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대교회 교부의 철학 사용법 - 암브로시우스의 성례신학과 신플라톤 사상과의 관계성 연구

        황훈식(Hun Sik Hwang)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22 신학논단 Vol.107 No.-

        본 논문은 4세기 이후, 즉 박해 상황이 종식되어가는 시대에 나타나는 기독교 신학과 철학사상의 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4세기 로마교회와 견줄만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던 밀라노 교회의 감독인 암브로시우스에게 초점을 맞추고, 암브로시우스와 철학사상과의 연관성과 차이성이 나타나고 있는 영역, 즉 그의 성례신학을 분석했다. 이에 플라톤 사상이 어느 정도 암브로시우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혹은 암브로시우스가 플라톤 사상을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의 성례신학에 대한 설명을 보면, 플라톤 전통, 그 당시로 신플라톤사상에서 거론되고 있는 소재들과 용어들을 충분히 연상할 수 있었던 점이 나타난다. 플로티노스와 포르피리오스에게서 나타나고 있는 ‘영혼의 상승’, ‘자기 자신을 바라봄’을 통한 ‘자기인식’과 ‘신인식’, ‘닮음’, ‘영혼의 감옥’이라는 소재들은 신입 입회자들에게 성례의 의미를 되새김하는 교육에서 시편 105편 5절을 근간으로 하는 독수리의 상승 비유, 로마서 6장 5절에 나타나는 죽음의 유사성에 대한 설명, 마태복음 25장 6절에 근거한 그리스도가 머물러 있는 곳에 대한 설명에서 겹치게 되는 이미지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암브로시우스가 이러한 신플라톤 사상의 요소들을 성례신학에서 무분별하게 사용하고 있지는 않았다. 그는 기독교 진리와 신플라톤 사상을 합쳐 새로운 것으로 변형시키지 않았다. 신플라톤 사상에서는 ‘영혼의 상승’을 말했지만, 암브로시우스는 한 발 더 나아가 ‘영혼의 무능력’에 대해 설명했다. 신플라톤 사상에서는 ‘자기인식’을 설명하지만, 암브로시우스는 ‘죄인식’과 ‘새로운 피조물로서의 자기정체성’에 대해 말했다. 또한 신플라톤 사상의 ‘모형과 원형’의 도식은 암브로시우스에게는 ‘본보기와 실제’의 도식으로 나타나고, 신플라톤 사상에서의 ‘눈’은 암브로시우스에게는 ‘마음’이라는 용어로 표현됐다. 주목해야 할 점은 모든 성례신학적 설명에는 성경 말씀이 기초가 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의 신학적 해석의 근거는 하나님의 말씀이었고, 성경을 해석하는 과정에서 성례에 대한 의미를 자신들의 상황에서 재해석하고 이를 전달하고자 하였다. 반면 그는 플라톤사상의 소재들을 알고 있었고, 그 한계도 알고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플라톤 사상과 기독교 진리를 동일시 하지 않았고, 오히려 플라톤사상의 틀을 이용해서 기독교의 핵심적 진리를 설명하였다. 이는 그가 플라톤 사상과 반대되는 것들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지 않고 기독교 진리의 본래적인 모습을 유지했다는 점에서 발견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veal the relation between Christian theology and philosophical thought that appears after the 4th century, that is, in the era when the persecution situation is ending. For this purpose, this thesis focuses on Ambrose of the Milan Church, who had an influnence comparable to the Roman Church in the 4th century, and analyzes his sacramntal theology showing the connection and difference with philosophical thought. This study specifically investigates how Neoplatonism influenced Ambrose or how Ambrose dealt with Neoplatonism. Ambrose’s explanation of sacramental theology gives the impression that he is recalling the subjects and terms dealt with in the Platonic tradition, specifically, in the Neo-Platonic thought. The factors appearing in Neoplatonic thoughts of Plotin and Porphyry, ‘acension of soul’, ‘selfconsciousness’, ‘awareness of God through self-looking’, ‘similarity’ and ‘prison of soul’ can be seen as overlapping images in education to remind of the meaning of the sacraments. The overlapping factors appeared in the parable of the ascension of the ealge based on Psalm 105:5, the explanation of the similarity of death in Romans 6:5, and the explanation of where Christ dwells based on Matthew 25:6. Ambrose did not use these elements of Neoplatonic thought indiscriminately in sacramental theology. He did not combine Christian truth with Neoplatonic thought and transform it into something new. Wenn Neoplatonic thought discussed the ‘ascension of soul’, Ambrose went one step further and explained the ‘incompetence of soul’. Wenn ‘self-consciousness’ was discussed in Neoplatonic thought, Ambrose spoke about ‘awareness of sin’ and ‘self-identity as a new creature’. In addition, the schema of ‘model and prototype’ of Neoplatonic thought appeared as a schema of ‘exemplary and actual’ (figura et veritas) to Ambrose, and ‘eye’ in Neoplatonic thought was expressed in terms of ‘mind’ to Ambrose. He knew the factors of Neoplatonic thought, and he knew the limits of it. Therefore, he did not identify Neoplatonic thought with Christian truth, but rather explained the core truth of Christianity using the framework of Platonic thought. This is found in the fact that he did not actively accept anything that was contrary to Neoplato’s thought and maintained the original form of Christian truth.

      • KCI등재

        포도주와 성 암브로시우스의 성경 주해서

        정환규 한국서양중세사학회 2022 西洋中世史硏究 Vol.- No.49

        Saint Ambrose of Milan(339-397) is the first Father of the Church that first made ethical mention on drinking alcohol. He tried to show the right path to the faithful by recognizing the merits and demerits of Alcohol. His writings on Social teachings show these thoughts well. But, to understand his views on alcohol we need to take a closer look at his Exegesis of the Bible. This thesis, based on the Preliminary Study of Genesis, narrows to the Exegesis that are not related to Genesis. Especially focusing on the wine that takes the major position among the alcohol mentioned, trying to draw its specialty. In this study, Opera omnia di Sant’Ambrogio - the most trustworthy Critical Text – is used. Saint Ambrose did not only stay at the abstaining alcohol but found the ethical foundation from the Bible. During his Exegesis, he used the word “wine” 135 times. among the usage, 49times(36.3%) are the direct quotation of the Bible. Saint Ambrose mentioned wine from the origin of the wine to the mystical transformation of the Blood of Christ. The wine is created to give joy to the humans by the Creator, but due to the misuse of the human, its negative aspects are also revealed. So, by the stories of people and Apostoles in the Bible, we need to deal with the wine well. Symbols are another important aspect that Saint Ambrose’s wine. Wine is represented among various alcohol that overcomes its limit and is also used at various dimensions such as the pleasure of the flesh, blood of righteousness, drink of the evil, wrath of God, grace and joy from the God, His Words, faith, Holy Spirit, etc. Among all, the wine is used at the Eucharist, Mass. So, the wine moves beyond the symbolic dimension and enters fo the mystical zone – Blood of Christ. Wine is not to be unconditionally permitted nor unconditionally prohibited. The wine is from our real-life that has many symbols, and it expands to the mystical area. To make a deep understanding of the view on alcohol of Saint Ambrose, we need to understand the wine that has this many values. So, moving forward from the standard ‘be moderate on wine’ to see a new ethical basis of Saint Ambrose, and this can lead us not only to understand the western society at that time, but also become our guideline. 밀라노의 성 암브로시우스 주교(339-397)는 술을 마시는 데 윤리적 언급을 한 첫 서방 교부로, 술이 가진 장단점을 명확히 인식하고 신자들에게 올바른 길을 제시하려 노력하였다. 이런 암브로시우스의 생각은 그의 사회교리 저서에 잘 나타난다. 하지만 보다 근본적 차원에서 그의 음주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가 작성한 성경 주해서를 바라보아야 한다. 여기서는 창세기 주해서에 관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창세기와 연관되지 않은 주해서로 시선을 좁히고, 이 속에 나타난 술 가운데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포도주에 한정하여 그 특성을 파악한다. 그리고 이 작업을 위해서 신뢰할 수 있는 비평본, 『암브로시우스 전집(Opera omnia di Sant’Ambrogio)』의 판본을 이용한다. 암브로시우스는 단순히 포도주를 절제해야 한다는 생각을 넘어서, 성경에서 윤리적 근거를 찾는다. 성경 주해서 안에서 암브로시우스는 포도주를 총 135번 사용하는데, 이 가운데 36.3%에 해당하는 49번이 성경의 직접 인용이다. 이것을 기반으로 암브로시우스는 포도주의 기원부터 그리스도의 피에 이르는 신비적 변화까지 포도주를 언급한다. 포도주는 하느님께서 인간에게 기쁨을 주기 위해 창조하신 물건이지만, 안타깝게도 인간의 남용으로 부정적인 면도 드러나게 되었다. 따라서 성경에 나온 사람들의 모습과 사도들의 이야기를 교훈 삼아 포도주를 잘 다루어야만 한다. 상징은 암브로시우스의 포도주가 가진 또 다른 중요한 측면이다. 포도주는 자신의 한계를 넘어서 술 전체를 대표하는 물건으로 작용할 뿐 아니라, 육체적 쾌락, 의로운 사람이 흘리는 피, 악마가 주는 음료, 하느님의 진노, 하느님께서 주시는 은총과 기쁨, 그분의 말씀, 신앙, 성령 등 여러 차원에서 이용된다. 포도주는 무엇보다 성체 성사, 곧 미사성제에서 쓰이는 물품이다. 따라서 포도주는 상징의 차원조차 넘어서 그리스도의 피라는 신비적 영역으로 들어간다. 포도주는 무제한으로 허용할 물건도 아니고, 그렇다고 무조건 배제할 물건도 아니다. 포도주는 현실의 물건이면서도 여러 상징을 지니고 있고, 더 나아가 신비의 영역까지 확장되기 때문이다. 암브로시우스가 생각한 음주론을 숙고하기 위해서는 이렇게 다양한 가치를 가진 포도주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단순히 ‘포도주를 절제하라’는 기준을 넘어서 암브로시우스의 새로운 윤리적 근거를 바라볼 수 있고, 이것은 당시 서구 사회를 이해하는데 뿐만 아니라 오늘날 신앙인에게도 지침이 되어 줄 것이다.

      • KCI등재

        암브로시우스의 『죽음의 선함』(De bono mortis)에 나타난 죽음이해

        황훈식 ( Hun Sik Hwang ) 한국대학선교학회 2021 대학과 선교 Vol.49 No.-

        본 논문의 목적은 죽음의 선함을 논한 암브로시우스의 저서를 통해서 그의 죽음관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4세기경에 쓰여진 저서가 어떻게 오늘까지 우리의 손 안에 들어오게 되었는지, 그리고 『죽음의 선함』이라는 책을 쓸 당시의 상황은 어떠했는지, 책의 구성과 내용은 어떠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본론으로 들어가서 암브로시우스가 어떠한 관점과 방식으로 죽음의 선함을 논했는지를 찾아 분석하고, 결론적으로 암브로시우스의 죽음의 진정한 의미를 통해 오늘날 상황을 해석하는데 적용하고자 한다. 암브로시우스는 죽음을 세 가지 유형, 즉 죄로 인한 대가인 죽음, 신비적 영적인 죽음, 자연적 죽음으로 나누면서 죽음은 악이 아니라, 선하다는 이유를 설명했다: 죽음이 선한 이유는 1) 고통스러운 인생의 마침이기에, 2) 그래서 쉼에 들어가기에, 3) 죽음은 끝이 아닌 잠이고 깨어남(부활)의 소망이 있기에, 4) 죽어가는 사람들을 도울 수 있는 복을 누릴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 영혼의 상태는 ‘죽음의 선함’을 현재적으로 그리고 미래적으로 누림에 있어 매우 중요하며, 암브로시우스는 그리스도의 모범과 사도 바울의 선포(고전15:31) 안에서 우리의 영혼을 영원함과 완전함으로 나아가게 하자고 권면한다. This purpose of this paper ist to analyze and interpret Ambrose's view of death in the writings of Ambrose, who discussed the goodness of death. For this, first, I will examine how did the writings of the 4th century come into our hands to this day, what was the situation at the time of writing the book De bono mortis, and what was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the book. Then, going into the main body, I will try to find and analyze what kind of Ambrose’s viewpoint about Death and how Ambrose discussed the goodness of death, and in conclusion, apply the true meaning of Ambrose's death to interpret the present situation. Ambrose explained why death is good, not evil, by dividing the concept of death into three types: death due to sin, mystical spiritual death, and natural death. Why Death is good, This is because 1) it is the end of a painful life, 2) it ist the beginning of rest, 3) it ist not the end, but a sleep, and theres es a hope of awakening(resurrection), 4) we can enjoy the blessing of helping people who are dying. The state of our souls is very important in our present and future enjoyment of the 'goodness of death', and Ambrose exhorts us to advance our souls to eternity and perfection in the example of Christ and the proclamation of the Apostle Paul(1 Cor.15:31).

      • KCI등재

        4세기 밀라노 암브로시우스의 성찬축성에 대해

        황훈식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5 장신논단 Vol.47 No.2

        Ambrose raised the position of the church in the Roman Empire in the fourth century and made a great achievement as a church politician. But his main ministry was pastoral works in his church in Milan, especially in the area of worship. Many of his writings were the result of ministry, and in the center of the worship ministry were the sacraments and the preaching. Therefore, understanding his view of the sacraments ist one of the important elements that can not be overlooked in understanding his faith and theology. His understanding of the Eucharistic consecration allows us to see how Ambrose’s church react and respond at that time.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Ambrose’s “consecratio” and its Meanings. It first examines the term of Eucharistic consecration, secondly,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the baptismal consecration for water and Eucharistic consecration for bread and wine, and thirdly, finds the function and the meaning of Words of Institution, namely Words of Christ, which he practiced in the Eucharistic consecration. Ambrose used the term of “consecratio” mostly in baptism and Eucharist. The consecration in these sacraments was practiced through the words of Christ. Ambrose sensitively responded to a skeptical impression of the Eucharist, and he aroused importance of Eucharistic mystery with the Eucharistic consecration. The Eucharistic consecration is focused on the spiritual illumination and the spiritual change, and it is connected with the salvation by Jesus Christ and eternal life. He specifically intended to use the words of Christ in the Eucharistic consecration, because he wanted to differentiate Christianity from the rite of Arianism, Judaism and Paganism. 암브로시우스는 4세기 로마제국에서 교회의 위상을 드높이고, 교회 정치적인면에서 큰 공적을 남기었지만, 그의 주된 사역은 목회사역이었고, 그 중에서도 예배사역이었다. 그의 수많은 저서들은 목회사역의 결과물이고, 예배사역의 중심에는 성례와 설교였다. 그렇기 때문에 그의 성례를 이해하는 것은 그의 신앙과 신학을 이해하는데 간과할 수 없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고, 그 가운데 그의 성찬축성에 관한 이해는 교회의 당시 상황에 어떻게 대처해 나아갔는지를 엿 볼 수 있게 한다. 이 논문은 암브로시우스의 성찬축성과 그 의미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성찬 축성에 대한 용어를 조사하여 암브로시우스가 이해하고 있는축성의 개념을 밝히고, 둘째 세례수 축성과 성찬 축성과의 관계를, 셋째 성찬 축성에 사용했던 그리스도의 말씀, 즉 제정사의 의미와 기능을 찾고자 시도하였다. 암브로시우스는 축성의 용어를 세례와 성찬에서 대부분 사용했다. 세례시에는 세례수를 거룩하게 하는 기도였고, 성찬시에는 빵과 포도주를 거룩하게 하는기도였다. 세례수 축성과 마찬가지로 성찬 축성은 그리스도의 말씀을 통해 실행되었다. 그는 몇몇 입회자들이 가졌던 성만찬에 대해 회의적인 생각을 인지하고있었고, 이에 대해 성찬 축성을 통한 성찬의 신비를 강조하였다. 성찬 축성은 영적인 깨달음과 영적인 변화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고,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과 영원한 생명에 연결되어 졌다. 특별히 그는 성찬 축성에서 그리스도의 말씀인 제정사를 의도적으로 사용하였고, 이는 반아리우스, 반유대교, 반이교도적인 성향을갖추어 기독교를 차별화시키기를 원했던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은 예식학적 면에서 4세기 예식 발전상과 교부학에서 암브로시우스에 대한 새로운 연구방향성에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성 암브로시우스의 작품에 나타난 혼인(matrimonium)

        정환규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2023 인격주의 생명윤리 Vol.13 No.1

        This study aims to reflect the meaning of Marriage through the view of the Marriage of St. Ambrose. To identify the view of St. Ambrose, the ‘Matrimonium’ featured in the work of 'Opera omnia di Sant’Ambrogio', which is the trustworthy critical edition is used. Saint Ambrose, who is an outstanding spiritual leader and Pastor, had profound understanding and discernment. The word ‘Matrimonium’ is used 20 times in his writing of 10 volumes. Direct quotations from the Bible are 7 times. In this work, not only the literal meaning but also spiritual and mystical meanings are shown well. Above all, St. Ambrose, as a Pastor, had a deep understanding of the difficulties that arose during the Marriage and did not forget that Marriage should always be protected and respected. 1Co. 7.38, which had the most quotation shows St. Ambrose gave high value to Celibacy but did not deny the value of Marriage. Marriage is one of the many aspcects of life that enriches the Church. Also has its meaning and noble responsibility. Celibacy is an outstanding way of life, but the Life of Marriage can also lead to Virtue so each one should walk their own life is most important. 본 연구는 성 암브로시우스의 혼인관을 통해 혼인의 의미를 되돌아보고 그 가치를 되새기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 신뢰할 만한 비평본인 암브로시우스 전집(Opera omnia di Sant'Ambrogio) 에 나타난 ‘혼인(matrimonium)’을 중심으로 그 의미와 맥락을 파악한다. 뛰어난 영적 지도자이면서 또한 훌륭한 사목자였던 암브로시우스는 혼인에 대해서 깊이 이해하고 통찰하였다. ‘혼인’은 그의 저서 10권에서 총 20회 걸쳐 사용되며, 성경 구절을 직접 인용한 경우는 총 7번이다. 여기에는 혼인이 가진 문자적 의미 뿐 아니라 영적, 신비적 의미도 잘 드러난다. 암브로시우스는 무엇보다 사목자로서 현실의 혼인 생활에서 일어나는 어려움을 깊이 통찰하고 있었고, 혼인이 보호받고 존중되어야 한다는 것을 잊지 않았다. 가장 많이 인용된 1코린 7,38의 구절은 암브로시우스가 동정 생활에 대해 높은 가치를 부여하면서도, 혼인의 가치를 결코 부정하지 않았음을 잘 드러낸다. 혼인은 교회를 풍요롭게 하는 여러 생활 형태 가운데 하나이며, 고유한 가치를 가지고 동시에 고귀한 책임도 지닌다. 동정 생활이 뛰어난 길이기는 하지만, 혼인 생활을 통해서도 많은 이가 덕의 길로 나아갈 수 있기에, 각자가 적합한 길을 충실히 따라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 KCI등재

        성 암브로시우스의 추도사와 편지 속 포도주

        정환규 서강대학교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24 신학과 철학 Vol.- No.46

        술은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도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을 뿐 아니라, 가톨릭 교회 역사안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해 왔다. 하지만 그 위치에 비해 교부들이 술을 어떻게 바라보았는지에 대해서는 그다지 연구가 많지 않은 실정이다. 본고에서는 이에 착안하여 여러 교부 가운데 성 암브로시우스를 선택하고, 그의 저서 중 특별히 추도사와 편지글을 중심으로 포도주의 의미를 파악해 보려 한다. 포도주는 암브로시우스의 추도사 중『형 사티루스의 죽음』과『발렌티니아누스의 죽음』에서 6번, 편지 모음집인『서간집』과『추가 서간집』에서 21번, 총 27번 사용되었다. 암브로시우스는 여기서 성경을 14번 직접 인용하는데, 이것은 암브로시우스의 성경 주해서에서 나타난 성경의 직접 인용 비율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암브로시우스가 추도사와 편지글 속에서 성경을 더 자유롭게 인용하였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성경 인용을 배경으로, 포도주가 상징적 의미를 지닐 경우는 하느님의 은총과 축복을 드러내는 긍정적 측면이 잘 드러난다. 하지만 현실의 포도주를 언급할 때는 긍정적인 측면 뿐 아니라 부정적인 측면도 함께 고려되며, 암브로시우스는 이를 통하여 무엇보다 적절한 포도주의 사용을 강조한다. Alcohol occupies an important proportion in today’s society but also has occupied an important place in the history of the Catholic Church. However, compared to its status,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how the Fathers of the Church viewed alcohol. Focused on this aspect, this paper selects St. Ambrose among the various Fathers of the Church and trie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wine, especially focusing on his eulogy and letters among his writings. The term ‘Wine’ was used a total of 27 times, 6 times in De excessu fratris and De obitu Valentiniani among Ambrosius’ eulogies, and 21 times in Epistulae and Epistulae extra collectionem traditae, collections of letters. Ambrose quotes directly from the Bible 14 times here, which is a much higher quotation rate than the direct quotation rate from the Bible in Ambrose’s commentary on the Bible, showing that Ambrose quoted the Bible more freely in his eulogy and letters. With the background of these biblical quotations, the positive aspect of revealing God’s grace and blessings is well revealed while wine has a symbolic meaning. However, when referring to wine in reality, not only positive aspects but also negative aspects are considered, and through this, Ambrosius emphasizes the proper use of wine.

      • KCI등재

        암브로시우스의 사회 교리

        최원오(Choe, Wono)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8 神學展望 Vol.- No.200

        암브로시우스(Ambrosius, 340-397)는 사회 정의를 위해 투신한 대표적 교부이다. 특히 재화의 보편적 가치와 분배 정의에 관한 매우 강력한 가르침을 남겼다. 암브로시우스의 사회 교리의 핵심 원리는 이러하다. 하느님께서 이 세상을 모든 이가 함께 사용하도록 창조하셨으니, 자연 재화를 비롯한 세상의 모든 재화는 공유재로 여겨야 하고 아무도 독점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또한 재화의 독점이나 이자놀이는 가난하고 궁핍한 이웃들의 몫을 강탈하는 것이며 그들을 죽음으로 내모는 대죄라는 것이다. 몰상식이 세상의 이성과 논리를 지배하고, 무한탐욕이 성장의 동력으로 미화되고, 돈과 금융자본이 공생과 연대의 삶을 짓밟고 있는 오늘날, 인간의 공유 의식, 곧 상식(common sense)을 일깨우는 암브로시우스의 권위 있는 가르침은 매우 소중한 의미를 지닌다. 인간을 자본 권력 앞에 무릎 꿇리는 경제 독재에 굴하지 않고 끝내 일어나, 부의 사회적 기능과 재화의 보편적 목적, 분배 정의와 사유 재산권의 한계를 명확하게 인식하고 연대하도록 재촉하기 때문이다. 당시 밀라노 주교는 로마의 주교, 곧 교황에 버금가는 권위를 지니고 있었다. 그러나 암브로시우스는 불의한 정치와 자본 권력 앞에서 침묵하거나 타협하는 법이 없었다. 가난한 사람들은 교회의 보물이며, 교회의 재산은 가난한 사람들의 것이라는 확신으로 의지할 곳 없는 난민들과 이주 노동자들을 따뜻하게 품어 안았고, 경제 활동에서 배제되고 폐기된 노동자들의 벗이 되어 주었다. 약탈적 대출에 삶을 저당 잡힌 채 빚의 노예로 전락한 가난뱅이들의 변호인이 되어 이자놀이와 고리대금의 죄악성을 폭로하며 돈놀이를 도둑질과 살인 행위로 단죄했다. 자비와 정의가 어우러지고 사랑과 평화가 물결치는 세상을 한평생 목말라했던 암브로시우스의 사회 교리는 그리스도교 신앙의 실천적 토대일 뿐 아니라,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구체적 사회 개혁과 대안 운동에도 고대 그리스도교의 소중한 원천을 제공해 줄 것이다. St. Ambrose(340-397) is a representative Church Father committed to social justice. In particular, he left a very powerful teaching about the universal values of goods and distributive justice. This is the core principle of the social doctrine of Ambrose: God has created this world to be used by all, and all the goods of the world, including natural goods, must be regarded as common goods and no one can monopolize them. Furthermore, he taught that the monopoly of goods and the usury are robbing the poor and needy neighbors of their portion and that they are grave sins which drive the poor to death. In our days, the lack of common sense dominates the world’s reason and logic, infinite greed is embellished as the driving force of growth, and money and financial capital trample on the life of coexistence and solidarity. Therefore, the authoritative teachings of Ambrose, which arouse the shared consciousness of human or common sense, possess a very precious meaning. It is because they urge us to defeat the economic dictatorship that bring man to surrender to capital power and to recognize the social functions of wealth, the universal purpose of goods, the distributive justice and the limits of private property rights, and to express solidarity with the poor. The then bishop of Milan had an authority comparable to that of the bishop of Rome, the Pope. However, Ambrose never remained silent or compromised before the unjust political or capital power. He was convinced that the poor are the treasures of the church and the wealth of the church was that of the poor. With this conviction, he embraced the helpless refugees and migrant workers and made himself a friend of the workers who were excluded or discarded from economic activity. As an advocate of the poor, who became the slaves of debt because of predatory lending, he condemned usury as a stealing and murdering act. The social doctrines of St. Ambrose, who all his life thirsted for the world of mercy, justice, love and peace, serve as the practical foundation of Christian faith and will provide a valuable source of ancient Christianity to the specific social reform and alternative movements that are actively discussed in Korean society today.

      • KCI등재

        Baptism as a Healing Ritual in the Early Church, focusing on Ambrose’s Catechetical Homilies

        Jaewoong Jung(정재웅)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20 신학논단 Vol.102 No.-

        현대인들에게 세례는 일반적으로 죄사함이나 거듭남과 같은 영적인 은혜를 전달하는 성례 혹은 기독교의 입문예식으로 이해되기 때문에, 세례가 치유를 가지고 오는 의례라는 이해는 낯설다. 그러나 초대교회의 세례터들에서 발견되는 그림들이나 닛사의 그레고리, 에프렘, 키프리안, 터툴리안, 암브로시우스 등 초대 교부들의 글들을 통하여 초대교회 그리스도인들이 세례를 일종의 치유 의례로 이해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이는 초대교회 그리스도인들이 영적인 세계와 물질 세계의 분리를 전제하는 근대의 경험주의적 의학적 이해와는 달리 영과 육의 세계가 통합된 것으로 보는 고대 지중해 세계의 고유한 문화적 관점을 통해 세례 및 치유를 이해했기 때문이다. 즉, 구원이란 단순히 인간의 영적인 상태를 변화시키는 사건이 아니라 인간의 영혼과 몸을 모두 변화시키는 전인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사건이며, 치유 역시 이러한 전인적인 구원의 한 양상으로서 이해되었던 것이다. 이렇게 현대인들과 초대교회 그리스도인들의 치유와 세례에 대한 이해가 상이하기 때문에, 연구자는 인간의 질병 경험을 교차문화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의료문화인류학을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즉, 초대교회 그리스도인들의 질병, 건강, 치유에 대한 이해를 현대 문화의 관점으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고대 지중해 세계의 문화적 관점을 통해 접근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암브로시우스의 세례 설교문들인 『성례에 관하여』와 『신비에 관하여』의 분석을 통하여 그가 세례를 치유 의례로 이해했음을 살펴보고, 존 필치가 제안한 의료문화인류학적 모델을 적용함으로써 암브로시우스가 묘사하는 세례를 통한 치유가 일종의 상징적 치유로 이해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

      • KCI등재

        성 암브로시우스의 창세기 주해서에 나타난 포도주

        정환규(Jung, Hwan Kyu)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21 인간연구 Vol.- No.45

        몸을 망칠 정도로 술을 먹는 것에 대한 문제 제기는 어제오늘의 일은 아니지만,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모든 연령대에서 고위험 음주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술이라는 것이 어떤 것인지 바라보고 올바른 음주로 나아가는 것은 필요한 일이다. 하지만 막연하게 술에 대해 연구하는 것은 너무 광범위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서양 교부 중에서 가장 먼저 포도주를 마시는 것에 대해 윤리적 관심을 보인 인물인 밀라노의 성 암브로시우스 주교로 인물을 한정하고, 그의 창세기주해서 속에 나타난 포도주로 범위를 제한하였다. 암브로시우스의 창세기 주해서는 기원사에 해당하는 『육일창조(Exameron)』, 『낙원(De paradiso)』, 『카인과 아벨(De Cain et Abel)』, 『노아(De Noe)』와 성조사에 해당하는 『아브라함(De Abraham)』, 『이사악 또는 영혼(De Issac vel anima)』, 『죽음의 유익(De bono mortis)』, 『야곱과 행복한 삶(De Iacob et vita beata)』, 『요셉(De Ioseph)』, 『성조(De patriarchis)』로 이루어지며, 이 속에서 포도주는 총 68회에 사용되었다. 암브로시우스가 실생활 속 포도주를 바라볼 때에는 폭음과 연관되어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경향을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하지만 상징으로 바라볼 때에는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시선이 강하게 드러난다. 따라서 포도주의 상징이 가진 내적 가치를 제대로 이해하고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실생활에서 포도주를 사용할 때에도 이러한 포도주의 특성을 기억해야 한다. 포도주는 인간의 쾌락을 위해 주어졌지만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그저 우리 인간들에게 맡겨진 것이므로 과도하게 사용해서는 안 되는 물품이다. 포도주를 바닥까지 마시려 들지 말고 절제하라는 암브로시우스의 권고는 포도주의 가치를 잘 알고 있는 그의 음주관을 뚜렷하게 드러낸다. There have been many controversies surrounding the excessive assumption of alcohol. Due to the Covid-19 pandemic, excessive drinking has been increasing in every age group.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what alcohol means to us and to suggest proper guidelines for its consumption at an appropriate level. Since studying alcohol covers a very broad range of possible research avenues, in this study I limit the focus to St. Ambrose, who was first among the Western Fathers to show moral interest in wine consumption and in the term ‘wine’, specifically mentioned in his work on the exegesis of Genesis. The exegesis of Genesis by St. Ambrose consists of Exameron, De Paradiso, De Cain et Abel, and De Noe as the history of origin. The history of Holy ancestors consists of De Abraham, De Issac vel anima, De Bono Mortis, De Iacob et vita beata, De Ioseph, and De patriarchis, among which the term ‘wine’ is used 68 times in total. St. Ambrose tends to show his negative views on alcohol consumption in our real lives, especially regarding heavy drinking. On the other hand, he displays a positive view when referring to it with a symbolic connot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a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inner value of wine, and we should also remember this special characteristic of wine in our real lives. Wine is given to us for our pleasure, but it is not indispensable. Since it is entrusted to us, it is our responsibility to use it wisely. Do not do bottoms up—St. Ambrose’s teaching shows his view on alcohol consumption.

      • KCI등재

        What’s the matter? Ambrose and the synagogue in Callinicum

        하지메 다나카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2011 서양고대사연구 Vol.28 No.-

        If this reading is valid, it will revise a stereotyped image of the overbearing Ambrose and bring some important aspects of the later Roman administration. First, Ambrose petition testifies that those around the imperial court more or less took part in a discussion of the imperial legislation. As we have seen, a suggestio sent by an imperial administrator in a certain locality could be a basis for the imperial constitution with empire‐wide validity. This delicate balance between locality and generality in legislation was controlled not only by the imperial court but also by the local men of influence around the court. This process shows the tension and the difficulty with which the imperial government tried to keep the legal uniformity in the empire. The emperor and his staff were under the critical eyes of local people. During the church service Theodosius indeed faced the unexpected challenge of Ambrose, who desperately tried to let the case of the monks drop. On the other hand, some supporters of Jews or heretics also might have played an active part around the orthodox court. The imperial government, which came into Italy as a new comer, must have been especially liable to local pressure. because it had to make a new alliance in the area where the defeated party had established its own power structure. Secondly, Ambrose intervention will have another significance, if this interpretation is valid. Far from being a busybody of an arrogant character, Ambrose might have been just a passive representant of the Italian clerics in this case. A letter, which takes a form of a correspondence to his sister in Rome at first glance (Ep. extra coll. 1), might have been intended not only for his sister, but also for the interested parties. If so, his role is not so dependent on his eccentric character, and could be fulfilled by other bishops or sophists with an access to the imperial court. Indeed, some seemingly arrogant appeals or claims on the part of sophists or philosophers are found in sources, and especially well‐attested are those of bishops. If this observation is correct, it is necessary to reevaluate the political decision making process and public ceremony through the imperial age, such as the role of holy men, theatrical performances, and religious services. It is not the personal character, but the editorial manipulation of his own literary works that has made Ambrose such a remarkable person in the history of the later Roman empi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