Origin can always only be (re-)constructed ex post facto. Good exists only through the introduction of evil. The only ‘essence’ is that essence is always self-split. The ‘monstrosity’ explains this very obscene point where good and evil lie upon one another. The numerous events occurred after the death of George Floyd do not only claim the universality of freedom and equality. These are the phenomena that indicate that the origin of the law or the national system is inseparable with violence. It is imperfect in itself and it is a post- constructed myth. It is the very 'ticklish subject' of Žižek that intervenes in this 'unique void situation' which claims that history is always being newly (re-)created. 현상과 본질, 기원과 결말, 선과 악, 주체와 객체 등의 이분법은 서양 사유의 기본 틀을 이룬다. 이분법적 사고는 필연적으로 배제적 구조를 갖는다. 한 번 추방된 자는 다시 기존 질서에 편입되지 못한다. 이러한 사고방식은 여러 현상으로 드러난다. 국가 차원에서는 제국주의로, 문화 차원에서는 인종주의로, 성별과 관련해서는 성차별로 나타난다. 그러나 이항대립구조는 그 자체로 불안하고 불완전하다. 본질이 있을 수 있는 것은 오직 현상을 통해서다. 기원이 있을 수 있는 것은 결과가 기원을 사후적으로 설명해주기 때문이다. 선의 존재는 악의 존재를 상정함으로써만 가능하다. 만약 본질이 있다면 본질 자체가 자기 분열적이라는 점일 뿐이다. 선과 악은 선 내부의 악, 악 내부의 선과 겹쳐있다. A도 B도 아닌 지점, A이면서 B인 지점이 바로 ‘괴물성’의 지점이다. 조지 플로이드의 죽음 이후 나타나는 수많은 사건은 단지 자유와 평등의 보편성을 주장하는 것일 뿐 아니라, 법 또는 국가체계의 기원성이 그 자체로 불완전한 것임을, 사후적으로 구성된 신화임을 표지하는 현상들이다. 역사란 언제나 새로이 생성 중임을 말하는 ‘유일무이한 중간적 상황’, 즉 공백에 개입하는 것이 지젝의 ‘까다로운 주체’다.

      • KCI등재

        두 도시 이야기 : 퍼거슨과 미니애폴리스

        이찬행 ( Lee Chanhaeng ) 영미문학연구회 2020 안과 밖 Vol.0 No.49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examine why a number of blacks have been killed by police in the United States. The author maintains that police brutality should be understood not as the result of individual deviation but as the outcome of hierarchical racial structure by examining the 2014 death of Michael Brown in Ferguson, Missouri and the 2020 horrific choking death of George Floyd in Minneapolis. After the 1970s, Ferguson, a once-vanilla suburb in which white Americans were the majority population group, was turned into a chocolate suburb where the majority of residents were blacks. Nevertheless, the white Americans still retained almost all of the city’s power. The shooting and killing of an unarmed teenager named Brown was the inevitable tragedy caused by the racial conflicts between the chocolate suburb and vanilla power. In 2020, Floyd, a 46-year-old black, was murdered by a white police officer in Minneapolis. The city of lakes has been considered one of the most progressive cities in the United States. However, the city failed to put a ban on the use of excessive force by police officers. Floyd was victimized by Minneapolis police officers who became a group of beasts out of control.

      • KCI등재

        프랑스 미디어의 인종차별 사건 보도 프레임 분석 : 내집단과 외집단 사이의 차이를 중심으로

        이화정(LEE Hwajeong),최윤선(CHOI Yun Son) 프랑스학회 2021 프랑스학연구 Vol.- No.96

        본 연구는 인종차별과 관련된 프랑스 미디어 보도를 비판적 담론 분석의 시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으로 2020년 미국에서 발생한 George Floyd 사망 사건과 2016년 프랑스에서 발생한 Adama Traoré 사망 사건을 상호 비교함으로써 동일한 유형의 사건이 내집단(국내)과 외집단(국외) 어느 곳에서 발생했는지에 따라 프랑스 언론 보도 프레임이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질적 분석과 양적 분석을 병행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프랑스 언론은 외집단에서 발생한 사망 사건 보도에서는 직접적이고 명확한 어휘를 통해 가해자와 피해자를 명시함으로써 사건의 인과관계를 분명히 하였으며, 사망 사건으로 야기된 시위 보도에서도 시위대에 정당성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반인종차별적 보도 프레임을 뚜렷이 견지하였다. 반면 내집단인 프랑스에서 발생한 사건 보도에서는 가해 주체를 의도적으로 생략하고 가해자와 피해자의 인종에 대한 언급을 생략하는 익명화 전략을 취함으로써 인종차별적 프레임을 최대한 희석시키고, 그 대신 시위의 폭력성을 부각시키는 반시위 보도 프레임을 취하였다. 본 연구는 인종차별과 관련된 언론 보도에 있어서 내용이 유사한 사건이라 할지라도 내집단/외집단 소속 여부에 따라 각자의 이해관계를 반영하여 서로 상반된 현실 재구성 보도 프레임을 보인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Dans ce travail, on a analysé, dans le cadre de l’analyse critique du discours, le traitement médiatique français des affaires liées au racisme. Pour ce faire, on a procédé à une analyse quantitative et qualitative afin de comparer les événements portant sur la mort de George Floyd, qui a eu lieu aux États-Unis en 2020, et la mort d’Adama Traoré en France en 2017. On a ainsi analysé la différence qu’il y a dans le cadrage médiatique de ces événements de la même nature, en fonction de s’ils ont eu lieu au sein du groupe externe (à l’étranger) ou interne (en France). Suite à l’analyse, on a pu observer que pour relater la mort de Floyd, qui concerne un groupe extérieur, les médias français mettent au clair la causalité de cet événement en précisant l’auteur de violence et la victime par le recours au lexique explicite et clair. Pour parler des manifestations, ils proposent également un point de vue anti-raciste, en accordant la légitimité aux manifestants. En revanche, concernant l’événement Traoré qui a eu lieu au sein de l’endogroupe, donc en France, l’auteur de violence n’est pas mentionné et ce, de manière intentionnelle. L’origine de la victime n’est pas évoquée non plus. Le cadrage raciste ainsi atténuée, l’accent est plutôt mis sur la violence des manifestants. Ainsi, on a pu révéler à travers cette étude que dans le traitement médiatique des faits relatifs au racisme, les médias proposent des cadrages opposés dans la représentation de la réalité, qui reflètent les intérêts de chacun, en fonction de s’ils appartiennent ou non au groupe au sein duquel l’événement a lieu.

      • KCI등재

        경찰관의 신체적 물리력 행사에 대한 연구: ‘美 조지 플로이드 사건’을 중심으로

        옥정석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21 치안정책연구 Vol.35 No.2

        경찰관의 신체적 물리력 행사는 경찰 목적 달성을 위해 필요 최소한에 그쳐야 한다. 지난해 5월, 美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에서 발생한 40대 남성의 사망 사건은 미국 내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경찰 물리력 행사에 대한 강렬하고 의미 있는 메시지를 전해 주었다. 흑인 남성이라는 인종적 갈등 문제뿐만 아니라 경찰관에 의한 과잉된 물리력 행사라는 불법적 행위가 사회적 비난의 근거가 되고 있다. 경찰관의 과잉대응 문제는 경찰 법집행의 정당성 확보를 위해 지속적으로 고민하고 개선해 나가야 할 부분이다. 경찰 목적 달성을 위해 신체적 물리력을 행사할 때 과잉대응 문제로 이어지지 않기 위해서는, 2019년 11월부터 시행된 경찰 물리력 행사 규칙(경찰청 예규 제550호)상 구체적 판단·행위 기준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찰 물리력 행사 규칙상 다양한 물리력 중 신체적 물리력에 집중했고, 특히 美 조지 플로이드 사건에서 드러난 목 제압의 위험성 측면에서 경찰 물리력 행사 규칙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목 제압 방식에 대한 구체적 행위 기준 부재, 관련 교육 미실시 등의 문제점이 확인되었다. 경찰 현장에서 대상자의 안전과 법집행 정당성 확보를 위해 목 제압 방식에 대한 구체적 행위 기준 마련, 동료 경찰관 개입 의무 신설, 신임 경찰 교육기관에서부터 체계적인 교육 실시 등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hysical force by police officers should be limited to the minimum necessary to achieve the police purpose. In May last year, the death of a man in his 40s in Minneapolis, Minnesota, delivered a strong and significant message about use of force in the United States and around the world. Not only the racial conflict of black men but also the illegal behavior of excessive physical force is the basis for social criticism. The problem of police officers' overreaction is a part of continuing to think and improve to secure the legitimacy of law enforcement. In order not to lead to excessive response problems when police officers exercise physical force, it is necessary to examine specific criteria for judgment and conduct under the Police Use of Force Rules (Police Agency's Regulation No. 550), which took effect in November 2019. This study focused on physical force among the various forces in the Police Use of Force Rules, especially in terms of the risk of neck restraints revealed in the George Floyd case in the Police Use of Force Rules were reviewed. As a result, problems such as the lack of specific standards for physical force on the neck and the failure to implement related training were identified. In order to secure the safety of the subject and the legitimacy of law enforcement, measures such as preparing specific standards of conduct for the neck restraint, establishment of obligations to intervene by fellow police officers, and systematic education from Central Police Academy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