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관분석을 위한 누적가시빈도도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 과천시를 대상으로 -

        손학기 ( Sohn Hak Gi ),정윤희 ( Jeong Yoon Hee ),임승빈 ( Im Seung Bin ) 한국경관학회 2013 한국경관학회지 Vol.5 No.2

        본 연구는 별도로 조망점을 선정할 필요 없이 대상지 내 모든 지점을 조망점으로 하는 ‘누적가시빈도도’를 작성하고, 시지각 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인 거리를 고려하여 분석함으로써 경관계획에 필요한 객관적, 합리적 근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의 경관계획을 수행함에 있어 정확성과 효율성을 고려하여 경관현황조사 단계에서 활용하기 위한 누적가시빈도도의 적정 해상도를 200m로 도출하였다. 둘째, 도시 전체의 누적가시빈도도를 작성하여 도시 내에서 시각적 민감도가 높은 지역을 실증적이고, 가시적으로 도출하였다. 셋째, 거리 가중치를 고려한 누적가시빈도도는 단순 누적가 시빈도도에 비해 전체적인 변별력을 다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시지각강도를 좌우하는 요소로 ‘거리’만을 고려하였는데, 향후 지면의 수직·수평 경사각 등을 고려하여 경관민감도를 작성하기 위한 연구가 추가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basic data being used to establish the landscape plan. For achieving the objective, this study proposed the method to make a cumulative- viewshed frequency map without having to select a viewpoi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oper resolution of the cumulative- viewshed frequency map was proposed 200m DEM considering the resolution of the source data and the its application. Second, this study proved the area having the high visible frequency empirically. Third, the cumulative-viewshed frequency map considering the viewing distance had less discrimination than the simple map. This study considered only the viewing-distance, but we will study on the intensity of visual perception considering an incidence angle, elevation angle and depression angle additionally.

      • KCI등재

        도시경관분석을 위한 3차원 시각접근노출 모델의 유용성 연구

        김충식(Kim, Choong-Sik) 한국도시설계학회 2014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5 No.3

        본 연구는 정량적인 도시경관분석을 위한 시각접근 노출도 모델의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각종 경관 분석에 활용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 외부와 내부조망에서 NURBS(Non-Uniform Rational B-Spline)을 이용하여 지형 모델을 제작하고 3차원 시각접근 노출도(3DVAE)와 Arcview의 가시권분석결과를 비교하였다. 비교를 통해서 벡터 기반의 3차원 시각접근 노출도는 Arcview에 반해 3차원 도시형상물을 다룰 수 있어서 정밀한 가시지역의 산출이 가능한 것을 밝혔다. 또한 분석결과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5x5m, 10x10m 크기로 지형을 제작하여 가시지역을 산출한 결과를 비교하였다. 비교결과 격자크기에 따라 편차가 크게 발생한 Arcview에 비해 3DVAE는 외부조망에서 0.4%p, 내부조망에서 0.1%p로 일관된 가시지역의 산출결과를 양산하였다. 또한 3DVAE 모델로 시각접근 노출도를 작성했을 때 Arcview보다 정밀할 수 있어 외부와 내부조망에서 경관분석에 유용함을 밝혔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3DVAE는 PC에서 운용이 용이하여 상용화 및 실무에서의 활용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방식은 경관평가 및 분석의 업무 효율성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visual exposure models for quantitative urban landscape analysis. Seeking a possibility of versatile utilization in various landscape analyses, we constructed NURBS terrain models of external and internal viewpoints and consequently, implemented an experiment in order to make a comparison between the viewsheds of 3D Visual Access & Exposure(3DVAE) and ArcView. The results indicate that 3DVAE is potentially expedient in calculating visual areas in a great accuracy because of its procedural benefits of the 3D urban figures in vector data. Besides, in order to verify credibility of analysis outcomes, the paper formulated latticed terrains of 5x5m and 10x10m then, compared the computed results of viewshed analysis.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3DVAE generated 0.4 % p bias at external viewpoints and 0.1 % p bias at internal viewpoints; however, there were discrepancies generated by ArcView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grid in the models assessed. Likewise, the research found that 3DVAE model was highly effective for landscape analysis in external and internal viewpoints. Hence, the research concludes that the methodology utilizing 3DVAE is substantially capable of commercialization and utilization in practice due to its affluent operation within normal PCs. Therefore, this method is expected to generate more enhanced urban landscape evaluation with lavish commercial effici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