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7세기 少論계열 지식인들의 聯句詩 고찰 - 吳道一·崔錫鼎·趙泰億의 시적 교류 양상을 중심으로

        김묘정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20 石堂論叢 Vol.0 No.7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aspects of poetic interaction and its meaning, centered on the linked verses of Soron intelligentsia in the 17th Century. Accordingly, In Chapter 2, this study was to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nked verses identified in terms of exchange, with the introduction of O Do-il·Choi Seok-Jeong·Jo Tae-Eok's status of versification. In Chapter 3,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pects from the linked verses by Soron intelligentsia. First, this study has found out that there were aspects of expressing the poetic interaction and poetic inspiration through the meeting. It is characteristic that the Soron intelligentsia embodied not only the drinking and banquet tables, but also the personal enjoyment from various gatherings in poetry. Second,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pattern of emotional exchange during the farewell process through the form of versification for linked verses. Taking a look at the relationships of the intelligentsia who participated in the versification, they created a number of linked verses based on their personal friendship at the farewell ceremony, which means that they made their creation of linked verses routine. Third, this study was to comprehend that they exchanged opinions with various intelligentsia during their overseas experience by utilizing their linked verses with the aspects of sharing their public·private experience in the course of performing official duties. To conclude, Soron intelligentsia in the 17th Century were found to have demonstrated their poetic talent by operating various themes while complying with the writing methods of linked verses as relatively difficult poetry style. In addition, this study was to comprehend the aspects of everyday creation and shared experiences of linked verses through the poetic interaction. It is considered as it showed one aspect of the poetic features of the Soron intelligentsia. 이 글은 17세기 少論계열 지식인들의 聯句詩를 중심으로 시적 교류 양상과 그 의미를 밝히고자 기획된 것이다. 이에 2장에서는 吳道一·崔錫鼎·趙泰億의 작시 현황을 순차적으로 개관하는 것을 필두로 교류 측면에서 확인되는 연구시의 특징을 논의하였다. 이후 3장에서는 소론계열 지식인들의 연구시에서 확인되는 양상을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첫 번째로는 모임을 통한 시적 교유와 詩興의 발현 양상을 들 수 있다. 소론계열 지식인들은 음주, 연회의 자리뿐만 아니라 다양한 모임에서 비롯된 개인적인 흥취를 시로 구현하였다는 점에서 특징적 양상을 보임을 밝혔다. 두 번째로는 送別 과정에서의 연구시 작시 양태를 통해 감정 교류의 일상화 면모를 확인하였다. 작시에 참여한 지식인들의 관계를 살폈을 때 이들은 이별의 자리에서 개인적인 친분을 바탕으로 다수의 연구시를 지었는데, 이러한 면모는 소론계열 지식인들이 연구시 창작을 일상화했음을 의미한다. 세 번째로는 공무 수행 과정에서 확인되는 공적·사적 경험의 공유 양상으로, 여기에서는 이들이 연구시를 활용하여 해외체험 당시 다양한 지식인들과 의견을 나누었음을 파악하였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 있듯 17세기 소론계열 지식인들은 비교적 까다로운 시체인 연구시의 작법을 준수하면서도 다양한 주제를 운용해 시적 재능을 드러낸 것으로 확인된다. 또한 시적 교류를 통해 연구시 창작을 일상화하고 공적·사적 경험을 공유한 면모를 파악하였는데, 이는 소론계열 지식인들의 시문학적 경향의 일면을 보여준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 KCI등재

        임란 초기 전라좌의병과 임계영의 의병활동 - 전라도 근왕의병의 활동 사례 -

        조원래 조선시대사학회 2011 朝鮮時代史學報 Vol.57 No.-

        임진왜란시 전국적으로 봉기하여 일본군과 싸운 의병의 주류는 鄕保義兵이었다. 전라도를 제외한 전국이 일본군의 침략을 받은 상태에서 자연히 출신지역별 의병전투가 전개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전라도의 경우엔 북부의 일부 산간지역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이 보전되었다. 따라서 임진왜란을 극복함에 있어서 나라에서 믿는 바는 곡창 전라도의 물력과 인력 뿐이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당시의 전라도는 7년전쟁의 병참기지 역할을 수행하였고 도내에서 일어난 의병 또한 향토방위전이 아닌, 국토방위전의 활동을 펼쳐야 했었다. 도성수복을 위하여 경기도로 북상하여 침략군과 싸우거나, 적세가 치성한 경상도에 진군하여 失地恢復을 위한 의병전투를 전개하였다. 이른 바 勤王義兵의 활동을 펼친 뚜렷한 예가 전라도 의병이었다. 1592년 7월 전라도 보성과 장흥지역을 중심으로 일어난 임계영 휘하의 전라좌의병은 최경회 휘하의 전라우의병과 함께 연합전선을 이룬 가운데 경상우도에 진군하여 일본군과 싸웠다. 이들의 主攻戰線은 거창․성주․개령․선산지역이었으며, 그 중에서도 성주 개령지역에서 계속된 전투에서 거둔 전과는 매우 컸다. 개전 초부터 毛利輝元(모리 테루모토)와 桂元綱(카쓰라 모토츠나) 휘하의 일본군 주력부대가 소굴을 이루고 있었던 성주 개령일대를 수복하였기 때문이다. 특히 임진년 12월 14일에 벌어진 성주대첩에서는 성내에 진치고 있던 일본군을 들판으로 유인한 후, 현지의 관군과 향보의병이 모두 전투를 기피한 상황에서, 전라좌의병 독력으로 적병을 거의 섬멸하였다. 당시 이 지역에서 세운 전라좌의병의 뚜렷한 전공은 현지의 의병지도부와 비변사의 평가에도 잘 나타나 있다. 전라좌의병장 임계영은 16세기 전라도 사림파 가문의 일가였던 장흥임씨가의 인물로서 선조 초에 문과에 급제하여 진보현감을 지낸 전직문관이었다. 그는 65세의 노령에 의병을 일으켜 천리 밖에 떨어진 경상우도의 산간지역에서 의병활동을 계속하였으며, 성주와 개령지역을 탈환하였을 때는 66세의 고령이었다. 특히 그가 이끈 전라좌의병의 작전기간이 겨울 추위가 한창이던 때, 설한의 동토에서 진행된 악전고투의 의병항쟁이었다는 사실이 주목된다. 임란 초기 전라좌의병과 임계영의 의병활동을 통해 본 근왕의병의 활동여건은 향보의병에 비하여 큰 차이가 있었다.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원격지에서 펼친 군사활동이었다는 점에서 먼저 군량조달과 병력충원의 여건에서부터 현지 향보의병과는 크게 달랐고, 매우 불리하였다. 뿐만 아니라 의병의 사기를 저하시키는 갖가지 어려움이 뒷따른 가운데서 경상우도의 실지회복에 공헌했던 것이 전라좌의병의 근왕활동이었다. 아울러 전략전술면에서 독특한 전법을 구사한 것도 전라좌의병 지휘부였다. 군사행정과 전투지휘를 문관출신의 의병장과 무재가 뛰어난 副將이 각기 분담하여 의병활동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던 것이다. 즉 실전에서는 항상 부장 張潤이 정예병 수백명을 이끌고 신속하게 적진을 공격하는 형태를 취하였고, 노의병장은 전투현장에서 가까운 본진에 위치하여 군수보급과 행정업무를 총괄하였다. 이것은 곧 민병조직의 비정규군이 갖는 취약성을 보완, 의병의 전투효과를 극대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따라서 임란 초기의 의병활동에서 보여준 독특한 유형의 의병전략이었다는 점에서 주목되 ...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loyal troops who uprose and fought against Japanese army were mostly local loyal troops (鄕保義兵: protecting the local area). Since all of the national territory except Jeolla-do was invaded, it was natural to have local battles by loyal troops. However, most areas were protected except for a part of the northen mountainous areas in Jeolla-do which was the breadbasket. The nation was relying on material and human powers of Jeolla-do in order to overcome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During the war for 7 years, Jeolla-do served as a logistics base, and the loyal troops of honam area did not only serve as local troops but protected the nation. They came north to Gyeonggi-do to fight the capital back or advanced to Gyeongsang-do where enemies were vigorous to recover the lost lands. The only national loyal troops (勤王義兵 : protecting the whole nation not just the region) were honam loyal troops. Jeolla left loyal troops (全羅左義兵 : loyal troops in the left Jeolla-do area) under Im Gye Yeong(任啓英) uprose based on Boseong and Jangheung area of Jeolla-do in July 1592 built the united front with Jella right loyal troops (全羅右左兵 : loyal troops in the right Jeolla-do area) under Choi Gyeong Hoi(崔慶會) to advance to right Gyeongsang-do(慶尙右道) and fought with the Japanese army. Their major front was Geochang, Seongju, Gaeryeong and Seonsan area, and especially the result of the battle in Seongju and Gaeryeong area was great because they recovered those areas where the major Japanese troops under Mori Terumoto(毛利輝元) and Katsura Mototsuna(桂元綱) were dominating from the beginning of the outbreak of the war. Especially in Seongju Great Battle(星州大捷) on December 14, 1592, Jeolla left loyall troops independently destroyed almost all enemies by luring the Japanese army that were inside the castle to the field without the help of local royal forces and loyal troops. This clearly distinguished service of Jeolla left loyal troops in war is well recorded in the evaluations of local loyal troops leadership and bibyeonsa (the Office of Border Defense). Im Gye Yeong, the commander of Jeolla left loyal troops, is from Jang Heung Im family which was a Sarim group of Jeolla-do in 16th century. He was a former civil servant who was once jinbohyeongam(眞寶縣監) after passing the civil servant examination in the early Seonjo Dynasty. He gathered the loyal troops at the old age of 65 and continued resisting the Japanese army in the mountainous right Gyeongsang-do area about 390km away. When he recovered Seongju and Gaeryeong areas, he was 66. It is worth of notice that the battle time of Jeolla left loyal troops lead by him was in the middle of winter to make the resistance battles tough fights. The activities of Jeolla left loyal troops and Im Gye Yeong during the early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activity tendency of loyal troops serving the King is very different from it of local loyal troops. Since they carried military activities in geographically remote places, they had difficulties of food supplies and reinforcing very much unlike local troops. Against all difficulties that can collapse the morale of loyal troops, Jeolla left loyal troops served the King by fighting to recover the right Gyeongsang-do. Also, the command of Jeolla left loyal troops showed unprecedented battle strategies. The commander who was a former civil servant in age 65 and the young general with great martial arts skills each directed military administration and direction of actions to lead successful activities of loyal troops. In other words, at the battle sights, General Jang Yun lead 200 or 300 elite soldiers to attack the enemy's position quickly, and the old commander stayed in near military headquarters to handle military supplies and administration affairs. It fundamentally supplemented weaknesses of militia irregular troops and maximi...

      • KCI등재

        교회사회사업 프로그램으로서 영성수련회에 대한 효과성 검증

        유장춘(Jang Choon You),강병덕(Byung Deok Kang)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5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43 No.-

        This thesis will be about a study of the experience of the internal change of the people who attended ‘Finding the Beautiful World’, the first stage of Dail spiritual training program. The study is based on the quantitative inquiry of the postscript and survey of the people after the training. As a result of the survey , first of all, the participants showed great satisfaction with the training program. Second, through quantitative inquiry, it was possible to see the perspective and idea of oneself and the world has changed positively after the training. Third, the training could be evaluated as it attributed to the participants to become positive toward God, neighbour, family and themselves. It is clear that this spiritual training had great impact on the participants by seeing them forgiving their most unforgivable people in their lives throughout the training. 본 논문은 다일공동체의 영성수련 프로그램 1단계 ‘아름다운 세상 찾기’에 참석한 사람들이 기록한 후기와 설문을 바탕으로 양적조사를 통하여 그들에게 일어난 내적인 변화의 경험을 제시한 연구이다. 이 조사의 결과를 통하여 먼저, 참여자들은 영성수련 과정에 대하여 높은 만족도를 보여주었으며, 둘째로, 조사를 통하여 이 영성훈련이 개인에게 자기 자신에 대한 관점과 세상에 대한 생각이 긍정적으로 높아졌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셋째로, 하나님, 이웃, 가족, 그리고 자신과의 관계에 대하여 모두 긍정적으로 변화되는데 기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특별히 용서할 수 없었던 사람들을 이 수련의 과정을 통하여 용서할 수 있게 되었다는 사실은 이 영성수련 프로그램이 관계의 회복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 한국 기독교 성육신의 영성과 사회봉사

        이강학 한국교회사회사업학회 2010 교회와 사회복지 Vol.13 No.-

        본 논문은 한국 기독교의 영성운동과 사회봉사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먼저, 기독교 영성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기독교 영성학자 샌드라 쉬나이더스(Sandra Schneiders)의 영성의 정의를 바탕으로 기독교 영성이 무엇인가를 자세히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위에서 살펴본 정의를 바탕으로 기독교 영성이 사회봉사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기독교 영성과 사회봉사의 관계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두 가지 운동 즉, 귀일원과 다일공동체를, 그 출발점과 사회봉사의 관계, 영성훈련의 특징이라는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결론적으로, 두 운동 모두 예수를 사랑하고 예수를 따르려는 것이 모든 활동의 동기였으며, 특히 사회봉사활동은 그 동기에서 나오는 자연스러운 영성훈련이었다. This paper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Christian spirituality and social service. First, it deals with the definition of Christian spirituality. Using the definition of spirituality by Sandra Schneiders, this paper explores various aspects of Christian spirituality. Second, based on the definition, it develops how Christian spirituality relates to social service. Finally, this paper explores two representative Christian spiritual movements, Guiilwon and Dail Community, focusing on its beginning, its perspective on social service, and spiritual practices. In sum, for both movements, the motivations are to love and follow Jesus Christ and all their activities including social service have been naturally flowed from those motiv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