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탈북 청년의 가족관계경험에 관한 연구: -내러티브-생애사 분석을 중심으로-

        전명희 ( Myung Hee Jun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6 한국가족복지학 Vol.51 No.-

        본 연구는 북한을 탈출하여 남한 사회에 정착하고 적응하고자 노력하고 있는 두 청년의 이야기를 가족관계 경험을 중심으로 하여 로젠탈의 내러티브-생애사 접근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두 연구 주인공이 경험한 인생여정에서 출발점인 원가족은 가정불화, 가족 상실과 해체의 경험으로 따스함을 경험하지 못하고 버려지는 경험을 하였던 곳이었으며,10대에는 가족 울타리가 없이 전전하며 목숨을 연명하는 시기를 보내왔다. 가족 재결합과 재구성, 상실 속에서 탈북과 남한 입국의 과정을 거치게 되었고, 20대 후반의 청년기에 이르러 원가족과의 심리적분리 및 새로운 가족 형성의 과업 앞에 놓여있다. 이러한 그들의 삶에서 현재 중요한 삶의 주제로는 부모나 북한 땅에서 받은 것이 없이 버려짐과 홀로서기의 경험이 지배적이지만 집안의기둥으로서 가족을 살리는 사명자로서 재북 가족과 탈북 가족들을 돌아보는 고단한 짐을 스스로 떠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남한과 북한 사회가 공유하고 있는 전통적인 ``가족주의`` 의 가치가 표현된 것으로 오히려 남한에서는 희석되어 가는 가족을 위해 희생해야 한다고 여기는 관념으로서의 가족 의식이 깊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남과 여 두 청년이 가부장적 구조속에서 서로 다른 입장과 적응 전략을 통해 자기 및 가족 정체감을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남한에 입국하여 청년기를 보내고 새로운 가족을 만들어갈 탈북 청년들의 발달적 과업과 현재의 삶을 어떻게 통합할 수 있을지에 관한 논의를 제시해보았다.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family relationship experiences of two young adults from North Korea through Rosenthal`s autobiographical-narrative methods. Series of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 male and a female subjects. In biographies of North Korean young adults who live in South Korea now, their original family suffered from parental conflict, family break-up and loss in their childhood, and the subjects experienced being left and neglected from their parents due to huger and hardship in North Korea situations in 1990s. However, they have hold their family burdens during the exile from North Korea to South Korea and still have been supporting their family members in North Korea or South Korea financially. Results indicated that young adults from North Korea keep the main value of "familism" in the patriarchical society as like South Korean people had and they have believed that they ought to sacrifice themselves, delaying their developmental task in the young adulthood. In addition, the research found that the male and the female have different strategies to survive and adjust on family gender perspectives. Based on the results, some implications and practical suggestions were discussed for the young adults from North Korea in the settlement process.

      • KCI등재

        한 탈북 여성의 정착과정에 관한 생애사 연구: 주변에 서서 창조적 중심이 되다

        전명희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17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28 No.3

        이 연구는 한 탈북 여성의 북한에서부터 남한에 정착하기까지의 삶에 관한 연구로 로젠탈의 내러티브–생애사 분석 단계를 적용하였다. 먼저 연대기순 생애사를 다루고, 이야기된 생애사와 체험된 생애사를 주제 영역별로 삶의 여정을 분석해 보았다. 연구 주인공은 빈곤탈출의 생존전략으로 남편과 자녀를 두고 탈북했지만 한국에서 재혼한 남편에게 심한 가정폭력을 당하고 이혼을 하게 되었고 빈곤상태도 벗어나지 못하는 주변부의 삶을 살게 되었다. 그러나 북한에서 키워왔던 예술인으로서의 삶을 여기서도 펼칠 기회를 만나면서 적극적 행위주체자로 변모해갔다. 현재는 통일 교육자로서, 싱글맘으로서 성장과 극복을 이루며 주변부의 삶으로부터 창조적 중심이 되는 변혁을 이루어가게 되었다. 이 기간 동안 연구 주인공을 품고 지지해주어 지역 정착의 뿌리를 내리게 도와준 것은 새터민 교회를 통한 신앙공동체 경험이었다. 연구 주인공은 남과 북이라는 두 세계의 문화 사이에서, 또 두 세계 모두에서, 그리고 지금은 두 세계를 뛰어넘어 품어내는 삶을 시작하였음을 행위 주체성(agency)과 주변성(marginality) 신학의 관점에서 논의해 보았으며 기독 상담공동체의 역할에 대하여도 제언하였다.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a North Korean woman’s settlement process in South Korea through Rosenthal’s autobiographical–narrative method. The oral life story was displayed and reconstructed from the life story as experienced based on narrative–biographical interview: the protagonist left North Korea leaving behind her husband and child as a survival strategy, she had been suffered poverty and severe domestic violence against her remarried husband after entering South Korea. However, the protagonist became an active agent as she had the opportunity to live an artist–singer, a path she had brought up. She also found her dream to become an educator and made a transformation from her life in the marginality to the creative core with an intense motivation to overcome. During this period, north Korean faith community incubated and helped her settle in the region. The protagonist started living in the two worlds of the South and the North, and in both worlds, and now beyond the two worlds in terms of theological perspective ‘marginality’. Some implications from this reconstructing biography were addressed the role of christian community and christian counselors for adapting process of North Korean defectors.

      • KCI등재

        초보미술치료사의 교육분석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이계희,최선남 한국미술치료학회 2016 美術治療硏究 Vol.23 No.6

        본 연구는 연구자 자신이 경험한 교육분석을 질적연구의 한 방법인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를 사용 하여 연구하고 이를 통해 체험의 본질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자는 자기성찰의 한 방법으로 치료사를 위한 치료인 교육분석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궁금함을 가지고 있었다. 교육분석 경험은 어떠한 것 인지, 초보미술치료사에게 교육분석이 어떠한 의미를 갖게 되는지에 대한 연구문제를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교육분석은 2014년 6월에서 2015년 11월까지 주 1회 비구조화된 미술치료 방식으로 총 53회기 진행되 었다. 현장 텍스트를 기반으로 연구자인 자신이 경험자인 자신에게 하는 자문다답식의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이것은 중간텍스트가 되었다. 중간 텍스트를 토대로 ‘힘 있는 자들’, '자기비난의 시간들', '몸과 미술의 재발견', ’미술치료사가 되어간다는 것'이라는 상위주제가 생성되었다. 연구자는 교육분석을 통해 ’변화는 모래알과 같 다', ‘모래사장에서 모래알을 세기 시작하다’, ‘학문과 실제 사이에 다리를 놓다’, ‘내게는 중요했던 나를 인정하 다’라는 4개의 의미를 생성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적극적 실천으로서 자기성찰의 중요성’, ‘미술에 대한 미술 치료사의 신뢰의 중요성’, ‘미술치료사 교육의 장으로서 미술을 통한 교육분석의 중요성’으로 논의를 확장시켜 볼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inquiry was to study an educational analysis experience, which the researcher experienc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a narrative inquiry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nd to identify the nature of the experience. The researcher questioned how the educational analysis, a therapy method for therapists as a way of self-reflection. The educational analysis was performed a total of 53 times, every once a week from June 2014 to November 2015 using a type of unstructured art therapy. On the basis of scene texts, the researcher was the interviewee in the analysis and executed self-interviews, and the transcripts of the interview became “interim texts”. The interim texts produced four higher categories, including “authoritative figures,” “self-reproofing times,” “the rediscovery of the body and an art,” and “becoming an art therapist.” The significance of the researcher’s educational analysis experience is that “transformation was like grains of sand,” “in the sand, counting sand grains begins,” “the experience bridged academics and practices,” and “the researcher realized that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myself’.” The above findings can be seen to extend the discussion as follows through the above findings. First, the self-reflection is important for the active practice of ethics. Second, the art therapist needs to be confident about art. Lastly, the educational analysis related to art becomes a training ground for art therapists.

      • KCI등재

        초등 예비 영어교사의 영어 학습과 교수에 대한 경험 및 인식

        안경자(Ahn, Kyungja)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2013 초등영어교육 Vol.19 No.4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pre-service primary English teachers perceived their experiences with English learning and teaching. The participants were 26 pre-service primary English teachers enrolled in a sophomore-level course at a Korean university. The data were the participants' autobiographies about their English learning and teaching history, which were submitted as a course assignment. Most participants described their English learning experiences much more than their teaching experiences. As English learners, (1) most of them recalled that while they learned English for fun as elementary school students, (2) they primarily studied English for exams at the secondary school level. (3) As college students, their English study hours have been decreased, and their study objectives have been reorganized. (4) Turning points in their English language development included English skills competitions, studying with capable peers, and using English communicatively while studying and travelling abroad. (5) They also revealed various degrees of self-evaluation of and confidence in their English skills. As pre-service teachers, they revealed (1) the limitations of English language and teacher education curricula at the university, (2) their limited English teaching experiences and knowledge about teaching methodology, (3) development of English (instructional) skills through English teaching experiences, and (4) different degrees of self-evaluation and confidence as English teachers. Important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policy makers, teacher educators, and pre-service teachers themselves a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