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자이너의 인지심리 기반 창의성 유형에 따른 앱 UX/UI 디자인 분석

        위장훈(Wi, Jang Hoon),윤여경(Yoon, Yeo Kyung)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8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5 No.-

        본 연구의 배경은 다음과 같다. 새로운 것을 항상 만들어 내는 디자이너에게 항상 부족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이 바로 창의적 사고이다. 하지만 창의적 사고가 크게 발현되어야 할 분야인 디자인 교육현장에서도 창의성 계발에 관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나 활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의 시대 슬로건을 내민 현재, 소프트웨어 교육이 화두가 되고 있다. 또한, 시각정보 디자인 교육에서도 앱 개발에 필요한 기본적 지식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APP UX/UI 디자인 교육현장에서 컨셉단계(UX), 표현단계(UI)에 있어 디자인 전공자들의 창의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전공 대학생들의 아이디어 발상에 대한 실험과 그들의 창의 척도를 분류하여 창의성 유형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창의적사고를 함양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개 대학 디자인 전공자를 대상으로 APP UX/UI 디자인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F.G.I를 통해 크게 A, B, C 3가지 유형으로 분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후 KAI 척도를 사용하여 실험 대상자들의 창의성 유형을 인지적응자와 인지혁신자로 분류할 수 있었다. 또한, KAI 척도에 분류된 디자인유형을 비교 분석하여 3가지 창의성 유형에 대한 특징을 기술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APP 디자인 교육에 있어서 디자인 창의성 유형 연구에 대한 검토를 시사할 수 있었으며, 향후 심리과학 등과의 융합적 접근으로 다양한 분야에서의 창의성 연구에 대한 중요성을 제언하였다.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t is creative thinking that there is always a shortage for designers who make new things. However, there is no active development or use of an educational program on creativity development in design education, an area where creative thinking should be developed. With the slogan of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oftware education has become a hot topic. It also requires basic knowledge that is required to develop apps in education on visual information desig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cept phase (UX) and the presentation stage (UI) of the design majors` creativity in the field of APP UX/UI design education by classifying their creative modalities with experimental techniques.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PP UX/UI design experiments with design engineers at two universities and found that F.G.I was largely classified into three types: A, B and C. The KAI scale was then used to classify the types of creativity of the subjects as cognitive adaptors and cognitive innovators. It was also possible to compare and analyze design types classified on the KAI scale to characterize the three types of creativity. Conclusion, This study could suggest a review of the type of design creativity study in the APP design training and suggested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research in various fields through a convergence approach with psychology, science, etc.

      • KCI등재

        창의적 사고방식의 유형별 범주화 및 디자인 교육에서의 의미 고찰

        김경원 한국기초조형학회 2023 기초조형학연구 Vol.24 No.6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creative thinking styles’ are classified and to systematize their semantic categories. Creativity, which is presented as one of the core competencies in design education, has been measured by various assessment methods. However, most of the studies related to creativity have focused on assessing individual competencies, which has limitations, and it is necessary to categorize creative thinking styles instead of assessing individual creative competencies as a way to help foster efficient creative competencies. The research method used a sequential literature analysis method that analyzes major prior research data and synthesizes commonalities, and the types of creative mindset derived from the research were divided into cognitive and non-cognitive factors, and subcategories were derived. Through these findings, it was possible to categorize creative personalities into a consciousness structure, which represents an individual's ideas, and mindset, which represents an individual's attitude, and derive corresponding conceptual categories of dependence and independence, growth mindset and fixed mindset. On the other hand, from the type of cognitive factors, creative thinking derived diffuse thinking and convergent thinking from the form of thinking category, and descriptive thinking and paradigmatic thinking from the direction of thinking category. These categories were compared with the sub-keywords and keywords of the creativity assessment scale to propose a total of 16 types in 8 ranges through the combination of indicative categories. The reason for categorizing the types of creative thinking style i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creative thinking and use it to foster and induce creative thinking based on individual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and attitudes.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e indexed criteria can diagnose what attitudes and approaches individuals have when striving to express creativity, and that it can be an alternative to the existing diverse methods of evaluating the degree of creativity of individuals, providing a more proactive understanding of creativity than before.

      • KCI등재

        초등학교 6학년 영어 수업에서 활용할 창의 활동과 이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강남준 ( Kang Nam Joon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6 한국초등교육 Vol.27 No.4

        이 논문은 초등학교 6학년 정규 영어 수업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창의성을 강조한 활동들을 소개하고 이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한다. 이 논문의 실험을 위해 총 122명의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이 참여했고 이들은 각 61명씩 실험수업반과 통제 반으로 나뉘었다. 이 실험수업을 위해 영어 교과서 중에서 하나의 유닛을 사용했고 통제반은 주로 교과서에 있는 활동들을 위주로 수업을 하였고 실험 반은 6가지의 창의 활동들을 2주 동안 사용하였다. 이 연구는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를 병행하였고 실험 수업이 끝난 후에 설문지와 인터뷰를 수행했다. 설문 결과로서 볼 때 실험반이 통제 반에 비하여 실험수업을 기존 수업보다 선호하였다. 두 그룹은 선호하거나 싫어하는 활동들에서 차이를 보였다. 통제 반은 생각 할 기회가 많이 주어진 창의 활동들 중에서 두 가지(categorization and a creative role play)와 `Listen and Repeat` 를 제일 많이 선호하였고 그 이유는 생각 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서 이다. 하지만 창의 활동중 하나인 Creative chant는 가장 싫어하는 활동 중 하나로 뽑혔는데 이에 대한 이유는 너무나 생각하게 하기 때문과 너무나 많은 그룹토의 때문이었다. 통제 반이 제일 선호하는 활동들은 게임과 `Listen and Repeat`, 그리고 읽기 활동이며 이에 대한 이유에서 생각할 기회가 많아서 라는 이유는 단 한 사람도 선택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를 통해 느낀 점은 학생들이 감당 할 만큼의 적절한 창의 활동들은 매우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반복적으로 언어를 연습하게 하는 활동과의 적절한 조합을 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수업의 형태가 아닌가 하는 조심스런 결론에 이르렀다. This study introduces four types of creativity enhancing activities(CEAs) that can be implemented as part of English lessons for 6<sup>th</sup> grade primary school students and investigates the students` perceptions toward them. A total of 122 6<sup>th</sup> grade prim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ith 61 of them being enrolled in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respectively. For this study, one unit of an English textbook was used. While the control group mainly used textbook activities for each lesson, the experimental group used six different CEAs in place of six textbook activities across six English lessons over a two-week period. The study employs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ta analysis for more robust data analysis and triangulation of the data. After the experiment, each participant in both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completed a post survey and several students were chosen to take part in an interview. The survey results for both groups showed a positive response to the English lessons with the experimental group showing greater positivity. There were discrepancies between the two groups with regard to the activities they liked and disliked. Whereas the control group students preferred the game-like activities, many of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preferred some CEAs to other textbook activities due to the opportunities they provided to use their thinking skills. This research showed a positive effect of CEAs on Korean primary school learners` English learning and it also revealed possibilities of implanting CEAs in regular English lessons for Korean primary schools.

      • KCI등재

        신제품평가에 대한 창의적사고와 소비비전 인과관계 분석

        이창원 한국산업경제학회 2018 산업경제연구 Vol.31 No.6

        Recent years have witnessed a steady increase creativity research in marketing, especially in the strategy literature (Andrews and Smith 1996; Im and Workman 2004; Moorman and Miner 1997).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sumption vision and creative thinking role for new product evaluation to improve the success rate of new produc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both flexibility perception and depth of narrative affects creative thinking. In other words, consumers need to provide a broad and deep range of ideas to solve their consumption problems for new product evaluation. It was found that creative thinking influenced the consumption vision. and It was found that creative thinking and consumption vision affected the evaluation of new products. Various product hierarchies are formed after various combinations of new product specific attributes and abstract criteria. and The consumer activates and simulates the consumption vision through the use, the use situation, and the use person, and evaluates the new product. Therefore, innovative new products should stimulate creative cognitive processes and consumption vision. To this end, various marketing communication strategies are needed to diversify the artistic visual, narrative, and story. 본 연구는 급변하는 경영환경에서 신상품의 성공률을 높여주기 위해서 소비자들의 신상품 소비 형태에 있어서 창의적 사고 형성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창의적 사고가 소비비전에 작용하는 원리와 신제품 평가까지의 영향요인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창의적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의 폭과 깊이를 대변하는 유연성 지각과 내러티브 지각의 경우 모두 창의적 사고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소비자가 소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다양한 아이디어를 넓고 깊이 있게 제공해야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창의적 사고는 소비비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창의적 사고와 소비비전이 신제품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신제품의 구체적 속성, 추상적 기준 등이 다양하게 조합되어 다양한 목표 위계가 형성되면 사용용도, 사용상황, 사용인물 등이 다양한 형태로 분류된다고 해서 신제품의 평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사용용도, 사용상황, 사용인물 등을 소비비전을 통해서 시뮬레이션 해본 뒤 신제품 평가를 내리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혁신적 신제품 상황(new product context) 일수록 창의적 인지 과정과 소비 비전을 높여줄 수 있도록 예술적 광고 비주얼을 통한 인지 사고의 폭을 넓혀줄 수 있는 인지 유연성과 깊이를 보여줄 수 있는 내러티브와 같은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다양성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2000년대 현대 한국 창작춤의 형태분석 연구 (릴케의 주체론을 중심으로)

        박부희,이해준 한국무용학회 2015 한국무용학회지 Vol.15 No.2

        본 논문은 새 세기 현대 한국 창작 작품의 존재 이유를 실증해 보이려는 학문적 노력이다. 현대 한국 창작 작품 의 작가정신에 대한 예술사적 가치와 평가를 위한 창작 작품과 작가의 작가정신에 대한 분류와 분석연구의 필요 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대 한국 창작 춤이 무엇을 왜, 만들고 있으며, 앞으로 어떠한 춤 세계들을 만들어 갈 것 인지에 대한 대비와 연구를 하고자 함으로 한국 창작 춤은 어떠했는가? 와 현재 창작 작품 연구는 어떤 상황이 며, 어떻게 시작되어야 하는가? 에 대한 사전 연구이다. 반세기를 이어온 한국 창작 춤의 정신이 주체는 무엇인지 에 대한 발견과 연구를 위해 새로운 분류 형식을 만들고 이를 통해 작품과 작가를 새롭게 평가하고 또 다른 새 로운 작품을 기대할 수 있는 카테고리제이션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paper is this new century by Contemporary Korea have demonstrated the existence or creative modern dances, academic efforts to look. Modern Korean Creating Dances the spirit of creative work of art history and economic values to assess their creative work and research would suggest to the need for a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n the need for a writer What the Modern Korean creative modern dances, making sure why, making their way as any dance about whether to go on to create the world contrasts and creative process is to Korea to study dance is Some situation is now creative modern dances, Korea research and how they should begin and which you were born? for the advance research. Modern korean creative dances by hook or by half a century, the subjects in the spirit of what make and an assortment of research for new discoveries about the format and, through that work and renew the author Another new work, and assuming can expect is that all categories, Sean would suggest to the ship.

      • KCI등재

        Creativity Enhancing Activities in English Lessons for 6th Grade Prim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Perceptions

        강남준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6 한국초등교육 Vol.27 No.4

        This study introduces four types of creativity enhancing activities(CEAs) that can be implemented as part of English lessons for 6th grade primary school students and investigates the students’ perceptions toward them. A total of 122 6th grade prim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ith 61 of them being enrolled in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respectively. For this study, one unit of an English textbook was used. While the control group mainly used textbook activities for each lesson, the experimental group used six different CEAs in place of six textbook activities across six English lessons over a two–week period. The study employs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ta analysis for more robust data analysis and triangulation of the data. After the experiment, each participant in both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completed a post survey and several students were chosen to take part in an interview. The survey results for both groups showed a positive response to the English lessons with the experimental group showing greater positivity. There were discrepancies between the two groups with regard to the activities they liked and disliked. Whereas the control group students preferred the game-like activities, many of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preferred some CEAs to other textbook activities due to the opportunities they provided to use their thinking skills. This research showed a positive effect of CEAs on Korean primary school learners’ English learning and it also revealed possibilities of implanting CEAs in regular English lessons for Korean primary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