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분석에 적용 가능한 단위 연구: 학령기 아동의 구어자료를 중심으로

        김정미(Jung-Mee Kim),정연주(Yeonju Jeong),신지영(Jiyoung Shi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3 No.4

        배경 및 목적: 학령기 아동의 구어 분석을 위해 사용되는 Communication unit (C-unit)은 영어권에서 제안된 것으로 한국어에 적용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의 특성을 고려하여 C-unit과 절 구분에 대한 정교한 지침을 마련하고 이를 일반 학령기 아동의 이야기 산출 자료에 적용하여 적용가능성을 살펴보고 구분 신뢰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초등학교 1학년, 3학년 및 5학년 일반아동 총 48명을 대상으로 하여 수집한 이야기를 새로운 지침에 근거하여 C-unit과 절을 구분한 후 C-unit당 어절수(MLU-e)와 C-unit당 낱말수(MLU-w)를 비롯하여 C-unit당 종속절의 수를 유형별로 산출하였다. 또한 분석자 간 신뢰도를 산출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사용 빈도수가 낮은 명사절을 제외하고 학년이 올라갈수록 모든 측정치가 증가하였다. 집단 간 비교를 위해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MLU-e, MLU-w, C-unit당 부사절수, C-unit당 인용절수, C-unit당 종속절수 및 C-unit당 총절 수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unit 구분 및 절 구분에 대한 분석자 간 일치도를 산출한 결과 각각 93.52%와 95.0%로 매우 높게 나타났 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접속사를 통해 발화를 연결하는 인구어와 달리 주로 어미를 이용하여 발화를 연결하는 한국어의 특성을 고려하여 한국어에 맞는 C-unit과 절을 구분하는 정교한 지침을 마련하였다. 이를 적용한 결과 학령기 아동들의 구문 발달을 살펴볼 수 있었으며 분석에 대한 높은 신뢰도가 산출되었다. 결론적으로는 새롭게 마련된 분석 지침이 우리나라 학령기 아동의 구어 분석에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Objectives: The C-unit is a basic unit for school-aged children’s spoken language analysis, and was developed for English speaking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 guide for C-unit and clause segmentation applicable to Korean and to analyze school-aged children’s narrative and yield the reliability. Methods: A total of 48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in grade 1, 3, and 5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asked to generate narratives and the narrative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The narratives were analyzed based on a new version of the segmentation guide in the number of eojeol (a Korean morphological unit) and words per C-unit, the number of adnominal clauses, adverbial clauses, nominal clauses and quoted clauses per C-unit and the number of total subordinate clauses and total clauses per C-unit. And interrater agreement was calculated. Results: With the exception of nominal clauses which were infrequently used, all the other measures increased as children moved to higher grades. And a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compared the performance of the three grade 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ade groups. And interrater agreement of C-unit and clause segmentation between the first researcher and the second researcher was 93.52% and 95.0%, respectively.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elaborate guide for C-unit and clause segmentation for Korean can be a useful tool. School-aged children’s syntactic maturity was observed when we applied it to their narratives. And interrater agreement of C-unit and clause segmentation was high.

      • KCI등재

        담화유형에 따른 학령기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구문사용 특성

        이현정(Hyun-jung Lee),김영태(Young-Tae Kim),윤혜련(Hea Ryun Yu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3 No.1

        배경 및 목적: 저학년은 종속절의 발달을 통해 구문발달이 일어나고, 다양한 목적을 위해 여러 가지 담화를 학습하고 사용하는연령이다. 따라서 학령기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평가는 다양한 담화 안에서 양적․질적으로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이 일상과 학교생활에서 가장 많이 접하는 대화(conversation)와 설명 담화(expository discourses)에서 어떤 구문 복잡성을 나타내는지 알아보고담화 유형을 확대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2~3학년의 단순언어장애아동 12명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아동 12명,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아동 12명이었다. 자료 수집을 위해 대화를 실시한 후 설명 담화를 유도하였다. 결과: C-unit 당 평균낱말길이(MLC-w), C-unit 당 평균 절의 수(MNC), C-unit 당 관형절 사용률, 부사절 사용률이 대화보다설명담화에서 더 많이 사용되었다. 또한 C-unit 당 평균 절의 수와 C-unit 당 명사절의 사용률은설명 담화에서 단순언어장애 집단이 생활연령일치 집단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며, C-unit 당 구문오류율은 대화와 설명 모두에서 단순언어장애 집단이 생활연령일치 집단과 언어연령일치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단순언어장애 집단의 구문오류유형도 담화유형 간 차이를 나타내었다. 논의및 결론: 구문사용은 담화유형과 집단에 따라 양적‧질적으로 많은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저학년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언어능력을 적절하게 평가‧중재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담화 유형을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분석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subordinative development and they use various discourse for diverse purpose. Thus various discourse genres need to use in evaluating in early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SL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yntactic complexity of school-aged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Two types of discourses (conversational and expository discourses) were selected because these are frequently used types in school and daily routine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2 2nd and 3rd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SLI (SLI group), 12 chronological age matched children (CA group); and 12 language age matched children (LA group). Each participant engaged in two types of discourse (conversation and expository discourse) because these are frequently used discourse types in school and daily routines. Results: Mean length of C-unit in word (MLC-w), Mean number of clauses per C-unit (MNC), the percentage of C-units containing relative clauses and adverbial clauses were higher in expository discourse than conversational discourse. MNC and nominal clauses in expository discourse were lower in SLI group than in the CA control group. The percentage of syntactic errors per C-unit (both in expository and conversational discourse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LI group than CA and LA control groups. Discussion &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re are significant group and discourse genre effect in syntactic complexity. These results have clinical implications. that different discourse genres could be used in evaluating and correcting language problems in early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SLI

      • KCI등재후보

        다문화 학습자 통사적 복잡성 측정법에 대한 현황과 과제

        김명광(Myoung-Kwang Kim)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16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6 No.2

        이 글은 ‘언어 숙달도’의 하나인 ‘통사적 복잡성’을 계량적으로 측정하는 방법론에 대한 최근의 연구 현황과 앞으로의 과제를 살펴본다. ‘통사적 복잡성’이란 ‘문장으로 자신의 복잡한 생각을 명확하게 표현하고 이해할 수 있는 정도’를 뜻하며, 이를 계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방법에 ‘최소종결단위 측정법’(T-unit: Minimal terminable unit), ‘의사소통단위 측정법’(C-unit: Communication unit), ‘문장성분단위 측정법’(CS: Constituents of sentence가 있다. 이 세 유형의 측정법에 대한 소개, 연구 성과, 그리고 그 한계점에 대하여 각 절에서 논한다. 2절에서는 T-unit 측정법을 살펴보는 데 T-unit 측정법은 보통 절 이상의 단위를 측정하여 문장의 통사적 복잡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T-unit 당 절 또는 종속절의 수, 그리고 ‘대등 지수’가 있다. 이 측정법은 문어 측정에는 적합하지만 구어에는 적용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음을 논증한다. 3절에서는 C-unit 측정법에 대한 논의를 한다. C-unit 측정법이 T-unit 측정 방법과 유사하지만 구어 처리를 위한 측정 방법이 고안되어 T-unit과 다름을 밝힌다. 일련의 연구 성과들도, 절 처리에 있어서 문제가 있어 향후 보완되어야 할 과제임을 말한다. 4절에서는 CS 측정법에 대한 논의를 한다. 이 측정법은 주로 유형과 길이를 중심으로 통사적 복잡성을 산출하는 방법으로 ‘해석문법(Analytical Grammar)’에 기반한다. 이 측정 방법을 사용한 일련의 연구들은 기존에 간과하였던 문장 성분의 복잡성을 수치화하였다는 데 큰 의의를 갖는다. 하지만 내포절이나, 이중적 기능을 가지는 절 등을 계산하는데 문제가 있음으로 해서 향후 방법론적인 정교성이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This study is aims at clarifying the current situation problems of measurement of Syntactic Complexity among language proficiency. Syntactic Complexity is a kind of ability who he/his can express or understand his/her intricate thought clearly to others or himself/herself. The measurement of it has three type, Minimal terminable unit(T-unit), Communication unit(C-unit), Constituents unit(CU), In Chapter 2, I discuss T-unit. T-unit calculates the number of the size more thant clause unit which has sub-measurements, of clause or subclause and equal one. It is appropriate for measuring the written materials not spoken ones. In Chapter 3, I discuss C-unit. The methodological approach of C-unit is similar to T-unit. but It has different instruments specific for spoken materials from T-unit. C-unit is appropriate for measuring spoken ones. but the view of clause should be supplemented. In Chapter 4, I discuss CU. CU mainly measures the number and type of constituents of sentence on the base of analytical Grammar. CU has strong point in that it includes constituents to syntactic complexity overlooking past methodological approachs. But it has also problem of connotation structure and double functional clause.

      • KCI등재

        초등 저학년 아스퍼거증후군 아동의 구문 표현 능력

        권유진(Eugene Kwo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5 No.2

        배경 및 목적: 아스퍼거증후군 아동은 초기 언어발달 과정에서 심각한 지체를 보이지 않고다만, 사회적 언어의 사용에 제한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화용적 측면에 대한 연구들은많이 있으나, 구문적 측면에는 별로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그러나 초기 언어발달과정과는달리 학령기에는 길고 복잡한 구문의 사용이 요구되므로 이 부분에서 일반 아이들과 차이가있는지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길고 복잡한 문장 표현이 요구되는 이야기다시말하기 과제를 통해서 아스퍼거증후군 아동의 구문 표현 능력을 살펴보았다. 방법: 초등학교 저학년 아스퍼거증후군 아동 집단과 두 일반아동 집단에게 글자 없는 그림과 그 내용을제시한 뒤 아동에게 다시 말하게 하였다. 이후 전사된 아동의 발화를 총 C-unit(Communicationunit) 수, 총 종속절 수 및 유형별 종속절(부사절, 명사절, 관형절, 인용절) 수, C-unit 당 평균절 수(Mean Number of Clauses in a C-unit) 등 네 가지 변수로 분석하였다. 일반 아동집단은 언어이해 일치집단과 이야기문법 회상율(%) 일치집단으로 나누어 분석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아스퍼거증후군 아동집단과 두 일반 아동집단 사이에 총 C-unit 수에서는 유의한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총 종속절의 수와 C-unit당 절의 수에서는 아스퍼거증후군 집단이 두 일반아동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능력을 보였다. 종속절 유형별로는 언어이해 일치집단과는 부사절, 관형사절, 인용절에서, 이야기문법 회상율(%) 일치집단과는 부사절에서 유의하게 낮은 능력을 보였다. 논의 및 결론: 이 연구를 통해 이야기의 전체 길이 측면에서는 일반아동과 유사하지만 이를 복잡한 구문으로 표현하는 것을 어려워하는 아스퍼거증후군 아동의구문적 특징을 볼 수 있었다. 즉, 학령기 아스퍼거증후군 아동의 경우 복잡한 구문 표현에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므로 언어 평가 및 중재 시 이 부분에 대해 고려할 필요가 있다. Background&Objectives: Asperger’s syndrome(AS) is a disorder characterized by autistic social deficit and subtle communication impairment. There is no history of language delay or mental retardation in the course of their early development. Despite these diagnostic criteria, numerous studies have shown that the children are limited in their social-emotional and communicative competences. Story-retelling task is one of the most useful tools for assessing complex sentence expression ability. This study addresses the abilities to use syntax expression in school-aged individuals with AS in Korea. Methods: Sixteen AS and 32 normal children were asked to retell a story from a wordless picture book ‘Frog, where are you?’(Mayer, 1969). The 32 normal children were divided evenly into two groups: a receptive language-matched normal group (language-matched) and a percent of story grammar-matched normal group (story-matched). The children’s syntactic abilities were analyzed by the total number of C-units, the total number of subordinate clauses, and the mean number of clauses in a C-unit that were contained in their retold stories. Results: For all variables, AS children showed more limited abilities than two normal children groups, except the total number of C-units. Discussion & Conclusion: This result implies the syntactic expression ability of AS children is lower than normal children although the ability of receptive language or story retelling are similar each other. Therefore, complex sentence expression should be an important consideration for language assessment and intervention in school-aged children with Asperger’s syndrome

      • KCI등재

        정상 노년층의 설명하기와 설득하기 담화 산출 특성: 유효정보, 구문복잡성, mazes를 중심으로

        신윤경,황민아,임종아 한국언어치료학회 2018 言語治療硏究 Vol.27 No.1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overall discourse ability of older adults by analyzing semantic and syntactic aspects and traits of mazes with expository and persuasive task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ractical ability to produce discourse. Methods: Twenty older adults (aged 65 and over) and 20 young adults (aged 20 to 28)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analysis investigate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semantic aspect (C-unit ratio of effective information); syntactic aspect (number of subordinate clauses, mean length of words); mazes ratio (total mazes ratio, mazes ratio per category);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asks in the older adults. In addition, this study also analyzed types of non-effective information in the older adults. Results: The older adults had significantly lower production in all semantic and syntactic aspects and higher maze ratios in both tasks compared with the young adults. In addition, the older adults exhibited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C-unit of effective information between the two tasks. Lastly, in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on ratio by type for C-unit of non-effective information, the ratio of inappropriate content for the subject was highest in expository tasks, while the ratio of unclear pronunciation was the highest in persuasive task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older adults have difficulty in delivering clear messages proper to subjects in both tasks with their syntactic complexity declining and mazes ratio increasing. This study verified the types of non-effective information that factors into interrupting the clear delivery of messages in older adults. These results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cognition in older adults including working memory as well as the implications and restrictions of the study. 목적: 본 연구는 실생활에서의 의사소통 상황을 반영한 설명하기와 설득하기 과제를 사용하여 노년층 담화의의미적, 구문적 측면, 언어적 비유창성인 mazes 특성을 청년층과 비교하여 노년층의 전반적인 담화 산출 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65세 이상 노년층 20명과 교육연수를 일치시킨 청년층 20명을 대상으로 하여설명하기와 설득하기 과제를 실시하였다. 발화의 의미적 측면(유효정보 C-unit 비율), 구문적 측면(유효정보C-unit 당 종속절 수, 유효정보 C-unit 당 평균어절길이), mazes 비율 (총 mazes 비율, 유형별 mazes 비율) 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노년층에서 과제 간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노년층에게서나타나는 비유효정보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년층은 청년층과 비교하여 설명하기와 설득하기 과제 모두에서 유효정보와 구문 복잡성의 비율이 낮았으며, mazes 비율은 높게 나타났다.과제 간 차이에서 노년층은 설득하기에서 설명하기보다 유효정보 C-unit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비유효정보 C-unit의 유형별 비율을 살펴본 결과, 설명하기 과제에서는 주제에 부적절한 내용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설득하기에서는 불명확한 발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 노년층은 설명하기와 설득하기 담화과제에서 주제에 적절한 내용을 명료하게 전달하는데 어려움을 보이며 구문 복잡성이 감소하고, mazes 비율은 증가하였다. 그리고 불명확한 발음, 문장 성분 생략 등은 주제에 대한 명료한 내용전달을 방해하는 요소들임을 확인하였다. 이에 대해 작업기억 등 노인의 인지적 특성과 함께 논의하였다.

      • KCI등재

        ADHD 아동들의 이야기 회상 산출과 집행기능과의 관계

        이윤경(Yoon-Kyoung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5 No.1

        배경 및 목적: ADHD 아동들의 담화능력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이 아동들의 담화산출 능력이 집행기능과 밀접하게 관련된다고 논의되고 있다. 본 연구는 ADHD 아동들의 이야기 회상산출 능력과 집행기능과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ADHD 아동들을 언어지체 여부에 따라 각각 10명씩, 총 20명을 표집하였으며 (단순 ADHD 10명, 언어장애 동반ADHD 10명), 통제집단으로 언어장애 동반 ADHD 아동들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언어지체아동 10명과 두 ADHD 집단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10명, 총 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자료로는 이야기 회상 산출을 위해 글자 없는 그림책, “Frog, where are you”를사용하여 수집하였으며, 집행기능을 스트룹 검사, 아동색선로 검사, K-WISC-Ⅲ의 수회생 과제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이야기 자료에서는 이야기 회상율, 에피소드 빈도, 부정확 C-unit비율을 측정하였으며, 집행기능 검사들은 검사요강에 따라 정반응점수와 반응시간 등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는 다변량분산분석과 적률상관계분석을 통해 통계처리하였다. 결과: (1)다변량분산분석 결과, 아동집단에 따라 이야기 회상 산출의 세 측정치 모두 유의한 차이가있었다. 이야기 회상율과 에피소드 빈도는 언어장애동반 ADHD 아동과 일반아동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부정확 C-unit 비율은 단순 ADHD 및 언어장애 동반 ADHD 집단과일반아동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집행기능에서는 수회생 검사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언어장애 동반 ADHD 집단과 일반아동 간에서 유의하였다. (2) 상관관계 분석 결과,단순 ADHD와 언어장애 동반 ADHD 집단은 모두 수회생점수와 이야기 회상율 및 에피소드빈도 간에 정적상관, 수회생점수와 부정확 C-unit 비율 간에 부적상관이 있었다. 일반아동은스트룹검사와 아동색선로 검사가 이야기 회상율 및 에피소드 빈도와 정적상관이 있었으며,부정확 C-unit 비율과는 부적상관이 있었다. 논의 및 결론: ADHD 아동의 이야기 회상산출이언어장애 동반 여부에 따라 달라지며, 집행기능 중 특히 작업기억 능력과의 관련될 수 있음을중심으로 논의하였다 Background &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narrative production abilities of children with ADHD. Methods: Total 40 children (aged 7;1 to 14;6) participated in this study: 10 ADHD children without language problem (ADHD only), 10 ADHD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ADHD-LD), 10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matched language age with ADHD language delay children, and 10 normal development children matched chronological age and language age with ADHD only children. The story “Frog, where are you”(Mayer, 1969) consisted of 5 episodes and 46 C-units was used. The rate of story recalling, the frequency of total story grammar, the rate of each elements of story grammar, and the rate of inappropriate C-unit were analysed. Results: (1) There were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the rate of story recalling, the frequency of episode, and the rate of incorrect C-unit. In the rate of story recalling and the frequency of episode, ADHD-LD group produced significantly lower score than ND group. And in the inadequate C-unit, ADHD only, ADHD-LD, and LD groups produced significantly higher rate than ND group. (2) There was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in digit span test, it was caus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DHD-LD and ND groups. (3)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story production (rate of story recalling, the frequency of episode) and executive function (stroop and CCTT) an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rate of inadequate C-unit and digit span in ADHD only and ADHD-LD groups. Discussion & Conclusion: The abilities of story retelling of Children with ADHD could be affected whether they have languase problems or not and closely related with their working memory ability.

      • KCI등재

        多鈕鏡 形式의 變遷과 分布

        이청규(Lee, Chungkyu) 한국상고사학회 2010 한국상고사학보 Vol.67 No.-

        多鈕鏡은 型式分類할 때 上位의 A형 粗文鏡, B형 粗細文鏡, C형 細文鏡이 있고, A형에는 2개의 中位型式 A1, A2식, B형에는 6개의 中位型式 B1~B6식, C형은 5개의 中位型式C1~C5식이 있다. 그리고 각 中位型式 별로 3개의 下位型式이 있다. A1경은 琵琶形銅劍時期 2,3段階, 그리고 나머지 C2~C6경은 細形銅劍時期 3,4段階에 각각 편년된다. 그 공간적 분포를 보면 A형경은 요령성지역, 한반도의 서부지역에 분포하고, B형경은 滿洲 동부와 한반도 서부지역, 그리고 C형 細文鏡은 한반도와 일본열도에 집중 분포한다. 그 분포한 양상으로 보아 A형 粗紋鏡은 遼西地域에서 처음 제작되고 遼東과 한반도 서부로 전파된다. B형 粗細文鏡은 滿洲 동부와 한반도 서부를 중심으로 각기 다른 中位型式이 제작되어 주변으로 전파된다. 그리고 C형 細文鏡은 한반도 서부인 평남황해, 忠南全北, 全南地域에서 제작 생산되고 주변 地域으로 유통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 文樣으로 보면 粗文鏡 段階에는 단일 모티브의 거울이 제작되다가, 粗細文鏡段階에 滿洲와 韓半島 몇 개 地域에서 구성을 달리하는 3개의 系統의 거울이 제작되기 시작한다. 細文鏡 段階에 이르러서는 韓半島 서북한과 서남한을 거점으로 定型化된 구성과 細線技術을 토대로 外區文樣을 基準으로 크게 4개의 系統의 거울 C2,C3,C4,C5형식이 제작 보급된다. 外區文樣은 中間區와 內區의 文樣과 상호 관련되어 있으며, 각 中位型式은 선택되는 單位文樣이 일정하여 각각 獨立的인 系統을 이룬다. 다른 中位型式과는 유사한 예도 있지만, 型式 상호간에 그러한 借用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 예도 있어 제작 장인집단 간의 相互交流에 차별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C2형은 C5형과 그리고 C3형은 C4형과 單位文樣을 공유하고 있다. 이러한 交流의 차별성이 細文鏡 段階에 地域집단의 交流가 無作爲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닐 가능성을 시사하여 주며, 나아가 滿洲-韓半島-日本列島에서 형성된 정치집단 간의 交流 네크워크를 구체저긍로 보여주는 단서가 될 수 있겠다. It is assumed that type classification should be organized in hierarchy system. Types consist of several sub-types, and those are classified by clusters of several attribute conditions. Bronze Mirrors with two or three knobs of 1st milenium B.C. were discovered in Manchuria, Korea Pennisula, and Western Japan. The important attributes of them used as the base of classification are form of thickened rim, knobs and pattern of design on the back surface. Those are classified into A, B, C types by set of attribute conditions. On the bases of bronze industries, type A mirrors are assumed to belonged to the period of violinshapped daggers, type B to the early period of slim daggers, and type C to the late period of slim daggers. Design unit on the back surface, which Uno(宇野隆夫) suggested, is useful for classification of subtypes in especially C type mirrors. But that isn't useful for A or B type mirrors, because they do not have the compact and complicated design pattern with such as C type. The whole back surface of type C mirrors were partitioned in two or three sections, which are filled up with many different design units. CI type is transitional case from B to C type mirrore. And the other sub-types of C mirrors are classified into CII, CIII, CIV, CV on the base of outer section's design units, each different patterns of triangle design unit series. Each sub-type have different sets of design units on middle or inner sections. There are four design units c1, c2, c3, c4, and all of them rectangular form consist of triangle design in inner section, which differnet combination of triangle units. In case of both C3, C4 types, The inner section of back surface are filled with c1 unit. But the other C2 and C5 type are decorated with different inner and middle sections' design unit c3 or c4. On these analysis of typology and design attributes of bronze mirrors, It is suggested that the network of bronze mirrors which were manufactured by a few craftsmans and sponsored by power elites was made up in the area including Manchuria, Korea and Japan.

      • SCOPUSKCI등재

        Higher Fullerene C<sub>90</sub>의 기하학적 성질에 대한 이론적 연구

        곽경도,하윤식,서무룡,Kwak, K.D.,Ha, Y.S.,Seo, M.R. 한국공업화학회 1999 공업화학 Vol.10 No.6

        하이어 풀러렌의 구성요소인 나머지 단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나머지 단위에 2개의 $C_1$이 존재할 때마다 $C_{90}$의 에너지는 약 11.0 kcal/mol 정도 증가하였으며 나머지 단위의 평면성이 $1.0{\beta}$만큼 증가할 때마다 5.6 kcal/mol 정도의 에너지가 증가하였다. 따라서 46개의 $C_{90}$ 이성질체 중에서 나머지 단위에 $C_1$도 존재하지 않고 나머지 단위의 평면성이 적은 것이 안정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제 존재가 확인되는 $C_{90}$이성질체들은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고 있다. We have studied the other unit which is partial element in fullerene $C_{90}$. The energy of the higher fullerene increased by 5.6 kcal/mol for each $1.0{\beta}$ of planarity for the other units and increased by 11.0 kcal/mol for each $2C_1$ other unit at RHF/AM1 method. Therefore, we have known that the stable $C_{90}$ isomer do not have $C_1$ unit in other unit and have small planarity. The confirmable $C_{90}$ isomers by experiment satisfies these two conditions.

      • C-arm 투시 사용 시 방향과 거리에 따른 입사선량

        김현수(Hyun Soo Kim),김연수(Yun Soo Kim),조남수(Nam Soo Cho),신귀순(Gwi Soon Shin)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2009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논문지 Vol.2009 No.-

        Purpose : Nowadays, the use of C-arm during the operation is on the increase. As the frequency of C-arm use is increasing, the entrance skin dose of the operator is increased. Therefore, the radiation dose in operating room was measured to compare operator’s entrance skin doses according to direction and distance from C-arm. Materials and Methods : The C-arm fluoroscopy unit was used automatic control function. Entrance skin doses were measured at 8 different directions (45° interval), and the entrance skin doses with and without apron were measured at 4 different distances of 50-200cm (with 50cm interval) from the phantom pelvis center Results : The maximum entrance skin dose rate at a distance of 50cm was 0.526mGy/min without apron and 0.057mGy/min with apron in E zone, and the minimum entrance skin dose tate was 0.049mGy/min without apron and 0.005mGy/min with apron in the C zone (A zone, where was placed C-arm unit was excepted). Because radiation dose was shield by an operating table, the entrance skin dose in the direction of C zone was lower than that in the direction of E zone. The average entrance skin dose rate by the 8 directions was 0.312mGy/min without apron, and 0.033mGy/min with apron at a distance of 50cm The entrance skin dose with apron was 10.6-16.0% of that without apron. The entrance skin dose rate at the directions occupied by the operator and assistant was 0.356mGy/min at 50cm and 0.122mGy/min at 100cm without apron, and 0.038mGy/min at 50cm and 0.012mGy/ min at 100cm with apron. The expected entrance skin dose of the operator was 3.45mGy/procedure, 10.35mGy/day and 993.60mGy/ year without apron, and 0.37mGy/procedure, 1.11mGy/day and 106.56mGy/year with apron. Conclusion : Entrance skin dose according to direction and distance was different more than10 times. As the radiation protective apron was present or not, entrance skin dose was different about 6-10 times. It is essential to decide appropriate position of operator and to wear the apron. Operator should use C-arm with professional knowledge and accurate skill to minimize the radiation dose of medical staffs.

      • KCI등재

        이야기 다시말하기(story-retelling) 과제를 통한 초등 저학년 아동의 이야기 능력

        권유진(Eugene Kwon),배소영(So Yeong Pa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1 No.2

        이야기 과제를 이용한 평가는 아동의 이야기 구성 능력 뿐 아니라 언어적 표현 능력까지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특히 담화상황의 평가가 중시되는 학령기 아동에게는 더욱 유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초등 저학년 아동의 이야기 구성, 구문 표현, 결속표지 사용의 능력을 살펴보고 이 세 요소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이야기 구성력인 이야기문법명제회상율, 에피소드 구성점수와 구문 표현력인 주절 및 종속절의 수, C-unit당 절의 수, 복잡한 구문의 수가 학년 상승에 따라 증가하였다. 결속표지 사용능력인 적절한 결속표지의 수는 학년 상승에 따라 증가하였고, 부적절한 결속표지 사용율은 감소하였다. 또한 이야기문법명제회상율과 C-unit당 절의 수 그리고 적절한 결속표지 수의 세 요소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 같은 결과는 우리나라 초등 저학년 아동의 이야기구성력, 구문 표현력, 결속표지 사용능력이 학년에 따라 발달함을 보여주는 것이며 이 세 요소들이 모두 함께 발달함을 보여준다. 이는 학령기 아동의 언어평가 및 치료에서 구문 표현 뿐만 아니라 이야기 구성과 결속표지의 사용을 모두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Little is known about the narrative ability of school-aged children in Korea. This study addresses the narrative ability of 30 Korean, school-aged children in first to third grades. The children’s story-retelling productions were analyzed by three measures: story composition, syntactic expression and use of cohesive devices. Each measure has several variables. The measure of story composition consists of two variables: the percentage of story grammar recall and the complete episode composition scale. The number of main clauses and subordinate clauses, the number of subordinate clauses in a C-unit and the number of complex syntactic C-units are contained in the measure of syntactic expression. The measure of cohesive devices includes variables of the number of adequate cohesive devices and the percentage of inadequate cohesive devices. In all variables of the three measures, narrative ability developed with increasing grade from 1st to 3rd. The three measures were strongly,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following variables: the percentage of story grammar recall, complete episode composition scale, the number of subordinate clauses in a C-unit and the number of adequate cohesive devices. This result implies that story composition, syntactic expression and use of cohesive devices are all very important for language assessment and intervention in Korean-speaking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