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빅데이터를 활용한 산림치유 이슈 네트워크 분석 - 2005~2019년까지의 국내 뉴스 기사를 중심으로 -

        박진석,연평식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20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4 No.2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rive issues related to forest healing by dividing them into three periods from 2005 to 2019. Naver News Big Data was used to collect data and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collected data. As a result of the frequency analysis, the top 35 keywords were derived, and by time, the top keywords were found to be the creation, arboretum, Gyeongsangbuk-do, and II forest healing instructors, and the National, Healing Center, and Welfare Promotion Agency. However, these keywords are not independent but related to each other. Therefore, the structural isometric analysis (CONCOR) was conducted for the top 35 keywords for each period, and issues were drawn for each period. During I period, issues such as the importance of forest healing, the feasibility study of the National Forest Therapy Complex, the effect of phytoncide on stress, etc. and The II period is 'Promotion of the Creation of National Baekdu National Forest Healing Complex', 'Early Forest Healing, Forest Education, and Forest Welfare Policies' 'Selection of Forest Healing Instructor', 'Creation of Forest Healing Space and Operation of Forest Healing Program' and III period is 'Promotion of National Forest Welfare Complex', '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National Forest Healing Infrastructure' and Marine Healing'. The results of the above analysis indicated the flow of forest healing issues by time and hope to be used for the establishment of forest healing policie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2005년부터 2019년까지 3시기로 구분하여 산림치유 관련 이슈를 도출해내고자 하였다. 데이터 수집을 위해 네이버 뉴스 빅데이터를 활용하였고 수집된 데이터를 대상으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빈도분석한 결과로 상위35개의 키워드를 도출하였으며 시기별로, Ⅰ 시기는 조성, 수목원, 경북, Ⅱ 시기는 산림치유지도사, 백두대간, 복지, Ⅲ 시기에서는 국립, 치유원, 복지진흥원 등이 상위키워드로 나타났다. 그런데 이러한 키워드들은 각각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서로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이 되었다. 따라서, 시기별 상위35개의 키워드들을 대상으로 구조적 등위성 분석(CONCOR : COvergence of iterated Corelation)을 실시하였으며 각 시기별 이슈를 도출하였다. Ⅰ 시기는 ‘산림치유의 중요성’, ‘국립산림테라피단지 타당성 연구’, ‘스트레스에 대한 피톤치드의 효과’, 등이 이슈로 나타났고 Ⅱ 시기는 ‘국립백두대간산림치유단지 조성추진’, ‘초기 산림치유, 산림교육, 산림복지 정책의 전개’, ‘산림치유지도사 양성기관 선정’, ‘산림치유공간 조성 및 산림치유프로그램 운영’ 그리고 Ⅲ 시기는 ‘산림복지단지 조성 추진’, ‘국립 산림치유 기관 설립 및 운영’, ‘지역단위 산림치유 인프라 구축’, ‘산림치유와 해양치유의 연계 ’ 가 도출되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는 시기별 산림치유 이슈의 흐름을 나타냈고 향후 산림치유 정책수립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임상조건 및 지형정보를 이용한 산음자연휴양림의 산림치유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

        이범,문가현,문나현,고동욱,신만용,김기원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17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1 No.4

        본 연구는 산음자연휴양림을 대상으로 임상조건과 지형정보로 표현되는 물리적 조건의 차이가 산림휴양 또는 치유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정량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를 통해 산림치유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10개를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치유인자를 바탕으로 전문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산림치유인자를 최종 확정하였다. 선정된 치유인자는 전문가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인자별 우선인자를 선정하여 가중치를 부여하였다. 인자별 중요도 순위를 바탕으로 100점 만점으로 가중치를 부여한 결과임상조건은 임상, 영급, 경급, 밀도, 그리고 생장상태의 5개 항목에 총 60점, 해발고도 15점, 경사 10점, 그리고음이온(물) 15점을 부여하였다. 이상과 같이 부여된 산림치유인자의 가중치를 연구 대상지인 산음휴양림 임상도의 폴리곤별로 적용하여 산림치유지수를 산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연구 대상지의 산림치유효과를 공간적으로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전국에 산재한 산림휴양시설의 산림치유잠재력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제공과 늘어나는 산림자연휴양림 이용객의 정보 욕구 충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ce of physical condition expressed by forest conditions and geoinformation on forest healing effect. Through literature review, 10 types of forest healing factors were selected. Based on the selected forest healing facotrs, we conducted an expert survey to finalize the forest healing factors. The selected healing factors were weighted based on the expert questionnaire. Based on importance ranking, we assigned weights with 100 points. As a result, the forest(forest type, age-class, diameter-class, density, and growth conditions) was given 60 points, 15 points for elevation above sea level, 15 points for anions(water), and 10 points for slope. The forest healing index calculated by the weights of the forest healing factors applying the polygons of Saneum recreation forest. Through this study, the forest healing effect of the study site was spatially evaluated. Results from the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on the effects of forest healing on forest recreation facilities scattered throughout the country and to meet the information needs of growing forest healing people.

      • KCI등재

        산림이용객 중심 주관적 산림치유자원 인식정도 및 효과검증 척도개발 연구

        조성희,이효정,이경민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24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18 No.1

        산림치유는 다양한 자연의 요소를 활용하여 인체에 면역력을 높이는 건강증진 활동이다. 산림치유는 스트레스 해소, 삶의 질 향상, 심폐기능 향상, 혈액순환 등 심리적·생리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 로 밝혀졌다. 그러나 산림치유 연구는 대부분이 프로그램 효과검증 위주의 연구로 산림치유자원 효과에 대한 검증은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산림치유자원의 효과검증을 위해 숲 방문 이용객이 느끼는 산림치유자원인 피톤치드, 음이온 등을 측정하는 척도개발과 이에 따른 치유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효과검증을 위한 척도개발을 위해 선행연구 분석 후 산림치유자원과 치유효과를 선정하고 척도를 구성하였다. 명품숲 방문객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531부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데이터 분석결과 문항신뢰도는 Cronbach's alpha값 산림치유자원 항목 0.928, 치유효과 항목 0.908로 신뢰할만한 내적일치도로 나타났다. 선정된 14종의 치유효과는 신체, 생리, 심리, 사회요인으로 구성되어 내용의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구조방정식 모델을 검증하여 적합성을 확인하고 산림이용객이 느끼는 산림치유자원의 효과 검증과 인식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첫 척도를 개발한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를 사용해 데이터를 축척하고 분석한다면 산림치유자원과 치유효과 구명의 기준 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실제 산림에서 측정한 자원 값과의 비교연구를 통하여 척도의 신뢰도 타당도를 더 높인 척도로 보완할 것을 제언한다. Forest healing is a health promotion activity that uses various natural elements to increase immunity in the human body. Forest healing has been found to have positive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effects, including relieving stress, improving quality of life, improving cardiopulmonary function, and blood circulation. However, most forest healing research is focused on verifying program effectiveness, and verific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forest healing resources is insufficient.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forest healing resour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cale to measure forest healing resources such as phytoncide and anions felt by visitors to the forest and to verify the resulting healing effect. To develop a scale to verify effectiveness, forest healing resources and healing effects were selected after analyzing previous research and a scale was constructed. A survey was conducted on visitors to Luxury Forest and 531 pieces of data were collected. As a result of data analysis, item reliability showed reliable internal consistency with Cronbach's alpha values of 0.928 for the forest healing resources item and 0.908 for the healing effect item.The 14 selected healing effects consisted of physical/phys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and the validity of the content was confirm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verifies the suitability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develops the first scale that can verify the effectiveness of forest healing resources and measure the level of awareness felt by forest users. If the data is accumulated and analyzed using the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become standard data for elucidating forest healing resources and healing effects.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 be supplemented with a scale that is higher through comparative studies with resource values measured in actual forests.

      • KCI등재

        스트레스 고위험직군의 산림치유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주효진 ( Ju Hyo-jin ),박현환 ( Park Hyeon-hwan ),정솔 ( Jeong Sol ),김두영 ( Kim Doo Young ),황은정 ( Hwang Eun-jung ),도광선 ( Do Kwang-sun ) 한국자치행정학회 2021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5 No.4

        Forest healing uses the natural environment of forest to remove or alleviate various environmental and psychological factors that threaten human mental and physical health, including stress and various factors that lower the quality of life. It emerged as a concept for healing.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a customized forest healing program is still lacking at a time when methods for alleviating the stress experienced by high-risk occupational groups, especially healing using forests, are receiving a lot of att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n exploratory study to design and apply a forest healing program for high-stress occupational groups. Therefore, first, the theoretical basis of stress and forest healing was analyz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the contents of domestic and foreign forest healing programs were analyzed. In addition, the concept and types of high-stress occupational groups are defined and a forest healing program is designed and presented. In this study, as the implications and policy implications for the application of the forest healing program, in the forest healing program to be designed and applied in the future, a specialized program for subjects with specific conditions, a program differentiated by age, and a professional program considering diseases were designed and It is suggested that there should be an application.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for the continuous change and development of the forest healing program, there should be training and securing of professional manpower who can design and apply the program, and the maintenance and expansion of the organizational system.

      • KCI등재후보

        산림치유 문화의 선택속성이 이용자 기대가치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성엽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16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5 No.3

        This study identified what the properties of selected forest visitors of healing,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cted value and their satisfaction with the forest therapy. Selected attribution of forest healing are doing to find out how affects the expected value and satisfaction for the forest therapy, and looking for ways to improve the position of the forest and programs that meet the needs of visitors healing.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by use of SPSS 21.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assengers using the forest for recreation healing but friendly atmosphere and health, showed a negative impact on the amenities in the forests of healing. So as not to interfere with amenities, mental and physical fatigue and healing careful management is required. Second, the higher the health of passengers expected value of the visitors were higher. The value of the visitors using the forest of healing excited about the forest, it can be seen that have more interest in accordance with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and mental health and immunity. Third, the results occurred 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visitors’ satisfaction is healing environment and forests since the pre expectation and experience on a variety of optional attributes perceived physical satisfaction. The higher the value of the forest pre expectation of healing showed high satisfaction of visitors. Fourth, the visitors that the disease was found compared to the visitors do not have the disease showing higher interest than on health. This means that the satisfaction of the forest of healing due to higher interest and the fact that the size of visitors desire for the forests of healing the disease. Fifth, the visitors received a forest therapy was found on higher education than on health care than the visitors did not receive the forest therapy education. The visitors take compared to the forest therapy education, on the other hand did not receive a significantly lower preference of forest therapy training facilities. In addition, forest therapy education take the expected value of the visitors in the woods of healing than visitors have never received a forest therapy education and satisfaction was higher. 산림 치유에 대한 기대와 만족을 추구하기 위한 이용자들의 수요가 늘어나면서 이에부합된 자연환경이 조성되고 치유의 숲 등과 같은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본 연구는 치유의 숲 이용자들의 산림치유 문화의 선택속성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산림치유에 대한 기대가치와 이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회귀 분석하였다. 그 외도 이용자들의 질병유무와 치유의 숲에서 진행되고 있는 치유프로그램의 교육, 치유의 숲에 대한 사전인지에 따라 이용자들의 산림선택속성과 기대가치 그리고 만족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ANOVA로 분석하였다. 그 분석 결과를 통해 이용자들의 요구에 부합된 산림치유 문화의 입지를 개선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첫째. 이용자들이 휴양분위기가 좋을수록 건강증진이 높아질수록 편의시설이 좋을수록 이용자들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혼잡한 도시생활 과 일상생활의 각박함에서 벗어나 조용한 명상이나 사색 등휴식과 기분 전환할 수 있는 공간적 문화 특성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이용객들의 건강증진이 높아질수록 이용객들의 기대가치가 높게 나타났다. 치유의 숲을 이용하는 이용객이 치유의 숲에 대해 기대하는 가치가 육체적 심리적 정신적 건강증진과면역력 증강에 따른 건강증진에 대한 내재적 문화특성에 더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기대가치가 높을수록 이용객들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치유문화에 대한 기대가치를 증대시킬 수 있는 지역홍보 및 이미지 등을 제고시켜야 할필요가 있다.

      • 불교와 숲 치유(Forest Healing)

        서병찬(Seo, Byeong-chan) 한국불교상담학회 2021 불교상담학연구 Vol.16 No.-

        본 연구자는 숲 치유 인자를 이용한 숲 치유 효과와 불교 숲 치유환경을 통해 치유관계를 모색하고자 한다. 대부분의 숲은 종교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이는 숲의 영성적 본질과 역할에 기인하는데, 특히 불교는 그 어떤 종교보다도 숲과 깊은 인연이 있다. 불교 수행은 조용하고 산란하지 않은 곳에서 이루어지며, 최적의 장소가 숲이었다. 본 연구의 진행 방법은 숲 치유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숲과 인간관계를 파악하고 치유 효과에 대하여 열거하며, 숲 치유 프로그램을 제시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숲속 환경에서의 숲 치유 효과를 분석하고 불교 숲 치유기재와 연결시켜 치유 효과를 극대화하는데 있다. 숲 속 수행승(Forest monk)들은 탐욕과 분노, 어리석음에서 비롯되는 번뇌를 떨어내기 위한 방법을 숲의 자연환경을 통해 해결해왔다. 숲 치유 인자 들 중 피톤치드와 산소는 불교 수행법인 호흡 명상법에 적극적 활용할 수있으며. 불교 수행법인 좌선과 걷기명상법 그리고 오감명상을 통해 번뇌, 망상, 초조, 불안, 공포 등을 제거하여 정서적 안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tends to explore the hea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forest healing effect and the Buddhist forest healing environment, by using forest healing factors. Most forests are closely related to religions. This is due to the spiritual nature and role of forests. In particular, Buddhism has a deeper connection with forests than any other religion. Buddhist practice was conducted in a quiet place, and the best place was the forest.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forests and human beings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on forest healing, enumerate the healing effects, and present a forest healing progra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orest healing effect in the forest environment and to maximize the healing effect by connecting it with Buddhist forest healing mechanism. Forest monks are to get rid of the defilements that come from greed, anger and delusion with the help of the natural environment of the forest. Among the forest healing factors, phytoncide and oxygen can be actively used in the Buddhist practice of breathing meditation. Through the Buddhist practices of sitting meditation, walking meditation, and five senses meditation, it will be possible to contribute to emotional stability by removing negative emotions: nervousness, anxiety, and fear.

      • KCI등재

        오대산 전나무 숲 치유(Healing)의 가치

        오종만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20 불교문예연구 Vol.0 No.16

        본 연구는 현재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진 숲 치유 연구의 흐름을 정리 하고, 오대산 숲에 내재된 다양한 속성을 탐구하여 오대산 숲 치유의 가치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숲 치유와 관련된 연구동향은 어떠한가? 둘째, 숲 치유 선행 질적 연구에 나타난 숲 치유를 통한 경험, 숲 치유를 통한 치 유의 과정, 숲 치유의 치유 요소, 숲 치유의 심리적 치유 기제는 어떠 한가? 셋째, 오대산 전나무 숲의 치유 가치는 어떠한가? 이를 위하여 통합적 문헌고찰(integrative literature review)의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숲 치유와 관련된 연구 동향을 살펴본 결과, 1985년 이후 산림치유를 주제로 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둘째, 숲 치유의 치유요인 도출을 위한 선행 질적 연구를 분석한 결과, 숲 치유를 통한 경험은 신체 적인 힐링, 타인과의 교류, 자연이 주는 힐링, 스트레스 회복, 주의회복, 사바나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오대산 숲 치유의 가치를 위 한 선행연구 분석결과, 오대산 숲 치유의 가치는 오대산 숲 자체, 오대산 숲에 얽힌 이야기, 오대산 숲에서 일어나는 사람과 사람과의 연결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오대산 전나무 숲의 치유적인 가치 검토의 결과가 오대산 전나무 숲 치유 가치 관련 연구의 정보제공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alue of forest healing in Odaesan by summarizing the flow of forest healing research conducted in Korea and exploring various properties inherent in Odaesan Forest.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research trend related to forest healing? Second, what are the experiences through forest healing, the process of healing through forest healing, the healing elements of forest healing, and the psychological healing mechanism of forest healing shown in the preceding qualitative research on forest healing? Third, what is the healing value of Odaesan fir forest? To this end, it was analyzed using the method of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research trends related to forest healing, research on forest healing has been showing a steady increase since 1985.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evious qualitative research to derive the healing factors of forest healing, the experiences through forest healing were physical healing, interaction with others, healing from nature, recovery of stress, recovery of attention, and savannah. Third,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analysis for the value of forest healing in Odaesan, the value of the healing of the Odaesan Forest was revealed by the Odaesan Forest itself, the story of the Odaesan Forest, and the connection between people and people who take place in the Odaesan Forest.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e review of the healing value of Odaesan fir forest in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tudy on the healing value of Odaesan fir forest.

      • KCI등재

        특수교육대상자의 산림치유 서비스 지원에 대한 학부모와 특수교사의 인식 및 요구

        양유리,연평식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3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awareness of the need for forest healing service support and the demand of parent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are related subjects, by seeking ways to activate forest healing service support for people eligible for special education. The research tool was a questionnaire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the questionnaire items such as the need for forest healing service support, expectation of help, perception of expected effect, requirements for forest healing service support, and matters necessary for revitalizing forest healing service were derived.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for parents of special education recipients and special teachers, a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73 parents of special education recipients and 70 special education teachers nationwid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high in recognition of the need to support forest healing services, and the expectation that forest healing services would help special education subjects' language, society, emotion, psychology, cognition, learning, sensation, and motor functions was also positive in both groups. As for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special education-related subjects for the forest healing service support operation method, a forest healing instructor who majored in forest healing responded in the form of a small group of 1:2 to 3 once a week for 60 minutes in a nearby park or forest. As for the matters necessary for vitalizing forest healing service support, it was found that the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nd regions want to provide various forest healing programs through the intervention of experts such as forest healing instructors within the school education system along with appropriate budgeting.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상자의 산림치유 서비스 지원에 대한 활성화 방안 모색으로 관련 주체인 학부모와 특수교사들의 산림치유 서비스 지원 필요성 인식 및 요구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도구는 문헌조사를 기초로 한 설문지로 산림치유 서비스 지원의 필요성과 도움 기대, 기대효과에 대한 인식, 산림치유 서비스 지원의 요구사항, 산림치유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사항 등의 설문 문항을 도출하였다. 설문지는 특수교육대상자 학부모용과 특수교사용으로 나누어 개발하였고, 전국 특수교육대상자 학부모 73명과 특수교사 7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산림치유 서비스 지원에 대한 필요성 인식에서 두 집단 모두 높게 나타났고, 산림치유 서비스가 특수교육대상자들의 언어, 사회, 정서, 심리, 인지, 학습, 감각, 운동기능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 또한 두 집단 모두에서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산림치유 서비스 지원 운영방식에 대한 특수교육 관련 주체들의 구체적인 요구사항으로는 산림치유를 전공한 산림치유 지도사가 가까운 공원이나 숲에서 주 1회 60분으로 1:2~3의 소그룹 형태의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산림치유 서비스 지원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사항으로는 정부 및 지자체, 지역의 적절한 예산 편성과 함께 정책적으로 학교 교육체계 안에서 산림치유 지도사와 같은 전문가의 개입을 통해 다양한 산림치유 프로그램으로 제공되길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특수교육대상자의 산림치유 서비스 지원에 대한 학부모와 특수교사의 인식 및 요구

        양유리(Yu-Ri Yang),연평식(Poung Sik Yeon)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3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상자의 산림치유 서비스 지원에 대한 활성화 방안 모색으로 관련 주체인 학부모와 특수교사들의 산림치유 서비스 지원 필요성 인식 및 요구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도구는 문헌조사를 기초로 한 설문지로 산림치유 서비스 지원의 필요성과 도움 기대, 기대효과에 대한 인식, 산림치유 서비스 지원의 요구사항, 산림치유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사항 등의 설문 문항을 도출하였다. 설문지는 특수교육대상자 학부모용과 특수교사용으로 나누어 개발하였고, 전국 특수교육대상자 학부모 73명과 특수교사 7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산림치유 서비스 지원에 대한 필요성 인식에서 두 집단 모두 높게 나타났고, 산림치유 서비스가 특수교육대상자들의 언어, 사회, 정서, 심리, 인지, 학습, 감각, 운동기능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 또한 두 집단 모두에서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산림치유 서비스 지원 운영방식에 대한 특수교육 관련 주체들의 구체적인 요구사항으로는 산림치유를 전공한 산림치유 지도사가 가까운 공원이나 숲에서 주 1회 60분으로 1:2~3의 소그룹 형태의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산림치유 서비스 지원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사항으로는 정부 및 지자체, 지역의 적절한 예산 편성과 함께 정책적으로 학교 교육체계 안에서 산림치유 지도사와 같은 전문가의 개입을 통해 다양한 산림치유 프로그램으로 제공되길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awareness of the need for forest healing service support and the demand of parent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are related subjects, by seeking ways to activate forest healing service support for people eligible for special education. The research tool was a questionnaire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the questionnaire items such as the need for forest healing service support, expectation of help, perception of expected effect, requirements for forest healing service support, and matters necessary for revitalizing forest healing service were derived.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for parents of special education recipients and special teachers, a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73 parents of special education recipients and 70 special education teachers nationwid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high in recognition of the need to support forest healing services, and the expectation that forest healing services would help special education subjects' language, society, emotion, psychology, cognition, learning, sensation, and motor functions was also positive in both groups. As for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special education-related subjects for the forest healing service support operation method, a forest healing instructor who majored in forest healing responded in the form of a small group of 1:2 to 3 once a week for 60 minutes in a nearby park or forest. As for the matters necessary for vitalizing forest healing service support, it was found that the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nd regions want to provide various forest healing programs through the intervention of experts such as forest healing instructors within the school education system along with appropriate budgeting.

      • KCI등재

        치유의 숲 산림명상공간 인자의 중요도와 만족도

        정경미,신원섭 한국환경생태학회 2023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7 No.4

        Although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echniques and effects that can be applied to forest meditation in domestic forest healing meditation research,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the space where forest meditation takes place. Nevertheless, a meditation space is not just a place concept but a forest environment element responsible for the healing function of a forest, i.e., a place containing healing factors, and can be an essential clue to the healing mechanism. Therefore, to determine whether a healing forest meditation space is suitable for meditation, this study selected the attribute items of the meditation space using the Delphi expert survey and then surveyed the user satisfaction of the healing forest meditation space using the IPA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technique.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ugust to November 2022, targeting 315 adults who used the forest meditation space at the National Center for Forest Therapy, the Saneum Healing Forest, and the Jathyanggi Pureunsup Arboretum in Gyeonggi Province. The result of the IPA analysis showed the average satisfaction with the forest meditation space was relatively high at 4.33 points on a 5-point Likert scale (4.33 points for the National Center for Forest Therapy, 4.34 points for the Saneum Healing Forest, and 4.37 points for the Jathyanggi Pureunsup Arboretum), indicating that the three healing forest meditation spaces were suitable for forest meditation. Satisfaction with the “Sounds of nature” was high in all three forests. On the other hand, all three forests showed a relatively low satisfaction with “Quietness,” indicating it to be a priority problem to be addressed. Also, an open-ended questionnaire survey showed that the mediation space’s natural elements, such as natural sounds, scenery, air, forest spaces, and scents, had a higher positive impact on meditation satisfaction than artificial elements, such as facilities.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secure sound resources such as the sound of water and birds around the meditation space, and it is also necessary to consider ways to create a meditation forest in an independent area to avoid encounters with visitors and allow only participants in the forest healing meditation program to enter to increase satisfaction with forest meditation. 국내 산림치유명상연구에 있어 산림명상에 적용할 수 있는 기법과 효과에 대한 연구들은 많이 진행되어 왔지만 산림명상이 이루어지는 공간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명상공간은 단순한 장소적 개념이 아니라 산림의 ‘치유’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산림환경요소 즉, 치유인자를 담고 있는 곳으로 치유메커니즘을 밝히는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치유의 숲 산림명상공간이 명상에 적합한 공간인지 알아보고자 델파이 전문가 설문조사(Delphi Expert Survey Method)로 명상공간의 속성항목을 선정 한 후, IPA기법(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을 활용하여 치유의 숲 산림명상 공간 이용자의 만족도를 설문 조사하였다. 설문은 국립산림치유원과 산음 치유의 숲, 경기도 잣향기 푸른숲에서 산림명상공간을 이용한 일반성인 315명을 대상으로 2022년 8월부터 11월까지 진행하였다. IPA분석 결과 산림명상공간의 만족도 평균은 5점 리커트 척도에 4.33점(국립산림치유원 4.33점, 산음 치유의 숲 4.34점, 잣향기 푸른숲 4.37점)으로 높게 나타나 세 곳 치유의 숲 명상공간은 산림명상에 적합하게 조성되어 있다고 판단된다. 세 숲 모두 ‘자연의 소리’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반면 세 숲 모두 ‘고요함’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로 나타났다. 또 개방형설문 결과 자연의 소리, 경관, 공기, 숲 공간, 향기 등 명상공간의 자연요소가 시설과 같은 인공요소보다 명상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명상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명상 공간 주변에 물소리 새소리 등의 소리자원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고, 방문객과의 조우를 피하는 독립된 공간에 ‘명상 숲’을 따로 조성하여 산림치유명상 프로그램 참여자만 입장하는 방법 등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