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소비자의 환경성 관심도가 환경성표시 인식 및 환경성 고려 행동에 미치는 영향
배순영,송유진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7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3 No.3
친환경 위장제품은 소비자의 현명한 선택을 방해하고 경제적 손실과 함께 친환경 시장을 불신하게 만드는 등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에 정부 및 민간단체에서는 지속적으로 시장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으나 매년 친환경 위장제품 판매 사례가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소비자의 친환경 위장제품에 대한 분별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할 수 있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환경성표시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도, 환경성표시 인식, 환경성 고려 행동 수준을 알아보고, 부당한 환경성표시에 대한 소비자인식을 알아보았다. 또한 이들 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해 봄으로써 바람직한 친환경 제품 구매를 위한 개선방안을 도출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들의 환경성 인증 마크에 대한 인식수준은 낮은 반면 환경과 관련된 용어에 대한 인식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들의 환경성 고려 행동과 관심도에 비해 표시 인식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환경 관련 마크 사용의 부당성 인식 수준이 친환경 용어와 기타 환경성표시에 대한 부당성 인식 수준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소비자는 환경관련 마크를 부적절하게 표시한 경우에 이를 다른 경우보다 더욱 부당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당한 환경성표시 인식은 환경성 고려행동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친환경시장의 활성화와 올바른 친환경 소비환경조성을 위해서 다음과 같이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소비자의 환경성 관심도와 친환경 인증마크, 친환경용어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함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과 시스템 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친환경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은 제품의 품질을 개선하여 정부에서 인증하는 환경마크를 획득하여 올바른 환경성표시를 해야 할 것이다. 셋째, 친환경 위장제품에 대한 시장 감시 강화 및 감시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Greenwashing products have negative impacts in several ways including hindering the wise choices of consumers, causing economic losses, and making consumers distrust the environment- friendly market. The government and some private organizations thus engage in ongoing monitoring for the market, but there are reports of greenwashing cases every year. In that situation, consumers' discernment for greenwashing products is the most important. This study thus set out to examine consumers' interest in environmental performance marks in advertisements, their perceptions of environmental performance marks, their behavior of taking environmental performance into account, and their awareness of improper environmental performance marks. The study also aimed to test causal relations among those variables and propose improvement measures to promote desirable environment-friendly product purchase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consumers had a low perception level for the certification marks of environmental performance and a relatively high perception level for the terms related to the environment. Second, their perception level of marks was lower than their behavior of taking environmental performance into account and their interest in environmental performance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Consumers had a higher perception level for improper environmental performance marks and their uses than improper terms of environment-friendliness and other improper environmental performance marks. That is, their perception level of improperness was higher for improper environment-related marks than other cases. Finally, their perception of improper environmental performance marks had negative effects on their purchase behavior. Based on those findings, the study made the following proposals for the activation of the environment-friendly market and the creation of the right environment-friendly consumption environment: first, there should be diverse support and market systems for consumers to increase their interest in environmental performance and obtain accurate knowledge about environment-friendly certification marks and terms. Secondly, corporations that manufacture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need to obtain a government-certified environment-friendly mark through quality improvement and give the right mark of environmental performance rather than using their in-house certification marks or introducing a mark in the wrong way. Finally, it is required to reinforce market supervision and develop a program for market supervision with regard to greenwashing products.
환경오염 위험의 원인 및 해결방안에 관한 이해관계자 간 상호 이해와 오해: 상호지향성모델을 중심으로
손영곤,이수범 한국PR학회 2024 PR연구 Vol.28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환경오염피해문제에 대한 핵심 이해관계자들의 인식을 상호지향성모델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구성주체 간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방안을 모색해보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환경오염문제를 둘러싼 주요 사안들에 대해이해관계를 달리하는 주체들의 인식을 살펴보는 것은 각 주체들이 목적을 달성하는 데 어떤 것이 도움이 되는지를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해관계자들이 환경오염피해문제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은효과적인 환경오염 위험커뮤니케이션을 기획하고 수행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방법 환경오염피해의 핵심 이해관계자인 일반국민, 취약지역주민, 지자체 관계자 세 집단 사이의 환경오염피해문제에대한 인식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일반국민 2,032명, 취약지역주민 802명, 지자체 관계자 51명을 대상으로 환경오염 위험 현황 인식, 환경오염 지각된 심각성, 환경오염 지각된 취약성, 발생원인 인식, 해결방안 인식, 관리주체 인식, 환경오염 위험정보제공의 7개 개념에 대해 각각 자신은 어떻게 인식하는지, 그리고 상대 집단은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객관적 일치도 분석 결과, 일반국민과 취약지역주민 간에는 지각된 심각성을 제외하고 객관적 일치도는 낮았다. 이에 비해 일반국민과 지자체 관계자, 취약지역주민과 지자체 관계자 간에는 사안에 따라 상이한 인식 차이를 보였다. 주관적 일치도와 관련해서는 일반국민의 경우 취약지역주민의 인식은 자신들과 차이를 보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었으나 지자체 관계자 인식은 사안에 따라 다른 판단을 하고 있었다. 정확도 분석 결과, 일반국민은 취약지역주민의 인식을 제대로 추정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취약지역주민 또한 일반국민의 인식을 읽어내는 데 커다란 차이를 보였다. 집단 간의 이러한 인식 차이는 특히 일반국민과 취약지역주민 간 관계에서 두드러지고 있었다. 상호지향 형태에서도 일반국민과 취약지역주민은 실제 인식과 상대방에 의해 추정된 인식 모두 불일치한 ‘불균형적일치’ 상태를 보였다. 결론 및 함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환경오염피해에 대한 관여도를 높이는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요구되며, 이해관계자 특성을고려한 맞춤형 홍보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아울러 환경오염피해문제와 그 구제 방안을 위한 설득 메시지는 이해관계자들의 우려 평가를 세심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 환경오염을 둘러싼 적극적인 PR활동과공론화는 환경오염피해에 대한 낙인을 낮추는 것은 물론, 이해관계자 간 오해를 감소시킴으로써 거버넌스 구축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Objectives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the problem of environmental pollution risk using the co-orientation model. The aim is to find ways to enhance communication between stakeholders. By examining the situation and perceptions of stakeholders regarding the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 it can be determined what aids each stakeholder in reaching their goals. Furthermore, it is believed that comprehending how stakeholders perceive environmental pollution risk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overall communication effectiveness,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risk communication. Methods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environmental pollution risk among three groups: the general public, vulnerable local residents, and local government officials. It found distinct differences in perceptions among these stakeholders. A total of 2,032 members of the general public, 802 residents of vulnerable areas, and 51 local government officials were surveyed regarding their perceptions of seven concepts: perceived environmental pollution risk status, perceived severity of environmental pollution, perceived vulnerability to environmental pollution, perceived causes, perceived solutions, perceived management entities, and provis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risk information. Results The analysis of the agreement revealed that there was limited agreement between the general public and residents of vulnerable communities, with the exception of perceived severity.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variations in perceptions between the general public and local government officials, as well as between vulnerable residents and local government officials, depending on the issue at hand. Regarding congruence, the general public assumed that the perceptions of vulnerable residents would differ from their own, while local government officials made different judgments depending on the issue. The accuracy analysis indicated that the general public had inaccurate estimations of the perceptions of vulnerable residents, and vulnerable residents had significant disparities in interpreting the general public’s perceptions. These differences in perceptions between groups were particularly notice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eral public and vulnerable local residents. Even in the reciprocal orientation, an ‘imbalance’ was observed between the actual and estimated perceptions of the general public and vulnerable communities.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we have concluded that there is a need for communication activities to enhance engagement with environmental pollution damage.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customized communication strategies that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stakeholders. Additionally, it is crucial to carefully evaluate stakeholders’ concerns when delivering persuasive messages regarding the problem of environmental pollution damage and its solutions. We expect that active public relations and public discourse regarding environmental pollution will contribute to establishing better governance by reducing stigma and misunderstanding among stakeholders.
환경문제 관련 요인이 청소년소비자의 소비가치에 미치는 영향
오진숙,김정숙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1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7 No.1
이 연구는 제주도에 거주하고 있는 청소년소비자를 대상으로 환경활동경험, 환경지식, 환경문제 심각성인식, 소비와 환경오염 관계인식 등 환경문제 관련요인들이 청소년소비자의 소비가치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소비자들의 환경문제 관련요인들에 대한 인식은 소비와 환경오염의 관계인식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환경문제 심각성, 환경지식, 환경활동경험 순이었다. 둘째, 환경문제 심각성인식은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환경활동경험이 많을수록, 부모 학력이 높을수록, 단독주택보다 아파트 집단이 높았으며, 소비와 환경오염의 관계인식은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이, 환경활동경험이 많을수록, 환경지식은 환경활동경험이 많을수록, 부모 학력이 높을수록, 부직업이 판매?서비스직보다 사무직인 경우가 높았다. 셋째, 청소년소비자의 소비가치는 절약성, 과시성, 차별성, 친환경성, 심미?향유성으로 구성되었다. 절약성은 월평균용돈이 많을수록, 과시성은 월평균용돈과 모연령이 많을수록 높았으며, 차별성은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이, 월평균용돈, 가계소득과 모연령이 많을수록 높았다. 친환경성은 월평균용돈이 많을수록, 심미?향유성은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이, 월평균용돈과 모연령이 많을수록 높았다. 넷째, 환경문제 심각성인식은 청소년소비자의 소비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소비와 환경오염의 관계인식은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환경활동경험은 절약성과 친환경성에, 환경지식은 절약성, 과시성, 친환경성에 모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친환경 소비행동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친환경태도, 환경정체성 및 친환경 소비행동의 사회적 일반화인식을 중심으로 -
포하매,박진채,정순희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9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5 No.3
With concentration on normalization of Eco-Friendly Attitude, environmental identity and Eco-Friendly Consumption Behavior, this paper studied the factors affecting Eco-Friendly consumption behavior. In the study, an onlin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among 339 consumers living in Seoul. The analysis methods include technical statistics, credi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t-test analysis and F-test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1.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auses of Eco-Friendly consumption practices, four factors are obtained: purchase, use/disposal, citizenship, and automobile use. 2.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tudies are taken on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practice of Eco-Friendly Attitudes, environmental identity, general cognition and Eco-Friendly consumption behavior. Depending on gender differences, results show that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general cognition and practice.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Eco-Friendly Attitude, environmental identity, purchase, use/ disposal, and level of civic action depending on age. Depending on the marital status, differences exist in the degree of environmental identity and public sexuality practice. Depending on the level of education, meaningful differences appear in the level of general awareness in purchase, use/processing and the level of practice in use/disposal. 3.Age, normalization and environmental identity are important factors on the practice of Eco-Friendly buying behavior. Age, normalization and Eco-Friendly Attitudes have a meaningful impact on environmental identity in the practice of pro-environment use/ disposal behavior. In the practice of automobile use, behavior and related Eco-Friendly behavior, universal consciousness, Eco-Friendly Attitude and environmental identity have a meaningful impact. On the level of civic action and related Eco-Friendly consumption behavior Age, normalization and environmental identity have a meaningful impact. Generally,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ly age plays an impact as a meaningful variable. Normalization and environmental identity have a meaningful impact on practical behavior, while Eco-Friendly Attitude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use/disposal and use of automobiles. 본 연구는 친환경태도, 환경정체성, 친환경 소비행동의 일반화인식을 중심으로 친환경 소비행동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에 거주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339명의 소비자로부터 입수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친환경 소비행동의 실천 활동에 대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4개의 요인, 즉 구매, 사용/처분, 시민성, 자동차 이용이 도출되었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친환경태도, 환경정체성, 친환경 소비행동의 일반화인식 및 실천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라 시민성 영역의 일반화인식 및 실천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연령에 따라 친환경태도, 환경정체성, 구매, 사용/처분, 시민성 실천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혼 여부에 따라 환경정체성 수준과 시민성 영역의 실천 수준에 차이가 나타났고, 교육 수준에 따라 구매, 사용/처분 영역에서의 일반화인식 수준과 사용/처분 영역에서의 실천 수준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친환경 구매행동의 실천은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연령이 의미 있는 변수로 작용하였고, 일반화인식과 환경정체성은 모든 실천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친환경 소비행동의 실천을 제고하기 위해 소비자들이 스스로를 친환경소비자로 인식할 수 있도록 변화를 유도하고, 사회 전반적으로 친환경 소비행동에 대한 일반화된 규범을 만들어서 강화하는 등의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기업 그린마케팅 전략이 소비자 인식과 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준회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1 유라시아연구 Vol.8 No.3
본 연구는 최근 들어 자주 발생하고 있는 환경적 재앙과 환경파괴문제가 지구촌의 핫이슈로 대두되면서 환경문제는 국가와 민족을 막론하고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소비자들의 환경의식적 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사이의 관계를 인과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기존연구들을 고찰하여 기업 그린마케팅 전략이 소비자 인식과 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우리나라 그린마케팅은 환경 인프라의 구축과 목표, 그리고 기업의 마케팅 전략이 수립되지 않은 상황에서 사회공익적인 부분만으로 인식하고 있어서 기업의 잠재시장 확보라는 시장성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기업의 그린마케팅 전략이 효율적으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기업의 그린마케팅 전략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과 그에 따른 구매에 어떤 영향을 주는 지를 파악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가치관과 쇼핑성향 그리고 기업 그린마케팅 전략이 환경에 대한 관심과 그린마케팅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파악하고, 친환경제품 구매의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20~40대 소비자 313명을 설문지를 이용하여 연구가 진행되었다. 설문지는 5점 Likert-Type 척도를 이용하여 기업 그린마케팅 전략에 대한 20개 문항, 가치관에 대한 24개 문항, 쇼핑성향에 대한 26개 문항, 환경에 대한 관심문항 10개 문항, 그린마케팅에 소비자 인식에 관한 7개 문항, 친환경제품 구매의도에 관한 4개 문항, 인구통계학적 5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서는 통계처리 프로그램인 SPSS/PC 12.0과 AMOS 4.01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업 마케팅 전략에서 가격, 촉진, 유통, 제품에서 가격을 제외한 나머지 변수에서 환경에 대한 관심, 그린마케팅에 대한 소비자 인식에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가치관에서 환경보호 및 사회지향적 가치관이 환경에 대한 관심 및 그린마케팅에 대한 소비자 인식에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소비자 쇼핑성향에 따라서 환경에 대한 관심 및 그린마케팅에 대한 소비자 인식에는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소비자들은 쇼핑성향에 따라서 환경에 대한 관심, 그린마케팅에 대한 소비자 인식에 상관성이 없고, 그린제품 구매의도에도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그린제품을 트렌드 적이거나 유행적인 것으로 인식하지 않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볼 수가 있다. 본 연구결과 제시할 수 있는 시사점으로는 그린마케팅에 대한 인식과 친환경제품 구매의도가 높은 소비자는 사회 지향적, 환경보호에 대한 가치관을 가지고 있고, 이런 가치관을 가진 소비자 대상으로 4대 매체와 인터넷을 활용하여 그린마케팅과 관련된 신뢰도 있는 양질의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그린제품의 개념과 필요성을 인지시키고, 그린제품을 개발하여 매체에 많이 노출함으로서 인지에서 구매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필요가 있다. 기업의 그린마케팅 전략도 환경보호라는 단순하고 추상적인 개념에서 전략을 시행하는 것이 아닌 기업 스스로 실질적이고 적극적인 그린마케팅 전략 추진이 필요하다. 광고 전략도 환경문제에 책임감을 갖고 광고를 전개한다면 기업이미지는 물론 진정한 그린마케팅 전략이 수행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제7차 중학교 ‘기술·가정’ 의생활 단원의환경교육관련 내용에 관한 학생 인식과 수업실행인식도 조사
이종순,배현영,이혜자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9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1 No.2
We investigated the extent of recognition and the class practice rate of environmental education-relevant contents of the unit of ‘Clothing Life’ of the 7th ‘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in the students in Korea. Five hundred fifty students in the second and third grade in the middle school and in the first grade in high school, who had taken the course of ‘Clothing Life’ and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sent and collected by mail from December 2007 to January 2008. Most students recognized that the environmental problems in their residences were serious enough to affect their own lives. Only 36.4% of the students, however, expressed the intention to join to the environmental groups and change their clothing lives in order to improve those problems. Also they conceived that the unit of ‘Clothing Life’ of the 7th ‘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containing only a few statements on the environmental pollution had little relevance to environment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n the class practicerate of environmental education-relevant contents of the unit of ‘Clothing Life’, the quality of the classes o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except the unit of ‘Planning and Purchasing Clothes’, and the degree of practice of environmental preservation were proved to be low. Subgroup analysis showed that the seco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s well as female students had the higher interest and class practice rate. Teachers have to try to raise the recognition and the class practice rate of environmental education-relevant contents in the unit of ‘Clothing Life’ of the 7th ‘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of middle school in the class. 본 연구는 중학교 의생활 단원을 이수한 학생들의 제7차 교육과정 중학교 ‘기술·가정’ 의생활 단원의 환경교육관련 내용에 관한 인식과 수업실행인식도 조사를 목적으로 하며 이를 통해 환경보전실천도를 높일 수 있는 수업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중학교 의생활 단원을 이수한 전국 13개 중·고등학교의 중2, 중3, 고1 학생을 대상으로 임의 표집하여 2007년 12월~2008년 1월에 걸쳐 우편을 통해 550부의 설문지를 수집한 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우리나라와 현 거주지의 환경문제가 심각하여 그로인해 피해를 받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환경단체에 가입하는 등의 실천의지와 환경보전 실천을 위한 의생활 행동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교 ‘기술·가정’의생활 단원에 대하여 ‘의복마련과 관리’단원의 환경오염이란 단어가 제시된 일부 내용을 제외하고는 환경교육과 관련성이 없거나, 적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생활 단원의 환경교육 관련 수업실행인식도에서도 ‘의복계획과 구입’단원을 제외하고 환경교육 관련 수업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경보전 실천도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서는 중학교 2학년생, 그 중에서도 여학생이 환경관심도나 수업실행인식도에서 좀 더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가정과 교사들은 의생활 단원의 교육내용이 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학생들이 잘 인식하고 학생들의 환경보전 실천을 위한 의생활 행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환경 그리기에 나타난 초등학생의 환경인식과 미래 환경에 대한 인식
박준호(Jun Ho Park),정철(Cheol Cheong) 한국환경교육학회 2017 環境 敎育 Vol.30 No.2
이 연구는 환경그림 그리기를 통해 초등학교 3~6학년 학생의 환경인식과 미래 환경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대구·경북의 도시 학교 6개교, 농촌 학교 4개교, 총 10개 초등학교 학생 223명이며, 학생들에게 ‘환경’이라는 말을 생각했을 때 떠오르는 것을 그림으로 그리고, 그림에 대한 설명을 쓰게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에 대한 학생들의 그림을 ‘좋은 환경’, ‘나쁜 환경’, ‘좋은 환경과 나쁜 환경의 공존’ 3가지 영역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은 환경을 ‘좋은 환경’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4학년에서 6학년으로 갈수록 ‘나쁜 환경’을 생태계 파괴, 지구온난화, 자연의 개발 등 다양한 요인으로 표현했으며, 도시와 농촌 지역 학생들 간에 환경인식의 차이는 없었다. 셋째, 3~4학년이 5~6학년보다 미래환경이 좋아질 것이라는 인식이 높았으며, 고학년으로 갈수록 미래 환경이 나빠질 것이라는 부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도시와 농촌 지역 학생들 간에 환경인식의 차이는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erception of third to six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the environment and the future state of the environment as represented by drawings. A total of 233 drawings were collected from ten (10) schools: four in urban and six in rural areas. Participants were asked to draw a picture about the environment and to explain their pictures. The results and conclusion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ree categories emerged about the drawings which we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the existence of good environment, the existence of bad environment, and the coexistence of good and bad environment. The findings showed that most of the students had perceptions of the existence of good environment. Second, the drawings of fourth to sixth graders, as the grades go up, showed various factors of the existence of bad environment, such as environmental degradation, global warming, and exploitat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environmental perception of students living in urban and rural areas. Third, students in the third and fourth grades had more positive perception of the future environment in comparison to those in the fifth and sixth grade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nvironmental perception between urban and rural residents.
지역환경문제에 관한 사회과학쟁점 토론이 고등학교 학생들의 환경인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
유예진,남윤경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20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3 No.3
본 연구는 지역사회 환경문제에 관한 토론 수업이 고 등학생들의 환경 인식, 환경 문제에 대한 의견과 그 판단 근거, 환경 문제 해결방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연 구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토론 수업은 도심 내의 백로 서식지 문제를 주제로 3차시에 걸쳐 지역사회 환경문제 에 대해 알아보고, 토론하는 수업이다. 연구의 주요 데이 터로 수업 전후 환경 인식 검사지, 환경 인식 설문지, 학 습지가 수집되었다. 환경인식 검사지는 Likert 척도로 기 술적 통계로 분석되었으며, 환경 인식 설문지의 응답은 귀납적 질적연구 방법을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 과는 먼저 환경 인식 검사지의 환경 인식에서 사전-사후 유의미한 통계적 효과가 있었다. 다음으로 SSI 토론 주 제인 “백로의 서식지를 이동해야 하는가?”에 대하여 과 반수의 학생들이 찬성하였으며, 토론 수업이후에도 의견 에 변화가 없었다. 하지만 토론 수업 이후 학생들의 해경 방안은 단기적이고 실현 가능하며, 구체적이고 비용이 적게 드는 해결방안으로 바뀌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 으로 학생들의 지역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문제 해결력 증가를 위해 학교 과학 수업에서 지역 환경 문제 와 관련된 SSI 토론 수업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SSI debate on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opinions about environmental issue, their judgment grounds, and solutions to regional environmental problems. The SSI debate was about white heron habitats near the village where students live. As the main data of the study, environmental perception questionnaires, and students’ workbook including open-ended questions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class. The environmental perception questionnaire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response of the open-ended questions was analyzed through inductiv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ir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SSI debate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students’ environmental attitude. Second, a majority of students agreed on the idea that villagers should drive the birds out of town and they did not change their after the discussion class. However, after the discussion class, students' solutions about the issue were changed in a way that more short-term, feasible, concrete, and less time-consuming solutions to the proble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implies that SSI issue debate using local problem should be used more often in science classroom so the students recognize local SSI and improve real world problem solving skills.
旅游度假区游客环境恢复性感知对满意度与游后行为意向的影响 - 以扬州瘦西湖为例
吴蕾,김창수,万蕊 국립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4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5 No.1
이 연구는 환경회복인식이론을 적용하여 중국 명승지 관광이 여행자의 만족도와 여행 후 행동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환경 심리학과 관광지 연구 분야에서 환경회복인식이론은 점점 더 많은 학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환경회복인식이론은 '목적지 관광객 환경회복인식'과 '관광객의 목적지 환경 회복성 인식'에 주목하여 관광 체험에서 관광객의 심리·생리·사회적 능력 회복을 탐구하였다. 현재 선행연구는 주로 국립공원, 동물원 등의 사례연구에 집중되어 있으나, 중국 인문·레저 경관류 관광휴양지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적고, 이러한 유형의 휴양지 방문객 환경 회복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 여행 후 행동의향 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연구도 드물다. 본 연구는 양저우 쭈오시후(扬州瘦西湖) 관광지를 중심으로 설문조사와 현장조사 연구 등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SPSS 통계분석으로 신뢰도 검사,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관광객의 환경회복인식이 만족도와 여행 후 행동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제시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인문·레저 경관형 관광 휴양지 관광객의 환경회복인식(PDRQs)의 정도와 심리적 탈출 차원은 관광객의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광객은 자신의 취향, 동기 및 관광지의 매칭정도가 높으면 만족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광객 환경회복인식(PDRQs)의 용인 차원과 물리적 탈출은 여행 후 행동의향에 직접적이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행을 통해 마음이 편해지고 스트레스도 감소하기 때문에 다시 여행을 하고, 추천할 의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문·레저 경관류의 관광 휴양지 환경회복인식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인문경관 관광지의 서비스 질을 향상시키고 각지에서 관광객의 수요와 만족도에 부합되는 고품질의 관광상품을 더 많이 만들도록 촉진하며, 휴양지 환경경관의 회복, 건설, 재창조와 발전이 필요하다는 정책제안을 하였다. In the fields of environmental psychology and tourism destination research, the theor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perception has received increasing attention from scholars. They focus on "destination tourist environmental restoration perception" and "tourist perception of destination environmental restoration",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tourists in restoring their psychological, physiological, and social abilities during their travel experience. The current research results mainly focus on case studies of national parks, zoos, etc., and there is relatively little research on tourism resorts with cultural and leisure landscapes in China. There are also few empirical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restoration awareness, satisfaction, and post tourism behavioral intention of tourists in these types of resorts. This article takes the Slender West Lake Scenic Area in Yangzhou as an example, and uses methods such as questionnaire survey, SPSS statistical analysis, and field research to conduct sample analysis,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ing,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induction summary. It studies the impact of tourists' perception of environmental recovery on satisfaction and post trip behavioral willingness, and proposes corresponding countermeasures and suggestions. Research has shown that the degree dimension and psychological escape dimension of PDRQs have a direct positive effect on tourist satisfaction in cultural and leisure landscape tourism resorts. Tourists value and pursue matching their hobbies, motivations, and destination to achieve higher levels of satisfaction. The compatibility dimension and physical escape in tourist environmental restoration perception (PDRQs) have a direct positive effect on post tourism behavioral intention. Tourists who are psychologically away from fatigue and reduce work attention will have an enhanced intention to revisit and recommend. The research on the awareness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in cultural and leisure scenic tourist resorts will help improve the service quality of scenic tourist destinations, promote the creation of more high-quality tourism products that meet the needs and satisfaction of tourists in various regions, and provide practical guidance for the restoration, construction,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of the environmental landscape in resort areas.
이유미,박병열,최재혁,오현정,손연아 한국환경교육학회 2024 환경교육 Vol.37 No.2
이 연구에서는 지역 환경 토의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토의 과정을 관찰하여 환경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환경 인식 불안정성을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에 기반하여 환경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환경에 관심이 많은 용인시의 초 ․ 중등 학생 총 42명으로, 이들은 청소년 환경 포럼에 참여한 경험이 있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NEP(신환경패러다임) 조사, 개인 활동지 분석, 그리고 소집단 토의 녹취 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높은 NEP 점수를 통해 전반적으로 생태지향적 태도를 보였으나, 실제 인식과 NEP 조사 결과 사이에 불일치하는 경우가 관찰되었다. 학생들은 인간과 자연이 동등하다는 생태지향적 인식과 동시에 인간의 우월성과 자연 관리의 필요성을 인정하는 인간중심적 인식을 함께 가지고 있었다. 이는 학생들이 환경교육을 통해 습득한 지식과 실제 가치관 사이의 갈등을 반영한다. 이 연구는 학생들의 환경에 대한 인식의 불안정성을 드러내며, 환경교육이 지식 전달을 넘어서 학생들의 다양한 인식과 태도를 고려하는 방향으로 발전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