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안)」에 대한 검토

        권경선(Kyoung-Sun Kwon)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23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23 No.1

        우리의 전력을 담당하고 있는 한국전력공사는 1982년에 설립된 이래 지난 40여년간 좋은 품질의 전기를 값싸고, 안정적으로 공급해왔다. 그런데 종래의 중앙집중식 전력시스템은 지금 여러 국면에서 더 이상 변화를 미룰 수 없는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그 첫 번째 이유는 전통적인 중앙독점적 전력 공급체계로 인한 경제적, 사회적 비용이 증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두 번째 이유는 전력의 안정적 공급에 차질이 발생할 우려가 높기 때문이다. 세 번째 이유는 재생에너지 증대에 따른 전력계통의 불안정성이 증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2005년 교토의정서가 발효된 이후 탄소중립, 온실가스 감축이라는 전 세계적인 흐름 가운데 우리나라와 기업들 역시 압력을 받고 있는데, 이러한 온실가스 감축은 전통적 중앙공급 체계로는 달성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에너지산업에 있어서 대내외적으로 위기를 맞이하고 있는 지금 우리는 이 위기를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 것인가? 바로 지역에서 에너지를 생산하고, 지역에서 에너지를 소비하는 에너지 지산지소(地産地消)를 구축해가는 것이다. 우리의 에너지 체계는 에너지의 생산과 유통, 판매 등과 관련하여 중앙에서 통제하고 있다. 그런데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중앙집중식 에너지 공급체제의 한계를 나타냄에 따라 우리 정부와 에너지 전문가들은 이제 분산에너지체제로의 전환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먼저 분산에너지 개념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분산에너지란 에너지의 사용지역 인근에서 생산・소비되는 에너지를 말하며, 분산에너지 자원이란 수요지 인근에서 에너지의 생산・저장, 잉여 전력의 해소 등에 기여할 수 있는 자원을 가리킨다. 분산형 전원이 주로 발전원을 지칭하는데 반하여, ‘분산에너지자원(distributed energy resources, DER)은 태양광 등의 분산형 전원뿐만 아니라 에너지저장장치 및 수요자원 거래시장 등을 통칭하여 이른다. 분산에너지의 장점으로 인하여 전세계적으로 분산에너지 자원을 확대하고, 활성화 하는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종전의 중앙집중식 에너지체제의 한계가 여러 측면에서 부각됨에 따라 산업통상자원부는 2021년 6월 전력계통 안정화방안과 분산에너지 자원의 확대 및 거래시장 활성화 계획을 담은 “분산에너지 활성화 추진전략”을 수립・발표하였다. 그리고 국회에서도 2021년 7월 더불어민주당 김성환 의원이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안」을 제안하였고, 2021년 9월에 상정하였다. 이에 본 고에서는 다음과 같이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안」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1) 분산에너지의 정의 및 범위, 2)분산에너지 활성화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3)분산에너지사업에 대한 등록제도, 4)분산에너지 설비의 설치의무 부여(의무할당제), 5)배전망의 관리・ 감독, 6)전력계통영향평가, 7)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 및 활성화 지원사업, 8)지역별 차등요금제 및 분산편익보상제도의 도입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우리는 이제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안)을 통하여 분산에너지체제로 가기 위한 첫 발을 내딛고 있다. 특별법이 제정되면 인하여 분산에너지 보급 확대를 통한 에너지 공급체계 전환으로 에너지 수급의 안정성이 제고되고, 에너지 신산업이 활성화되며, 또한 분산에너지에 기반한 편익을 지역 주민에게 분배하여 지방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런데 본 법(안)에서 아쉬운 부분도 있다.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안)은 단지 “물리적, 공간적” 의미의 지역에서 에너지 공급과 수요의 균형을 이루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진정한 의미의 에너지 지산지소(地産地消)를 위해서는 기초 지방자치단체와 광역 지방자치단체에서 에너지 공급과 소비에 대한 계획을 세우고 대책을 강구할 수 있어야 한다. 바로 “지역에너지 분권”이 그러한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안)의 궁극적인 방향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본 법안은 아직 거기까지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에너지 분권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which is in charge of electricity, has been supplying high-quality electricity cheaply and stably for the past 40 years since its establishment in 1982. However, existing centralized power systems now face the challenge of no longer delaying changes at various stages. The first reason is that the economic and social costs of traditional central proprietary power supply systems are increasing. The second reason is that there is a high risk of disruptions in stable power supply. The third reason is that the instability of the power system is increasing due to the increase in renewable energy. Finally, since the Kyoto Protocol took effect in 2005, Korea and companies have also been under pressure amid the global trend of carbon neutrality and greenhouse gas reduction, which is difficult to achieve with the traditional central supply system. So, how can we overcome this crisis now that we are facing a crisis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in the energy industry? It is to create branches in areas that produce energy and consume energy. Our energy systems are centrally controlled with respect to the production, distribution and sale of energy. However, as seen above, the Korean government and energy experts are currently striving to transition to a decentralized energy system, showing the limitations of the centralized energy supply system. First,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concept of distributed energy. Distributed energy refers to energy produced and consumed near areas where energy is used, and distributed energy resources refer to resources that can contribute to the production and storage of energy and the resolution of surplus power near the demand site. Distributed power sources mainly refer to power sources, while distributed energy resources (DER) collectively refer to energy storage devices and demand resource trading markets as well as distributed power sources such as solar heat. Due to the advantages of distributed energy, attempts are being made to expand and activate distributed energy resources worldwide. In June 2021,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established and announced a “distributed energy revitalization promotion strategy” that includes measures to stabilize the power system, expand distributed energy resources, and revitalize the trading market. Rep. Kim Sung-hwan of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proposed a special law to revitalize distributed energy in July 2021 and proposed it in September 2021. Therefore, in this paper, the contents of the special law on the activation of distributed energy were examined in detail as follows. 1) The main contents and implications of the definition and scope of distributed energy, 2) Basic plan and implementation plan for revitalizing distributed energy, 3) Distributed energy business registration system, 4) Duty to install distributed energy facilities (mandatory quota system), 5)The main contents and implications of the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the distribution network, 6) power system impact assessment, 7) distributed energy specialized area designation and revitalization support project, and 8) regional differential rate system and distributed benefit compensation system were examined.

      • KCI우수등재

        정책수단이 재생에너지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정책수단과 정부효과성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김다은 한국행정학회 2017 韓國行政學報 Vol.51 No.2

        Since the Paris agreement of 2015 stipulates that its signatory states must limit greenhouse gas emissions, much effort has been made by those states to increase national consumption of renewable energy. Previous studies have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policy instruments to achieve this goal. The effectiveness of policy instruments, however, varies depending on how effectively the government implements them. This study therefore examines how the following determinants affect the growth of renewable energy generation: the adoption rates of policy instruments, the degree of government effectiveness,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se two factors. Using panel data analysis of 71 countries during the period 2004–2012, this study finds that an increase in the adoption rate of policy instruments and a high level of government effectiveness explains the growth. As for the interaction effects, the results are ambivalent. While a high level of government effectiveness fortified the positive effects of the adoption rate of regulations, these effects were offset with a low level of government effectiveness. On the other hand, while a low level of government effectiveness still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doption rate of incentives, its effect decreased with higher government effectiveness. These findings illustrate that policymakers must employ diverse policy instruments to achieve renewable energy policy goals while implementing policy instruments effectively. 국가의 에너지 공급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경제, 환경 및 에너지 안보 등 다양한 정책적 맥락 속에서 재생에너지 정책은 각국에서 주요 정책의제로 다루어져 왔다. 최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파리협정(‘15.12)을 통해 협약 당사국들에게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 목표의 수립 및 이행의무가 부여되면서, 재생에너지 활성화에 대한 관심은 더욱 커지고 있다. 그러나 재생에너지 활성화 요인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정책수단의 채택이 미치는 효과를 주로 분석하고 있으며, 정책수단의 다양성 및 이를 집행하는 정부의 효과성에 대한 논의는 다소 부족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정책수단의 채택비율과 정부효과성을 핵심변수로 채택하여 재생에너지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핵심변수들 간의 상호작용 효과 또한 살펴보았다. 2004년~2012년에 걸쳐 71개국을 대상으로 패널분석한 결과, 규제와 인센티브의 채택비율이 높으면 재생에너지가 보다 활성화 되었으며, 정부 효과성 역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한 결과, 정부효과성이 높은 경우 규제 채택비율이 재생에너지 활성화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강화하였으나, 반대로 정부효과성이 낮은 경우 영향을 완화하 였다. 그리고 높은 정부효과성은 인센티브 채택비율이 재생에너지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강화하였으나, 정부효과성이 낮은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강화효과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재생에너지 활성화를 위하여 각국은 다양한 정책수단을 활용하고, 이를 집행하는 정부의 효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 바이오매스 및 폐플라스틱 혼합시료의 Model-free Methods를 이용한 동역학적 특성 비교분석

        나건수,현승민,여상구,박풍모,동종인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5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05

        폐기물을 이용한 자원화 또는 재생 가능한 원료를 활용한 기술로 기존 원료비용을 절감하고 폐기물처리에 대한 환경영향을 줄이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그러나 국내에서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에너지원 개발은 낮은 발열량의 문제 및 공급측면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어, 바이오매스와 폐기물 혼합원료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매스와 폐플라스틱의 혼합원료(라디에타 소나무, 폴리프로필렌)의 동역학적 분해 특성을 비교분석하여 혼합가스화 등의 에너지원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바이오매스(Sawdust), 폐플라스틱(폴리프로필렌) 단일시료 및 각각 1:1로 혼합한 시료에 대하여 Model- free Methods를 이용한 동역학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미분법인 Kissinger Method와 Friedman Method 적분법인 Ozawa Method를 통해 각기 다른 조건의 시료들의 활성화 에너지를 비교하였으며, air를 분위기 가스로 사용하고 승온속도가 20, 30, 40℃/min 일 때 각각 무게 감량이 최대가 되는 온도를 파악하여 분석의 기초자료로 사용하였다. 각각 시료의 활성화 에너지를 Kissinger Method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톱밥의 경우 46.79kJ/mol으로 낮은 활성화 에너지를 나타냈으며 PP의 경우 75.67kJ/mol로 나타났고, 톱밥과 PP를 각각 1:1비율로 혼합하여 분석한 경우 58.83kJ/mol의 활성화 에너지가 산출되었다. Friedman Method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톱밥의 경우 평균 29.19kJ/mol의 활성화 에너지를 나타냈으며 PP의 경우 평균값은 72.65kJ/mol 으로 나타났다. 혼합시료의 경우 평균 64.10kJ/mol의 값을 도출해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적분법인 Ozawa Method로 분석한 결과 톱밥의 경우 평균 34.86kJ/mol 의 값을 나타냈으며 PP 단독시료의 경우 평균 69.53kJ/mol로 나타났고 혼합시료의 경우 평균 57.67kJ/mol로 활성화 에너지를 나타냈다. 각각 활성화 에너지를 산출하는 방법에 따라 값의 경향은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혼합한 시료에 대한 활성화가 단일 시료의 활성화 에너지보다 낮은 경향으로 나타났다. 이는 혼합한 시료에 대한 열적 분해시 필요한 에너지가 폐플라스틱의 단독 열적 분해시 보다 적은에너지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다.

      • 바이오매스 및 폐플라스틱 혼합시료의 Model-free Methods를 이용한 동역학적 특성 비교분석

        나건수,현승민,여상구,박풍모,동종인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5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5 No.-

        폐기물을 이용한 자원화 또는 재생 가능한 원료를 활용한 기술로 기존 원료비용을 절감하고 폐기물처리에 대한 환경영향을 줄이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그러나 국내에서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에너지원 개발은 낮은 발열량의 문제 및 공급측면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어, 바이오매스와 폐기물 혼합원료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매스와 폐플라스틱의 혼합원료(라디에타 소나무, 폴리프로필렌)의 동역학적 분해 특성을 비교분석하여 혼합가스화 등의 에너지원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바이오매스(Sawdust), 폐플라스틱(폴리프로필렌) 단일시료 및 각각 1:1로 혼합한 시료에 대하여 Model- free Methods를 이용한 동역학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미분법인 Kissinger Method와 Friedman Method 적분법인 Ozawa Method를 통해 각기 다른 조건의 시료들의 활성화 에너지를 비교하였으며, air를 분위기 가스로 사용하고 승온속도가 20, 30, 40℃/min 일 때 각각 무게 감량이 최대가 되는 온도를 파악하여 분석의 기초자료로 사용하였다. 각각 시료의 활성화 에너지를 Kissinger Method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톱밥의 경우 46.79kJ/mol으로 낮은 활성화 에너지를 나타냈으며 PP의 경우 75.67kJ/mol로 나타났고, 톱밥과 PP를 각각 1:1비율로 혼합하여 분석한 경우 58.83kJ/mol의 활성화 에너지가 산출되었다. Friedman Method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톱밥의 경우 평균 29.19kJ/mol의 활성화 에너지를 나타냈으며 PP의 경우 평균값은 72.65kJ/mol 으로 나타났다. 혼합시료의 경우 평균 64.10kJ/mol의 값을 도출해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적분법인 Ozawa Method로 분석한 결과 톱밥의 경우 평균 34.86kJ/mol 의 값을 나타냈으며 PP 단독시료의 경우 평균 69.53kJ/mol로 나타났고 혼합시료의 경우 평균 57.67kJ/mol로 활성화 에너지를 나타냈다. 각각 활성화 에너지를 산출하는 방법에 따라 값의 경향은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혼합한 시료에 대한 활성화가 단일 시료의 활성화 에너지보다 낮은 경향으로 나타났다. 이는 혼합한 시료에 대한 열적 분해시 필요한 에너지가 폐플라스틱의 단독 열적 분해시 보다 적은 에너지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다.

      • KCI등재

        중등 예비 과학교사들의 에너지 용어에 대한 활성화 단어 네트워크 분석

        송영욱 한국물리학회 2018 새물리 Vol.68 No.8

        Energy is a term that is often used in everyday life or physics. It is also an important term used in many areas. However, energy is an abstract idea that explains natural phenomena such as power, work, heat, and electric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ttempt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knowledge of energy terminology in secondary pre-service science teachers by using an activation word network analysis and to discuss the implications for the educational application of an energy-word activation-word network analysi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8 students at a Science Education University. The analysis method was based on a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the frequency, weight, and centrality of active words in free association and definition sentences on energy terminology. Finally, the results of the active word network analysis are used to infer the structure of knowledge of energy terminology in secondary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nd to discus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 activation word network analysis. 에너지는 일상이나 물리에서 자주 사용하는 용어이다. 또한 여러 영역에서 통합적으로 사용하는 중요한 용어이다. 하지만 에너지는 힘, 일, 열, 전기 등과 같이 자연현상의 시스템을 설명하는 추상적인 아이디어이기 때문에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개념 중에 하나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활성화 단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중등 예비 과학교사들의 에너지 용어에 대한 지식의 구조를 이해하고, 에너지 용어의 활성화 단어 네트워크 분석에 대한 교육적 활용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사범대학교 과학교육과 학생 88명으로 하였다. 분석 방법은 자유연상 및 문장 정의에서 활성화된 단어의 빈도, 강도, 연결중심도를 의미 네트워크 분석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물리교육 전공자는 '보존'이 활성화 단어의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비 물리교육 전공자는 '힘'이 활성화 단어의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중등 예비 과학교사들의 에너지 용어에 대한 지식의 구조를 추론하고, 활성화 단어 네트워크 분석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한다.

      • TCO/p 버퍼층 삽입한 태양전지의 동작 특성연구

        장주연(Jang, Juyeon),송규완(Song, Kyuwan),이준신(Yi, Junsin)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05

        비정질 실리콘 박막 태양전지연구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ASA (Advanced Semicon ductor Analysis) simulation을 이용하여 TCO/p에 삽입될 버퍼층의 최적 구조를 설계해보았다. 기본적인 p,i,n층 단일막 data 값을 고정시켜 버퍼층의 광학적 밴드갭을 1.75~1.95eV, 활성화 에너지를 0.3~0.4eV, 두께를 5~15nm로 가변해 보았다. 첫 번째로 동일한 활성화 에너지를 갖는 버퍼층의 광학적 밴드갭을 증가 시켰을 경우 built-in potential이 증가하였으며 이는 개방전압의 증가로 이어졌다. 두 번째로 활성화 에너지가 작은 경우 큰 경우에 비하여 Conduction-band와 Fermi-level의 차이가 증가 하게 되어 활성화 에너지가 큰 경우에 비해 높은 built-in potential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버퍼층과 p층의 접합부분에서의 barrier가 활성화 에너지의 차이를 줄일수록 감소 함 을 알 수 있었다. 장벽의 감소로 정공의 흐름을 방해하는 요소가 줄어들었고 효율도 증가하였다. 마지막으로 버퍼층 두께가 두꺼워 질수록 박막 내에서 빛 흡수가 많아지게 되어 광 흡수층으로 가야할 빛의 양이 줄어들게 되어 단락전류값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Simulation결과 버퍼층의 광학적 밴드갭이 1.95eV로 크고 활성화 에너지가 0.3eV이하로 p층에 비하여 낮으며 두께가 5nm로 얇을수록 좋다는 결과를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농업인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보급 활성화 결정 요인: 호남지역을 중심으로

        소윤경,한재환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4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8 No.3

        본 논문은 농업인의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신재생에너지 수용성 및 보급 활성화를 위한 결정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위해 농업인 397명으로부터 얻은 설문조사 결과를 기초로 프로빗 분석과 다항 로지스틱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농업부문에서 발생하는온실가스를 감축해야 한다고 인식하는 농업인들은 신재생에너지를 도입할 가능성이 높았다. 이는 농업인들이 신재생에너지를 온실가스 감축의대안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의미하며, 따라서 기후변화의 주된 원인인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해 농업인들에게 신재생에너지의 중요성을 교육하고홍보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분석 결과에 따라 신재생에너지를 인지하고 있는 농업인들을 중심으로 농업인이 주도하는 신재생에너지사업모델을 발굴하고, 농촌지역 주민-신재생에너지 사업자-공공기관이 함께 참여하는 협의기구를 조성해야 한다. 그리고 경영비 절감을 위해 신재생에너지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농업인들에게는 경제적 인센티브와 전기 이동 선로의 연결 개선 및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신재생에너지의유익·가치성을 인식하는 농업인들에게는 신재생에너지 기술의 지원 확대가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renewable energy among farmers and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its acceptabilityand the factors promoting the supply of renewable energy. Probit and multinomial logistic analyse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surveyresults obtained from 397 farmers. The results revealed that farmers who perceived the need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weremore likely to adopt renewable energy, indicating their recognition of renewable energy as an alternative for mitigating greenhouse gasemissions. Therefore, educating farmers and promoting the importance of renewable energy to mitigate the primary causes of climatechange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is necessary. Furthermore, even for farmers who were aware of renewable energy, explorationof the business models that involved their participation was needed. Furthermore, consultation organizations involving rural residents,renewable energy business operators, and public institutions were also required. To further reduce agricultural operating costs, farmerswho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renewable energy should be provided with economic incentives and support to improve their electricwire connections. Finally, support for renewable energy technology should be expanded to farmers who understand the benefits andvalue of renewable energy.

      • SCOPUSKCI등재

        열중량분석을 이용한 열적열화가 비안전등급 케이블의 활성화에너지에 미치는 영향 분석

        정승연(Seung Yeon Jeong),김민호(Min Ho Kim),이석희(Seok Hui Lee),이민철(Min Chul Lee) 대한기계학회 2022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46 No.4

        본 연구에서는 열적 열화기간이 피복재 및 절연재로 구성된 비안전등급 케이블의 활성화에너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열중량 분석과 Kissinger 방법을 통해 조사하였다. 케이블을 구성하고 있는 가연성 물질인 피복재, 절연재 개별의 시편과 피복재와 절연재가 혼합된 복합시편의 열중량감소 특성을 살펴보면, 복합시편의 특성은 피복재와 절연재 모두의 특성을 포함한다. 또한, 0~40년의 열화기간에 따른 복합시편에 대한 열중량분석실험 후 활성화에너지를 계산하였고, 그 결과 열적 열화에 따른 차이가 미미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활성화에너지 도출 및 복합재료의 열중량 분석 방법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케이블의 열화특성 연구의 적절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hermal aging period on the activation energy of a non-class 1E cable consisting of sheath and insulation is investigated through a thermogravimetric analysis and Kissinger method. When comparing the thermal weight loss characteristic of each specimen of the sheath and insulation, which are combustible cable materials, with that of their combination, the results of the combined specimen contain characteristics of both sheath and insulation. In addition, activation energies with respect to the aging period in the range 0~40 are calculated after conducting a thermogravimetric analysis experiment for combined specimens. Consequently, we confirmed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regarding thermal aging.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activation energy calculation method and thermogravimetric analysis method of the combined specimen, as well as improve the appropriateness of the study on the degradation characteristics of cables.

      • 분산에너지자원에 대한 효율적 배전계통 운영과 시장활성화 방향

        이유수(Yoo-Soo Lee) 한국에너지기후변화학회 2021 한국에너지기후변화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1

        2050년 탄소중립과 2030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상향조정의 목표달성을 위해서는 태양광 및 풍력 발전 등 변동성 재생에너지의 획기적 증대가 요구된다. 이에 따라 재생에너지의 비중이 높아지는 전력운용시스템으로의 변화가 불가피하다. 이러한 환경변화와 함께 분산에너지자원도 기술발전으로 시장의 경제성이 개선되고, 대규모 발전설비의 중앙집중적 공급설비의 건설도 어려워짐에 따라 지역을 중심으로 확산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미 유럽에서는 전력계통의 변동성에 대비해 분산에너지자원이 지역 유연성 자원거래 시장을 통하여 활발하게 거래되고 있다. 배전계통운영자가 지역 유연성 자원시장의 운영자로서 역할을 하면서 거래플랫폼을 제공하기도 한다. 반면, 우리나라는 분산에너지자원 증가에 대해 전통적인 배전망 확대투자 방식으로 비용증가를 유발하고, 독점적 시장구조와 가격규제체제로 인해 분산에너지자원을 활성화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분산에너지자원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배전계통운영자에게 망의 제어 및 관리 등의 권한 및 기능을 부여하고, 시장거래 방식의 자원조달을 통해 비용효과적인 운영이 가능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독점적 전력 소매시장의 개방과 가격체계 개선을 통해 분산에너자원 소유자와 소비자의 선택폭을 확대하는 등 경쟁시장을 통한 자원조달 방식을 채택할 필요가 있다.

      • 에너지음료 시장 활성화를 위한 패키지디자인 전략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세호 ( Ho-se Lee ) 산업진흥원 2017 산업진흥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에너지음료시장 활성화를 위한 패키지디자인 연구전략에 관한 탐색적 연구로써 2016년10월 24일부터 28일까지 국내외에 판매 중인 에너지음료의 사례분석과 에너지음료 패키지디자인의 선호도를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에너지음료의 패키지디자인 중 색상에 대한 사항으로 파란색과 붉은색의 두 가지 색상에 대하여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특히 파란색은 62.8%로 가장 선호도가 높았으며 색상을 선택한 이유로는 에너지음료를 떠올리는 이미지이며 눈에 잘 띄어서 그렇다는 응답이 높았다. 둘째, 에너지음료의 포장재질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대부분 캔과 유리재질을 선택 하였으며 그 중 캔에 대해 가장 선호했다. 셋째, 캘리그래피에 대한 선호도 조사한 결과 거친 이미지를 선호하여 에너지음 료가 주는 역동적인 이미지로 인한 것으로 보여 진다. 넷째, 패키지디자인 인식은, 어느 한 요소보다는 전체적인 이미지를 중시하였다. 연구의 한계점은 연구 조사 대상이 대전, 충남지역 대학생만 대상으로 연구하여. 향후 패키지디자인의 전반적인 요소와 다양한 연구 대상을 분류하여 에너지음료의 주요 소비층 및 소비지역을 고려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패키지디자인은 어느 한 요소를 중요시하기 보다는 전체적인 제품 이미지에 맞게 패키지디자인 전략이 필요 하다는데 연구의 시사점과 의미가 있다.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study on the package design research strategy for the activation of the energy drink market. We analyzed the case study of energy drinks and the preference of energy beverage package design which are being sold in Korea and overseas from Oct. 24 to 28, 2016.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eference is given to two colors, blue and red, regarding the color of package design of energy drinks. In particular, blue was the most preferred at 62.8%, and the reason for choosing color was the image that reminds me of energy drinks, and it was highly visible. Second, most preference of energy drinks for packaging material was selected from can and glass materials, and most preferred for can. Third, preference for calligraphy was found to be due to the dynamic images of energy drink preferring rough images. Fourth, package design awareness focused on overall image rather than one factor.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the research subjects only to university students in Daejeon and Chungnam area.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classify the overall elements of package design and various research subjects, and to study the major consumption and consumption areas of energy drinks. In this study, it is implied that the design of the package needs a package design strategy in accordance with the overall product image, rather than focusing on one fac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