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신사 사행록에 반영된 히로시마(廣島)

        한태문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3 한국민족문화 Vol.47 No.-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Hiroshima, where Tongshinsa enhancement work has extensively performed in Japan, was reflected in Sahaengrok of Tongshinsa. Firstly, role of Hiroshima, in the point of view of Tongshinsa trip, was identified. Hiroshima was the stop over of distance of water path which includes Seto Naikai's two most representative port villages; Kamagari and Tomonoura where Tongshinsa definitely dropped by in their journey. Hiroshima was also in great favor of serving Tongshinsa so that they can be impressed. Next, scene of Hiroshima in the Sahaengrok was identified. First, Hiroshima has great view. Especially, Hukugenji was greatly praised by Tongshinsa as a place where Taoist hermit lives. Second, Hiroshima was described as a famous area for decent alcohol and good mat which represents Japan along with Bandaiji which is renowned for unique way of living(carry on their life by getting supplies from ships that passing by). Third, Hiroshima was described as a place of cultural exchange between the locals and Tongshinsa and its aspects were also various from literature, arts, tachnoculture, books to custom. Fourth, Hiroshima was also described as a place where life of prisoners, who were captured from Chosun during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is closely revealed. 이 글은 오늘날 일본에서도 가장 활발히 통신사 선양사업을 펼치고 있는 히로시마(廣島)가 사행록에는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 지를 살핀 것이다. 먼저, 통신사행에 있어서 히로시마의 역할을 살폈다. 히로시마는 통신사가 반드시 들렀던 瀨戶內海의 대표적인 港町인 鎌刈와 韜浦가 포함된 水路노정 경유지였다. 1636년 통신사 이후 江戶로 향할 때 客官 숙박이 정착되고, 귀로에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방문형태를 띠었다. 또 히로시마는 통신사에 대한 접대와 支供에 정성을 다한 지역으로, 鎌刈는 통신사가 낭비가 심하다고 여길 정도로 접대에 최선을 다했고, 韜浦도 上關보다 나은 접대로 통신사를 감동시켰다. 다음으로 사행록에 들어앉은 히로시마의 모습을 살폈다. 첫째, 히로시마는 빼어난 경치를 자랑하는 곳으로, 특히 福禪寺는 빼어난 경치로 詩興을 불러 일으켜 통신사로부터 仙境으로 칭찬받았다. 둘째, 히로시마는 운행하는 배로부터 생필품을 공양 받아 생활하는 독특한 생활방식을 지닌 盤臺寺와 함께, 일본을 대표하는 맛 좋은 술과 좋은 돗자리가 생산되는 지역으로 묘사되었다. 셋째, 히로시마는 통신사와 지역민과의 문화교류가 활성화된 곳으로, 그 양상은 문학, 예능, 기술문화, 서적ㆍ풍속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이루어진 곳으로 묘사된다. 넷째, 히로시마는 임진왜란 때 포로로 끌려 왔던 조선 被虜人들의 삶의 양태가 구체적으로 드러나는 공간으로 묘사되고 있었다.

      • KCI등재후보

        도일과 히로시마 원폭피해, 귀환

        문경희(Moon, KyoungHee) 이주사학회 2018 Homo Migrans Vol.19 No.-

        이 연구는 1945년 8월 6일 8시 15분에 히로시마에서 피폭을 당한 합천출신 조선인 귀환자의 국경 이동과 양국 사회에서 경계인으로서의 삶의 경험에 관해 살펴보는 연구이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이주의 주체였던 부모세대가 아니라, 그들을 따라 현해탄을 건너갔다가 다시 건너온 자녀세대에 초점을 맞춘다. 피폭의 맥락에서 본다면, 그들은 히로시마에서 직 · 간접적으로 피폭을 당한 1세대이다. 하지만 이주의 관점에서 본다면, 그들은 이주 1세대인 부모님을 따라 도일했다가 고국으로 귀환한 1.5, 2세이다. 일본에서 출생했거나 또는 어린 나이에 일본으로 이주하여 성장한 자녀세대의 국경이동과 양국에서의 삶의 경험과 정체성은 부모세대의 그것과는 다를 수밖에 없다. 구체적인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합천지역 사람들의 히로시마로의 이주 흐름은 왜, 어떤 방식으로 형성되었는가? 둘째, 피식민지 출신 이주민 1.5, 2세의 히로시마에서의 일상과 원폭피해 당시의 경험은 어떠하였는가? 셋째, 해방직후 그들의 귀환 경험은 어떠하였으며, 히로시마에서의 이주 경험이 그들의 ‘고국’과의 첫 대면과 정착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이 연구는 2017년 시점에 합천에 거주했었던 23명의 원폭피해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구술증언을 주요 자료로 활용할 것이다. 이 연구는 그동안 이주와 귀환의 맥락에서 크게 주목받지 못했던 합천 출신 원폭피해 1세이자 이민자 자녀세대의 삶을 그들의 목소리를 통해 소개한다는 점에서 식민지시기에 초점을 맞춘 해외이주와 귀환 연구에 기여한다. 무엇보다도, 이 연구가 ‘일국사적’ 관점의 민족 · 국가주의적 수사를 벗어나서 피식민자로서 ‘능동적’으로 국경을 이동한 이민자 중에서도 합천이라는 지역성과 세대, 전쟁, 그리고 원폭피해라는 요인이 그들의 이주와 귀환 후의 삶을 어떻게 관통했는지에 대해 미시적으로 보여주는 실증적 연구라는 점에 이 연구의 의의를 둔다. This paper examines the life experiences of Korean atomic bomb survivors who returned ‘homeland’ from Hiroshima after August 15, 1945. Specifically, it pays attention to the 1.5 and 2nd generation of Korean migrants from the Hapcheon region with a focus on their border-crossing experiences and living conditions in both societies. They are the first generation of the atomic bomb victims in Hiroshima. However, in the migration context, they are the 1.5 and 2nd generation who were born and (or) raised in Japan, and repatriated to the liberated Korean Peninsula. Therefore, their identities and life experiences in both societies must be different from those of their parents in many aspects.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on them have focused on their experiences of victimization. Yet, their life experiences as a dependent of their parents who crossed the state border back and forth on their own has rarely been discussed in those studies. This paper has three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Firstly, why and how were the migration flows to Hiroshima by the people of Hapcheon formed? Secondly, what were their living conditions in Hiroshima and particularly, their experiences of atomic bombing like? Thirdly, how did they feel when they first arrived in their ‘homeland’ and how did their life experiences in Hiroshima affected their settlement in Hapcheon? Oral interviews with 23 survivors collected from Hapcheon in 2017 are used for the analysis of this study.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studies of emigration and return migration during the period of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by including the first generation atomic bomb survivors with the 1.5 and 2<SUP>nd</SUP> generation migration background as a ‘new’ research subject. It is also notable that this paper provides an empirical study showing how their life conditions and identities as a (return) migrant in both Hiroshima and Hapcheon were shaped by various elements, including generation, regional affiliation, and atomic bombing, other than ethnic identity.

      • KCI등재

        원폭문학에 나타난 원폭피해자의 삶과 환경 - 이성교의 「廣島(히로시마) 戀歌」를 대상으로 -

        최도식 ( Choi Dosik ) 한국환경철학회 2019 환경철학 Vol.0 No.28

        본 논문은 이성교의 「광도(히로시마) 연가」 연작을 통해 원폭문학에 내재된 원폭 피해자의 삶과 환경을 고찰했다. 패전 후 일본은 원폭을 소재로 한 다수의 작품들이 생산되면서 원폭문학을 하나의 장르로 형성한다. 반면, 한국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은 원폭희생자를 낸 원폭 피해국이지만 원폭과 관련된 작품이 드물며 논의도 희소한 실정이다. 원폭문학은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투하된 원자폭탄으로 인해 발생한 희생자와 생존자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소재로 한 문학이다. 그러므로 원폭문학은 희생과 피해의 문학이며, 살아남은 생존자의 삶을 다룬 생존의 문학이다. 이에 본고는 이성교의 「광도(히로시마) 연가」 연작을 애도, 공포, 연민의 관점에서 분석했다. 첫째, 「광도 연가」는 히로시마 원자폭탄 투하로 인하여 희생된 희생자의 넋을 위로하는 애도의 시이다. 시인은 원폭 투하의 역사적 현장을 애도의 공간으로 형상화한다. 히로시마의 한인 원폭피해자들은 일본정부와 일본인들로부터 차별을 받으며 살아왔다. 시인은 일본이 평화기념공원을 조성하여 평화 올림픽, 평화 기념식 등을 거행하지만 그것은 일본의 평화요 일본인만을 위한 평화로 인식했다. 따라서 우리 동포는 여전히 진정한 평화를 기다리고 있다. 진정한 세계 평화를 바라며 시인은 죽어간 원폭희생자의 넋을 애도한다. 둘째, 이성교 시인은 원자폭탄이라는 반인간적인 무기가 공포의 대상이며, 그 공포로 인해 트라우마를 안고 살아가는 원폭 피해자의 삶을 형상화한다. 시인은 공포의 트라우마를 “아픈 나무”로 비유한다. 시인은 화염과 폭풍으로 도시가 파괴되고, 이후 불타는 도시에 검은 비가 내리듯 방사능재가 도시를 뒤덮는 핵 공포를 형상화한다. 핵 공포에 대한 이미지는 돈호법, 청각적 이미지 등으로 형상화된다. 시인은 원폭의 공포를 주로 ‘검은 비’, ‘불비’로 상징화한다. 시인은 원폭의 공포와 그 기억의 상흔을 고스란히 감내한 우리 동포들의 서럽고도 슬픈 마음의 상처, 그들의 트라우마를 치유할 진정한 평화의 구원자를 기대한다. 셋째, 한일 원폭피해자는 방사능 피폭이라는 동일한 경험과 그 경험에 따른 신체적 손상, 감각에 각인된 극심한 고통을 공유한다. 하지만 히로시마에 거주하는 한인 원폭피해자는 그 이중고를 넘어 일본인들로부터 받는 차별과 냉대라는 삼중고를 견뎌야만 했다. 이성교의 「광도 연가」는 육체적 고통, 정신적 상처, 일본인들로부터의 차별과 냉대라는 삼중고를 견디며 살아온 우리 동포들의 삶을 연민으로 노래한다. 그리고 그들의 삶을 연민의 감정으로 연대한다. 더욱이 그들의 서러운 삶, 초조하고 불안한 삶이 끝나지 않고 계속 지속되는 삶이라는 사실에 시인은 그들의 삶에 맺힌 것들이 한 순간이나마 풀어지기를 소망한다. 우리는 핵무기와 원자력 발전소가 없는 세상을 만들어 가야 한다. 핵무기, 원자력 발전소에 의한 방사능 피폭은 우리의 삶을 처참하게 짓밟는다. 바로 「광도 연가」는 원폭피해자의 비참한 삶을 통해 우리에게 핵무기와 원자력 발전소가 없는 세상을 주문하는 환경 경계의 기록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e life and environment of Atomic-bomb victims in Atomic-Bomb Literature of through Lee Sung-gyo's “Hiroshima Elegy” series. After the defeat, Japan produced a number of works based on the atomic bomb, forming a genre of atomic bomb literature. On the other hand, Korea is the world's second victim of A-bomb, but the literature work related to A-bomb is scarce and the discussion hard find. Atomic Literature is a literature about the lives of victims and survivors of atomic bombs dropped on Hiroshima and Nagasaki. Thus, atomic bomb literature is the literature of sacrifice and damage, and the literature of survival. In this regard, this paper analyzed Lee Sung-gyo's “Hiroshima Elegy” series in terms of mourning, fear, and compassion. First, “Hiroshima Elegy” is a poem of mourning for the souls of victims victimized by the Hiroshima atomic bomb. The poet portrays the historical scene of the atomic bombing as a space of mourning. In addition, Korean A-bomb victims of Hiroshima have lived in discrimination. The poet recognized that Japan established a Peace Memorial Park, held a Peace Olympics, a Peace Memorial, etc., but it was Japan's peace and peace only for the Japanese. Thus our Koreans are waiting for true peace. In hope of true world peace, the poet mourns the souls of the dead. Second, Lee Sung-gyo poets are feared by the anti-human weapon called the atomic bomb, and the fear embodies the life of the bomb victims who live with trauma. The poet likens the trauma of terror to a “sick tree”. And the poet embodies the nuclear fear of radioactive material covering the city, as if the city was destroyed by a fire and a storm, and then a black rain rains on the burning city. The image of nuclear horror is shaped by money protection law, auditory image, etc. And the poet portrayed the horror of the atomic bomb mainly as black rain or bull rain. The poet expects the sorrowful and sad wounds of our brethren who have endured the scars of that memory, the prophets of true peace that will touch their traumas. Third, the Korean and Japanese A-bomb victims share the same experience of radiation exposure, their physical damage, and the severe pains that are imprinted in their senses. However, the Korean bomb victim who lived in Hiroshima had to go beyond the double high and endure the triple highs of discrimination and coldness received by the Japanese. Lee Sung-gyo's “Hiroshima Elegy” sings with compassion the lives of our Koreans who have endured the triple pain of physical pain, mental wounds, discrimination and coldness. And they unite their lives with feelings of compassion. Moreover, the fact that their sorrowful life, anxiety and misgiving are endless and enduring, the poet hopes that the things in their lives will be released for a moment. We must create a world without nuclear weapons and nuclear power plants. It is a record of a borderless environment that asks us to create such a world.

      • 일제강점기 일본인 이주어촌(移住漁村) 형성과 변용(變容)에 관한 연구 - 경남 통영시 히로시마촌(廣島村)을 대상으로 -

        김준,최문영,유재우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06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 No.1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e establishment process and housing spatial form of Japanese migrant fishing village in the area Misu-dong, Tongyoung during the colonial period of Korea. Hiroshima migrant fishing village was established in order to attain fishing ground magnification with support of national policy. The Establishment was mainly accomplished during 1919-1930. the After 1945 Liberation of Korea, it was transfigured by a returnee and Korean fishermen.. The units of this village is Nagaya type. The structure of Nagaya becomes rectangle shape containable 4-7 units. Unit is composed of 2-tatami room and 1-kitchen.

      • KCI등재

        오다 마코토(小田実) 『HIROSHIMA』가 ‘히로시마’를 문학화하는 방법

        심정명 한국일본학회 2021 日本學報 Vol.- No.126

        히로시마・나가사키의 원폭은 종종 홀로코스트에 비견되며, 특히 서구식 진보주 의와 과학기술이 낳은 인류의 비극으로서 기억된다. 하지만 히로시마 원폭 위령비의 주어를 둘러싼 논쟁에서 보듯 이러한 보편화는 일본의 식민지 지배나 침략전쟁의 책임을 희석한다는 비판을 받았고, 원폭 투하에 대한 책임을 묻지 않는 대신 전후 일본의 ‘유일한 피폭국’ 담론과 결합하면서 원폭의 기억을 내셔널한 것으로 에워싸 는 데에 일조했다. 본 논문은 이 같은 문제의식에서 1981년에 출판된 오다 마코토의 『HIROSHIMA』가 어떻게 히로시마를 문학화했는지를 분석하였다. 먼저 이 소설은 히로시마를 시간적, 공간적으로 확장한다. 소설에서 히로시마는 일본 내 다른 지역 에서 온 외지인들뿐 아니라 조선인, 미국인 포로, ‘남방’의 유학생들 등이 살아가는 공간으로 그려지며. 소설에 등장하는 많은 미국 거주 일본인들의 출신지이기도 하 다. 또한 소설은 일상적으로 존재하는 차별의 문제를 집요하게 그려냄으로써 무구한 희생자라는 관점을 상대화할 뿐 아니라, 원폭에 이르는 역사 속에 존재하는 다른 가 해와 피해에도 눈을 돌린다. 중첩되는 가해와 피해 관계에서 발생하는 책임 문제를 환상 속에서 최종적으로 정치 지도자에게 돌려 버리는 것이 이 소설의 한계일 것이 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소설은 원폭을 둘러싸고 제기되는 다양한 물음들을 최대 한 떠안으며 그 복잡함을 복잡한 그대로 보여주는 데에 어느 정도 성공한다. The atomic bombings of Hiroshima and Nagasaki are often compared to the Holocaust, and are especially remembered as a great tragedy of humankind. However, this generalization was criticized to dilute Japan's responsibility of colonializing Asian countries and starting the war. Furthermore, the postwar discourse of Japan, the only country to experience atomic bomb, helped nationalize the memory of the atomic bomb. The present article attempted to analyze how Oda Makoto had wrote this historical event in his novel HIROSHIMA by neither universalizing this memory nor nationalizing it. First, by beginning the story from the White Sands, where the atomic bomb experiment was conducted, this novel criticized the nationalized discourse concerning atomic bomb. Borrowing the Hopi myth, it persistently portrayed the problems of discrimination that existed in everyday life.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problems of such overlapping harm and damage relationship in Part 3, this novel is also linked to Oda's own thought of victim=perpetrator. Although this novel ultimately held the political leaders responsible for the problems that arose from such a relationship, the novel addressed various questions raised centering the atom bomb as much as possible and succeeds in showing the complexity as it is.

      • KCI등재

        ≪히로시마 내 사랑≫에서의 영화음악과 반전평화의 의미

        이경분 ( Lee Kyungboon ) 한국음악학학회 2017 음악학 Vol.25 No.1

        미군정 지배 하의 일본에서 오랫동안 금지되었던 히로시마 원폭에 관한 영화가 처음 공개된 것은 1952년 8월 신도 가네토(新藤兼人)감독의 ≪원폭의 아이≫(原爆の子)이다. 이어 1953년에 세키카와 히데오(關川秀雄)감독의 ≪히로시마≫(ひろしま)가 히로시마의 시민과 교육계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8만8천5백명 엑스트라 참여) 원폭직후의 참상을 재현하는 두 번째 영상이 되었다. 세 번째 영화는 6년 후 공개된 일본과 프랑스 합작영화 ≪히로시마 내 사랑≫이다. 이 영화는 나치 아우슈비츠 수용소의 참상을 보여주는 다큐멘터리영화≪밤과 안개≫(Nuitet brouillard)로 주목을 받았던 젊은 감독 알랑 레네(Alain Resnais)의 작품으로 1959년 6월 프랑스에서 ≪Hiroshima mon amour≫, 일본에서는 ≪24시간의 정사≫(二十四時間の情事)로 각각 개봉되었는데, 당시로서는 불편한 주제인`원폭`을 다룬 것뿐 아니라 영화 미학적으로 획기적인 영화로 평가받았다. 본 연구에서는 ≪히로시마 내 사랑≫의 해석에서 내러티브에 못지않게 중요한 영화음악의 역할을 살펴보고 내러티브, 영상, 영화음악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영상을 해석하고자 한다. 영화음악은 과거의 트라우마를 가진 여주인공의 심리적 변화를 해석해주고, 결국 그녀의 트라우마가 치유되어 새로운 인식에 도달하는 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결론적으로 이 영화가 음악적 평화 반전영화임을 주장하고자 한다. The Japanese-French film Hiroshima mon amour, published in 1959 by Alan Resnais, is considered as “a wonder in the postwar film history” due to its modern way of interpreting reality. The astonishing film music of Hiroshima mon amour, in particular using the counterpoint and leitmotiv functions, give obvious messages to screens which alone remain unclear. This study addresses the understudied film music exploring a new possibility of interpreting this film. While Hiroshima mon amour was often received as a film about the mechanisms of memory and forgetfulness, the comments of film music show that Hiroshima mon amour can be a film to express the human search for personal happiness and peace, and the constant awareness of collective tragedy and threat.

      • KCI등재

        히로시마-나가사키 원폭 투하의 위법성: 국제인도법의 관점

        정태욱 민주주의법학연구회 2023 민주법학 Vol.- No.82

        In this article, I examined the illegality of the atomic bombings of Hiroshima and Nagasaki in 1945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at the time. I reviewed the Tokyo District Court's decision on the Shimoda case and th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ICJ)'s advisory opinion on the legality of the use and threat of nuclear weapons. I also reviewed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principles as found in conventions and conventions, starting with the 1868 St. Petersburg Declaration on the Limitation of Arms of War, through to the 1938 League of Nations resolutions banning air raids on civilians. Therefore, I concluded that the bombing of Hiroshima and Nagasaki was an illegal act even by the standards of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at the time. The atomic bombings of Hiroshima and Nagasaki were indiscriminate bombing of undefended civilian residential areas in the rear, and thus violated the principles of protecting civilians and separating combatants from non-combatants. In addition, the dropping of the atomic bomb was against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of unnecessary suffering, given the lethal power of nuclear weapons and the serious aftereffects caused by radiation exposure. It was also contrary to humanitarian principles and public conscience in that the bombing was a deliberate attack on civilian areas and was intended to cause the greatest damage. I judged that the atomic bombing of Hiroshima and Nagasaki could hardly be justified by any desperate necessity for military victory in the circumstances at the time. Also, I judged that it was too harsh in terms of sanctions against Japan's wartime violations. Furthermore, the article also reviewed the so-called ‘strategic necessity’ and ‘reciprocity’, which were common ideas at the time. Based on the discussions of Hasegawa and others who secretly analyzed the political process at the time, I judged that the so-called ‘strategic necessity’ argument was weak. Also, since there was already a terrible air raid on Tokyo, I decided that the atomic bombing of Hiroshima and Nagasaki did not conform to the principle of ‘reciprocity’. 이 글에서는 당시의 국제인도법적 관점에서 1945년 히로시마-나가사키 원폭 투하의 위법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일본 도쿄지방재판소의 ‘시모다 사건’ 판결, 국제사법재판소(ICJ)의 핵무기의 사용 및 위협의 적법성에 대한 권고적 의견을 검토하고, 1868년 전쟁 무기 제한에 관한 상트 페테르부르크 선언 이래 1938년 무차별 공습 금지에 관한 국제연맹의 결의에 이르기까지 여러 조약들과 관습법 상의 국제인도법 원칙들을 검토함으로써 히로시마-나가사키 원폭 투하의 법적 평가를 시도하였다. 그리하여 이 글은 결론적으로 히로시마-나가사키 원폭 투하는 당시 국제인도법의 기준으로 볼 때에도 위법한 행위였다고 판단하였다. 이는 히로시마 나가사키 원폭 투하는 방어되지 않은 후방 민간 거주 지역에 대한 무차별적 폭격으로서 민간인 보호 및 전투원과 비전투원 구분 원칙에 반하는 것이며, 핵무기의 치명적 살상력과 또 방사능 피폭이 야기하는 심각한 후유증을 고려할 때 불필요한 고통 금지의 원칙에도 반하는 것이며, 민간 지역에 대한 의도된 공격으로서 가장 커다란 피해를 의도했다는 점에서 인도의 원칙과 공공의 양심에 반하는 것이며, 당시 상황에서 군사적 승리를 위한 어떤 절박한 필요성으로 정당화되기도 어려우며 일본의 위법행위들에 대한 제재라는 측면에서도 지나치게 가혹한 것이었다고 판단하였다. 나아가 이 글은 당시의 일반적인 통념이었던 소위 ‘전략적 필요성’ 및 ‘상호성’에 대하여도 검토하였다. 원폭 투하 결정의 정치적 과정을 내밀하게 분석한 하세가와 등의 논의에 기초하여 소위 ‘전략적 필요성’의 논거도 박약한 것이며, 도쿄 대공습 등의 사례에 근거하여 ‘상호성’의 원칙에도 부합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였다.

      • KCI등재

        How America Remembers Hiroshima

        Jaeyeon Joo(주재연),Sangjoon Kim(김상준)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18 동서연구 Vol.30 No.1

        연구는 히로시마 원폭에 대한 미국의 전쟁 기억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히로시마에 대해 피해자적 기억을 강조하고 있는 일본과 달리, 같은 이해 당사자인 미국의 입장은 비교적 소극적이었다. 기존까지의 연구는 전쟁 기억이 국가 정체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전제하고 이를 통해 희생자를 기리거나 정당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했다고 보았다. 그러나 미국의 히로시마 기억은 이러한 정당성 혹은 가치판단의 문제와는 거리를 두고있다. 본 논문은 미국의 기억이 과거와 현재에 차이가 있으며 그 원인이 핵무기에 대한 보편적 인식이 변화하였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냉전 시기 전략적 자산으로 여겨졌던 핵무기가 탈냉전기를 거치며 인류에 대한 위협으로 인식되었으며, 이에 따라 미국이 히로시마를 기억하는 시각 또한 변화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냉전 시기의 기억을 과학주의적 접근으로, 탈냉전기 후의 기억을 휴머니즘적 접근으로 해석하였으며, 그 변화를 Enola Gay의 전시 그리고 오바마 대통령의 히로시마 방문 연설을 통해 추적하였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development and change occurred in America’s way of remembering and interpreting the Hiroshima bombing. Unlike Japan who confirms a strong and clear stance on the incident, advocating its singularity as the only A-bomb victim, the United States remained more passive. Neither apologetic nor indifferent, the United States memory of Hiroshima avoids moral judgements on the topic. Rather, they strategically digested Hiroshima through two main rhetoric: scientism and humanism. As the common perception on nuclear power has changed since the end of Cold War, from a product of scientific pragmatism to a weapon of threat and destruction, the American Hiroshima memory has also changed accordingly. Thus, the paper argues that there is a considerable shift in America’s recollection of Hiroshima, principally due to the change in perception on nuclear power. By tracking the course of commemoration process in the United States including exhibitions in national museums and president Obama’s speech during his visit to Hiroshima, the paper aims to unfold the insulation and agenda setting process enclosed in the American version of Hiroshima memory.

      • KCI등재

        파괴의 보존: 유네스코 세계유산 히로시마 원폭 돔의 보존과 ‘평화’의 문제

        오은정 ( Eunjeong Oh ) 한국문화인류학회 2020 韓國文化人類學 Vol.53 No.1

        20세기 ‘핵의 시대’ 최대의 부(負)의 유산으로 불리는 히로시마 원폭 돔은, 히로시마 원자폭탄의 투하 시점인 1945년 8월 6일 8시 15분이라는 시각과 그라운드제로를 시각화하는 가장 적절한 구조물로 여겨진다. ‘죽음’과 ‘세계의 파괴자’와 대비되는 것으로서 이 파괴된 구조물은, 피폭자들의 유한한 생명을 대신해 원폭의 참화와 ‘평화’의 중요성을 후세 영겁에 전하는 기억의 장치로 내세워지며, 다양한 형태의 담론, 제도, 건축상의 정비, 법규, 행정상의 조치, 기술적 수선을 통해 유지·보전되어 왔다. 이 글은 1996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옛 히로시마현 산업장려관, 즉 오늘날 ‘히로시마 원폭 돔’으로 불리는 이 파괴된 구조물의 ‘사회적 삶’을 거슬러 올라가면서, 이 구조물의 물질적 유한성과 영구보존이라는 목표 사이의 취약한 상호연결성과 모순으로 인해 던져지는 물음에 주목한다. “원폭 돔은 언제까지, 그리고 어떻게 보존되어야 하는가”라는 질문은 ‘원형’이라는 물리적 형태의 완벽한 보존의 문제가 아니라, 그 구조물에 쌓인 다중적 시간성의 단면들, 그리고 거기에서 침묵되는 다양한 목소리들을 어떻게 담아낼 수 있는가의 문제임을 보여준다. 이는 ‘참혹한 유산’ 혹은 ‘불편문화유산’으로 번역되곤 하는 ‘difficult heritage’ 논의에서 기념물이나 기념 현장의 보존 논의가 구조물의 원형 보존이라는 실현 불가능한 목표보다는 그와 관련된 피해자와 시민의 의미 생산과 해석에 더욱 개방적인 과정이 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Genbaku Dome, known as the most shameful legacy of the Atomic Age, is considered the most appropriate structure for visualizing the Hiroshima atomic bomb’s point of detonation (8:15 on August 6, 1945) and ground zero. In contrast to “death, destroyer of worlds,” the ruin was maintained and preserved through various forms of discourse, institutions, architectural maintenance, laws, administrative measures, and technical repairs as a memory dispositif that stands in for the lives lost in the bombing to communicate the disastrousness of atomic bombs and importance of peace to future generations in perpetuity. This article focuses on the questions that arise from the precarious interconnectedness and contradictions between the material finitude of the structure and the goal of preservation by tracing the “social life” of the destroyed Hiroshima Prefecturial Industrial Promotion Hall, which was made a UNESCO Heritage Site in 1996 and is now known as the Hiroshima Peace Memorial. It shows that the question of how long and in what way the dome should be preserved is not an issue of perfectly preserving the original state, but an issue of expressing the various temporal aspects and silenced voices that lie there. This suggests that, within conversations about “difficult heritage,” discussions of memorials or memorial sites must become more open to the production and interpretation of meaning on the part of victims and civilians rather than being limited to impossible goals such as the preservation of an original state.

      • KCI등재

        오에 겐자부로(大江健三郞)의 핵문제 이해

        홍진희 ( Jin-hee Hong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5 日語日文學硏究 Vol.95 No.2

        오에 겐자부로(大江健三郞)는 현대 일본문학을 대표하는 작가 중 한 사람으로, 일본인으로서 두 번째 노벨문학상 수상자로도 잘 알려져 있다. 그는 주로전후 일본사회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문학 활동을 전개하였는데, 특히 핵문제와 관련해 큰 관심을 표명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관련된 오에의 견해를 검토함으로써 핵문제에 대한 그의 입장을 거시적인 입장에서 고찰하였으며, 주요 텍스트로는 『히로시마 노트』(1965)와 「비키니에서 후쿠시마까지」(2012)를 사용하였다. 오에는 에세이 혹은 일종의 르포르타주로 불리는 『히로시마 노트』를 통해,제2차 세계대전 중 원자폭탄 투하에 의해 피해를 입은 히로시마 피폭자들의 비참한 삶과 인간의 위엄에 대해 언급하였다. 『히로시마 노트』 이후에도 그는 다양한 작품을 통해 핵시대를 살아가는 인류의 공포와 위험을 묘사하는 동시에, 세계 각지에서 벌어지는 핵실험에 대해 반핵 운동을 펼쳐왔다. 또한 최근에는 2011년에 발생한 “동일본 대지진”과 도쿄전력의 후쿠시마 제1원자력 발전소 사고에 대해 자주 언급하며, 핵에너지의 평화적 이용에 대해 의구심을 제기하였다. 오에는 문단 데뷔 이후 일본사회의 주변적 존재인 약자들에게 많은 관심을 보여 왔는데, 이러한 그의 태도는 피폭으로 고통 받는 히로시마의 일본인을 향한 공감으로 이어졌다고 여겨진다. 하지만 인류역사상 최대의 재앙이라 불리는 원폭투하와 핵문제를, “전후 일본인의 문제”로 접근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간적,공간적 제한성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이로 인해 일본인보다 상대적으로 마이너리티인 타 지역 혹은 소수민족 피폭자들의 삶이 간과되고 있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남는다. Kenzaburo Oe is one of the most prominent of Japanese novelists. He is well known as the second Japanese to receive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He has highlighted social problems in Japan in his works, and is especially interested in nuclear issues. In this paper, I discuss on Oe``s understanding of nuclear issues by examining his remarks on these disasters. I mainly refer to Oe``s series of essays "Hiroshima Notes" (1965) and his public lecture "From Bikini to Fukushima" (2012). In his essay "Hiroshima Notes", Oe reported an atomic bombing of Hiroshima in World War Ⅱ. Since that publication, he has described the fear and danger that people felt in the nuclear age through his works, and has protested against nuclear tests in all parts of the world. These days, he writes frequently about "The Great Eastern Japan Earthquake" of 2011 and the Tokyo Electric Fukushima Daiichi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Kenzaburo Oe has raised questions about the peaceful uses of nuclear energy in his essay. Oe has spoken for weak people and people on the margins of Japanese society since his emergence in the literary world. This attitude has won the sympathy of many people. However, I have to say that his perspective on the atomic bomb problem, the so called biggest man-made disaster in human history, is limited in his temporal and spatial frameworks as "a problem of Japanese people in post-war Japan". He has overlooked the effects on the minority communities except Japanabout nuclear mat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