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배당금 지급, 미래의 주가 폭락 위험 및 지배주주

        자이페이 ( Zhai Fei ),이찬호 ( Lee Chan-ho ) 한국세무회계학회 2021 세무회계연구 Vol.- No.70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국기업을 대상으로 배당금 지급과 미래 주가 폭락 위험 간의 관련성 및 이들 간의 관련성에 있어 지배주주의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먼저 배당금 지급이 미래 주가 폭락 위험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이를 토대로 과잉투자성향이 높은 기업의 경우 배당금 지급이 미래 주가 폭락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다중회귀분석으로 검증하였다. 또한 배당금 지급과 미래 주가 폭락 위험 간의 관련성에 있어 지배주주의 영향을 추가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당금 지급과 미래 주가 폭락 위험은 양(+)의 관련성을 나타냈다. 둘째, 과잉투자성향이 높은 기업의 경우 배당금 지급과 미래 주가 폭락간의 양(+)의 관련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지배주주가 과잉투자성향이 높은 기업의 배당금 지급과 미래 주가 폭락 간의 양(+)의 관련성을 억제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과잉투자성향의 위험이 지배주주의 영향보다 배당금 지급과 미래 주가 폭락 간의 관련성에 더 큰 영향을 미친 결과로 설명할 수 있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중국기업을 대상으로 배당금 지급, 미래 주가 폭락 위험 그리고 지배주주 간의 관련성을 검증한 첫 연구라는 점에서 공헌점이 있으며 연구의 차별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This paper takes Chinese companies as the object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dividend payment and future stock price crash risk, and how controlling shareholder impacts on this correlation. [Methodology] To prove the hypothesises, we us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dividend payment on future stock price crash risk, and the impact of dividend payment of firms with a high tendency to overinvest on future stock price crash risk. In addition, we also investigated the impact of the controlling shareholder on correlation between dividend payment and future stock price crash risk. [Finding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ividend payment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future stock price crash risk. Second, for firms with a high tendency to overinvest,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dividend payment and future stock price crash risk is more higher. Third, controlling shareholders cannot suppress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dividend payment of firms with a high tendency to overinvest and the future stock price crash, which can be explained as that, compared to the influence of controlling shareholder, overinvestment propensity has a greater impa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vidend payment and the future stock price crash. [Implications] This paper is the first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ividend payment, future stock price crash risk and controlling shareholders from the perspective of over-investment based on China.

      • KCI등재

        고평가된 자본과 주가폭락 위험

        박종일,전규안,김수인 한국공인회계사회 2021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63 No.3

        We examines whether overvalued equity affects a firm’s future crash risk in stock prices. Equity is overvalued when its market value is far above its underlying value. Jensen (2005) proposes that overvaluation leads to value-destroying opportunistic earnings management as well as overinvestment, accounting manipulation and even fraudulent practices to continue the appearance of growth and value creation. Thus, the managers of overvalued firms use earnings management to window-dress the performance of their firms in an attempt to support the unjustified high price of their stocks. The distortion in reported earnings of overvalued firms severs the effective communication between managers and investors. Investors of overvalued firms only have access to limited firm-specific information now. Prior evidence shows that overvalued firms have significantly higher discretionary accruals in the next period (e.g., Houmes and Skantz 2010; Badertscher 2011; Coulton et al. 2015 etc.). This is, prior researches has provided empirical evidence consistent with Jensen’s (2005) conjecture. So if a firm’s manager of overvalued equity withholds and accumulates negative information for an extended period, the firm’s share price will be severely overvalued, thereby creating a bubble. Whereas, when the accumulated negative information reaches a tipping point, it will be suddenly released to the stock market, all at once, resulting in the bubble bursting and its future stock price crash risk.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overvalued equity and firm-specific stock price crash risk, we use four proxies for overvalued equity (i.e., PER, PBR, PFCFR, AbnRET), following Park and Kim (2019) and following Rhodes-Kropf et al. (2005), we use abnormal measure. We also identify overvalued equity (hereafter OVE) is an indicator variable equal to 1 if the firm has been in the top quintile of PER, PBR, PFCFR, and AbnRET in year t, and 0 otherwise, respectively. Following Chen et al. (2001), Hutton et al. (2009), Kim and Zhang (2014), and Kim et al. (2016b), we measure firm-specific crash risk by the probability of extreme negative firm-specific weekly returns (Crash), the negative skewness of firm-specific weekly returns (NCSKEW), and the asymmetric volatility of negative versus positive firm-specific weekly r eturns (DUVOL) in year t+1. Our sample covers KOSPI and KOSDAQ listed f irms with available data in non-financial industries with fiscal year-end in December from 2004 to 2018 based on the dependent variable. Our empirical results reveal the following. First, consistent with our prediction, we find that the positive and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overvalued equity and future stock price crashes, specifically overvaluation proxies for the both PBR and PFCFR measures, as well as our three measure of crash risk (i.e., Crash, NCSKEW, and DUVOL). We also measure OVE proxy using the approach Rhodef-Kropf et al. (2005) and the results are similar. These results show that overvaluation leads to value-destroying opportunistic earnings management. Therefore, The result is consistent with the conjecture of Jensen (2005), overvalued firms choose to use more earnings management, and associate with higher level of financial opacity. Thus, all at once, a firm’s overvalued equity increases its chance to experience price crash in subsequent period. Second, we also find that the impact of overvalued equity on crash risk is more pronounced for firms with lower financial reporting quality (proxied by more opaque financial reports, following Hutton et al. (2009)). Finally, in addition, we also find that the impact of overvalued equity on crash risk is more pronounced for firms with higher information asymmetry (proxied by higher volatility of daily stock returns), and for those with lower foreign investor ownership with external monitoring role. In summary, we know that substantial overvaluation can set into motion value-destroying actions ... 본 연구는 기업의 고평가된 자본이 차기 주가폭락 위험과 관련성이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있다. Jensen(2005)은 주가가 고평가된 자본의 경영자는 이를 유지하기 위하여 가치파괴적인 이익조정을 수행한다고 주장한다. 이를 알아본 선행연구들은 자본이 고평가된 기업은 차기 보고이익을 상향조정한다는 결과를 보고하였다(Houmes and Skantz 2010; Badertscher 2011 등). 따라서 본 연구는 자본이 고평가된 기업은 이익조정에 대한 부정적인 정보를 감추려는 경영자의 유인이 있고, 이러한 부정적인 정보의 누적은 이후 일시에 악재로 주식시장에 반영되면 급격한 주가폭락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였다. 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는 고평가된 자본(OVE)의 대용치로 네 가지(예로, PER, PBR, PFCFR, AbnRET)를 이용하고, 각 OVE를 기준으로 5분위수로 나눈 후 가장 높은 상위분위수에 속하면 1, 아니면 0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주가폭락 위험은 Kim et al.(2016b)의 세 가지로 측정치를 이용하였다. 종속변수를 기준으로 2004년부터 2018년까지 유가증권 및 코스닥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한 결과는 예상과 일치하게 자본이 고평가된 기업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차기주가폭락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추가분석에 의하면 앞서의 양(+)의 관계는 재무보고의불투명성(Hutton et al.(2009)의 측정치)이 높은 기업일 때, 정보비대칭 수준이 높을 때, 외국인지분율로 측정된 지배구조의 모니터링 효과가 취약할 때 더 뚜렷한 결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고평가된 자본과 차기의 주가폭락 위험 간에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국내 상장기업들의 실증적 증거를 처음으로 보여주었다는 데 의미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살펴보지 않았던 재무보고의 질, 정보비대칭 수준, 외부지배구조가 고평가된 자본과 주가폭락 위험의 관계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어 관련 연구에 새로운 증거를 제공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