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열성 경련 환아의 뇌척수액내 Prostaglandin E-2값 변화

        최병준(Byung-Joon Choi),황경태(Kyung-Tai Whang) 대한소아신경학회 1998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5 No.2

        목적 : PG는 모든 조직에 존재하여 생물학적으로 상당히 광범위한 역할을 한다. 특히 중추신경계에서는 생리적인 환경에서 소량 존재하나 여러 가지 자극(고체온, 열성 감염, 뇌졸중, 정신분열증 및 간질)후에는 PG가 상당히 현격하게 증가한다. 따라서 저자들은 열성 경련 환아에서 뇌철수액내의 PGE-2를 정량하여 어떤 변화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방법 : 가톨릭 의과대학 부속병원에서 초회의 단순 열성 경련을 주소로 내원한 만 6개월에서 만 5세 사이의 환 57명과 경련없이 열을 주소로 입원한 같은 연령군 환아 24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대조군은 열이 없는 환아 7명이었다. 모든 환아에서 척수 천자를 시행하였고 열성 경련 환아는 경련 후 48시간 이내에 뇌척수액을 채취하여 -30℃로 냉장 보관후 방사 면역 측정법(Prostaglandin E₂[125I] assay system, Biotra Assays, Amersham Inc.)으로 검사하였다. 결과 : 1) 열성 경련 환아의 뇌척수액내 PGE-2의 값은 147.3±79.3pg/ml로 경련없이 열만 있었던 군의 72.4±75.4pg/ml에 비하여 2.0배 높았고 열이 없는 대조군의 19.2±28.4pg/ml 보다는 7.7배 높았으며 이는 통계학적으로 의의가 있었다. 2) 발열 및 연력과 뇌척수액네 PGE-2의 값과는 통계적으로 의미가 없었다. 3) 열성 경련환아에서 4시간 이내에 채취한 PGE-2의 값은 176.5±65.7pg/ml로 4시간 이후에 채취한 군의 93.3±74.9pg/ml 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p<0.05) 결론 : 열성 경련 환아의 뇌척수액내 PGE-2의 값은 열이 없는 대조군에 비해 높았고 경련없이 열만 있는 군에 비해서도 높았다. 특히 열성 경련 환아의 뇌척수액을 경련 후 4시간 이내 채취하였을 때 PGE-2의 값이 경련 후 4시간 이후에 채취한 뇌척수액에서 얻은 값에 비해 더욱 높았음을 알 수 있다. Purpose : Prostaglandins(PGs) are known to produce a remarkably broad spectrum of effects that embraces practically every biological function, and has a particular physiological role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Significant increases of PGs levels are seen in certain diseases, such as febrile infection, stroke, schizophrenia, and epilepsy. Prostaglandin is also increased in a response to rising body temperature, and prostaglandin E-2(PGE-2) in lumber cerebrospinal fluid is also increased in febrile convulsion. Intracerebroventricular injection of PGE produces a rise in body temperature and also antagonizes convulsions induced by pentylenetetrazole, penicillin, electric shock. Therefore we studied PGE-2 levels in cerebrospinal fluid of afebrile children, children with febrile convulsion, and fevrile children without convulsion. Methods : The subjects comprised 57 cases with febrile convulsion, 24 cases of afebrile diseases and 9 febrile children without convulsion. All patients were undergoing lumbar puncture and PGE-2 levels in CSF were determined by highly specific radioimmunoassay(Prostaglandin E₂[125I]assay system, Biotra Assays, Amersham Inc.). Results : 1) The CSF PGE-2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hildren with febrile convulsion(147.3±79.3pg/ml) than those in febrile children without convulsion(72.4±75.4pg/ml) and afebrile children(19.2±28.4pg/ml)(p<0.05) 2)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ces of the CSF PGE-2 levels between age and fever in both groups. 3) The CSF PGE-2 levels within 4 hours(176.5±65.7pg/ml) after convuls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4 hours after convulsion(93.3±74.9pg/ml). Conclusion : The CSF PGE-2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hildren with febrile convulsion than those in febrile children without convulsion and those in afebrile children. The CSF PGE-2 levels within 4 hours after convuls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4 hours after convulsion.

      • KCI등재후보

        열성 경련시 발생하는 저나트륨혈증과 항이뇨 호르몬 과다 분비에 관한 연구

        김경범(Kyung Buem Kim),신영규(Young Kyoo Shin),이기형(Kee Hyoung Lee),은백린(Baik Lin Eun),박상희(Sang Hee Park),독고영창(Young Chang Tockgo) 대한소아신경학회 1999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7 No.2

        목 적 : 열성 경련은 3개월부터 5세 사이의 소아에서 비열성 경련이 과거력이나 맹백한 신경계 진환이 없이 열이나면서 경련 발작이 발생하는 경우로, 발생기전은 불확실하나 열성 경련과 저나트륨혈증과의 연관성에 대해 많은 보고가 있다. 저자들은 열성 경련 환아에서 보이는 저나트륨혈증이 항이뇨 호르몬 과다 분비로 인하여 초해되는지 알아보고 또한 이들이 열성 경련의 발생 및 빈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8년 1월부터 1999년 8월까지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환아 중 무작위로 70명(남아 46명, 여아 24명)을 정하여 환아군으로 하였다. 또한 동일 기간에 응급실에 내원하였던 환아 중 경련 없이 38.5℃ 이상 열이 있었던 환아 31명(남아 19명, 여아 12명)을 대조Ⅰ군으로 하였고, 열이 없이 경련만 있던 환아 24명(남아 16명, 여아 8명)을 대조Ⅱ군으로 하였다. 모든 환아에서 응급실 내원 10분 이내에 정맥혈을 채혈하여 혈청 나트륨, 혈청 몰랄삼투압농도, 바소프레신 등을 동일 샘플에서 측정하였고 소변 몰랄삼투압농도도 측정하였다. 결 과 : 환아군의 평군 혈청 나트륜 농도는 134.3±2.4mmol/L이었고, 대조Ⅰ군 136.4±2.0mmol/L, 대조Ⅱ군 136.0±2.2mmol/L로 열성 경련 환아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P<0.05). 열성 경련 환아 중 135mmol/L 이하의 저나트륨혈증을 보인 경우는 환아군 54.3%(38/70), 대조Ⅰ군 16.1%(5/31), 대조Ⅱ군 12.5%(3/24)이었다. 혈청 몰랄삼투압농도는 환아군 273.0±23.3mOsm.kg, 대조Ⅰ군 276.9±11.6mOsm/kg, 대조Ⅱ군 278.0±18.3mOsm/kg로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그리고 소변 몰랄삼투압농도도 환아군, 대조Ⅰ군, 대조Ⅱ군이 각각 466.5±260.4mOsm/kg, 349.2±179.8mOsm/kg, 402.0±158.8mOsm/kg로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혈청 바소프레신 평균 농도는 환아군이 18.9±13.2pg/ml, 대조Ⅰ군 10.8±6.4pg/ml, 대조Ⅱ군 11.2±6.5pg/ml으로 열성 경련 환자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5). 열성 경현 환아 70명 중 25명에서 경련이 재발하였으며 이중 135mmol/L 이하의 저나트륨혈증을 보인 경우는 60%(15/25)였고, 재발하지 않은 군은 51.1%(23/45)이었다. 재발군의 평균 혈청 나트륨 농도는 133.7±2.4mmol/L로 재발이 없었던 환아군 134.7±2.3mmol/L와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성인 사구체 여과율에 도달하는 연령인 2세를 기준으로 구분하여 2세 전후의 환아군에서 평균 혈청 나트륨 농도, 혈청 몰랄삼투압농도, 소변 몰랄삼투압농도, 바소프레신의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저나트륨혈증으로 인하여 열성경련이 유발되기 보다는 발열과 경련같은 스트레스가 열성경련 환아에서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단순히 발열환자나 열이 없는 경련이 일어난 환아에 비하여 바소프레신의 증가와 혈청 나트륨의 감소가 더욱 많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Febrile convulsion is a common clinical problem in young children. In spite of their frequent occurrence, there is little information available about the value of investigation with febrile convulsion. Recent studies found a correlation between low serum sodium levels and risk of febrile convulsions. We carried out a study to evaluate the role of inappropriate ADH secretion in hyponatremia in relation to febrile convulsions. Methods : This study used seventy cases(46 boys, 24 girls) with febrile convulsion, that were treated at the pediatric department of Korea University Medical Center Ansan hospital from Jan. 1998 to Aug. 1999. During the same period, thirty one cases(19 boys, 12 girls) with fever but without convulsion(control group I) and twenty four cases(16 boys, 8 girls) with convulsion but without fever(control group II) were evaluated in comparison with febrile convulsion group. Serum sodium, osmolality, vasopressin and urine osmolality of each group were measured on admission and analyzed by ANOVA. Results : The mean serum sodium concentration of febrile convulsion group, control group I and control group II were 134.3±2.4mmol/L, 136.4±2.0mmol/L, and 136.0±2.2mmol/L respectively. The serum sodium level of patient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 I and II(P<0.05). The case of the serum levels less than 135mmol/L was 54.3%(38/70) in patient group, 16.1%(5/31) in control group I and 12.5%(3/24) in control group II. Serum osmolality, uine osmolality of patients group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each control group. Vasopressin level of febrile convulsion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each control group. The risk of recurrent convulsion approaches 60%(15/25) of cases with hyponatremia less than 135mmol/L. Conclusion : We conclude that febrile convulsions are not mediated by hyponatremia but induce the changes in serum vasopressin and sodium level.

      • KCI등재후보

        발열이 열성 경련의 재발에 미치는 영향

        최병준(yung-Joon Choi),이인구(In-Goo Lee),황경태(Kyung-Tai Whang) 대한소아신경학회 1998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6 No.1

        Purpose : Febrile convulsion is a common clinical problem affecting 2-4 percent of children. The recurrence rate of FC is a approximately 33-50%.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recurrences of febrile convulsions, we investigated the risk factors, especi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pyrexia at the initial febrile seizure and the likelihood of subsequent febrile fits. Methods : During the 24 months, we reviewed the children who presented their first febrile convulsion. All were admitted to the hospital for investigation and treatment. The study group compromised 136 children.4 febrile convulsion was defined as a generalized convulsion that occurred within 15 minutes in a child aged 6 months to 5 years who had no pre-existing evidence of neurological abnormalities. The children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the fever recorded on presentation to hospital. Group I had temperatures higher than 39.5'C, group Ⅱ , 38.5-39.4'G, and group Ⅲlower than 38.4 . Results : 1) 17(40.5%) children had recurrences with a positive family history in first-degree relatives, 12(60.0%) of febrile convulsions, 3(42.9%) of epilepsy and 2(66.7%) of febrile convulsions and epilepsy. 2) In groupⅠ, three(15.8%) infants aged 6-18 months and two(13.3%) aged 19-30 months had recurrences of febrile convulsions. In group Ⅱ, 13(36.1%) infants aged 6-18 months and 5(23.8%) aged 19-30 months had recurrences of febrile convulsions. In groupⅢ, 10(41.7%) infants aged 6-18 months and 6(46.2%) aged 19-30 months had recurrences of febrile convulsions. 3) The overall recurrence after the initial febrile convulsion was 22(52.4%) children by 6 months, 34(81.0%) children by 12 months, 39(92.9%) children by 18 months, and 42(100%) by 24 months. 4) Fifteen(42.9%) had the recurrences between 6 and 12 months of age at initial febrile convulsion, 21(27.6%) between 13 and 24 months, and B(18.2%) between 25 and 36 months. Conclusion : Early age at onset of first febrile convulsion, a history of febrile convulsions in first-degree relatives were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recurrent febrile convulsions. Especially children with the lower degree of pyrexia at the time of the initial convulsion were more susceptible to recurrent convulsions than those with higher levels of pyrexia. 목 적 : 열성 경련은 가장 흔한 발작형으로 모든 어린이의 2-4%가 경험한다. 열성 경련은 흔히 재발하는데 33-50%가 재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열성 경련의 재발에 관한 인자 중 초발 연령, 직계가족의 열성 경련 기왕력을 조사하였고 특히 열의 정도가 열성 경련의 재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방 법 : 가톨릭 의과대학 부속병원에서 초회의 열성 경련을 주소로 입원한 136명을 대상으로 하여 평균 2년간 추적 검사하였다. 열성 경련은 체온이 상승하여 열이 있을 때 전신적인 경련이 15분 이내 생긴 경우로 연령은 6개월에서 5년 사이로 선행되는 신경학적 이상이 있는 경우는 포함시키지 않았다. 대상 환아는 입원 시 열의 정도에 따라 39.5 이상군과 38.5 이상 39.5 미만군 및 38.5 미만군의 3군으로 나누었고 연령은 6개월 이상 18개월 이하 군과 19개월 이상 30개월 이하군 및 31개월 이상군으로 나누어 열성 경련의 재발율을 조사하였다 결 과 : 1) 가족력에 따라 열성 경련이 재발한 환아를 보면 직계 가족의 경련성 질환 가족력을 보면 열성 경련 가족력이 있는 경우는 12명(60.0%)으로 통계학적으로 의의가 있었으며, 간질의 가족력은 3명(42.9%), 열성 경련과 간질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는 2명(66.7%)이었다. 열성 경련이 재발한 환아에서 직계 가족의 경련성 질환 과거력이 없는 경우는 25명 (23.5%)이었다. 2) 열의 정도에 따라 열성 경련의 재발율을 보면 I군의 경우 6개월 이상 18개월 이하 연령에서는 3명(15.8%)으로 통계학적으로 의의가 있었으며, 19개월 이상 30개월 이하 연령에서는 2명 (13.3%)으로 통계학적으로 의의가 있었다. Ⅱ군의경우 6개월 이상 18개월 이하 13명(36.1%)이었고 19개월 이상 30개월 이하는 5명(23.8%)이었다. Ⅲ군은 6개월 이상 18개월 이하 10명(41.7%)이었고 19개월 이상 30개월 이하는 6명(46.2%)이었다. 3) 초발 열성 경련 후 재발 시기를 살펴보면 6개월 안에 22명(52.4%)이 재발하였으며 12개월에 34명(81.0%)이 재발하였고 18개월에는 39명(92.9%)이 재발하였다. 4) 초발 연령의 경우는 6-12개월 및 13-24개월의 상대 위험도는 각각 3.375(95% CI 0.944-12.061) 및 1.718(95% CI 0.520-5.673)로서 연령이 24-36개월에 비해 재발 위험율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며 6-12개월인 경우 통계학적으로도 의의가 있었다. 결 론 : 열성 경련의 재발은 초발 연령이 어릴수록 많았으며, 직계 가족의 열성 경련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 재발이 더 많았고 특히 열의 정도를 살펴보면 체온이 낮은 경우 재발율이 높았다. 따라서 열의 정도가 열성 경련 재발의 유용한 지표라고 생각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열성경련의 재발과 혈청 Na⁺ 농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박호진(Ho Jin Park) 대한소아신경학회 1998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5 No.2

        목적 : 발열은 수분과 전해질 평형에 이상을 초래할 수 있다. 저나트륨혈증이 소아의 열성경련에 대한 감수성을 증가시켜, 열성경련을 촉발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 첫 열성경련시 혈청 Na+ 농도가 낮을수록 재발빈도가 높지 않은가 생각되어 왔다. 이에 저자는 열성경련 환아에서 혈청 Na+농도의 분포를 알아보고 저 나트륨혈증이 열성경련의 재발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94년부터 1996년까지 만 3년동안 서울적십자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열성경런 환아 136명을 환자군으로 하고, 동일 기간동안 경련과 발열 모두 없었던 환아 36명을 대조군Ⅰ, 경련없이 발열만 있었던 환아 53명을 대조군 Ⅱ, 비열성경련환아 15명을 대조군 Ⅲ으로 설정하여 혈청 Na+농도를 비교하였다. 또, 열성경련 환아를 재발이 있었던 32명과 재발이 없었던 104명으로 구분하여 혈청 Na+농도와 열성경련의 재발율을 비교하였다. 결과 : 환자군 평균 혈청 Na 농도는 134.99±3.59mmol/L이었으며, 대조군 Ⅰ은 137.92±2.19mmol/L, 대조군 Ⅱ는 137.49±2.94mmol/L, 대조군 Ⅲ는 137.73±2.52mmol/L이었다. 환자군의 평균 혈청 농도는 모든 대조군에 비해서 유의하게 낮았으나(p<0.001), 대조군들간에는 별 차이가 없었다(p>0.05). 열성경련 재발군에서는 혈청 Na+농도가 133.00±3.21mmol/L로 재발이 없었던 환자군(135.85±3.28mmol/L)에 비해서 유의하게 낮았다(p<0.001). 혈청 Na농도가 130mmol/L인 경우 같은 열성질환중에 경련이 재발할 확률은 60% 정도인데 반해 140mmol/L일 때는 10% 이하이었다. 결론 : 열성경련 환아에서 혈청 Na+농도의 측정은 매우 유용한 검사로 여겨진다. 혈청 Na+농도가 낮을수록 열성경련의 발생 및 재발 가능성이 높았다. 따라서 열성경련 환아가 응급실에 도착 즉시 혈청 Na+농도를 측정하여야 하고, 혈청 Na+농도는 입원여부를 결정하고, 재발 가능성에 대하여 환자의 부모들에게 설명할 수 있는 적절한 지표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저나트륨혈증이 있는 경우 수분제한 등 적절한 조치도 함께 해야 열성경련의 재발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 Fever plays an important role in causing disturbances in fluid and electrolyte balance. Hyponatremia has been thought to enhance the susceptibility to febrile convulsions in childhood and to increase a risk of repeat convulsion during same febrile illness. I therefore carried out a study in attempt to investigate how high the serum sodium level is in children with febrile convulsions, and whether there is an association between the recurrence of febrile convulsions and hyponatremia Methods : Blood samples for serum sodium measurement were taken from 136 children visited to the Seoul Red Cross Hospital due to an acute febrile convulsion during the period between 1994 and 1996(patient group). I also checked serum sodium in a group of age-matched controls (control group I : no fever, no convulsion, control group Ⅱ : fever only, control group Ⅲ : non-febrile convulsions). The patient group was divided into two groups, recurrent and non-recurrent groups.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Student's t-test. Results : The mean serum sodium level(134.99±3.59mmol/L) was significantly lower as compared to all control groups(control group Ⅰ : 137.92±2.19mmol/L, control group Ⅱ : 137.49±2.94mmol/L, control group Ⅲ : 137.73±2.52mmol/L, p<0.001). The mean serum sodium levels were not different between each other control groups(p>0.05). Thirty-two of the 136 children(23.5%) with a febrile convulsion developed a repeat convulsion. The mean serum sodium level in the group with repeat convulsions(133.00±3.21mmol.L)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mean in the group without repeat convulsions(135.85±3.28mmol/L). The risk of a repeat convulsion approaches 60% in cases with serum sodium levels of 130mmol/L and gradually decreases to less than 10% in cases with serum sodium levels of 140mmol/L. Conclusion : Hyponatremia may increase the susceptibility to the febrile convulsions. The lower the serum sodium level,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a repeat convulsion. This may be of practical value in deciding whether to admit the chid and in advising parents or carers of the risk of a repeat convulsion.

      • 열성경련 환아 부모들의 정보와 지지에 대한 요구도

        송경숙(Song, Kyoung-Suk1),박영숙(Park, Yeong-Sook) 계명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09 계명간호과학 Vol.13 No.1

        Purpose :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information and social support of parents of children with febrile convulsion. Method :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s which were constructed to include needs of information and support from parents who had febrile convulsion child. Result : 101 parents required the information and support of febrile convulsion managements and treatments from docters and nurses. Frequency of repeated febrile convulsion, family history, duration of febrile convulsion, and information on febrile convulsion were significantly effected parents needs of informations and suppor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quirement of needs of informations and suppor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ose with family history of seizure, longer duration of seizure, repeated febrile convulsion and information parents perceived. Conclusion: Therefore nursing interventions to reduce stress and improve coping and management should be provided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febrile convulsion.

      • KCI등재후보

        열성 경련시 발열 정도와 열성 경련의 재발

        문세나(Sena Moon),최병준·(Byung Jun Choi),이인구(In Goo Lee),황경태(Kyung Tai Whang) 대한소아신경학회 2006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4 No.1

        목 적: 본 저자들은 이전 보고에서 열의 정도가 열성 경련 재발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체온이 낮은 경우 열성 경련 재발이 다소 증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였다. 따라서, 본 저자들은 이전 보고보다 연구 대상 열성 경련 환아 수와 기간을 늘려 열성 경련의 재발에 관한 인자 중 직계 가족의 열성 경련 기왕력을 조사하였고 초발 연령과 특히 열의 정도가 열성 경련 재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방 법 : 6년 동안 초회의 열성 경련을 주소로 내원한 환아를 대상으로 하여 최고 2년간 추적 검사하였다. 대상 환아는 열의 정도에 따라 39.5℃ 이상군, 38.5℃ 이상 39.5℃ 미만군 및 38.5℃ 미만군의 3군으로 나누었고 연령은 6개월 이상 18개월 이하군, 19개월 이상 30개월 이하군 및 31개월 이상군으로 나누어 열성 경련의 재발률을 조사하였다. 결 과: 열성 경련 재발을 살펴보면 직계 가족이 열성 경련 가족력이 있는 경우는 19명(41.3%)이며, 간질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는 5명(35.7%)이었다. 열의 정도에 따라 열성 경련의 재발률을 보면 I군의 경우 6개월 이상 18개월 이하 연령군에서는 5명(13.5%)이었고, 19개월 이상 30개월 이하는 5명(19.2%)이었다. II군의 경우 6개월 이상 18개월 이하는 22명(36.1%)이었고 19개월 이상 30개월 이하는 8명(24.2%)이었다. III군은 6개월 이상 18개월이하는 21명(42.0%)이었고 19개월 이상 30개월 이하는 8명(38.1%)이었다. 6개월 이상 18개월 이하 연령에서 I군에 비해 III군이 4.6배 재발이 많았으 며 이는 통계학적으로 의의가 있었다. 결 론 : 본 논문 결과에 따르면, 어린 연령에서 비교적 높지 않은 열이 있을 때 열성 경련이 생기는 경우에는, 추후 열성 경련의 재발이 높을 것을 시사하며 이에 대해서는 앞으로 임상 및 동물 실험 등이 더욱 많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Recently, many studies on febrile convulsions again suggest that the degree of pyrexia may be related to the recurrence of febrile convulsions. In a previous study, we advocated that a low body temperature during the initial febrile convulsions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 of recurrent febrile convulsions. Therefore, we have expanded the study by including 246 febrile convulsions during 6 years and investigated risk factors and especi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pyrexia and the recurrence rates. Methods : Children with febrile convulsion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degree of fever. Group I showed body temperatures higher than 39.5℃, group II from 38.5 to 39.4℃, and group III lower than 38.4℃. Then, we analyzed the recurrence rates of febrile convulsions. Results : There occurred recurrent febrile convulsions in 19(41.3%) children with family history of febrile convulsion and 5(35.7%) children whose first-degree relatives diagnosed epilepsy. In group I, 5(13.5%) infants aged 6-18 months and 5(19.2%) aged 19-30 months had recurrent febrile convulsions. In group II, 22(36.1%) infants aged 6-18 months and 8(24.2%) aged 19-30 months had recurrent febrile convulsions. In group III, 21(42.0%) infants aged 6-18 months and 8(38.1%) aged 19-30 months had recurrent febrile convulsions. Concl usi on : Children with a lower degree of pyrexia and also younger age at the onset of the first febrile convulsion were more susceptible to recurrent febrile convulsios than otherwise.

      • KCI등재

        영아에서 철결핍 빈혈과 열성경련과의 상관관계

        전윤수,방호일,유승택,신새론,최두영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10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53 No.3

        Purpose:The association between iron deficiency anemia and febrile convulsion in infants has been examined in several studies with conflicting results. Therefore, the authors aimed to evaluate the precise relationship involved. Methods:In this case-control study, the authors assessed 100 children with a diagnosis of febrile convulsion, aged between 9 months and 2 years, during January 2007 to July 2009.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100 febrile children without convulsion; controls were closely matched to the cases by age, gender, and underlying disease. Results:The mean ages of the febrile convulsion and control group were 16.3±7.4 and 15.8±6.1 months, respectively, and the two groups had no differences in clinical features. Iron deficiency anemia (Hb <10.5 gm/dL) was more frequent in the febrile convulsion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although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Unexpectably, the RDW (red blood cell distribution width) was significantly lower and the MCNC (mean corpuscular hemoglobin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seizure cases than among the controls (P<0.05). There i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simple and complex febrile groups in the clinical and laboratory profiles. O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ron deficiency anemia was more frequent, but the RDW was lower, among the cases with febrile convulsion, compared with the controls. Conclusions:Our study suggests that the iron deficiency anemia is associated with febrile convulsion, and screening for iron deficiency anemia should be considered in children with febrile convulsions. 목적:철 결핍 빈혈과 열성경련은 6개월-2세 사이에 호발하며 철 결핍 빈혈은 영아에서 다양한 신경학적 장애를 일으키고 열성경련은 간질과 관련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연관관계에 대해서는 상반된 보고가 있어 그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2007년 1월 1일부터 2009년 7월 31까지 원광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에 입원치료 받은 9개월에서 2세사이의 발달지연이나 신경학적 결함 및 중추신경계 감염이 없는 열성 경련 환아 100명과 열성 경련이나 이전의 경련 병력이 없이 발열 증세를 보인 100명을 대조군으로 선정하여 의무 기록지를 이용하여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열성경련 군과 대조군, 단순 열성경련 군과 복합 열성경련 군 사이의 평균 연령, 성별, 원인질환별 차이는 없었다. 복합 열성경련 군에서 단순 열성경련 군에 비해 총 경련 횟수, 내원 시 경련 시간과 횟수가 의의 있게 높았으며, 경련 시 최고 체온과 전체 열 발생 기간은 높았으나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철 결핍 빈혈은 열성경련 군에서 39%로 대조군의 28%에 비해 많았으나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평균 적혈구 용적, 평균 적혈구 혈색소는 열성경련 군에서 높았으나 차이는 없었고, 열성경련 군에서 평균 적혈구 혈색소 농도는 의미 있게 높고 적혈구 분포 폭은 낮았다. 단순 열성경련 군과 복합 열성경련 군 사이에는 혈액학적 소견의 차이는 없었다. 단변량 분석에서 P값 0.010 미만인 몇 가지 인자들의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열성경련 군에서 빈혈의 빈도가 의미 있게 높았다. 결론:열성경련과 철 결핍 빈혈이 상호 관련성이 비록 단변량 분석 시에는 의미가 없었으나 다변량 분석에서 밀접한 관련성을 보여 주어 열성경련의 재발이나 악화를 막기 위해 적극적인 빈혈에 대한 평가와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복합 열성 경련의 아형에 대한 임상적 고찰

        남상욱(Sang Oik Nam),김동욱(Dong Wook Kim) 대한소아신경학회 1996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3 No.2

        복합 열성 경련은 부분 발작 또는 24시간 내에 2회 이상 반복하거나 15분 이상 지속되는 경련을 보이는 열성 경련으로 열성 경련의 재발이나 간질로 이행될 위험이 단순 여성 경련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복합 열성 경련의 임상상을 조사하여 세부 분류를 시도함으로써 향후 예후에 대한 전향적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1990년 3월부터 1995년 2월까지 5년 동안 부산 대학교 병원 및 경상 대학교 병원에서 복합 열성 경련으로 진단 받았던 15세 미만의 환아 213례를 대상으로 성별, 연령 분포, 경련 양상을 조사하였으며 각 아형에 따라 국소성 경련을 C1, 지속성 경련 (경련 지속 시간이 15분 이상인 경우)을 C2, 반복성 경련(24시간 이내에 2회 이상 경련을 일으킨 경우)을 C3, 국소성 지속성 경련을 C12, 국소성 반복성 경련을 C13, 지속성 반복성 경련을 C23, 국소성 지속성 반복성 경련을 C123로 정의하여 세부 분류를 하였다. 전체 환아 213례중 남아는 122례(57.3%)였고 여아는 91례(42.7%)로 남녀 성비는 1.34:1이었다. 전체 환아 213례중 1세에서 1½세 사이에 발현한 경우 53례(24.9%)로 가장 많았고 6개월 이하와 6-12개월이 각각 20례(10.8%), 33례(15.5)로 1세 이하에 발현한 경우도 55례(26.3%)를 차지하였다. 5세 이상에 발현한 경우는 26례(12.2%)였다. 복합 열성 경련의 아형 중에서 반복성 경련(C3)이 118례(55.3%)로 가장 흔했고 그 다음이 지속성 경련(C2)으로 55례(25.8%)이었다. 지속성 경련과 반복성 경련이 동시에 있었던 경우(C23)는 22례(10.3%)로 세 번째를 차지하였고 가장 희귀한 아형은 국소성 지속성 반복성 경련의 조건을 모두 만족했던 경우(C123)로 3례(1.4%)이었다. 국소성 경련(C1)을 보인 총 18례중에서 단순 부분 발작의 양성을 보인 경우가 4례(22.0%), 복합 부분 발작을 보인 경우가 8례(44.0%) 그리고 이차성 전범화 발작이 4례(22.0%)이었다. 지속성 경련(C2)을 보인 총 85례 중에서 경련의 지속 시간이 15분 이상 30분 이내인 경우가 46례(54.1%)로 가장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고 30분 이상 60분 이내가 18례(21.2%), 60분 이상 120분 이내가 13례(15.3%), 120분 이상이 8례(9.4%)이었다. 반복성 경련을 보인 총 149례중 24시간 내에 2회 이상 5회 이내의 경련을 보인 경우가 135(90.6%)레로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10회 이사의 경련을 보인 경우는 3례(2.0%)에서 관찰되었다. Complex febrile convulsion has been reported to have more risks to recurrent febrile convulsion and the development of epilepsy. So we reviewed the clinical features accordion to the subtypes of the complex febrile convulsion. Medical records of the 213 children (male 122, female 91) diagnosed as complex febrile convulsion were reviewed. Subtypes were defined as followings : focal seizure (C1), prolonged seizure (C2) and repeated seizure (C3). When two or more subtypes were coincided, they were defined as C12, C23, C13 and C123. Peak age of onset in the complex febrile convulsion is 12-18 months old (24.88%) somewhat earlier than that in the simple febrile convulsion. Must common subtype was C3 (55.4%), the second is C2 (25.8%) and the followings were C23 (10.3), C13 (2.8%), C12 (2.3%), C1 (1.9%) and C123 (1.4%) in order. Of 16 cases of C1 subtype complex partial seizure were 8 cases (50%), simple partial seizure 4 cases (25%), partial seizure with secondary generalizetion 4 cases (25%). Of 85 cases of C2 subtype 15-30 minutes were 46 cases (54.1%), 30-60 minutes 18 cases (21.2%), 60-120 minutes 13 cases (15.3%) and 129 minutes or more 8 cases (9.4%). Of 149 cases of C3 subtype 2-5 attacks a day were 135 cases (90.6%), 6-10 attacks a day 11 cases (7.4%) and 11attacks or more 3 cases (2.0%).

      • KCI등재후보

        열성경련 환아에서 혈청 및 뇌척수액내 Na와 Zn의 변화

        조우제(Woo Jae Cho),손병희(Byeong Hee Son),김성원(Sung Won Kim) 대한소아신경학회 1999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7 No.2

        목 적 : 열성경련은 소아에서 흔한 경련성 질환으로 그 발생기전이 아직 정확하게 규명되지는 않았지만 전해질 이상과 신경전달물질의 변화 및 미량 원소의 농도가 중요하다고 생각되어져 왔다. 이전의 연구에서 혈청 Na와 CSF의 아연 농도가 열성경련에서 감소한다고 보고하였다. 이에 저자들은 급성인후염, 무균성 뇌수막염과 열성경련에서 혈청과 뇌척수액 내의 Na와 Zn의 농도 변화의 차이에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8년 3월에서 12월까지 경련없이 발열이 있었던 군과 열성경련으로 성분도병원 소아과에 입원한 환아 37명(남 21명, 여 16명)을 대상으로 말초정맥혈과 뇌척수액의 Na와 Zn을 측정하였다. 제Ⅰ군은 경련 없이 발열만 있었으며 대부분의 원인이 급성인후염인 군(남 6명, 여 5명), 제Ⅱ군은 무균성 수막염과 발열을 동반한 군 (남 8명, 여 7명), 제Ⅲ군은 열성 경련과 정상 뇌척수액 소견을 보인 군(남 7명, 여 4명)으로 하였다. 통계는 SAS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Wilcoxon 2-Samplc Test로 분석하였다. 결 과 : 1) 대부분의 원인이 급성 인후염인 열성 질환군인 Ⅰ군은 11명(남 6명, 여 5명)이었으며 평균연령은 34.1개월이었으며 말초 혈액의 Na과 아연 농도의 평균치는 143.09±2.84mmol/L과 90.38±9.09㎍/L이었고, 뇌척수액의 Na과 아연 농도의 평균치는 138.72±5.53mmol/L, 41.61±13.03㎍/L이었다. 2) 무균성 뇌수막염인 제Ⅱ군은 15명(남 8명, 여 7명)이었으며 평균연령은 65.1개월이었으며 말초혈액의 Na과 아연 농도의 평균치는 141.60±2.49mmol/L과 90.28±13.64㎍/L이었고, 뇌척수액의 Na과 아연 농도늬 평균치는 139.64±4.64mmol/L, 45.80±12.66㎍/L이었다. 3) 열성 경련인 Ⅲ군 경우 11명(남 7명, 여 4명)이었으며 평균연령은 47.4개원이었으며 말초 혈액의 Na과 아연 농도의 평균치는 142.54±1.80mmol/L, 97.16±14.54㎍/L이었고, 뇌척수액의 Na과 아연 농도의 평균치는 138.82±2.25mmol/L, 41.04±11.17㎍/L이었다. 4) 세 군간의 뇌척수액과 말초혈액의 Na와 아연 농도차이는 Wilcoxon 2-Sample test(Normal Approximation)상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본 연구에서는 열성경련 환아에서 혈청과 뇌척수액 내에서 저 나트륨혈증과 저 아연치를 보이지 않았다. 미량원소 검사 시기와 약물 복용등에 따른 측정치의 정상화도 고려할 수 있으며 미량원소의 변화가 중추신경계 일부에 국한되어 나타날 가능성도 있다. 그러나 아직 전해질과 미량원소가 열성경련의 발생에 관여하는지는 논쟁의 여지가 많은 부분이다. 그러므로 열성경련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미량원소 그리고 흥분성 또는 억제성 신경전달 물질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A febrile convulsion is a common event during childhood, its pathogenesis is not clear. But there are some hypotheses including electrolyte imbalance, neurotransmitter and metabolic change. Hyponatremia has been thought to decrease the threshold for febrile convulsion and low cerebrospinal zinc level induced by fever or infections causes low cerebrospinal gamma-aminobutyric acid(GABA) which is a major inhibitory neurotransmitter. We therefore carried out a prospective study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n association with serum sodium levels, CSF zinc concentration and febrile convulsions. Methods : Blood and CSF samples for sodium and zinc were taken from 37 children at Pusan Saint Benedict Hospital due to febrile illness from March 1998 to December 1998.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11 with fever but without convulsions(Group I), 15 with aseptic(viral) meningitis(Group II), and 11 with febrile convulsions(Group III).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Wilcoxon 2 Sample Test. Results : The means of serum sodium, Zn level and CSF Na, Zn level in the febrile convulsion group were not significantly lower than in other groups(for serum Na : group I 143.09±2.84mmol/L, group II 141.60±2.49mmol/L, group III 142.54±1.80mmol/L; for CSF Na : group I 138.72±5.53mmol/L, group II 139.64±4.64mmol/L, group III 138.82±2.25mmol/L; for serum Zn : group I 90.38±9.09micro gram/L, group II 90.28±13.64micro gram/L, group III 97.16±14.54micro gram/L; for CSF Zn : group I 41.61±13.30micro gram/L, group II 45.80±12.66micro gram/L, group III 41.04±11.17micro gram/L).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rum sodium and CSF zinc between the three groups of children. Conclusion : There is no evidence in this study, that hyponatremia may increase the susceptability to febrile convulsion or that zinc deprivation may play a role in the pathogenesis of febrile convulsion in previous study. So, more study of pathophysiology of febrile convulsion is needed.

      • KCI등재후보

        Prostaglandin E-2와 열성 경련 재발

        이승희(Seung Hee Lee),최병준(Byung Joon Choi),이인구(In Goo Lee),황경태(Kyung Tai Whang) 대한소아신경학회 2001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9 No.2

        목 적 : PG는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매우 미량으로 존재하지만, 열성 경련이 있는 경우에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PGE를 뇌실 내로 주입하면, 경련을 중화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후에 경련 재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저자들은 열성 경련시 PGE값을 알아보고 열과의 반응을 보았으며, 처음 열성 경련시의 PGE 값의 변화에 따라, 추후에 열이 나는 에피소드가 있을 때 생기는 열성 경련의 재발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알아 보았다. 방 법 : 가톨릭 의과대학 부속병원에서 초 회의 열성 경련을 가지고 온 환아를 검사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환아에서 뇌 척수액을 채취하였으며, PGE를 방사면역측정법(Prostaglandin E2 [125I] assay system, Biotra Assays, Amershan Inc.)으로 측정하였다. 열성 경련 환아 중, 36개월까지 추적할 수 있는 경우를 결과 대상에 포함시켰고, 추적 검사 기간 동안 항경련제는 사용하지 않았다. 열성 경련 환아에서 얻은 PGE 레벨을 온도에 따라 다시 살펴 보았고, PGE 값에 따른 재발 시기의 변화를 알아 보았다. 결 과 : 열성 경련 환아 총 105명을 36개월까지 추적 할 수 있었다. 열성 경련이 있는 군에서 PGE 값은 열이 38.4℃ 이하인 경우는 27.7±21.0 pg/㎖, 38.5℃ 이상 39.4℃ 이하는 83.6±38.3 pg/㎖, 39.5℃ 이상인 경우는 205.6±40.0 pg/㎖, 4개월에서 6개월 재발군은 134.9±74.6 pg/㎖, 7개월에서 9개월 재발군은 118.9±39.6 pg/㎖, 10개월에서 12개월 재발군은 133.5±69.2 pg/㎖, 13개월에서 18개월 재발군은 106.5±106.4 pg/㎖, 19개월에서 24개월 재발군은 123.7±100.6 pg/㎖와 25개월에서 36개월 재발군은 142.1±172.5 pg/㎖이었다. 결 론 : 열성 경련 환아에서 증가한 PGE 값은 온도와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재발군에 따른 PGE를 고찰하여 본 결과, PEG 값에 따른 재발 시간 변화의 연관 관계는 없었다. 앞으로 열성 경련에서 증가된 PGE 값 역할에 대한 좀 더 포괄적인 연구가 추후 필요 할 것으로 생각되며, 아울러 열이 있을 때 흔히 먹이는 해열제와의 연관성을 밝히는 연구는 시행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Concentrations of prostaglandin(PG)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is very low in physiologic conditions and are known to increase in response to febrile convulsions. And, intracerebroventricular injection of prostaglandin E-2(PGE) in unanesthetized cats is accompanied by a rise in body temperature, a decrease in convulsions, and a modulation of the convulsive thresholds, but the possible physiological role of different PGs in induction, termination, and recurrences of seizure activity is not clear. We observed the change of PGE according to temperatures in first febrile convulsion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currence of febrile convulsions and PGE. Method : In the present study, the body temperatures of patients with initial febrile convulsions were measured. Spinal taps were performed. All CSF samples were stored in a deep freezer at 30℃ until the time of analysis and tested by Prostaglandin E2 [125I] assay system, Biotra Assays, Amersham Inc. Most children were treated with antipyretics immediately and tepid water massage. 105 patients with febrile convulsions could be studied for 36 months and the times of recurrence after first febrile convulsion during those period were measured. During febrile convulsions, no anticonvulsants were used. Based on 105 children with febrile convulsions, we analyzed the results.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The levels of PGE at temperature 38.4 ℃, 38.5 ℃ temperature 39.4 ℃, and temperature 39.5 ℃ were 27.7±21.0 pg/㎖, 83.6±38.3 pg/㎖, and 205.6±40.0 pg/㎖. The levels of PGE during 3 months recurrence group were 79.1±15.8 pg/㎖, those during 4-6 months recurrence group were 134.9±74.6 pg/㎖, those during 7-9 months recurrence group were 118.9±39.9 pg/㎖, those during 10-12 months recurrence group were 133.5±69.2 pg/㎖, those during 13-18 months recurrence group were 106.5±106.4 pg/㎖, those during 19-24 months recurrence group were 123.7±100.6 pg/㎖, and those during 25-36 months recurrence group were 142.1±172.5 pg/㎖. Conclusion : Significantly elevated concentrations of PGE in febrile convulsions were found and related to increased body temperature. In the recurrent groups of febrile convulsions,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PGE levels and recurrences time of febrile convulsions. It is not clear that increased PGE levels are, at least in part, to be related to recurrences of febrile convulsions. We think that more comprehensive research is needed to clarify the role of increased PGE in first febrile convulsion and the relationship to recurrences of febrile convuls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