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댄스스포츠 지도자 매력성이 선수의 기본적 심리욕구 및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대동 ( Kim Dae-dong ),박주영 ( Park Jooyoung ),진현주 ( Jin Hyun-joo ) 한국리듬운동학회 2020 한국리듬운동학회지 Vol.1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anceSport coach’s attractiveness o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exercise adherence of DanceSport players. The research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selected from DanceSport player across the country. Among them, samples are chosen by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nd the data and information on 196 players were used in the analysis actuall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al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the SPSS 18.0. Results obtained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showed that DanceSport coach’s attractiveness affected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Second, it was shown that DanceSport coach’s attractiveness affected the exercise adherence of DanceSport players. Third, it was also shown that basic psychological needs affected the exercise adherence of DanceSport players. These results showed that DanceSport coach’s attractiveness is the important factor in explanation of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exercise adherence of DanceSport players.

      • KCI등재

        댄스스포츠선수들의 무용학습경험이 경기수행력에 미치는 영향

        이희정 ( Hee Jung Lee ),조진희 ( Jin Hee Jo ) 한국무용과학회 2014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0 No.4

        이 연구는 댄스스포츠 선수들의 무용학습경험이 경기수행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대한체육회 산하 단체인 대한댄스스포츠경기연맹의 서울시, 경기도 2개 지역에서 개최되는 프로·아마 댄스스포츠경기 6개 대회를 임의로 선정하여 대회에 참가한 경기연맹 소속의 프로, 아마추어, 학생부 선수들 총 328명을 표집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인원은 총 290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로 빈도분석, t-test,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여 분석된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댄스스포츠 선수들 대부분이 무용학습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필요성 인식이유는 표현력 향상과 유연성 향상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댄스스포츠 선수들이 선호하는 무용형태는 기타(째즈댄스, 방송댄스), 현대무용, 발레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자선수가 남자선수보다, 연령과 학력이 높은 선수집단일수록 무용학습을 많이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경험한 무용학습 종류는 남녀 모두 발레가 가장 높고, 18세 미만 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기타무용학습의 경험이 많으며, 고졸과 대졸은 발레 경험이 많고 대졸이상은 현대무용 경험이 많으며 중졸이 하는 기타무용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댄스스포츠 전공에 따른 무용학습 경험 유무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무용학습경험 형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수준과 선수활동경력에 따른 무용학습 경험과 무용학습경험 형태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무용학습경험이 있는 집단이 없는 집단에 비해 기술능력과 안정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체조절과 집중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무용학습 경험형태 중 한국무용을 경험한 집단보다 현대무용을 경험한 집단이 기술능력에 대한 수행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and establish the impact of dancesport players` dance learning experience on their performance. To solve the research issues, the objects of this research, 328 pro, amateur or student players on the Korean Federation of Dancesport who participated in national pro/amateur dancesport meetings of the Korean Federation of Dancesport, the Korean Amateur Athletic Association-affiliated organization were sampled and the total of 290 players were used f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inquire the real status of dancesport players` dance learning experience with the collected data,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o inquire the relationship between dance learning experience and the performance.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above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n the real status of dancesport players` dance learning awareness showed that most player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dance learning, and the reason recognizing the necessity was the improvement of expressiveness and flexibility. And the preferred dance forms by dancesport players are others followed by modern dance, and ballet. Second, the analysis on the difference in dance learning experience status and forms depending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show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 in dance learning experience status and forms according to sex, age and academic background. In terms of academic background college graduate and over there are many players experienced in dance learning. For the forms of dance learning experience, the higher academic background, the more players experienced in modern dance while the lower one, the more players experienced in ballet or others. In terms of dance learning experience depending on major status in dance, dance learning experience of players majoring in dance is modern dance followed by ballet. Third, analysis on the difference in dance learning experience status and forms according to dancesport empirical characteristics showed that for dance learning experience status depending on major, the majors, rated from highest to lowest, are latin dance, modern dance and 10 dance(10댄스). The ``form`` of dance learning experience according to major didn`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 dance learning experience according to level, rated from highest to lowest, are pro, amateur, and student. In terms of the dance learning experience form, pro and amateur experienced in ballet the most, while student experienced in others subjects the most. The analysis on the difference of dance learning experience depanding on player activity record showed that regarding dance learning experience status the longer activity record, the more experience in dance learning. Also dance learning experience forms of many players who have more than 6 year-activity career, rated from the highest to lowest, are modern dance, ballet and others while the forms of players under 5 year-activity record, rated from the highest to lowest, are others, modern dance and ballet. Fourth, the analysis on the difference in the performance depending on dance learning experience showed that the performance depending on dance learning experience have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a group without dance learning experience a group with dance learning experience showed higher technical skills and stability while physical control and concentration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Regarding the difference in the performance depending on dance learning experience form, players who experienced modern dance had better technical skills, the sub-variables of performances than players who experienced Korean traditional dance. By putting the above results together, development of new training methods, which understand physical and mental development of dancesport players well, should be preceded to make dancesport players improve their performance and win a medal in international matches for the enhancement of national prestige through dance learning experience.

      • KCI등재

        댄스스포츠 선수의 은퇴기대와 은퇴준비수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김현진,이성노 한국스포츠학회 2023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1 No.1

        본 연구는 댄스스포츠 선수의 은퇴기대와 은퇴준비수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 펴보고, 선수들이 급변하는 진로 상황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 등을 배양하기 위한 요인의 인과관계 규명에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사)대한민국 댄스스포츠연맹에 등록된 성인 선수 209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6.0, AMOS 26.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확인적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로인해 도출된 연구결과를 통한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댄스스포츠 선수의 강요된 좌절은 경제적 준비, 새로운 출발은 은퇴준비수준의 모든 요인 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강요된 좌절은 직업정보수집에서 부적, 문제해결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새로운 출발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모든 요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강요된 좌절은 통제에 부적, 새로운 출발은 진로적응성의 모든 요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경제적 준비는 통제에 정적, 심리적 준비는 진로관심, 통제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목표선택은 진로적응성의 모든 요인, 직업정보수집은 통제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dancesport players' retirement expectations, retirement preparation levels,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n career adaptability, and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for cultivating players' ability to adapt to rapidly changing career situations. purpose is to clarif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09 adult players registered with the Korean Federation of Dancesport. Frequency analysis, confirmation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6.0 and AMOS 26.0, and the main conclusions from the research results derived from th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forced frustration of dancesport players had a positive effect on all factors of economic readiness and new start on the level of retirement readiness. Second, forced frustration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job information collection and a positive effect on problem solving, and a new star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all factor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ird, forced frustration was negative for control, and a new start had a positive effect on all factors of career adaptability. Fourth, economic prepar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control, and psychological prepar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career interest and control. Fifth, goal selec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all factors of career adaptability, and job information colle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control.

      • KCI등재
      • KCI등재

        댄스스포츠 선수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은퇴준비수준과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김현진,이제승 한국여성체육학회 2023 한국여성체육학회지 Vol.37 No.1

        본 연구는 댄스스포츠 선수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은퇴준비수준과 진로적응성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 였다. 이를 위해 (사)대한민국댄스스포츠연맹에 등록된 성인 선수 23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 종 211명의 설문조사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6.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 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댄스스포 츠 선수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직업정보수집, 문제해결은 은퇴준비수준의 경제적 준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정보수집, 자기평가는 신체적 준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해결은 경제적, 심리적 준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문제해결은 신체적 준비에 부 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댄스스포츠 선수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목표선택은 진로적응성 의 모든 하위요인에, 자기평가는 진로관심, 통제, 자신감에, 미래계획은 호기심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댄스스포츠 선수의 은퇴준비수준의 경제적 준비는 진로적응성의 진로관심, 자신감, 호기심 에, 심리적 준비는 진로관심, 자신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 KCI등재

        댄스스포츠 선수의 긍정적 자동적 사고와 중도포기의 관계

        양은심 ( Eun-sim Yang ) 한국무용연구학회 2016 한국무용연구 Vol.34 No.2

        본 논문은 현재 중, 고, 대, 일반부의 댄스스포츠 선수로 등록되어 있는 선수 271명을 대상으로 댄스스포츠 선수 개인이 가진 긍정적 자동적 사고가 부정적 요인들로 묘사된 댄스스포츠 중도포기 원인들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분석해 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단순회귀분석과 경로모형을 검증하였다. 긍정적 자동적 사고 중 현재 미래에 대한 긍정적 평가와 기대 요인은 경쟁, 무동기, 파트너 요인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자기에 대한 타인의 긍정적 평가는 경제 요인에 부적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긍정적 일상기능은 중도포기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β 값이 마이너스를 보임으로서 긍정적 자동적 사고를 할수록 중도포기에 대한 생각이 없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긍정적 생각과 긍정적 자기평가, 그리고 긍정적 일상기능을 높이는 것이 중도포기 수준을 낮출 수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causes of dance sport dropouts, which may be related to positive automatic thought and negative factors. The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modeling were conducted to verify. Among positive automatic thought, positive evaluation for future, and Expectation Factors influenced negatively competition, non-motivation, and partner factors. The positive evaluation by others on the self affected negatively financial factors. However, a positive daily function didn``t influence drop-out at all. Overall, the β value was minus, so the more positive automatic thoughts you have, the less chances you drop out. Therefore, it implies that positive thoughts, positive self-evaluation, and a positive daily function may reduce the chances of drop-ou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