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점령기의 ‘원폭’을 둘러싼 담론, 문학 그리고 정치성 -일본여성문학자의 ‘원폭문학’을 중심으로-

        오성숙 ( Oh Sungsook ) 한일군사문화학회 2021 한일군사문화연구 Vol.32 No.-

        본 논문은 요코의 원폭문학이 갖는 증언성과 원폭문학논쟁에 주목하여 다음과 같은 함의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패전 직후 피폭자라는 당사자성에 의한 요코의 원폭문학은 작가의 눈과 인간의 눈으로 원폭의 참상을 본 체험이 특권화되면서 피폭자=기록자=증언자에 의한 문학으로 정립되어 갔다. 둘째, 검열에 의해 말할 수 없는 원폭 관련 담론은 원폭 피해와 공포감을 최소화하고 원폭투하의 정당성을 강조하면서 가해자 미국이 망각되고 있었다. 이와 맞물려 원폭문학은 가해자에서 피해자로 역전시키며 일본의 전쟁책임을 망각시키고 있었다. 셋째, 제1차 원폭문학논쟁에서 보면, 요코의 투쟁하는 원폭문학은 개인적인 체험, 기록, 상황적 문학으로 규정되면서 저열한 문학으로 폄하되고 있었다. 이는 원폭 관련 증언이 전유한 원폭문학에 대한 불쾌감, 그리고 패전의 기억을 상기시키는 피폭자에 대한 거부감의 발로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could draw following results by focusing on the evidentiality of Yoko’s atomic bomb literature and issues around it. First, Yoko’s atomic bomb literature based on the identity of an atomic-bomb victim right after defeat in the war had been established as the literature by an atomic-bomb victim = a chronicler = a witness, as the experience of observing the disastrous scene of the atomic-bomb from the eyes of the author as a person was privileged. Second, U.S., the assailant, was obliterated, as the discourse regarding the atomic-bomb, which could not be communicated due to censorship, minimized the damage and fear derived from the atomic bomb and emphasized the validity of atomic bombing. In conjunction with this tendency, the atomic bomb literature caused the oblivion of Japanese responsibility for the war, by turning Japan from the assailant to the victim. Third, Yoko’s struggling atomic bomb literature was degraded as vulgar literature, as it was identified as an individual experience, a record and situational literature, in the first debate about atomic bomb literature. This might be caused by unpleasant sensation about the atomic bomb literature monopolized by the testimony to the atomic bomb as well as the aversion to atomic-bomb victims who reminded Japanese of defeat in the war.

      • KCI등재

        원폭문학에 나타난 원폭피해자의 삶과 환경 - 이성교의 「廣島(히로시마) 戀歌」를 대상으로 -

        최도식 ( Choi Dosik ) 한국환경철학회 2019 환경철학 Vol.0 No.28

        본 논문은 이성교의 「광도(히로시마) 연가」 연작을 통해 원폭문학에 내재된 원폭 피해자의 삶과 환경을 고찰했다. 패전 후 일본은 원폭을 소재로 한 다수의 작품들이 생산되면서 원폭문학을 하나의 장르로 형성한다. 반면, 한국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은 원폭희생자를 낸 원폭 피해국이지만 원폭과 관련된 작품이 드물며 논의도 희소한 실정이다. 원폭문학은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투하된 원자폭탄으로 인해 발생한 희생자와 생존자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소재로 한 문학이다. 그러므로 원폭문학은 희생과 피해의 문학이며, 살아남은 생존자의 삶을 다룬 생존의 문학이다. 이에 본고는 이성교의 「광도(히로시마) 연가」 연작을 애도, 공포, 연민의 관점에서 분석했다. 첫째, 「광도 연가」는 히로시마 원자폭탄 투하로 인하여 희생된 희생자의 넋을 위로하는 애도의 시이다. 시인은 원폭 투하의 역사적 현장을 애도의 공간으로 형상화한다. 히로시마의 한인 원폭피해자들은 일본정부와 일본인들로부터 차별을 받으며 살아왔다. 시인은 일본이 평화기념공원을 조성하여 평화 올림픽, 평화 기념식 등을 거행하지만 그것은 일본의 평화요 일본인만을 위한 평화로 인식했다. 따라서 우리 동포는 여전히 진정한 평화를 기다리고 있다. 진정한 세계 평화를 바라며 시인은 죽어간 원폭희생자의 넋을 애도한다. 둘째, 이성교 시인은 원자폭탄이라는 반인간적인 무기가 공포의 대상이며, 그 공포로 인해 트라우마를 안고 살아가는 원폭 피해자의 삶을 형상화한다. 시인은 공포의 트라우마를 “아픈 나무”로 비유한다. 시인은 화염과 폭풍으로 도시가 파괴되고, 이후 불타는 도시에 검은 비가 내리듯 방사능재가 도시를 뒤덮는 핵 공포를 형상화한다. 핵 공포에 대한 이미지는 돈호법, 청각적 이미지 등으로 형상화된다. 시인은 원폭의 공포를 주로 ‘검은 비’, ‘불비’로 상징화한다. 시인은 원폭의 공포와 그 기억의 상흔을 고스란히 감내한 우리 동포들의 서럽고도 슬픈 마음의 상처, 그들의 트라우마를 치유할 진정한 평화의 구원자를 기대한다. 셋째, 한일 원폭피해자는 방사능 피폭이라는 동일한 경험과 그 경험에 따른 신체적 손상, 감각에 각인된 극심한 고통을 공유한다. 하지만 히로시마에 거주하는 한인 원폭피해자는 그 이중고를 넘어 일본인들로부터 받는 차별과 냉대라는 삼중고를 견뎌야만 했다. 이성교의 「광도 연가」는 육체적 고통, 정신적 상처, 일본인들로부터의 차별과 냉대라는 삼중고를 견디며 살아온 우리 동포들의 삶을 연민으로 노래한다. 그리고 그들의 삶을 연민의 감정으로 연대한다. 더욱이 그들의 서러운 삶, 초조하고 불안한 삶이 끝나지 않고 계속 지속되는 삶이라는 사실에 시인은 그들의 삶에 맺힌 것들이 한 순간이나마 풀어지기를 소망한다. 우리는 핵무기와 원자력 발전소가 없는 세상을 만들어 가야 한다. 핵무기, 원자력 발전소에 의한 방사능 피폭은 우리의 삶을 처참하게 짓밟는다. 바로 「광도 연가」는 원폭피해자의 비참한 삶을 통해 우리에게 핵무기와 원자력 발전소가 없는 세상을 주문하는 환경 경계의 기록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e life and environment of Atomic-bomb victims in Atomic-Bomb Literature of through Lee Sung-gyo's “Hiroshima Elegy” series. After the defeat, Japan produced a number of works based on the atomic bomb, forming a genre of atomic bomb literature. On the other hand, Korea is the world's second victim of A-bomb, but the literature work related to A-bomb is scarce and the discussion hard find. Atomic Literature is a literature about the lives of victims and survivors of atomic bombs dropped on Hiroshima and Nagasaki. Thus, atomic bomb literature is the literature of sacrifice and damage, and the literature of survival. In this regard, this paper analyzed Lee Sung-gyo's “Hiroshima Elegy” series in terms of mourning, fear, and compassion. First, “Hiroshima Elegy” is a poem of mourning for the souls of victims victimized by the Hiroshima atomic bomb. The poet portrays the historical scene of the atomic bombing as a space of mourning. In addition, Korean A-bomb victims of Hiroshima have lived in discrimination. The poet recognized that Japan established a Peace Memorial Park, held a Peace Olympics, a Peace Memorial, etc., but it was Japan's peace and peace only for the Japanese. Thus our Koreans are waiting for true peace. In hope of true world peace, the poet mourns the souls of the dead. Second, Lee Sung-gyo poets are feared by the anti-human weapon called the atomic bomb, and the fear embodies the life of the bomb victims who live with trauma. The poet likens the trauma of terror to a “sick tree”. And the poet embodies the nuclear fear of radioactive material covering the city, as if the city was destroyed by a fire and a storm, and then a black rain rains on the burning city. The image of nuclear horror is shaped by money protection law, auditory image, etc. And the poet portrayed the horror of the atomic bomb mainly as black rain or bull rain. The poet expects the sorrowful and sad wounds of our brethren who have endured the scars of that memory, the prophets of true peace that will touch their traumas. Third, the Korean and Japanese A-bomb victims share the same experience of radiation exposure, their physical damage, and the severe pains that are imprinted in their senses. However, the Korean bomb victim who lived in Hiroshima had to go beyond the double high and endure the triple highs of discrimination and coldness received by the Japanese. Lee Sung-gyo's “Hiroshima Elegy” sings with compassion the lives of our Koreans who have endured the triple pain of physical pain, mental wounds, discrimination and coldness. And they unite their lives with feelings of compassion. Moreover, the fact that their sorrowful life, anxiety and misgiving are endless and enduring, the poet hopes that the things in their lives will be released for a moment. We must create a world without nuclear weapons and nuclear power plants. It is a record of a borderless environment that asks us to create such a world.

      • KCI등재

        한일 원폭문학에 나타난 ‘원폭처녀(原爆乙女)’의 비교고찰- 大田洋子의 ‘景子’들과 김옥숙의 『흉터의 꽃』속 ‘분희’를 중심으로 -

        김경인 일본어문학회 2022 일본어문학 Vol.96 No.-

        This paper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aspects of the young female victims of the atomic bomb represented in the Japanese atomic bomb literature with those of the Korean atomic bomb literature. First of all, I looked at the representative works of Japan written about the female victims of the atomic bomb and compared the images of the young female victims of the atomic bomb in the works of Yoko Ota. Ordinary Japan’s atomic bomb literature typically represented that the young female victims of the atomic bomb were symbols of peace and anti-war, and they should be protected and understood. In contrast, I confirmed that Ota’s literature identified that the young female victims were struggling to endure their terrible life and fighting against the discrimination of society like a combatant. Meanwhile, Kim Oksook's novel, 'Flower of the Scar' represented the female victims of the atomic bomb of Korea as the guilty to not only the society but also family, and they were symbolized as a human-being under the yoke of the atomic bomb as the retribution. They had no choice but to endure the lives of atomic bomb victims for their inherited children. It would be reasonable to suggest that ‘Bunhee’ of 'Flower of the Scar' describes those who are fighting against the hell of the atomic bomb just only for protecting their children and following the Confucian concept that has been forced to the women in the Korean society.

      • KCI등재

        문화권력과 서벌턴 피폭자 문학: 전후 원폭, 원폭문학을 둘러싼 논쟁을 중심으로

        오성숙 한일군사문화학회 2022 한일군사문화연구 Vol.34 No.-

        This paper could examine the process in which the postwar A-bomb literature was dampened by censorship and degraded as sub-literature under the cultural power of literary circles monopolizing the universality of literature, based on debates around the censorship during the period of U.S. military administration and the subsequent the A-bomb literature. In summary, first, the A-bomb literature lost its opportunity to be published or was published as authors’ editions, as was dampened by censorship and the myth of A-bomb called a grateful bomb. Second, the Japanese postwar literature supported by literary circles advocating for the universal literature exposed its traditionally literary staleness, in that it only focused on Hwajopungwol’s amusement and one’s memoirs specific to I-novel, while the contemporary European engagement literature emerged as the literature resistant to the crisis of the times. As the postwar literature secure the universality, the A-bomb literature was disparaged as the literature only with wretchedness and degenerated as the subaltern A-bomb victim literature isolated by the Hiroshima literary circles. Third, the A-bomb literature attempted to open a path to the future literature, by succeeding individual experiences as those of groups, via the 1st to the 3rd debates on A-bomb literature. Both Hiroshima and central literary circles, which depended on the universality of literature, did not recognized it as the formal literature, but only regarded it as a set of experiences. It, therefore, could not but become the subaltern A-bomb victim literature which failed to enter the literary world, an institutional area. Nevertheless, this study can indicate that it has challenged the universality of the Japanese literature and has potential to be resistance and engagement literature in the face of the atomic age in the 20th century. 본 논문은 점령기의 검열과 그 이후 원폭문학을 둘러싼 논쟁을 통해, 전후 원폭문학이 검열에 의한 위축과 더불어 문학의 보편성을 전유한 문단의 문화권력 아래, 하위문학으로 배척되는 상황을 살펴볼 수 있었다. 정리해 보면 첫째, 원폭문학은 검열과 감사한 폭탄이라는 원폭신화에 의해 위축되며 출판의 기회를 잃거나 자비 출판되고 있었다. 둘째, 당시 유럽의 앙가주망 문학이 시대의 위기에 저항하는 문학으로 부상하는 가운데, 일본의 전후문학은 보편적 문학을 옹호하는 문단을 등에 업고 화조풍월의 유희적, 사소설적 신변잡기에 머무는 전통적 문학의 진부성을 그대로 노출하고 있었다. 이러한 전후문학이 보편성을 획득하면서 원폭문학은 비참함이 전부인 문학으로 폄하되고 히로시마 문단에서 고립된 서벌턴 피폭자 문학으로 전락하고 있었다. 셋째, 1차에서 3차에 걸친 원폭문학 논쟁을 통해, 원폭문학은 체험의 공유가 개인에서 집단의 체험으로 계승되며 미래 문학으로서의 길을 열고자 하였다. 하지만 문학의 보편성에 기댄 히로시마 문단과 중앙문단은 원폭문학을 체험으로 간주할 뿐 문학으로 인정하지 않았다. 결국 원폭문학은 문단이라는 제도권 안에 진입하지 못하고 실패하는 서벌턴 피폭자 문학이 되고 말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폭문학은 일본문학의 보편성에 도전하고 있으며, 20세기 핵시대를 맞아 저항문학, 참여문학으로서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음을 지적할 수 있다.

      • KCI등재

        피폭여성문학자 하야시 교코(林京子)의 원폭문학 : 원폭의 범죄성(정치권력)에 대항하는 서벌턴 여성 피폭자의 침묵과 증언을 중심으로

        오성숙(Oh, Sung-Sook) 일본어문학회 2021 일본어문학 Vol.95 No.-

        本論文では、林京子の原爆文学『無きが如き』を中心にサバルタン女性被爆者の表象を通じて沈黙と証言の意味を考察したもので、次のようにまとめることができた。 まず、長崎の娘は、被爆者でも非被爆者でも被爆者の運命、長崎の運命を​​背負って地獄のような終りのない8月9日を過ごしていた。ここでは、「8月9日」、「長崎」、「原爆」が結び付いて、社会からの偏見や差別に苦しみながら沈黙していた。 そして、サバルタン被爆者は、原爆の危険性、犯罪性をあらわすだけではなく、逆に原爆が無害性を反証する絶望感を感じていた。しかし、サバルタン女性被爆者は生き残った罪悪感と不思議の中で生き残った使命を覚えて長い沈黙を破って、8月6日、8月9日に声を出しはじめている。 最後に、林京子の原爆文学は政治権力に対抗し、時空を超えて人類の生存を脅かす核(原爆)の犯罪性を想起させる作業であったと評価することができる。ここでは、原爆神話崩し、そして戦争体験の風化、原爆体験の風化の警鐘でもある。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s of silence and testimony through the reproduction of Subaltern atomic bomb woman victims, around Kyoko Hayashi’s atomic literature, 󰡔Nakigagotoki (無きが如き)󰡕.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aughters of Nagasaki, who suffered from the fate of atomic bomb victims, whether they were atomic bomb victims or not, underwent hellish and unended August 9. They have become silent about the disastrous scene of the day, as they have been annoyed by the restraints including ‘August 9’, ‘Nagasaki’ and ‘atomic bomb’, as well as social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Second, they despaired of the fact that the ‘survival’ of Subaltern atomic bomb victims does not only reflect the risk and criminality of atomic bombs but also its harmlessness ironically. Subaltern atomic bomb woman victims, however, remembered the mission of people who survived in the guilty of the survival and the mysterious fate. In August 6, they broke long silence and began to speak out about August 8. Third, Kyoko Hayashi’s atomic bomb literature attempts to remind us of the criminality of nuclear weapons (atomic bomb) threatening the survival of human beings, by transcending time and space. Her literature ultimately may be a resistance to the political authority favorable toward nuclear weapons. It is also a warning against breaking the myth of atomic bombs and the weathering of war and atomic bomb experiences.

      • KCI등재

        하야시 교코(林京子)의 『기야망 비드로(ギヤマン ビードロ)』와 원폭 경험의 경계

        심정명 상허학회 2023 상허학보 Vol.68 No.-

        Discourses about atomic bombings of Hiroshima and Nagasaki have often been criticized for contributing to making victimhood-based nationalism of Japan as “the only atomic-bombed country” in the world. Focusing on the experiences of the victims(hibakusha), atomic bomb literature is no exception to such criticism. In this paper, by analyzing Kyoko Hayashi’s Giyaman Bidoro(cut glass, blown glass), I considered how readers can approach the experience of the atomic bomb. As a writer from Nagasaki, Hayashi stands in somewhat different context from A-bomb discourse centered on Hiroshima. Like her debut work “Festival Field,” Giyaman Bidoro first shows what kind of experience being exposed to the atomic bomb was by contrasting the world before and after it. Based on her individual experiences, this novel shows the continuity of the atomic bombing as an ‘unfinished’ event. However, what stands out more in this novel is a lot of differences that exist among the hibakusha despite commonalities of the experience of being exposed to the atomic bomb. Through this, this novel highlights that the experience of ‘same’ damage does not confer collective homogeneity, nor does it necessarily guarantee solidarity and empathy. In this way, this novel defies the context in which the experience of the atomic bombing is understood as ‘Japan’s’, being nationalized and territorialized. What is important in this novel is not only the gap between the atomic bomb victims, but also the question of whether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boundary over the presence or absence of experiences. Just as there is an insurmountable gap between the dead and the survivors, even the atomic bomb survivors cannot fully understand their experience. The novel shows that the ‘unknown’ part always remains in the experience of the atomic bomb, and nevertheless seeks the possibility that those who have not experienced it can think about the atomic bomb without surrounding it with specific collective boundaries. 히로시마·나가사키의 원폭 투하와 관련된 담론은 전후 일본에서 ‘세계 유일의 피폭국’이라는 국민적인 피해자의식을 만들어내는 데에 기여했다고 종종 비판 받아왔다. 피폭 경험을 중심에 둔 원폭문학 작품 역시 예외는 아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 같은 내셔널한 피폭서사와는 다소 다른 지역적 특색을 가지고 있는 나가사키의 문학자 하야시 교코의 기야망 비드로 를 통해 원폭문학이 독자들을 피폭이라는 경험에 어떻게 다가서게 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데뷔작인 「축제의 장」과 마찬가지로 기야망 비드로 는 우선 피폭이 어떠한 경험이었는지를 원폭 이전과 이후의 세계를 대비시킴으로써 보여준다. 그것은 개별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쓰이는 동시에, ‘끝나지 않는’ 사건으로서의 원폭의 지속성을 확인시켜주는 것이기도 했다. 하지만 기야망 비드로 에서 더욱 부각되는 것은 그 같은 경험의 공통성에도 불구하고 피폭자들 사이에 무수히 존재하는 차이들이다. 그러면서 소설은 ‘같은’ 피해의 경험이 집단적인 동질성을 부여해주지도 않거니와 연대와 공감을 당연히 보장하는 것도 아님을 부각시킨다. 이를 통해 소설은 원폭의 경험이 일본이라는 소유격으로 한정되며 국민화되고 영토화되는 맥락에 맞선다. 한편, 이 소설에서 중요한 것은 피폭자들 사이의 간격뿐 아니라 경험의 유무를 둘러싼 경계를 넘어설 수 있는가라는 물음이기도 하다. 죽은 자와 살아남은 자 사이에 넘을 수 없는 간극이 있듯, 설사 피폭자라 하더라도 원폭의 경험을 완전히 이해할 수는 없다. 소설은 원폭의 경험에 언제나 ‘모르는’ 부분이 남아있을 수밖에 없음을 보여주면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경험하지 않은 사람이 원폭을 특정한 경계로 에워싸지 않고 사고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한다.

      • KCI등재

        오염, 감염, 혐오 - 원폭소설로 보는 혐오 정동의 증식과 디스토피아문학

        李志炯 ( Jee-hyung Lee )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21 翰林日本學 Vol.- No.39

        본 논문은 일본 원폭소설 작가 이노우에 미쓰하루(井上光晴) 작품 속 혐오 양상에 주목해 혐오가 타자 간, 이질적 소수자 간, 이질적 공동체 간에 이식, 증식되는 양상을 혐오의 오염과 감염이라는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원폭소설의 디스토피아문학 규정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손의 집』(1960), 『지상의 무리들』(1963) 등 이노우에의 원폭소설은 혐오의 발생과 증식이 사회적 차별로 파급되는 과정과 구조를 여실히 보여준다. 피폭자의 ‘오염된’ 신체에 대한 ‘감염’의 공포, 유전을 통해 마이너 신체성이 자손에게 전파되는 것을 꺼리는 진화론적 본능이 맞물려 증폭된 혐오의 정동은 ‘결혼차별’ 등 피폭자에 대한 사회적 차별을 야기한다. 혐오는 ‘피’를 매개로 특히 여성에게서 현재화된다. 출혈이 멈추지 않는 피폭 여성의 ‘유혈병’증상은 피, 분비물 등에 대한 역겨움에서 비롯된 혐오의 정동을 가속화해, 주체도 객체도 될 수 없는 존재 즉 비체(卑/非體, abject)로서의 여성 존재를 가시화한다. 마이너리티 공동체의 차이를 불문하고 혐오의 실상은 여성에게 더욱 가혹하다. 원폭과 원폭문학은 혐오와 차별이 소수의 예외적 존재들의 문제가 아니라 환경, 재난 등 외부적, 우연적 요인에 의해 누구에게나 닥칠 수 있는 보편적 문제임을 각인시켰다. ‘원폭과 그 이후’는 인간이 지향한 질서와 합리성이 교란, 전복됨으로써 인간의 자율성과 삶의 다양성이 부정되고 예측불가능성을 그 특징으로 하는 디스토피아의 특성과 부합한다. 이노우에의 원폭소설을 통해 확인되는 것은 원폭문학, 공해병문학, 포스트3.11문학 등을 디스토피아문학과 마이너리티문학의 횡단적, 융합적 관점에서 논해야 할 필연성이다. 피폭자, 피차별부락민, 조선인, 가쿠레기리스탄 등 마이너리티 공동체 간의 격심한 혐오 양상은 마이너리티 간 공감과 연대의 지난함을 확인케 한다. 그런 의미에서, ‘혐오의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요구되는 것은 인간과 비인간, 인권과 탈인간중심주의가 양립 가능하게끔 사유하는 대전환의 인식이다. This paper examined the possibility of defining dystopian literature in the atomic bomb novel by paying attention to the disgust patterns in the work of Mitsuharu Inoue, a Japanese atomic bomb novel writer. In particular, the pattern of transplantation and proliferation of disgust between others, heterogeneous minorities, and heterogeneous communities was analyzed in terms of contamination and infection of disgust. Inoue's atomic bomb novels, such as House of Hands (1960) and Crowds on Earth (1963), clearly show the process and structure of the occurrence and proliferation of disgust spreading to social discrimination. The intense hate between minority communities, such as atomic bomb victims, discriminated villagers, Koreans, and Kakure Kirishitan, confirms the difficulties of empathy and solidarity between minorities. And, hate is especially noticeable for women through ‘blood’. The atomic bomb and atomic bomb literature imprinted that hate and discrimination are not problems of a few exceptional beings, but universal problems that can be encountered by external and accidental factors such as environment and disaster. ‘The atomic bomb and subsequent' are consistent with the characteristics of dystopia, which is characterized by unpredictability and denial of human autonomy and diversity of life by disrupting and overturning the order and rationality pursued by humans. What is confirmed through Inoue's atomic bomb novel is the inevitability to discuss atomic bomb literature, pollution disease literature, and post3.11 literature from a cross-sectional and convergent perspective of dystopian literature and minority literature.

      • KCI등재

        1945년 8월 원폭, 원폭문학의 기억과 망각 - 젠더, 정치, 소외라는 관점을 중심으로 -

        오성숙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7 비교일본학 Vol.41 No.-

        본 논문은 1945년 8월 9일 나가사키 피폭 여성작가 하야시 교코의 원폭문학을 통해, 시대적인 원폭, 원폭문학의 담론이 어떠한 기억과 망각을 산출하는지를 살펴보았다. 교코는 원폭이 ‘평화’라는 기억으로 재기억되고, 피폭이 망각되고 피폭자가 무화되는 현재에 피폭의 원체험을 중시한 문학활동을 추구하였다. 교코의 작품 「축제의 장」과 「없는 듯한」이라는 원폭문학은 ‘축제의 장’이 전쟁과 원폭이라는 접점에서 죽음의 메타포이자, 전후의 ‘평화’로 포장되는 시점에서는 망각의 메타포로 기능하고 있음을 논했다. 60년대를 거치면서 70년대에는 원폭문학의 가해와 피해의 복합적 자각과 함께 전쟁책임이 대두되는 한편, 원폭문학사가 간행되면서 일본문학 안에서 피해자 문학으로 원폭문학이 부상하는 가운데, 교코의 원폭문학「축제의 장」이 군조신인상과 아쿠타가와상을 수상할 수 있었음도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지금까지 원폭문학이 피폭의 사실을 정확하게 그린다는 취지로 수기, 기록, 문학이라는 애매한 영역을 점하고 있음을 검토하고, 교코의 문학이 절망 가운데 원망, 분노의 분출을 넘어 ‘인간 존중’과 ‘희망’이라는 이상을 담고 있는 나가오카가 말하는 원폭문학다운 문학이라는 점을 규명해 보았다. This paper examined what memories and forgetfulness are produced by the historic discourses of atom bomb and atom bomb literature, through the atom bomb literature of Kyoko Hayahsi, an exposed female author in Nagasaki in August, 8, 1945. Kyoko pursued her own literature activities emphasizing original experience, where the atom bomb was re-memorized as ‘peace’, the exposure was forgotten and survivors became nothing. Her atom bomb literature represented by 「The Place of a Feast」 and 「As If No One Exists」 discussed that the ‘place of a feast’ functioned as a metaphor of death at an interface between the war and the atom bomb and as a metaphor of forgetfulness when it was glorified as the ‘peace’ after the war. By 1970, responsibility for the war was highlighted along with complex perceptions on offensing and victimization in the atom bomb literature, Kyoko won Sinzo Rookie of the Year Award and Akutakwa Prize for her 「The Place of a Feast」 while when the atom bomb literature emerged as victim literature, due to the publication of history of atom bomb literature. Finally, It made clear that Kyoko’s literature is the ‘literature enough to be call atom bomb literature’, the term coined by Hiroyoshi Nagaoka, which includes ideals such as ‘respect for human beings’ and ‘hope’, beyond resentment and anger in desperation.

      • KCI등재

        일본 원폭문학의 효시 하라 다미키(原民喜)의『여름 꽃(夏の花)』고찰

        이정희 국제언어문학회 2017 國際言語文學 Vol.- No.37

        본 논문은 일본 원폭문학의 효시라 불리는 하라 다미키(原民喜)의 단편소설 『여름 꽃(夏の花)』을 고찰한 것이다. 무엇보다도『여름 꽃』은 작가의 원폭체험이 고스란히 담겨져 있는 작품으로 높이 평가받고 있다. 먼저, 일본에서 원폭문학이라는 장르가 언제 탄생했으며, 원폭문학연구는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작품『여름 꽃』이 지니는 의미를 비롯하여, 작품 속 세계를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을 위해 독서토론을 실시하였고 독서토론에 참가한 학생들과 자유롭게 토론을 진행하면서 학생들의 감상문을 함께 실었다. 이러한 작업은 필자가 원폭문학을 연구하는데 도움이 되었을 뿐만이 아니라, 연구 방향을 결정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원폭이 얼마나 무서운 존재이며 인간을 어떻게 피폐하게 만드는 가를 알리는 것이 주된 목표이다. This paper examines Hara Tamiki"s short story "Summer Flowers", which is called the Japanese Atomic Bibliography. Above all, “Summer Flowers” is highly regarded as a work containing the artist"s experience of the atom bomb. First, I looked at when the genre of atomic bomb literature was start in Japan and how the atomic bomb research was conducted. I examined the work world including the meaning of the work "summer flower". Finally, we held a reading discussion for this paper and presented the students" appreciation with free discussion with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book discussion. This work not only helped writer to study atomic bomb literature, but also helped to determine the research direction.

      • KCI등재후보

        한국인 원폭 피해의 문학적 재현 양상 - 고형렬의 『리틀보이』를 중심으로 -

        김현정 대구가톨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4 인문과학연구 Vol.- No.52

        본 연구는 한국 원폭 문학의 범주에 기입할 수 있는 작품을 정리하여 그 연구 현황을 파악하고, 고형렬의 작품『리틀보이』가 한국인 원폭 피해를 재현하는 양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1945년 히로시마와 나가사키 원폭 투하로 인한 한국인 피폭 문제는 그 심각성과 현재성에도 불구하고, 우리 사회의 공론장에서 오랜 시간 소외되었다. 한국인 원폭 피해를 소재로 하는 문학사적 자산은 아직 많지 않고, 한국 원폭 문학에 관한 학술적 연구 역시 충분히 생산되지 못하였기에 더욱 적극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한국인 원폭 피해를 재현한 문학 작품이 대부분 소설인 가운데, 해당 소재를 본격적으로 다룬 거의 유일한 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는 고형렬의『리틀보이』는 원폭 투하와 피폭의 순간을 8천 행이 넘는 분량으로 묘사한 의미 있는 작품이다. 본 연구는 질병의 고통과 차별의 두려움에 묻혀있던 한국인 원폭 피해자의 목소리를 대신하여, 피폭의 경험을 문학적으로 증언하는『리틀보이』의 재현 양상과 그 의미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works of literature within the scope of what is known as Korean ‘atomic bomb’ literature, and also to assess the existing body of research which has been conducted upon this work. Central to this assessment is examination of how Go Hyeong-ryeol represents the Korean experience of the effects of atomic bomb fall out in his substantial work Little Boy(1995). The exposure of Koreans to the devastating effects of the 1945 bombings of both Hiroshima and Nagasaki has been largely neglected within public discourse despite the gravity and its contemporary relevance. Therefore, this article intends upon readdressing this imbalance and bringing the topic back with public discourse from the margins. The problem is that few literary works address the effects of these atomic bombs upon the lives of Korean people, resulting in an insufficient amount of academic research conducted upon this topic. As for the literary work that does feature the horrors of atomic war visited upon Koreans during the mid-twentieth century, the novel is by far the most prevalent form of literary composition. However, Go Hyeong-ryeol’s Little Boy stands out because it is an epic poem that deals with the issue in great earnest. Spanning over 8,000 lines, the poem vividly captures the moment of the explosion of the atomic bomb the poem is named after Little boy, depicting in vivid detail its devastating effects upon the lives of the Koreans that it tragically changes. This article examines how Little Boy serves as a poignant voice for Korean atomic bomb victims, encapsulating their experiences of disease-induced suffering and fear of discrimination. It delves into the literary portrayal and significance of Little Boy as a testament to the enduring impact of radiation expos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