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명왕편(東明王篇)>의 서술 체계와 인물 형상

        구본현 국문학회 2018 국문학연구 Vol.0 No.38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creative motivation through the preface of Dongmyeongwangpyeon[The Epic about King Dongmyeong of Goguryeo] and reveal the distinct features of description system and characters. The most important mention in the preface is that the story of King Dongmyeong was not a nonsense but a historical fact that realized the mandate from heaven. This is a clue to the fact that the creative motivation of Dongmyeongwangpyeon is to represent the sanctity of King Dongmyeong more effectively. Divinity, evil spirits and illusions all are events that can not be understood by human knowledge, but divine events are (1)historical facts made by the mandate from heaven, (2)things done under the purpose of the benefit of the whole world. Li Gyubo seems to have created his own description and expression system of Dongmyeongwangpyeon by modifying the contents of Old History of Three Kingdoms in order to effectively grant such sanctity to King Dongmyeong. The preface of Dongmyeongwangpyeon is composed of the story of ancient Chinese Emperors, who received the Heavenly Order. In the last part, the events taken place by two emperors of Han dynasty are mentioned. In the main chapter, the actions of Haemosu and Jumong, which are similar to those of Chinese saints, are specifically embodied in detail. The description system like this is the result of the intention to prove that the act of King Dongmyeong was actual historical fact and sacred act based on the Heavenly Order by citing or associating the sacred case of China recognized as history. In Dongmyeongwangpyeon, (1)Haemosu is described as the recipient of the mandate from heaven, (2)the story of him has as much detail as Jumong’s, (3)Yuhwa is described as sacred mother, and (4)Yuri’s story is introduced to the minimum. As a result, it has the narrative structure that the Haemosu’s actions for inheritance and Jumong's founding a new country through the help of Yuhwa is logically connected, thus creating the effect of justifying the sacredness of the establishment of Goguryeo. 본고의 목적은 <동명왕편(東明王篇)>의 서문을 통하여 창작 목적을 재검토하고 그 결과를 근거로 삼아 <동명왕편>의 서사 구조와 인물 형상의 특징을 밝히는 데 있다. <동명왕편>의 서문에서 가장 중요한 언급은 동명왕 신화가 “귀(鬼)”와 “환(幻)”이 아니라 “신(神)”과 “성(聖)”임을 깨달았다는 대목이다. 이는 <동명왕편>의 창작 목적이 동명왕 신화의 신성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형상화하는 것이었음을 알려준다. 신성(神聖)은 논리적 인과관계를 이해할 수 없다는 점에서 귀환(鬼幻)과 비슷해 보이지만 ①천명(天命)에 의해 필연적으로 일어날 수밖에 없었던 역사적 사실로서 ②세상의 이로움을 위해 행해졌다는 점에서 귀환(鬼幻)과 구별된다. 이규보는 『구삼국사』의 내용을 축약하여 시화(詩化)하면서도 서장과 종장을 더하고 인물의 성격과 역할에 변화를 주어 동명왕 이야기에 신성의 성격을 효과적으로 부여하였다. <동명왕편>의 서장은 천명(天命)을 받은 삼황오제(三皇五帝)의 고사로 이루어져 있으며 종장에는 고구려와 동시대에 존속했던 한나라의 고조와 광무제 고사가 제시되어 있다. 본장에는 중국 성인(聖人)들의 행적과 유사한 해모수와 주몽의 행적이 구체적으로 형상화되어 있다. 이러한 서술 체계는 중국의 신성한 사례를 인용하거나 연상시킴으로써 동명왕의 행적이 실재한 역사적 사실이며 천명(天命)에서 비롯한 신성한 행위였음을 증명하는 효과를 거둔다. <동명왕편>은 ①해모수가 천명을 받은 존재임을 누차 강조하고 ②그 행적을 주몽만큼이나 자세하게 서술하며 ③유화의 역할을 강조하여 신모(神母)의 성격을 강조하는 한편 ④유리의 행적을 간략히 처리했다는 특징을 보인다. 그 결과 “천명에 의한 해모수의 계사(繼嗣)”와 “유화의 조력을 통한 주몽의 건국(建國)” 서사가 대등하게 연결되는 구조를 갖추게 되어 고구려의 건국과 그를 수성한 결과인 고려의 역사적 정당성과 신성성을 효과적으로 형상화할 수 있게 된다.

      • KCI등재

        이규보 <동명왕편>의 창작 동기 신고찰

        이지영 동아시아고대학회 2019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56

        In this paper, I concentrate on studying <Dongmyeongwangpyeon(東明王篇)> written by Yi Gyubo(李奎報) from a new angle. I ponder on why Yi Gyubo write <Dongmyeongwangpyeon> and take notice of the Gosa(故事) of ‘Western Han(前漢) king Kojo(高祖) and Later Han(後漢) king Kwangmuje(光武帝)’ in an ending part of the main poetry to solve this problem. I clarify that these Gosa are related with the ‘a inside creative motivation’ of author. First, <Dongmyeongwangpyeon> can divide into three parts, that is to say, ‘beginning part, main part and ending part’. Ending part repeats contents of the preface[幷序] and beginning part in order again. And the beginning and ending part shows the thought and comment of author directly. I would regard those as ‘a surface creative motivation’. I indicate two meanings as a surface creative motivation. : 1) to represent the sanctity of King Dongmyeong(東明王) more effectively, 2) to present the morals of later ruler. Next, I investigate why Yi Gyubo selects king Kojo and Kwangmuje as ‘founder’ in ending part and why author puts up king Kojo as his mysterious signs and nominates Kwangmuje as ‘a removal of pretender, Huang Kun(黃巾)’. Two kings’ stories are narrated by twelve lines in this poetry. King Kojo’s story shows that he removes Dragon that obstructs people’s traffic, and Kwangmuje’s story shows achievements that he removes some pretenders who usurp the throne and disturb the country. From this, maybe Yi Gyubo are impressed any delightfulness and vicarious pleasure. Following, I investigate author’s some poems. In his poems he laments his misfortune that cannot enter the government after Gwageo(科擧) pass for 10 years. And author thinks those days as the age of decadence. Maybe he composes <Dongmyeongwangpyeon> and shows some his feelings about a government office under the rule of the military, king Myeong Jong(明宗), political dissatisfactions indirectly. Because I think that an ending part of this poetry involves the ‘a inside creative motivation’ of author. Finally, Yi Gyubo reveals some respond consciousness about a government office under the rule of the military and especially the death of king Myeong Jong through ‘the Gosa of king Kojo and Kwangmuje’ in an ending part of the main poetry. In historical materials of Koryeo(高麗), all people hate king’s murderer. Similarly Yi Gyubo are willing to do so. So he does hope that murderer Yi eumin(李義旼) are removed. Because Yi eumin kills king Myeong Jong. Yi Gyubo regards military rulers, especially Yi eumin as ‘pretender’. Those pretenders must be killed someone as like the story of king Kwangmuje about that time. He does compose <Dongmyeongwangpyeon> for the sake of revealing some respond consciousness about a removal of pretender, Yi eumin. That is a inside creative motivation of author. 필자는 <동명왕편> 창작 동기에 관한 선학들의 견해를 수용하되 본시의 결미부에서 언급된 ‘전한의 고조’와 ‘후한의 광무제 고사’를 새로이 주목하고, 이것이 곧 작가가 내세우고자 했던 또 다른 측면의 숨겨진 ‘이면적 창작 동기’와 연관되었음을 밝히려고 하였다. 먼저, 이 작품의 본시를 ‘서두부, 본문부, 결미부’로 나누어 각 구성부분의 내용을 재정리하였으며, 결미부가 병서·서두부의 내용을 순차적으로 거듭 반복하고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서두·결미부는 병서와 함께 ‘작가의 소감과 논평’이 직접 드러나서 작가의 의견과 주장이 강하게 제시되고 있었다. 필자는 이를 ‘표면적 창작 동기’라 하고, 두 가지를 제시하였다. 곧 첫째 병서에 나오는 것으로 ‘동명왕 이야기를 지어서 성인지도임을 널리 알리고자 함’, 둘째 결미부에 나오는 것으로 ‘후대의 통치자가 가져야 할 치자의 윤리를 제시하기 위함’이 그것이다. 다음으로, 결미부에서 ‘고조·세조’를 ‘초창군’으로 선택하고, 그 가운데 고조의 ‘흥기의 기이한 조짐’과 세조의 ‘황건 가짜 소탕’을 내세운 이유를 검토하였다. 모두 12구의 짧은 분량인데, 한 고조 유방이 밤중에 사람의 통행을 가로막는 뱀을 퇴치하고, 후한 세조 유수가 한나라를 찬탈한 왕망, 그리고 적미군(경시제 포함) 등을 소탕한다는 내용을 보여준다. 필자는 이규보가 고조에게서 ‘백성들의 불편함을 제거하는 행적’을, 세조에게는 ‘왕위를 찬탈하여 나라를 혼란에 빠뜨린, 가짜들을 소탕하는 행적’을 제시함으로써 어떤 통쾌함이나 대리만족을 느꼈을 것으로 판단했다. 다음으로, 주로 이규보의 시 작품을 검토하였는데, 급제 후 10년간 벼슬 없이 지냄을 한탄하고 자신의 신세가 곤궁함을 토로하면서, 당대를 말세로 보았음을 확인하였다. 필자는 작가가 세상사 온갖 잘못된 형편, 무신집권층과 왕 등 위정자에 대한 불만 등을 시 곧 <동명왕편>으로 에둘러 표현했을 것이며, 이러한 숨겨진 ‘이면적 창작 동기’가 말미부에 담겨 있다고 했다. 본시 결미부에서 ‘고조 · 세조’를 인용한 것은 무신정권에 대한 작가의 대응의식을 반영하며, 특히 무신란으로 폐위된 ‘의종 그리고 그의 죽음’의 문제와 관련된다. 『고려사』, 『고려사절요』 등의 사료를 통하여 볼 때, 집권 무신들, 문신들 그리고 일반백성들도 ‘국왕의 시해’를 결코 용납하지 않고 있었다. 이러한 인식은 이규보도 똑같이 가졌을 것이고, 나아가 국왕을 시해한 이의민이 제거되기를 바랐을 것이다. 무인집권자들 특히 이의민은 작가에게 왕권과 상관없는 ‘가짜’이고, 그런 ‘가짜’는 ‘후한 세조 광무제의 사적’에서 보았듯이, 고려 당대에도 누군가 소탕해야 마땅하다. 이규보는 ‘무신집권자 가짜’를 소탕하기를 은근히 원하였고, 그런 심정을 피력하기 위해 <동명왕편>을 창작했을 것이다.

      • KCI등재

        이규보 「동명왕편 서문」의 내러티브와 수사 전략

        문철영 한국수사학회 2020 수사학 Vol.0 No.38

        The so-called confession discourse in which Lee Gyu-bo repents while reflecting on his narrow elitism and distrust the myth of the King Dongmyeong to publicly open audiences or readers , it plays a role as an rhetoric strategy. Gyubo Lee highly appreciates Nakcheon Baek as a poet. Therefore, in the Dongmyeongwangpyeon preface, the word “poet” is added in front of the name Baek Nakcheon. This is a potential desire as a poet. Baek Nak-cheon's Jang Han-ga awakens the conviction of the sacredness of the myth of the King Dongmyeong and the potential desire of ‘poet, Lee Gyu-bo’, who should record it. Gyubo Lee feels a prophetic vocation to become a faithful tool for the call from above with prophetic imagination-whether it is a god, history, or the King Dongmyeong. At that time, in the anomie situation where society was on the verge of disintegration and authority collapsed, even though he was only a young man without any government office and no authority, when he had the prophetic authority as 'one voice crying out in the wilderness', The proclamation of “I’ll make people in the world know the fact that Koryo is the country of Heros” already has the effect of the ‘speech-act’. 『동명왕편』은 이규보가 아무런 관직도 없었고, 사회에 대하여 아무런 권위도 없었던 26살의 나이에 지은 작품이다. 그동안 국문학, 역사, 한문학계에서 진행되어온 이에 대한 해석은 민족의식이니 고구려 계승의식이니 하는 거대담론에서부터 ‘구관(求官)’이라는 이규보의 개인의 간절함까지 넓은 스펙트럼을 보여주고 있다. 이 논문은 기존 연구사를 세심하게 각주 처리하면서 살펴보는 일반적인 논문쓰기 방식에서 탈피하려고 한다. 이규보 「동명왕편 서문」의 내러티브와 수사 전략을 텍스트 자체에 대한 ‘촘촘히 읽기’를 통해 파악하려고 한다. 이규보가 동명왕편 서문의 내러티브에서 공적으로 열린 청중 혹은 독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자신의 협소했던 엘리트주의와 동명왕신화를 믿는 민중들의 믿음에 대한 불신 혹은 경멸 등의 잘못을 반성하면서 회개하는 이른바 고백 담론은 전통적인 수사학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수사 전략으로서 수행적 역할을 감당하고 있다. 이규보는 백낙천을 시인으로서 높이 평가한다. 그러기 때문에 동명왕편 서문의 내러티브에서도 백낙천이라는 이름 앞에 굳이 ‘시인’이라는 단어를 붙이고 있다. 백낙천의 「장한가」는 동명신화의 신성성에 대한 확신과 이를 기록으로 남겨야 한다는 ‘시인’ 이규보 자신의 잠재적 욕망을 일깨운다. ‘시인’이 아닌 김부식이 하지 못한 일을, 신적 체험을 한 ‘시인’인 자신이 해야 한다는 역사적 소명의식을 느낀다. 그와 함께 이규보는 예언자적 상상력을 가지고 위로부터 들려오는 부름-그것이 신이든, 역사이든, 동명왕이든-에 충실한 도구가 되겠다는 예언자적 소명을 느낀다. 당시 사회가 해체될 위기에 처하고 권위가 무너진 아노미 상황에서, 비록 아무런 관직도 없고 어떤 권한도 없는 일개 젊은이에 불과하지만, ‘광야에서 외치는 하나의 목소리’로서의 예언적 권위를 가질 때, “온 천하 사람들에게 우리나라가 본래 성인의 나라임을 알리려고 한다”는 선포는 이미 발화수반 행위의 효력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

        켈트 신화와 한국 신화의 비교 연구: 영웅 쿠훌린과 주몽을 중심으로

        서혜숙 한국예이츠학회 2010 한국예이츠 저널 Vol.34 No.-

        This essay is a comparison between Celtic myth and Korean myth with emphasis on hero Cuchulain and Jumong. Cuchulain is a Celtic Irish mythological hero who appears in the stories of the Ulster Cycle. In this study the main text of Cuchulain is Lady Gregory's Cuchulain of Muirthemne. Jumong, whose birth name was Dongmyeongseongwang(東明聖王), was the founding monarch of Goguryeo. The best known version of the founding myths of Goguryeo is the Dongmyeongwangpyeon of the Dongguk I Sanggukgip(Collected Works of Minister Yi of Korea) by Yi, Gyu Bo. According to Jeseph Campbell's idea of monomyth the standard path of the mythological adventure of the hero is a magnification of the formula represented in the rites of passage: separation−initiation−return. A hero ventures forth from the world of common day into a region of supernatural wonder, fabulous forces are there encountered and a decisive victory is won, and the hero comes back from this mysterious adventure with the power to bestow boons on his fellow man. Cuchulain and Jumong's hero-journey show the nuclear unit of the monomyth. Their stories exhibit with extraordinary clarity all the essential elements of the classic accomplishment of the impossible task. Cuchulain is the son of the sun god Lugh and Deichtire(a daughter of Maga, the child of the love god of Angus). Jumong is the son of Hae Mosu(解慕漱: the son of heaven) and Yuhwa(柳花:daughter of the river god Habaek(河伯). Cuchulain and Jumong are the child divine yet born of human mather. They are sons of sun and abandoned by their divine father. The characteristic adventure of Cuchulain is winning of the bride, Emma. The adventure of Jumong is going to succeed to his father-the father is the invisible founder of Buyeo. Cuchulain's adventure had given him the capacity to annihilate all opposition. At the age of seventeen Cuchulain single-handedly defends Ulster from the army of Connacht in the Tain Bo Cuailnge. Jumong's adventure had given him the capacity to rule his subjects. At the age of twenty-two, in 37 BC, Jumong established Goguryeo, and became its first Supreme King. Goguryeo considered itself a successor to Buyeo. Cuchulain, the Irish Achilles, is the symbol of all those who fought for independence of Ireland. Jumong, the korean Achilles, is the symbol of the pride of Korean. The aim of this essay is that my comparative analysis contribute to the sense of universal understanding of the human condition.

      • KCI등재후보

        서사의 다기성(多岐性)을 활용한 자기서사 진단 방법

        정운채 ( Jeong Un-chae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5 고전문학과 교육 Vol.10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divergence of epic and to establish the methodology of the diagnosis about the epic of self.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in case that we follow the story line of < Dongmyeongwangpyeon(東明王篇) >, we will meet a forked road at least thirteen times. At the forked road we can turn to the right branch road, or to the left branch road. Each choice makes a different epic. Second, the epic of self will force a person to makes choice of special branch road at the forked road of story line. Therefore we can diagnose the epic of self according to one's choice. The core of the methodology of literary therapy is that the epic of literary work changes the epic of self. For that reason the diagnosis about the epic of self is the first consideration, and the divergence of epic is the key of the diagnosis about the epic of sel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