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페레스트로이카와 러시아 ‘은세기’ 정신문화 유산의 부활

        박영은(Park, Young Eun)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5 동유럽발칸학 Vol.7 No.2

        본 논문은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정교의 부활과 더불어 새로운 담론의 장으로 활성화된 19세기 말 20세기 초 러시아 은세기 종교 철학의 두 축을 형성하고 있는 솔로비요프와 표도로프의 역사관을 고찰하였다. 일반적으로 복잡하고도 모순적이라고 일컬어지는 은세기의 다양한 철학적 탐색을 아우르는 동시에, 이것을 거시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표도로프와 솔로비요프의 사상을 고찰하면서 오랫동안 금서로 지정되어 있던 표도로프와 솔로비요프에 대한 이해가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의식의 변화를 보이고 있는 러시아에 어떤 의미를 던지게 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이러한 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한 방법론으로 표도로프와 솔로비요프의 세계관에서 출발하여 그들의 물질에 대한 이해가 어떻게 인간 의식에 방향성을 부여하는 근거가 되며, 또한 이것을 토대로 그들이 세계 진화와 역사의 과정, 그리고 인류의 미래상을 전개해 나가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솔로비요프가 ‘소피아론’을 통해 세계의 ‘전일성’의 과정을 보여주었다면, 표도로프는 인류가 당면한 ‘공동의 일’의 수행을 위한 구상을 제시함으로써 ‘사랑’을 통한 인류의 ‘전체성’을 강조한다. 과거와 단절하고 계급투쟁을 통해 인간의 평등을 지향했던 소비에트의 이데올로기와는 달리 표도로프와 솔로비요프는 결과적으로 과거 를 계승하고 선조들을 부활시키는 공동의 노력, 다시 말해 신의 왕국을 성취하려는 공동의 노력을 통해 진정한 의식의 진보가 가능하다고 보았던 것이다. 즉 그들은 개개인이 자율성을 잃지 않는 독립된 개체이면서도 ‘큰 하나’를 이룰 수 있는 인류의 모델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것은 비단 러시아의 은세기 뿐만 아니라 시공간을 초월하여 현재의 우리에 게도 새로운 정신문화의 패러다임으로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The cultural movement of Silver Age, despised as ‘decadence’ by the Soviet regime, came to public notice as a result of the ideology and the policy of Perestroika. The cultural heritage of Silver Age was again activated, following the trend of the time period of Perestroika. One of the most important field of the heritage is in the Russian Orthodoxy and the philosophy of religion. In this regard, a survey of various philosophy of Silver Age, especially the religious philosophy of both Nikolai Fedorov and Vladimir Solovyov is conducted in this study. The viewpoints of both philosophers of religion are regarded totally different each other, even though the majority of scholars agrees that they share their philosophical origin in common. Considering such points of view, the following conclusions may be drawn by the result of the philosophical and religious survey. First of all, the ideology of both Fedorov and Solovyov shows a synthetic outlook on the world, which connects theory with practice, spirit with material, science with philosophy. Contrary to the existing Christian viewpoint, they do not distinguish the spirit from the material, but regard the material as a foundation for a new spirit. Both of them borrow such ideas as ‘evolution’ and ‘resurrection’ from the field of natural science to ensure their ideas of human spirit and consciousness. Secondly, they suggest the directive of human soul through the medium of evolution and transformation. Therefore, the resurrection, which means a conquest over death, is come to the fore as a triumph of the spirit over the material. It is resurrection for them to reorganize the distorted condition of the material world by both the struggle and the triumph over death. Thirdly, they consider human nature united in the process of world evolution and human history. While Solovyov presents the process to the wholeness by the medium of the theory of Sophia, Fedorov puts great emphasis on the inevitability of human union through the ‘common task’, which mankind is confronted. However, it is different for them to bring forward such wholeness. It is more important for Solovyov to go ‘forward’ because he lays emphasis on the future, while for Fedorov ‘backwards’ and the past. Such ontological consideration on human beings is connected with that of the Russian intellectuals, who try to find a solution for their motherland after the fall of the Soviet Union. Therefore, it may be regarded that the understanding and investigation for religious philosophers such as Fedorov and Solovyov presents unique opportunities not only for a new paradigm of spiritual culture but for a groping of the change after the ‘Perestroika’.

      • KCI등재

        트랜스휴머니즘(Transhumanism) 사상의 철학적 근원에 대한 고찰

        박영은(Park, Young Eun) 한국노어노문학회 2013 노어노문학 Vol.25 No.1

        본 논문에서는 21세기 인문학과 자연과학의 공통 화두로 부각되는 트랜스휴머니즘(transhumanism)의 뿌리가 러시아적 토양에서 탄생했으며, 구소련 시절 정치적 상황으로 단절되었던 그 기조들이 서구 지식사회로 이식되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연구 방법론으로는 트랜스휴머니즘 사상의 맹아로 볼 수 있는 러시아 우주론의 초석을 놓은 니콜라이 표도로프(Николай Фёдоров)의 사상을 논의의 중심에 두고, 그의 영향을 받은 블라지미르 베르나드스키(Владимир Вернадский), 콘스탄찐 찌올콥스키(Константин Циолковский), 세르게이 코롤료프(Cергей Королёв), 포르피리 바흐메찌예프 (Порфирий Бахметьев)의 업적 부각에 주안점을 두었다. 러시아적 지적 자산은 오늘날 트랜스휴먼 운동의 모태임에도 불구하고 구 소련시절의 과학연구가 미국을 중심으로 하는 서구의 과학연구와 단절되면서 그들의 유산은 적절한 조명을 받지 못했던 것이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니콜라이 표도로프와 그의 사상을 계승한 러시아의 과학자들과 철학자들의 세계관이 새로운 학적 풍토에 이식되어 ‘트랜스휴머니즘’의 이름으로 지속적으로 성장해 왔음을 규명하였다. 특히 러시아 우주철학자들 사상의 토대인 인간 진화의 방향성을 고려한 시도, 즉 인간이 노화와 죽음을 극복하고 새로운 우주공간을 개척하는 행성적 규모의 프로젝트는 오늘날 트랜스휴먼들의 목표에 상응한다는 점을 부각시켰다. 이를 통해 서구의 트랜스휴머니즘 학자들과 러시아 우주철학자들 사이의 단절된 고리를 복원하고 그 의미를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This paper emphasizes the points that the foundation of trans-humanism, which is an entrance door of 21st century humanities, is based on the Russian soil. To analyze the fact that the Russian cosmology is rooted on the ideas of Nikolay Fedorov, who is the father of Russian nature philosophy, the role of Russian philosophers, such as Vladimir Vernadsky, Konstantin Tsiolokovsky, Sergey Korolev, and Forfiry Vakhmetiev are focused.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 seed of the today’s trans-human movement is found in the Russian intellectual property, it is true that the heritage of Russian philosophers and scientists did not get the spotlight because of the soviet disconnection of scientific exchanges with the West led by the United States. However, this paper investigates that the weltanschauung of Nikolay Fedorov and his successors paves the way for the foundation of today’s trans-humanism. Their project overcoming human aging and death, and, furthermore, pioneering a new space is particularly emphasized.

      • KCI등재

        모두를 위한 불멸 - 러시아 우주론의 총체적 생명정치와 시간성의 윤리학

        김수환 ( Kim Soo-hwan ) 한국기호학회 2019 기호학연구 Vol.59 No.-

        지금껏 가장 덜 연구된 러시아 철학사상 가운데 하나인 러시아 우주론(Russian cosmism)은 철학적·인문학적 상상력이 과학적·기술적 상상계와 다시금 가깝게 얽혀들기 시작한 최근 들어, 학계와 예술계의 비상한 주목을 끌고 있다. ‘인류의 불멸’(죽음의 정복)과 ‘우주개발’(무한 자원획득)을 요체로 하는 우주론의 기획은 이른바 포스트휴먼론의 핵심을 이루는 ‘신체적 불멸’의 문제에 관한 최초의 이론적 모색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표면적 상응과 유사점을 넘어 오늘의 문제들을 한 세기 전 러시아 우주론의 이슈들과 연결시키는 고리들이 정확히 무엇인지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런 관점에서 이 글은 러시아 우주론의 독특한 이론적 입장을 푸코의 생명정치 프로그램의 극단화된 버전으로서 탐구하는 한편, 그것을 인류세(Antropocene)의 특수한 윤리적 체계로서 조명함으로써, 그것이 현대적 맥락에서 가질 수 있는 함의들을 강조한다. Russian Cosmism, one of the little-studied philosophical movements in Russia, attracts extraordinary academic and artistic attention today, when the philosophical and humanistic imagination has again become entangled with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imageries. Theoretical stance of cosmistic project, the central tenet of which might be summarized as ‘immortality for all (conquest of death)’ and ‘space exploration (infinite resources)’, seems to be the very first serious step in the process of reevalustion of ‘bodily immortality’, which is at the core of today’s discourse over trans-human. But beyond superficial correspondence or relevance, elucidating what exactly links the problems of today with the issues that concerned the Russian cosmist more than a hundred years ago is a task that require much deeper and thorough consideration. In this regard, elucidating the unique theoretical stance of Russian cosmism in terms of a radicalized version of Foucault’s biopolitical program (Total biopolitics), as well as a specific ethical system (a special kind type of social responsibility towards temporality), this paper aims at underscoring its profound implications in light of contemporary context of cultural transformation, including problematic of trans-humanity and Anthropocene.

      • KCI등재

        중세 동슬라브 문화권에서의 인쇄의 시작과 그 의의

        최정현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23 슬라브학보 Vol.38 No.1

        In this article, we will pay attention to a man named Ivan Feyodorov (Иван Фёдоров; ок.1510-1583) called “the first Russian book-printer”(первый русский книгопечатник). The qualifier ‘East Slavic’ can be used literally because the scope of Ivan Fyodorov’s activities covers the entire East Slavic region. Estimated to be born around 1510, in his twenties he studied at the historic University of Krakow in Poland. In 1564, he succeeded in printing the first printed book of the Middle East Slavs, the Apostle(Апостол), and gained fame. Later settled in Lvov, the center of present-day western Ukraine, he produced the first printed edition of Ukraine's book(1573), and also published a spelling book(Азбука). Later, as the influence of Uniate(Униат), a joint Orthodox and Roman Catholic church, grew stronger in western Ukraine and Lithuania, he stopped printing Cyrillic books. It is a brief story, but in the 16th century, in the formation of a unified medieval East Slavic state centered on Moscow, the printing of religious texts for the entire East Slavs, from Moscow to Lithuania and Lvov, and commercial printing of spelling books for illiteracy. Ivan Fyodorov deliberately tried to weave the Middle East Slavs into the widest area, linking <Moscow–Lithuania–Lvov>, it was difficult to organize such an action. To the extent that it is difficult, he uses the medieval East Slavs as his stage for his activities and mediates them through the medium of 'print'. This study, which traces the role of Ivan Fyodorov by examining his activities at the Moscow printing bureau and the activities of his remaining disciples, will identify all the major stems of book printing in the East Slavs in the 16th century. 이번 글에서 우리가 주목할 인물은 “러시아 최초의 서적인쇄자”(первый русский книгопечатник)라 불리는 이반 표도로프(Иван Фёдоров; ок.1510~1583)라는 인물이다. ‘동슬라브’라는 한정어를 쓸 수 있는 것은, 말 그대로 이반 표도로프의 활동 범위가 동슬라브 전체 권역을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1510년 무렵 태어난 것으로 추정되는 그는 20대에 당시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Rzeczpospolita, Речь Посполитая)의 유서깊은 크라쿠프 대학에서 수학했다. 이후의 행적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는 상태에서 40이 넘은 나이에 모스크바에서 사제가 되고, 1553년부터 모스크바에서 인쇄일에 투신하게 된다. 이후 1564년 중세 동슬라브 최초의 인쇄본 서적인 <사도>(Апостол) 인쇄에 성공하게 되며 유명세를 얻게 되나, 이내 제자인 표트르 므스티슬라베츠(Петр Мстиславец)와 함께 리투아니아 공국(Великое Литовское княжество)으로 떠나게 되고(1565), 나중에는 지금의 서부 우크라이나의 중심지인 르보프에 정착하게 된다(1572). 이후 르보프에서 우크라이나 최초의 인쇄서적본을 제작하고(1573), 르보프에서는 철자집(Азбука)도 간행한다(1578). 이후, 서부 우크라아니 및 리투아니아에서 동방정교와 로마가톨릭의 합동교회인 우니아트(Униат)의 영향력이 점점 거세지자 그는 키릴 문자로 된 서적 인쇄를 중단하기도 한다. 당시 70을 넘긴 고령에도 불구하고 1583년에는 비엔나까지 여행해 자신이 만든 인쇄 기계를 합스부르크 왕가의 오스트리아 황제에게 선보이기까지 하지만, 르보프로 돌아오는 길에 그는 사망, 르보프에 묻히게 되었다. 간략한 소사이지만, 16세기, 모스크바를 중심으로 하는 중세 동슬라브 통일 국가 형성에 있어, 모스크바로부터 리투아니아, 르보프까지 동슬라브 전역을 대상으로 종교적 문헌의 인쇄와 문맹 퇴치를 위한 철자집 등의 상업적 인쇄에 이르기까지 이반 표도로프가 하지 않은 일은 없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렇게 이반 표도로프라는 인물에 대해 소개하는 것은, 16세기 중세 동슬라브의 인쇄는 이반 표도로프라는 인물로부터 모두 시작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기 때문이다. 모스크바에 남은 그의 제자들은 모스크바 인쇄국에서 여전히 서적 인쇄에 힘썼으며, 이반 표도로프는 <모스크바–리투아니아 공국–르보프>를 잇는, 일부러 중세 동슬라브를 가장 광역으로 엮으려고 해도 이렇게 행동반경을 짜기는 힘들다 싶을 정도로 그는 중세 동슬라브 자체를 자신의 활동무대로 삼아, ‘인쇄’라는 매체를 통해 매개하고 있는 것이다. 모스크바 인쇄국에서의 그의 활동과 남겨진 제자들의 활동을 살펴보며, 이반 표도로프의 역할을 추적하는 이번 연구는 16세기 중세 동슬라브에서의 서적 인쇄의 큰 줄기를 모두 확인하는 작업이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