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 위험운전치사상죄의 개정현황과 그 시사점

        김연주 ( Kim Yeon-joo )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법학논총 Vol.41 No.3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which served as a driving force for economic development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modern industrial technology, improved the convenience of our lives but exposed us to the danger of becoming victims or perpetrators in traffic accidents. Among the traffic crimes, the most prevalent is related to driving under the influence of alcohol or drugs. The influence of drinking and drugs lowers the cognitive ability, leading to more serious results in accidents. Accordingly, to strictly handle the accidents resulting from drunk driving, the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the crime of fatal driving style, Article 5 Section 11 of Additional Punishment Law on Specific Crimes in 2007. Prior to Korea, Japan had already established a provision for the crime of fatal driving in Article 208 Section 2 of the criminal code in 2001, and the Act on the Punishment of Fatal Driving was established in November 2013 and was enacted on May 20, 2014. With the influence of Japan’s crime of fatal driving, Korea uses the term ‘fatal driving’ as Japan but regulates only driving under the influence of alcohol and drugs. With the use of the term ‘fatal’, the Korean act is incomprehensive compared to Japanese law, which includes various types of crimes. Rather than taking the typical Japanese way of pursuing stability and being careful in making changes, the law was pushed forward hurriedly by public opinion so there is a concern that it may lead to frequent revisions due to maladjustment and side effects. Therefore, this would be something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applying the Korean act on the crime of fatal driving style. In other words, it seems necessary to discuss the effectiveness and application of Korea’s crime of fatal driving style. Despite the word ‘fatal’, the crime of fatal driving style only includes the influence of alcohol and drugs. In addition, crimes related to traffic laws such as the crime of fatal driving style and drunken driving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the newly made provisions are from the laws that are seen in Japan’s crime of fatal driving style. This can also serve as a factor to fade the meaning of the crime of fatal driving style and impair its effectiveness. Therefore, in order to effectively and rationally cope with accidents caused by risky driving, it would be appropriate to have a more fundamental and thorough examination and in-depth discussion of the crime of fatal driving style.

      • KCI등재

        음주운전과 복수 운전면허 취소 범위에 관한 대법원 판결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대법원 2018. 2. 28. 선고 2017두67476 판결을 중심으로 -

        장혜진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2022 法과 政策 Vol.28 No.3

        대법원은 그동안 복수의 자동차 운전면허를 보유한 사람에게 음주운전 등 면허 취소의 사유가 발생한 경우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에 대한 기준과 관련하여, 한 사람이 여러 종류의 운전면허를 취득하는 경우뿐 아니라 이를 취소 또는 정지하는 경우에도 서로 별개의 것으로 취급하는 것이 원칙이고, 다만 취소사유가 특정 면허에 관한 것이 아니고 ‘다른 면허와 공통된 것’이거나 ‘운전면허를 받은 사람에 관한 것’일 경우에는 여러 면허를 전부 취소할 수도 있다는 기준을 정립하였다. 한편, 대법원은 자동차 운전면허에 대하여 대인적 면허라고 보면서도, 위와 같은 기준에 기초하여 복수 운전면허를 가진 운전자가 음주운전을 한 경우, 해당 운전자가 당시 어떤 종류의 차를 운전하였는지, 그 차량을 운전할 수 있는 면허의 종류는 무엇인지 등을 분석하여 면허가 취소될 수 있는 범위를 정하는 판단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고, 그에 따라 해당 면허만 취소하거나(원칙에 따른 판단), 운전자가 보유한 면허 중 위반행위 당시 운전한 차량을 운전할 수 있는 다른 면허까지 전부 취소하거나, 취소 대상이 되는 면허에 포함되는 다른 면허는 전부 취소하는 판단(예외에 따른 판단)을 지속적으로 하였다. 한편, 대상판결의 사안에서는 1종 대형, 1종 보통, 1종 특수, 2종 소형면허를 보유한 운전자가 원동기장치자전거에 해당하는 125cc 오토바이(원동기장치자전거)를 음주운전을 하여 모든 면허가 취소되었는데, 원심에서는 125cc 초과 이륜자동차를 운전하였다면 2종 소형면허만 취소되나, 상대적으로 위험성이 낮은 125cc 원동기장치자전거를 운전하였다는 사유로 모든 면허를 취소하는 것은 형평에 반한다고 판단하였지만, 대법원에서는 원고에 대하여 제1종 대형, 제1종 보통, 제1종 특수(대형견인・구난) 운전면허를 취소하지 않는다면, 원고는 위 각 운전면허로 배기량 125cc 이하 원동기장치자전거를 계속 운전할 수 있어 실질적으로는 아무런 불이익을 받지 아니하게 되고, 운전면허의 취소에서는 그 취소로 인하여 입게 될 당사자의 불이익보다는 이를 방지하여야 하는 일반예방적 측면이 더욱 강조되어야 한다는 이유로 면허 전부를 취소하는 것은 재량권 일탈・남용이 아니라고 보았다. 결국, 위와 같은 대법원의 판단기준에 따르면 음주운전으로 인한 복수 운전면허의 취소 범위가 어디까지에 미치게 되는지에 관한 문제점은 복수 면허를 보유한 사람이 1종 특수면허 또는 2종 소형면허를 보유한 경우에 두드러지는데, 이들 면허의 경우 고유 면허로 운전할 수 있는 차량의 종류가 제한적이라는 점에서 이들 면허로만 운전할 수 있는 차량을 음주운전한 경우에는 같은 음주운전 사안임에도 불구하고 해당 면허만 취소되나, 도리어 상대적 위험성이 낮은 자동차(예를 들어, 1종 특수면허의 특수자동차에 비교하여 승용자동차, 125cc 초과 이륜자동차에 비교하여 원동기장치자전거를 운전한 경우 등)를 운전한 경우에는 모든 면허가 취소되는 납득하기 어려운 결론을 초래하게 된다. 음주라는 행위에 대한 결과로 면허를 취소하는 것을 규정하고 있는 이유는 당시 ‘그 사람이 어떤 차량을 운전하였는지’에 대한 제재가 아니라, ‘그 사람이 음주운전을 하였기 때문’에 제재가 가해지는 것이라는 점에서 마땅히 ‘운전면허를 받은 사람에 관한 것’이라고 보아야 한다. 이것이 기본적으로 자동차 운전면허가 ... The Supreme Court set the general standard, regarding revocation of driving license on a driving license holder due to cause of revocation of the driving license, including DUI or DWI, which is persons who want to obtain a driver’s license must apply for the right level of license that they want to drive, and likewise, persons who are subject to revocation or suspension of the driver’s license shall be treated the same as the case of obtaining the driving license, provided, however, if the cause of revocation is not a matter of level of driving license and it is a matter of “commonly applying to all levels of driving license” or “driving license holder”, all levels of driving license such person holds may be subject to revocation, exceptionally. At the same time, the Supreme Court is of the view that driving license belongs to person not vehicle. That being said, in case where a person who has multiple types and levels of driving license is arrested on DUI, the Supreme Court tends to determine scope of revocation taking into consideration what types of vehicle the drunk driver drove and/or analysis on relations of type of vehicle and level of driving license, which results in revocation of one of three i) certain level of driving license only (applied by general standard), ii) driving licenses which allowing such vehicle the drunk driver drives with, or iii) all level of driving licenses the drunk driver holds (applied by exceptional consideration). Further, the Supreme Court case discussed in this Review was that a driving license holder who has multiple licenses for Level 1 (large), Level 1 (regular), Level 1 (special) and Level 2 (small) drove 125cc motorcycle under DUI. The Appeal Court decided revocation of all level of driving license is out of equity, because the 125cc motorcycle the drunk driver drove is less dangerous than motorcycle exceeding 125cc, and therefore revocation of only Level 2 (small) is acceptable. However, the Supreme Court overturned the case in that the drunk driver revoked Level 2 (small) is able to continue driving the 125cc motorcycle with unrevoked Level 1 (large), Level 1 (regular) and Level 1 (special) which does not put the drunk driver at a disadvantage, and more importantly the purpose of driving license revocation is to prevent drunk driving as a precautionary way instead of putting the drunk driver at a disadvantage. The Supreme Court is of the view that revocation of all level of driving license is not out of equity. After all, the discussion point of the scope of revocation pursuant to the general standard of the Supreme Court on multiple levels of driving license holder due to DUI arises where the holder has Level 1 (special) or Level 2 (small), because a vehicle such level holder can drive is limited and therefore in the event that such level holder drove on DUI, it may be ended up with revocation of such level license only, or revocation of all levels of license that the drunk driver has even if the drunk driver drove comparatively less dangerous vehicle (for instance, a case of driving a passenger car as opposed to special purpose car with Level 1 (special) or driving a motorcycle with Level 2 (small)), which appears illogical conclusion. If a person who had multiple levels of driving licenses drove a vehicle requiring a certain level of license by chance under the influence and it ended up with revocation of such limited license only not being revoked all levels of licenses the drunk driver has in that the revoked license allowing to drive such vehicle is limited, the administrative disposition would turn out to be unreasonable and illogical.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revocation of driving license related to DUI is administrative penalty caused by “drunk driving” not “what vehicle the drunk driver drove”, which supports the norm “driving license belongs to person not vehicle”, and it should be a general standard at least to avoid unreasonable an...

      • KCI등재후보

        음주운전 수강명령의 효과성과 개선방안

        이법호 한국보호관찰학회 2011 보호관찰 Vol.11 No.1

        우리나라의 교통사고범죄와 사망자 수는 매년 감소하고 있으나 음주운전 단속건수와 음주로 인한 교통사고 발생건수는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 상습적으로 음주운전을 하는 운전자의 경우, 기존의 법적 제재나 교육 프로그램으로는 음주운전에 과한 태도나 행동을 변화시키기 어렵다. 음주운전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음주운전자들의 심리사회적 특성을 파악하여 이에 대한 적절한 대책을 강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현재 실시되고 있는 음주운전 수강명령 프로그램의 구성내용은 음주운전자에게 필요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각 과목별 일관된 연계성을 가지기가 어렵고, 대규모집단에 대한 강의식 교육으로는 상습음주자나 알코올 장애를 가진 대상자에게 치료와 재활이라는 수강명령의 기본적 가치를 십분 활용할 수 없다. 또한 보호관찰소의 만성적인 인적ㆍ물적 한계로 집행의 효율화를 위해 부득이하게 단기 집중식 교육으로 편성하고 있으나 재범방지라는 보호관찰의 궁극적 목적과는 상당한 괴리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첫째, 내실있는 수강명령을 집행하기 위해 전문인력을 채용하고 재교육을 통해 전문성을 제고하여야 할 것이고, 둘째, 음주운전 초범자에 대한 수강명령제도를 도입하여 적극적으로 재범을 예방하며, 셋째, 대상자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장기적인 후속 연구를 통하여 재범을 예측하는 요인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Even if the numbers of traffic accident crimes and deaths are reduced every year, the number of offenses in drunk driving and occurrence of traffic accidents caused by intoxication has increased. In case of habitual drinking drivers,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ir attitudes and behaviors about drunk driving with the existing legal sanctions or the training programs. Especially if there are mental issues at the base of drunk driving such as the abuse or the dependence of alcohol and a driver does not receive the proper treatment, it would be even harder to prevent drunk driving with education to inform the influence of alcohol or the risks of drunk driving.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drunk driving, it is important to examine the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drunk drivers and to take appropriate measures. The program of DUI attendance order currently being held consists of necessary information to drunk drivers, but it is difficult to have consistent connectivity among each course and the basic values of attendance order including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to subjects with alcohol disability are not applied fully in educational lectures for a large group. In addition, due to chronic limitations of people and physical condition in probation offices, the short-term and intense education has been organiz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enforcement, but it’s far from the ultimate purpose of probation to prevent second offender.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se issues, first, professionals should be hired and the expertise should be improved through retraining to enforce the efficient attendance order, second, the attendance order program should be introduced to the first offender for driving while intoxicated, and it can actively prevent the second offender, third, a variety of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continuousl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 KCI등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DUI(driving under the influence) Alcohol Treatment Program

        Hyun-Sun Park(박현선),Hyun-Joo Kim(김현주),Chang-Suek Choi(최창석)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4 No.10

        음주운전은 책임감과 판단력의 부족으로 인하여 사고를 일으키기 쉽다. 한국은 우발적인 음주사고에 대해 실형을 추구하고 있다. 음주 운전자에 대한 집행유예는 전체의 70% 이상을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보호관찰기간 중에 보호관찰소에 왔던 사람들은 비자발적이었고, 변화에 대한 동기유발이 거의 없었으며, 그들에게 제공된 대규모의 집단적인 단기교육은 재발방지에 한계가 있었다. 소규모의 그룹과 장기교육에 추가하여 우리는 3개월 내에 음주습관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집중적인 단기 개입을 시도하였다. 결국, 음주통제의 효과성은 미래 음주운전자들에게 제공될 프로그램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차이를 만들면서 나타날 것이다. 음주운전은 교통사고 원인의 많은 부분을 설명하고 있으며, 그것은 세계의 많은 나라들처럼 음주운전을 막고 처벌하기 위해 노력해야 함을 의미한다. Driving after drinking is highly likely to cause accidents due to lack of responsibility and poor judgment. South Korea is seeking a sentence for accidental drinking accidents. The suspended jail term for drunk drivers accounts for more than 70 percent of the total. However, those who come to the probation office during the probation period are involuntary, subject to little motivation for change, and the large-scale, collective, and short-term education offered to them is limited in preventing re-off. In addition to small group and long-term education, we conducted intensive short-term interventions to see changes in drinking habits in three months. In the long run, the effectiveness of drinking control will be demonsstrated, making a difference in improving the programs offered to drunk drivers in the future. Drunk driving accouts for a very high percentage of the causes of traffic accidents, which, like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should make efforts to prevent and punish drunk driving.

      • KCI등재

        혈중알콜농도 상승기와 관련한 음주운전 사건 판례의 동향

        한제희(Han Je Hee) 대검찰청 2016 형사법의 신동향 Vol.0 No.51

        음주운전 일제단속 현장이 아니라 교통사고 등에 수반하여 우연히 발견된 음주운전 행위의 경우 대개 운전시점에 즉시 음주측정이 되지 않고 상당한 정도의 시간이 경과한 후 음주측정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 중 음주시점과 운전시점 사이의 시간적 간격이 짧아 혈중알콜농도의 상승기 내지 불명기 이내에 운전을 한 경우에는 한참 후에 측정된 혈중알콜농도를 토대로 운전 당시의 실제 혈중알콜농도를 산정하거나 입증하기 곤란하게 될 수 있다. 우리 대법원은 운전시점과 측정시점 사이에 시간적 간격이 있고 운전시점이 혈중알콜 농도의 상승기 내지 불명기로 보이는 경우라고 하여 운전시점의 혈중알콜농도가 처벌기준치를 초과한다는 점에 대한 입증이 불가능하다고 볼 수는 없고, 이를 입증하기 위해서는 운전시점과 측정시점 사이의 시간적 간격, 측정된 혈중알콜농도의 수치와 처벌기준치의 차이, 음주를 지속한 시간 및 음주량, 단속 및 측정 당시 운전자의 행동양상, 교통사고가 있었다면 그 사고의 경위 및 정황 등 여러 사정을 종합하여야 한다는 입장이다. 음주운전 범죄에 대한 지속적인 단속과 엄정한 처벌이 더욱 요구되는 요즘 상황에서, 단속실무상 음주측정에 소요될 수밖에 없는 시간적 간격, 그리고 시간 경과에 따라 체내 알콜의 농도가 변화한다는 우연한 사정을 기화로 형사사법제도의 공백이 발생하는 것을 막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향후 단속현장에서의 신속한 단속과 음주측정, 운전자의 음주사실 자체에 대한 철저한 증거 수집, 그리고 예비적 공소제기와 예비적 공소장변경 등 적절한 공소유지 방안 등이 요망된다. A drunk driving is prohibited, the nationwide crackdown on drunk drivers is always being launched, and the concentration of alcohol in the blood exceeding a certain reference will be punished. If the operation is begun as soon as a drink and the crackdown is launched after flowing a lot of time to the operation, it is not easy to prove the accurate blood alcohol concentration at that time of the operation. Since the blood alcohol concentration is being on the rise at the time of the operation. In such a case, the Korean Supreme Court gave decisions that it is not impossible to prove the blood alcohol concentration at the time of the operation despite 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times of an operation and a crackdown. And it also decided that it is possible to prove the blood alcohol concentration at the time of the operation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d alcohol concentration with a reference alcohol concentration to be punished, the time and the amount of the driver’s drinking alcohol, the driver’s any action and attitude at the time of the crackdown, (if there was any traffic accident) the appearance of the accident. There is a need to heavily punish the act of drunk driving. For this, quickly crackdown at the place of the crime, thoroughly investigating the facts of the crime, thoroughly equipped in the trial.

      • KCI등재

        자동차 불법경주 규율 개선에 관한 연구 - 독일 형법 제315조d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고명수 대검찰청 2021 형사법의 신동향 Vol.- No.72

        Occasionally, casualty accidents occur due to illegal car racing on highways and even in urban areas. This is regulated by Article 46(prohibition of joint risky behavior in road traffic), Article 46-3(prohibition of aggressive driving) and Article 17 (3)(prohibition of speeding behavior) of 「Road Traffic Act」. However, Article 46 of 「Road Traffic Act」 was not enacted for the purpose of regulating illegal car racing.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illegal car racing are not taken into account in Article 46-3 and Article 17 (3) of 「Road Traffic Act」, and their statutory punishments are low. This study analyzes whether the current 「Road Traffic Act」 - especially Article 46 - could properly regulate illegal car racing. And this examines several relevant regulations and analyzes the meaning of ‘risk in road traffic’ based on judgements in Korea and Article 315c of German Criminal Law. In particular, this examines whether there are unpunished behaviors related to illegal car racing. The risk of illegal car racing would be even higher than that of driving under the influence. During the illegal car racing, due to its characteristics, other road traffic participants or pedestrians would generally be at considerable risk. For this reason, the German legislator enacted Article 315d of German Criminal Law on September 30, 2017, in order to punish the organization of illegal car racing and participation in it. Meaningful implications are drawn from the analysis of the several relevant regulations. Based on this, the amendment to Article 46 of 「Road Traffic Act」 is presented. 고속도로, 심지어 도심에서 벌어지는 자동차 불법경주로 위험천만한 상황이 연출되고 인명사고도 종종 발생한다. 이를 현행 도로교통법 제46조 공동 위험행위금지, 제46조의3 난폭운전금지, 제17조 제3항 과속금지 규정으로 규율할 수 있다. 그런데공동 위험행위금지 규정은 자동차 불법경주를 규율하기 위한 목적에서 만들어진 것이아니다. 난폭운전・과속금지 규정도 불법경주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지 않고, 그로 인해불법경주의 불법성에 비해 법정형이 낮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현행 도로교통법(특히 제46조)이 불법경주 행위를 제대로 규율할수 있는지를 분석한다. 관련 규정을 검토하고, 교통상의 위험발생의 의미를 관련 판례및 독일의 논의를 통해 구체적으로 분석한다. 특히 처벌의 공백이 예상되는 지점을포착한다. 자동차 불법경주는 음주운전과 비교해보아도 그 위험성이 적지 않아 보인다. 제아무리 고성능의 제동기능을 갖춘 차량일지라도 자신의 운전 실력과 차량 성능을 과대평가한 채, 주요 교통법규를 위반하며 고속으로 질주하는 행위는 다른 도로교통참여자, 보행자 그리고 교통상의 안전에 대한 일반적이고 상당한 위험을 예정한다. 그리고 경주의 심리적 효과, 무리지어 행동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 경쟁에서 얻게 되는 유・무형의 보상과 과도한 흥분으로 인한 주의력 분산, 타인의위험에 대한 무시 또는 감수경향에서 비롯된 위험성은 음주운전의 위험성에 비할만하다. 독일 입법자는 경주행위의 불법성이 음주운전의 불법성과 비교할 때 훨씬 크다고보고 2017년 9월 30일 불법경주 개최・참여행위를 추상적 위험범 형태로 2년 이하자유형 또는 벌금형으로 처벌하는 규정(독일 형법 제315조d)을 신설하였다. 해당 규정의내용, 입법과정에서 제기된 논의, 그리고 독일 형법 제315조c 교통상의 위험발생금지규정, 제315조f 몰수규정을 분석하여 유의미한 시사점을 도출한다. 이를 바탕으로 가벌성의 공백이 있는 행위유형을 포섭하고 불법경주 관련행위를 적절히 규율할 수 있도록도로교통법,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형법 관련규정에 대한 개정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 KCI등재

        개정 도로교통법상 음주운전죄의 소송법적 문제점 고찰 - 이른바 위드마크 공식이 과연 우리 사회의 일반적 경험칙인가 -

        이주원(Lee, Joo-Won) 한국형사소송법학회 2012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 Vol.4 No.2

        개정 도로교통법(2011. 6. 8. 법률 제10790호)은, 음주운전에 대한 실효적인 처벌과 음주운전의 예방효과 제고를 위하여 음주운전 횟수 및 혈중알콜농도 등에 따라 처벌수준을 차등화하였다. 음주운전 부분에 관한 한 법정형을 세분화하고 부분적으로 그 하한을 설정한 개정 도로교통법의 시행으로, 소송법상 많은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한편으로는 기존에 없던 문제점이 새롭게 등장하였고 다른 한편으로는 나아가 기존에 있던 문제점 또한 더욱 심화되는 결과가 초래되었다. 음주운전죄와 관련된 개정 도로교통법의 내용과 그 적정성․타당성을 평가한 후, 그 시행으로 새롭게 등장하거나 더욱 심화된 소송법적인 문제점에 대해 사물관할 문제, 혈중알콜농도의 증명문제 등을 중심으로 고찰하면서, 합리적인 개선방안을 함께 모색해 보았다. 우선 개정 도로교통법의 시행으로 3회 이상 음주운전, 음주측정불응(제148조의2 제1항) 및 혈중알콜농도 0.2% 이상의 음주운전(제148조의2 제2항 제1호)은 합의부의 관할에 속하게 되었다. 미처 염두에 두지 못한 결과 야기된 입법상의 큰 부주의로 보이는데, 반드시 합의부의 관할로 하지 않으면 아니될 당위성이나 필연성은 없다고 본다. 따라서 법원조직법을 개정하여 단독판사의 관할로 환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된 문제로서, 법원조직법상 합의부의 관할사건에 해당하는 사건을 약식사건이라고 하여 단독판사가 처리하는 것은, 법원조직법 제32조 제1항(제3호)에 명백히 반하며 이러한 실무관행도 시정되어야 한다. 이에 대한 입법적 정비가 요구된다. 또한 개정 도로교통법의 시행으로 이제 혈중알콜농도의 구체적인 수치는 0.1% 이상 또는 0.2% 이상인지 여부가 법정형의 상한과 하한을 결정하는 구성요건요소로 그 위상이 변경되었다. 그 결과 혈중알콜농도에 대한 현실적인 증명부담이 가중되었다. 혈중알콜농도의 증명과 관련하여 측정주기 측면에서 현재 실무상 행해지고 있는 1회 호흡측정방식의 위험성이 지적되고 있다. 적어도 2회의 호흡측정을 반드시 실시하는 방식으로 실무운용을 개선하여야 한다. Revised Traffic Law (Jun. 8, 2011) (NO. 10790) differentiates the level of punishment for the crime of driving under alcoholic influence based on the number of violations and the alcohol contents in the blood, with a view to improve the preventive effect of the driving under influence and effective punishment of such a crime. But, such revision of the above mentioned law caused a lot of problems in terms of the Litigation Law. Firstly, a number of problems that previously did not exist has come about, while some of the existing problems got worsened as well. Of course, the matter of deciding the legal punishment of an individual crime is left to the legislature. But, lack of understanding in the legal system and the principle of the rule of of law, as well as the policies regarding the criminal law could be a serious problem in the legislative process. In this article, firstly, we will examine the provisions of the revised traffic law related to the crime of driving under alcoholic influence and see if they are appropriate and feasible. Also, the problems of the material jurisdiction and the verification of the alcohol contents in the blood, etc., will be examined one after another, along with the rational improvement for such outstanding problems.

      • KCI등재

        위드마크 공식에 의한 혈중알코올농도 추정의 몇 가지 문제점

        김선광(Kim SeonKwang),김형준(Kim HyungJoon)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2020 法學論文集 Vol.44 No.1

        Under current law, driving under the influence (the DUI ) is defined as driving with a blood alcohol content (the BAC ) of 0.03% or higher and it is most important to determine BAC at of the time of DUI when finding and punishing a DUI crime. Regarding BAC, while proof of a DUI is commonly gained through respiratory measurements and blood draws, occasionally those measurement may be taken following significant lapses in time from the moment of the DUI citation for reasons such as the driver losing his or her consciousness or fleeing the scene. In these cases the Widmark formula is utilized. At present, the Supreme Court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Court ) considers that formula as an empirical rule of scientific formula and takes the position that BAC at the time of DUI may be assumed through utilization of the Widmark formula when no measurement value at the time of DUI exists. Moreover, the Court accepts and establishes a DUI crime based on that assumed BAC. In addition, the following problems exist when using the Widmark formula in a criminal trial. First, the quantity of alcohol consumed and time of consumption must be clearly determined when assuming the BAC.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calculate the quantity of alcohol consumed by an individual in a circumstance wherein many people drink together, and even determining the exact base time for drinking is very difficult because the absorption and break-down of blood alcohol continues whenever alcohol is consumed. Second, it is actually impossible to specify the point in time when the BAC reaches its peak when applying the Widmark formula. The Court considers 30 to 90 minutes as the period of increasing BAC, but some research indicates that period can range drastically depending on individual tolerances. There are even cases where the changes in periodicity of rising and falling BAC do not appear depending types of accompanying foods consumed. Third, the constant (r) and the hourly reduction ratio of the Widmark formula are highly inaccurate. Based on experimentation and previous studies, the constant (r) and hourly reduction ratio of the Widmark formula exist in a broad range. In particular, the difference in the reduction of the ratio of BAC is a factor of 6 or higher, depending on the individual situations. Fourth, the changes in BAC in real situations differ from the Widmark formula. It is unreasonable for us to generalize and apply the theory of the Widmark formula because the Widmark formula was created based on data from only a group of 30 persons and in experimental conditions far removed from real-life drinking situations. BAC is influenced by such diverse factors that range from gender, types and quantities of alcohol, body weight, personal habits, and diet, and it cannot be determined so easily. Considerable differences are found among individuals and even certain individuals demonstrate different ranges of those factors each time they consume alcohol depending on external circumstances and conditions. Accordingly, it is incredibly difficult to generalize the changes of BAC through mere mathematical formulation. In order to recognize and utilize the Widmark formula as an empirical rule and purely scientific formula in a criminal trial, the calculations of BAC derived from the Widmark formula must demonstrate consistent results without exception in that they may be generally applied, but the Widmark formula has repeatedly failed to demonstrate such accuracy. Thus, in cases where no result of measurement of BAC exists pertaining to a DUI case but the BAC derived from the Widmark formula is utilized nevertheless, we must follow the principle of in dubio pro reo and consider that the crime of DUI has yet to be proven. 현행 도로교통법은 혈중알코올농도 0.03% 이상인 경우를 음주운전으로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음주운전죄의 성립과 처벌에 있어서는 음주운전 당시의 혈중알코올농도를 확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음주운전 시의 혈중알코올농도의 측정은 주로 호흡측정이나 혈액측정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음주운전 후 의식을 잃거나 도주를 하는 등의 이유로 음주운전 시점으로부터 상당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측정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때는 이른바 위드마크 공식이 활용되고 있다. 현재 대법원은 위드마크 공식을 ‘과학공식의 경험칙’으로 간주하고, 음주운전 당시의 혈중알코올농도의 측정치가 없는 경우에는 위드마크 공식을 활용하여 음주운전 시점의 혈중알코올농도를 추정할 수 있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그리고 추정된 혈중알코올농도를 근거로 음주운전죄의 성립을 인정하고 있다. 그런데, 위드마크 공식을 형사재판에서 증거로 사용하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혈중알코올농도를 추산해야 하는 경우에는 음주량, 음주시각 등을 명확히 확정해야 한다. 그러나 여러 사람이 함께 음주하는 상황에서 한 개인의 음주량을 산정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이고, 혈중알코올의 흡수·분해는 알코올의 섭취 시마다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음주시각의 기산점을 확정하는 것도 매우 어렵다. 둘째, 위드마크 공식의 적용에 있어서 혈중알코올농도가 최고치에 이르는 시점을 명확히 하는 것도 사실상 불가능하다. 대법원은 혈중알코올농도의 상승기를 30-90분으로 보고 있으나, 일부 연구결과에서는 개인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섭취한 음식의 종류에 따라 혈중알코올농도의 상승기와 하강기의 변화가 보이지 않는 경우도 있다. 셋째, 위드마크 공식의 상수(r)와 시간당 감소율은 매우 부정확하다. 실험결과에서 위드마크 상수(r)나 시간당 감소율은 개인에 따라 큰 편차를 보이고, 특히 혈중알코올농도의 감소율은 사람마다 6배 이상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넷째, 실제 음주상황에서 혈중알코올농도의 변화는 위드마크 공식과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위드마크 공식은 단지 30명에 불과한 사람을 대상으로 현실의 음주상황을 고려하지 못한 실험조건에 의해 이루어졌기 때문에, 그 이론을 일반화하여 적용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혈중알코올농도는 성별, 술의 종류와 양, 체중, 체질, 음식 등등 범위를 확정할 수 없을 정도로 매우 다양한 요소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개인에 따라서도 상당한 차이가 존재하고, 특정한 개인에게서도 음주상황에 따라 매번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혈중알코올농도의 변화를 수학적 공식에 의해 일반화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이다. 위드마크 공식을 과학공식의 경험칙으로 인정하고 형사재판에 활용하는 위해서는 위드마크 공식에 의해 추정된 혈중알코올농도의 수치는 보편적으로 적용 가능할 만큼 예외 없이 일관성 있는 결과를 보여야 한다. 하지만 위드마크 공식은 그 만큼의 정확도를 보여주지 못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음주운전 당시의 혈중알코올농도의 측정결과가 없어서 위드마크 공식에 의해 추정된 혈중알코올농도를 형사재판에 활용한다면, 이때는 “의심스러울 때는 피고인의 이익으로(in dubio pro reo)”의 원칙에 따라야 할 것이고 범죄의 증명이 없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 KCI등재

        Identifying the influence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ersonality of inveterate drunk drivers on the likelihood of driving under the influence of alcohol (DUIA) recurrence

        김도경,이유화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연구원 2017 도시과학국제저널 Vol.21 No.4

        Driving under the influence of alcohol (DUIA) is one of the main factors that cause severe traffic crashes and is considered a grave offence under the law. As shown by existing research and statistics, one of the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DUIA is that DUIA offenders are more likely to be rearrested for DUIA conviction. This means that in order to eradicate DUIA, the personal, psychological, and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of habitual drunk drivers should be examined and intensive efforts are required to manage these types of offender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how the personality traits of DUIA recidivists influence the likelihood of DUIA recurrence on urban roads. The personalities of the drivers were divided into four dimensions – psychoticism, extroversion, neuroticism, and lie – based on the Korean version of the Eysenck personality test. Four additional attributes related to drivers’ information were included: gender, blood alcohol concentration (BAC), drinking frequency, and educational background. From the analysis results, six variabl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and five variables except for educational background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ossibility of DUIA recurrence. Regarding drivers’ personality traits, drivers with a higher psychoticism (P) and lie (L) had a 118% and 102% higher possibility of DUIA recurrence,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a reduction in DUIA-related traffic accidents by preventing DUIA recidivism through follow-up management such as a continuous monitoring for drivers with a higher propensity for DUIA recurrence and by establishing regulations that can administer strong punishments for DUIA recidivists.

      • KCI등재

        아두이노를 기반으로 지문센서를 활용한 음주운전방지장치

        손정훈(Jung-Hun Son),이호영(Ho-Yeong Lee),배현지(Hyun-Ji Bae),김윤호(Yun-Ho Kim),이붕주(Boong-Joo Lee) 한국전자통신학회 2022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7 No.5

        본 논문은 음주운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시동 전 음주 측정을 하는 음주운전 방지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자동차 내부에서 시동 전 음주 측정을 하여 측정 시 운전자가 아닌 타인이 대신 인증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지문 센서를 사용하여 본인인증 수단을 강화하였고, 이후 바람 센서의 설정값 이상 측정 확인 시 알코올센서가 작동하게 구현하였다. 센서들을 여러 실험을 통해 측정값을 정하였고 최종적으로 알코올 농도가 0.03%이상일 경우 DC 모터가 정지하여 차량 운행이 불가능하게 설계하여 음주운전이 사전에 차단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In this paper, a drunk driving prevention system was implemented to measure drunk driving before starting to prevent drunk driving accidents caused by complacency after drinking. In order to prevent a situation in which a driver but not a driver authenticates instead of a driver, the identification means was strengthened and the alcohol sensor was implemented to operate when the wind sensor measured above the set value set. Through this system, the driver's alcohol measurement process was strengthened. Sensors were determined through various experiments, and finally, when the alcohol concentration was 0.03% or more, the DC motor was stopped and the vehicle was designed to be unable to operate, thereby implementing a system in which drunk driving was prevented in adv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