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 상급종합병원의 전문간호사에 대한 환자만족도

        최은주,장인실,황지현,강영아,김성렬,노주희,김정혜 병원간호사회 2015 임상간호연구 Vol.21 No.3

        목적 : 환자만족도는 의료서비스 질에 대한 평가를 측정하는 중요한 지표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La Monica-Oberst Patient Satisfaction Scale (LOPSS)을 사용하여 전문간호사의 간호를 받는환자를 대상으로 전문간호사에 대한 환자만족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 일 종합병원에서 41명의 전문간호사의 업무수행과 중재방법을 경험한 입원 또는 외래 환자 263명을 대상으로 2012년 10월 22일부터 12월 31일까지 설문지를 통하여 시행하였다. 전문간호사에 대한 환자 만족도는 총 41문항의 LOPSS도구를 번역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 수집하였다. SPSS/WIN 20.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특성을 기술통계를 사용하고 환자와 전문간호사의 특성에 따른 환자만족도는 independent t-test 와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전문간호사에 대한 환자만족도는 총 195.93점이었으며, 하부 영역별로 좋은 인상영역 52.26점, 대인간 지지영역 61.75점, 불만족영역은 81.32점으로 나타났다. 환자만족도가 가장 높게 평가된 항목은 불만족영역의 ’전문간호사는 내게 반말로 얕보듯이 말한다’ 이었으며, 이 항목은 역코딩한 것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환자 특성에 따른 전문간호사에 대한 환자만족도는 연령과 주 간호제공자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전문간호사의 특성에 따른 환자만족도는 전문간호사 경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간호사를 대상으로 환자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전문간호사가제공하는 간호에 대한 높은 환자만족도는 전문간호사가 임상에서 의료서비스의 질향상에 기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추후 전문간호사의 성과를 규명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atient satisfaction about nursing care provided by Advanced Practice Nurses (APN) using the La Monica-Oberst Patient Satisfaction Scale (LOPSS). Methods: The investigation was conducted including 263 patients who experienced care provided by 41 APNs at a tertiary hospital in Korea. Patient satisfaction with nursing care was measured using 41-item LOPSS. We analyzed the data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Results: Overall patient satisfaction with APN care was high. The LOPSS scores for APNs were 52.26 for good impression, 61.75 for interpersonal support, 81.32 for dissatisfaction and 195.93 for total score. "APNs talk down to me" was a reverse coding item which demonstrated the highest score for patient satisfaction. Among patients' characteristics, age and type of main caregiver were independent factors related to patients’s satisfaction. Among APN's characteristics, work experienc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patients' satisfaction.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d patient satisfaction regarding nursing care provided by APNs. High patient satisfaction in APN services demonstrated APNs’ contribution to quality improvement in health care services. It is recommended that various outcome research about APN service needs to be performed.

      • KCI등재

        한국적 맥락을 고려한 환자만족도 조사도구의 이해: 환자경험의 탐색을 중심으로

        이수경,조병희 한국보건사회학회 2018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47

        외국에서 환자만족의 개념이 등장하고 환자만족도 조사가 실시되게 된 역사적, 사회적 배경을 기반으로 환자경험조사로의 발전과정을 거치고 있다. 현재 빈번하게 실시되고 있는 환자만족도 조사, 병원만족도, 의료서비스 만족도 등은 한국적 맥락에 대한 고찰 없이 외국에서 개발된 조사도구를그대로 차용하거나 일부 개선 혹은 축약된 형태로 도입되어 왔다. 본 연구는 외국에서 유래된 환자만족도 조사의 문항들이 한국적 맥락에서 충분히 부합되는지를 검토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우리나라의 일반인들이 생각하는 환자만족에 대한 인식과 환자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최근 1년 동안 외래 및 입원 서비스 이용 경험이 있는 20-50대 연령의 일반인 13명이 최종 두개의 포커스 그룹에 참여하였다. 그 결과 Picker가 제시한 환자경험척도의 영역과 내용이 가장 한국적 맥락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 의료서비스 만족도 조사는 여전히 ‘환자-의사관계’에 대한 태도와 ‘환자중심성’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환자만족도 평가를통한 의료서비스 질의 향상을 기대하기 위해서는 ‘환자중심성’이라는 보다 총체적인 관점의 환자경험 연구가 기획되고 적용되어야할 것이다. The concept of patient satisfaction in the West has emerged and has been undergoing a process of patient experience research based on the historical and social background in which patient satisfaction surveys were conducted. Patient satisfaction surveys, hospital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with medical services, which are currently being performed frequently, have been introduced in the form of research tools developed in the West without consideration of the Korean context, or in some improved or abbreviated for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patient satisfaction survey reached in the Korean context. This study is a qualitative research that collects data through the focus group interview method and analyzes qualitative subject analysis method in recognition of patient satisfaction and patient experience in Korean context. Thirteen people, in their 20s and 50s, who have used outpatient and inpatient services for the past one year, participated in the last two focus groups. As a result, the area and contents of the patient experience scale suggested by Picker were similar to the Korean context. However, at present, the satisfaction survey of medical service in Korea still seems to lack understanding of 'patient - doctor relationship' and 'patient centrality'. Patient experience research should be planned and applied from a holistic perspective in order to expect improvement of quality of medical service through patient satisfaction evaluation.

      • SCOPUSKCI등재

        Patinet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with Nursing Care in Korea

        Eom, Ae-Yong 성인간호학회 2001 성인간호학회지 Vol.13 No.4

        의료수준의 발전과 더불어 대중들의 건강요구와 건강증진에 대한 기대 수준도 점점 높아지므로 간호사는 대상자의 요구를 이해하고 양질의 간호를 제공하여 환자의 건강상태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켜야 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환자가 인지한 간호에 대한 경험과 대상자가 경험한 간호에 대한 만족도를 파악하고, 그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환자 간호의 질향상과 간호 만족도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일 종합병원의 127명의 입원 환자가 간호 경험정도와 제공받은 간호에 대한 환자 만족도 정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결과: 첫째, 입원환자의 간호 행위에 대한 간호지각도의 정도는 각 항목별 비교 분석한 결과 신체적 간호행위에 대한 지각도가 평균평점은 2.74로 가장 높았으며, 또한 환자가 지각한 간호행위에 대한 만족도는 기술-전문적 간호행위(M= 3.55)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둘째, 일반적 제특성과 전체 간호행위의 지각도와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연령(p< 0.1)에 따라 유의한 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연령이 높을수록 간호행위에 대한 지각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간호행위에 대한 지각도의 하부영역 분류중 신체적간호행위에 대한 지각도는 입원과(p< 0.05)에 따라 유의한 차가 있는 것으로 보였다. 또한 일반적 제특성과 전체 간호행위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는 입원과(p< 0.05)에 따라 유의한 차가 있었다. 일반외과 환자가 내과 환자보다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입원환자의 간호 행위에 대한 환자의 지각도와 만족도간의 관계(r= 0.39, p= 0.00)는 서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대상은 1개 종합병원에 국한된 것이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 할 때는 신중을 기해야 한다. 연구결과에서 보여주듯이 정신적 간호행위가 가장낮은 지각도로 나타났듯이 간호사는 환자들의 정신적 지지의 간호가 잘 이루어 지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며, 또한 교육적 간호행위의 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므로 보다 더 환자와 간호사간의 정보교환이 잘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전 진료과 병동으로 확대반복 연구를 제언하며 환자의 간호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전문적 지식 및 긍정적 의사표현등을 포괄하여 간호사의 적극적 간호행위가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도와 환자안전문화 활동의 관련성

        박보영,강채린,변유경,성은서,이수영,이지은,함유진,윤미숙 대한치과위생학회 2023 대한치위생과학회지 Vol.6 No.2

        목적: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직무만족도와 환자안전문화 활동 수준을 파악하고 직무만족도와 환자안 전문화 활동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연구방법: 치과위생사 21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최종 18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직무만족도는 총 20개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환자안전문화 활동 문항은 총 25개로 안전문화활동 10개, 안전시설관리 1개, 진 료전달체계 5개, 질관리 2개, 감염관리 4개, 방사선 안전관리 3개로 구성하였다. 설문은 5점 척도로 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의 직무만족도 평균점수는 3.44점이었으며 점수가 가장 낮은 문항은 ‘내 능력에 비해 업무량 은 많은 편이다(2.78점)’와 ‘나는 업무수행 시 업무 외의 일이 없는 것에 만족한다(2.78점)’이었다. 환자안전문화 활 동 6개 영역 중 감염관리의 평균점수가 4.12점으로 가장 높고 방사선 안전관리의 평균점수는 3.10점으로 가장 낮 았다. 임상경력이 3년 미만인 경우(4.01점)에 3년 이상 10년 미만 그룹(3.72점)과 10년 이상인 그룹(3.69점)에 비해 환자안전문화활동 점수가 높았으며 연령이 높아질수록, 임상경력이 적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을수록 환자안전 문화 활동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결론: 치과위생사의 경우는 업무 전반에서 환자안전문화 활동이 이뤄져야 하기 때문에 환자안전문화 활동 영역 에 대한 적극적인 실천 의지와 필요하지만 환자진료에서 병원관리까지 다양한 업무를 맡고 있는 치과위생사는 업무과중으로 인해 직무만족도가 떨어지고 업무수행의지를 저하시켜 환자안전문화 활동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 칠 수 있다. 환자안전문화 활동 수행도 향상을 위해서는 환자안전문화 활동의 핵심 직종인 치과위생사의 직무만 족도 향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직무환경 개선에도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Backgrou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and patient safety cultural activities for dental hygienists an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patient safety cultural activitie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214 dental hygienists, and data from the final 180 were analyzed. Job satisfaction consisted of a total of 20 questions, and patient safety cultural activities included a total of 25 question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a 5-point scale. Results: The average job satisfaction score of the study subjects was 3.44 points. Among patient safety cultural activities, infection control had the highest average score (4.12 points) and radiation safety management had the lowest average score (3.10 points). Patients with less than 3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4.01 points) had higher patient safety culture activity scores than those with 3 to 10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3.72 points) and those with more than 10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3.69 points). The level of patient safety cultural activiti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as age, less clinical experience, and job satisfaction increased (p<0.05). Conclusion: In the case of dental hygienists, patient safety cultural activities must be carried out throughout the entire work, so an active will to practice patient safety cultural activities is necessary.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patient safety cultural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workload of dental hygienists to improve job satisfaction and create a work environment in which they can focus on patient safety cultural activities.

      • KCI등재

        척추·관절 전문병원의 환자 만족도와 추천 의향

        박영아,이정아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1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9 No.2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commend a hospital for spinal and joint patients.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at a spinal and joint hospital in Seoul in 2019,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 and social characteristics and patient satisfaction, factors influencing hospital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were analyzed. In outpatients, hospital satisfaction was higher in neatness and cleanliness of staff, kindness and facility environment comfort, and hospital satisfaction was low in questions related to waiting time. In inpatients, women's satisfaction was higher in the nursing and hospital environment areas.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satisfaction and the willing to recomme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In the sub-analysis, hospital satisfaction was higher in the group that responded with respect and courtesy, listening, satisfaction of the nurse, hospital cleanliness and safety. This study is can be used to improve the quality of hospital care services in related hospitals. 본 연구는 척추·관절질환 환자 만족도와 병원 추천 의향을 분석하고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에 2019년 서울지역 소재 척추·관절 전문병원에서 환자 만족도와 추천 의향을 조사하였고, 인구·사회적 특성과 환자 만족도와의 관련성, 만족도 영향요인 및 추천 의향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외래의 경우 직원 용모·복장의 단정함과 청결도, 직원 친절도, 시설환경 쾌적성에서 환자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대기시간 관련 문항에서 환자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입원의 경우 간호 영역과 병원환경 영역에서 여성의 만족도가 높았다. 하위 영역별로는 간호 영역 중 고객 존중 및 예의, 고객 경청, 담당 간호사에서 환자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병원환경 영역은 전반적인 병원 청결도와 안전 문항에서 만족도가 높았다. 환자 만족도와 주변에 해당 병원을 추천할 의향이 있는지를 묻는 문항 간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환자 만족도와 병원 추천 의향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척추·관절 질환 환자 만족도와 추천 의향 평가 결과는 척추·관절 전문병원에서 의료서비스 질 향상과 병원경영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일개 대학병원 가정의학과에서의 진료의뢰양상에 따른 환자 만족도 조사

        김연표,황환식,박훈기,고승우,황진숙 대한가정의학회 2008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29 No.5

        Family Physician's Encounter Increases Patients' Satisfaction during Self-referral in a University HospitalYoun Pyo Kim, M.D., Seung Woo Ko, M.D.*, Jin Sook Hwang, M.D., Hwan Sik Hwang, M.D., Ph.D., Hoon Ki Park, M.D., Ph.D. 연구배경: 현행 의료전달체계의 시행 이후 3차 의료기관 가정의학과 외래에는 환자 스스로 특정과 전문의에게 ‘자가의뢰’를 하기 위한 환자의 수가 증가하여 진료의 형식화, 전공의의 수련의욕저하 등의 문제점이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단순 의뢰서를 요구하며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정상진료가 환자 만족도에 변화를 가져오는지 알아봄으로써 바람직한 진료의뢰방식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3년 11월 8일부터 2004년 2월 28일까지 서울소재 한 대학병원 가정의학과 외래에 요양급여의뢰서 발급을 주목적으로 내원한 환자 378명 중 360명을 대상으로 하여 시행하였다. 환자를 접수한 순서대로 ‘진료 후 의뢰군’과 ‘단순 의뢰서 발급군’으로 나누어 진료한 후 만족도를 설문조사했다. 결과: 진료의 적정성과 진료의 과정에 대한 만족도를 묻는 2개의 만족도를 측정한 결과 두 항목 모두에서 진료 후 의뢰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P<0.001) 만족도가 높았다. 그 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진료의 적정성의 경우로 남자 환자(P<0.001), 긴 진료시간(P<0.001), 짧은 대기시간(P=0.032)에서 만족도가 높았다. 진료의 과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소로는 짧은 대기시간(P=0.043), 긴 진료시간(P=0.007)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했다. 그 외 진료의사의 나이, 성별 등의 요인과 특정과의 선택 동기, 환자의 학력, 예약 여부 등은 환자의 만족도와 관련성이 없었다. 결론: 요양급여의뢰서를 발급받으러 대학병원 가정의학과를 방문한 환자에게 정상진료를 하는 것은 진료만족도를 높인다. 단순진료의뢰서 발급을 원하는 환자에게도 가정의의 조정자 역할이 필요하다.

      • KCI등재

        치과 교정치료환자와 일반치료환자의 의료서비스 만족도 관련요인

        이동건(Dong-Geon Lee),한삼성(Sam-Sung Han),유왕근(Wang-Keun Yoo)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6

        최근 치과치료를 위해 병원을 방문하는 것뿐만 아니라, 교정치료를 위한 방문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정치료환자와 일반치료환자의 의료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관련 요인을 비교 고찰하기 위하여 2015년 9월 1일부터 9월 30일에 걸쳐 대구 · 경북지역 소재의 치과 의료기관에 치료 중인 환자 421명을 임의표본 추출하여 비교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다변량 분석결과, 교정치료환자와 일반치료환자의 공통된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독립변수는 의료진과 진료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치료환자의 경우 추가로 치과치료 시 공포감이 의료서비스 만족도에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환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양질의 의료서비스와 적절한 진료비 제공이 공통적으로 필요하고, 특히 일반치료환자의 경우에는 통증감소를 위한 상담관리와 치과치료 공포감 완화를 포함한 종합적인 맞춤식 서비스 제고 방안이 요구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comparison of relating influencing factors on medical service satisfaction between general dental patients and orthodontic patients and to improve quality of the medical services by the treatment type of the visit.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421 patients who visited dental clinics and hospitals in Daegu and Gyeongbuk region,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or the period from Sep 1 to Sep 30, 2015. The multiple regression showed that the medical staff and medical fee were common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ependent variables to influence service satisfaction in both groups, however, fear in the treatment was added to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in only the orthodontic patients. Therefore, based on the provision of high - quality medical services and adequate medical care for patients` satisfaction , comprehensive plans including tailor-made counseling management and reducing the fear of dental treatment for general dental patients should be needed.

      • KCI등재

        The association of physicians` caring attitude with patient satisfaction: an analysis of the national e-survey data

        ( Chanhyun Park ),( Namhyo Kim ),( Dong Yeong Shin ),( Steven R. Feldman ),( Rajesh Balkrishnan ),( Jongwha Chang ) 한국병원경영학회 2015 병원경영학회지 Vol.20 No.2

        환자의 만족도는 더 나은 의료서비스 결과물을 위한 중요 요소이기에, 환자만족도와 관련 요인에 대한 연구는 그 필요성이 대두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의사의 환자를 향한 공감적(empathetic) 태도와 같은 잠재적 요인이 환자만족도와 어떤 연관성을 가졌는지를 분석했다. 이를 위해, 편의표본추출법을 통한 환자설문조사 자료 중 총 273,994 개의 사례들을 분석한 단면연구가 수행되었다. 연구의 독립변수 및 종속변수들은 각각 의사의 태도 및 의사와 진료소(office setting or clinic)관련 환자만족도로 정의되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의사와 진료소 관련 환자만족도는 각각 100점 만점에 평균 78.08과 78.62로 나타났고 상응하는 표준편차는 각각 0.14와 0.12였다. 또한, 의사의 태도가 의사와 진료소 관련 환자만족도와 유의한 관계에 있음을 확인하였다(p < 0.001). 의료에 대한 환자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의사의 공감적 의사소통 능력개발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기울여져서 환자에 의한 의사의 공감적 태도가 인지되어 질 수 있기를 본 연구는 제언한다. As patient satisfaction is a crucial component of improved health care outcomes, there is a ne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ians` attitude and patients` satisfac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atients` satisfaction and physicians` friendly and caring attitudes by using recent physician ratings by patients. Data from a cross-sectional survey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was utiliz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ians` attitudes and patients` satisfaction.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the physician`s attitude, and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patients` satisfaction with the physician and the office setting. A total of 273,994 patients it the US were included. The patients` average (standard deviation, SD) satisfaction with the physician was 78.08 (0.14), and the average (SD) satisfaction with the office setting was 78.62 (0.12) out of 100. Physicians` attitude was a significant predicting factor impacting the patients` satisfaction with the physician and the office setting (p < 0.001). To facilitate patients` satisfaction with healthcare, a continuous effort to develop physicians` ability to communicate in an empathetic manner should be undertaken so that patients perceive their physicians as empathetic.

      • KCI등재

        포괄간호 서비스 시범사업 병동 입원환자와 간호사가 지각하는 간호서비스 만족도와 중요도 차이 비교

        김경남,김미정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6

        This study evaluates the satisfaction and importance on nursing service perceived by the patients and nurses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51 patients and 51 nurses in 3 hospitals in B city.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0.0 programs. There was a significant between the patients and nurses perceived satisfaction(t=7.407, p<.001) and importance(t=2.757, p=.007) on nursing service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Among the subcategories, education was the highest satisfaction and importance factor followed by confidence and professional technic on the patients. But among the subcategories, professional technic was the highest importance factor followed by education and confidence on the nurses. The results indicate that efforts were necessary to reduce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patients and nurses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Therefore nurses working in hospitals with daily living assistance services more often than previously and nurses need to be prepared to do these tasks. The results suggest the need of securing an appropriate number of nursing staff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to enhance patients’ satisfaction of nursing service. 본 연구는 포괄간호 서비스 시범사업 병동 입원환자와 간호사가 지각하는 간호서비스 만족도와 중요도를 파악하고 간호사와 환자간의 간호서비스 만족도와 중요도의 차이를 비교하여 포괄간호 서비스 병동의 사업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B시에 소재한 3곳의 포괄간호 서비스 시범사업으로 선정된 병동이 있는 종합병원에 입원환 환자와 근무하는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입원 환자51명과 간호사 51명의 총 10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방법은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로 분석하고, 사후검증은 Scheffe 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입원 환자와 간호사가 인식하는 간호서비스 만족도(t=7.407, p<.001)와 간호서비스 중요도(t=2.757, p=.007)는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포괄간호 서비스 병동에 입원한 환자들이 인지하는 간호서비스 만족도와 중요도는 교육영역이 가장 높았고, 신뢰성영역, 전문기술영역의 순서로 일치하였으나 포괄간호 서비스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은 생각하는 간호서비스 만족도는 교육영역, 신뢰성영역, 전문기술영역으로 환자와 같은 순서였으나 간호서비스의 중요도는 전문기술영역, 교육영역, 신뢰성영역의 순서로 나타났고, 환자와 간호사의 두군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포괄간호 서비스 병동에서 간호서비스의 만족도를 지속적으로 높이기 위해서는 적정 간호인력을 산출하고 이를 확보하여 환자 간호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며 환자가 충분히 인식할 수 있도록 질 높은 간호를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