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춘수 시에 나타난 호명과 시선의 문제

        이광호 ( Kwang Ho Lee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2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6

        이 논문은 김춘수의 시를 ``호명``과 ``시선``이라는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했다. 그의 시적 방법론에서 ``호명``과 ``시선``의 문제가 그 미적 개별성에 이르는 중요한 계기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김춘수는 초기 시에서 이 ``호명하는 주체``가 부각되어 있다는 것은 그의 시가 대상에 대한 ``호명``이라는 보편적인 맥락을 통해 출발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그의 후기 시의 난해함 혹은 모호함은 사물에 대한 시적 주체의 호명과 시선 체계의 변이라 고 할 수 있다. 김춘수의 시에서 대상에 대한 호명의 행위는 대상을 가시적인 시적 세 계 안에 끌어들이는 것이다. 호명 행위는 비가시적인 세계 속에 있던 대상을 시각장안에 포섭한다. 김춘수의 2인칭 대상들은 이렇게 호명의 방식을 통해 시각장 안에서 그 의미를 부여받게 된다. 김춘수 초기 시에서의 2 인칭의 시학은 호명의 방식으로 대상을 어떤 인간적 정서와 관념의 등가 물로 만든다. 그런데 호명을 통해 성취되는 대상의 동일성이란 진정한 개 별성의 보존이 아니라, 익숙한 관념 속에 대상을 포섭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김춘수의 후기 시는 이런 맥락에서 호명을 통한 대상의 의미화 과정 에 대한 근본적인 재검토라고 할 수 있다. 김춘수 후기 시에서 호명 행위는 오히려 그 대상으로부터 관념을 제거 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여기서 하나의 호명을 포기하고 호명의 동일성을 해체하는 것은, 하나의 시선을 포기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호명 하되 하나의 이름을 부여하지 않는 사태를 ``호명의 익명화``라고 부를 수 있다. 시의 언어는 사물로부터도 관념으로부터 벗어난 어떤 다른 미학적 지점 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지점에 이르면, 김춘수의 시적 모험은 대상 에 대한 호명 주체도, 대상에 대한 시선의 주체도 구축하지 않는다. ``시선 =호명``의 직접적 관계도 성립하지 않고, 호명은 유예되고 시선은 분열된 다. 그 자리에 남는 것은 의미화의 과정 자체에 저항하는 미학적 주체이다. 호명과 시선의 주체를 구축하지 않으려는 시적 방법론은 김춘수 시인의 시작 과정 내에서 뿐만 아니라, 한국현대시의 맥락 속에서 중요한 현대 성의 지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의 초기 시에서 호명주체의 자기관계의 구 조를 확립하는 주체성의 원리를 볼 수 있다면, 후기 시는 호명과 시선의 동일성을 부정하는 ``익명적``인 미적 주체를 만날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김춘수의 시적 모험은 호명과 시선의 주체를 구축하는 현대성의 보편적 방향에서 출발하였으나, 그 사이의 균열과 분열의 지점을 새로운 미학적 장소로 만드는 미적 개별성에 이르렀다고 볼 수 있다. In this paper, modernity of Kim Chunsu Poetry was analyzed in respect of ``calling`` and ``seeing``. It was because in his poetic methodology, the problems of ``calling`` and ``seeing`` seems to be a chance reaching its esthetic individuality. In his earlier poetry this kind of ``calling subject`` is magnified, which means his modernity started from a universal context, ``calling`` on the object. Moreover difficulty and ambiguity of his later poetry show that calling of his poetic subject on the object and seeing system are changed. In his poetry, the calling action on the object brings the object to the visible poetic world. The calling action could bring the object in the invisible world to the visible fields. His objects in the second person receive the meaning by this calling method. In his earlier poetry, poetics of the second person make the object into the equivalent of humane feelings and thoughts by the calling. By the way, identity of the object completed by this calling is not the preservation of true individuality, but bringing it to the familiar thoughts. In this context, his later poetry seems to be the fundamental review on the meaning process between calling and the object. In his later poetry, as removing thoughts from the object, calling action was processed. In this, giving up the one calling method and breaking up the identity of it mean giving up the one seeing method. When calling is possible, but giving the name is not possible, it could be called as ``anonymity of the calling``. Poetic words are located in the aesthetic point far from the objects and thoughts. When reaching this point, his poetic adventure could not construct the calling subject on the object and seeing subject on the object. The direct relationship, ``seeing=calling`` is not established, calling is suspended and seeing is splitted. Leaving in this point is the aesthetic subject resisting the meaning process. The poetic methodology, which is not constructing calling and seeing subject, is not only making process of his poetry, but also the point of important aesthetic modernity in the context of Korea poetry. In this context, his poetic adventure started from universal direction, constructing the calling and seeing subject, but finally reached aesthetic individuality making the point of crack and dividing between these into the new aesthetic point.

      • KCI등재

        여성 호명의 젠더 함의와 여성 폭력

        유진아 ( You Jin-a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21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90 No.-

        이 연구는 강화길의 소설 『다른 사람』의 분석을 통해 여성 호명에 담긴 젠더 함의와 여성 폭력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인간이 호명되어진다는 것은 자신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사회 속에서 주체로 위치 지어지며 이때의 주체는 타자의 부름에 의해 형성된 것이며, 그 맥락에는 타자의 혹은 사회의 이데올로기가 작동하고 있다. 소설에서는 여성에 대한 호명이 세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첫째, 가부장제 사회에서 여성에게 강요되어온 성규범은 호명하기를 통해 여성을 정숙한 여인과 문란한 여성으로 나누어 이분화 시킨다. 둘째, 사회의 규범을 어긴 여성에 대한 호명은 처벌적 기능을 가지며, 지배적 이데올로기를 생산하는 이들은 호명을 통해 선/악의 경계를 만듦으로써 여성들을 통제하며 자신들의 지배적 사회관계를 유지해 나가고 있다. 셋째, 가부장제 남성중심 사회에서 젠더권력의 우위에 있는 개인 남성의 여성에 대한 호명은 젠더권력 관계의 경계를 허물려고 하는, 혹은 권력관계를 허문 여성에 대한 분노의 표출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분노는 남성이 젠더권력에 대한 통제권을 상실했을 때 더욱 강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가부장제 남성중심 사회에서 젠더 력의 하위 집단에 속하는 여성에 대한 부정적 호명은 여성을 통제하고 구속·억압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며. 여성은 이러한 호명을 폭력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여성에 의한 남성 호명에 대해 남성은 폭력으로 인식하기보다는 여성들의 피해의식에서 나온 행위이며, 남성이 가진 젠더권력에 대한 저항적 행위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gender implications and violence in interpellation of women through the analysis of Kang Hwa-gil's novel Other People. Being called means being placed as a subject in society regardless of one's intention. At this time, the subject is formed by the call of the other person, and in that context, the ideology of the other person or society is working. In the novel, the interpellation of women appears in three forms. First, gender role, which has been forced on women in the patriarchal society, divides women into chaste and promiscuous women. Second, interpellation of women who violate social norms has a punitive function, and those who produce dominant ideologies maintain their dominant social relationships by controlling women and by creating boundaries between good and evil. Third, in a patriarchal male-centered society, the interpellation of women can be an expression of anger against women who try to break, or have already broken the boundaries of gender power relations. This anger can be seen more strongly when a man loses control of gender power. In a patriarchal male-centered society, negative interpellation of women is used as a means of controlling, constraining and suppressing women. It can be seen that women perceive these interpellations as violence. On the other hand, it can be seen that men see male interpellation by women as acts of victimization rather than violence, and as acts of resistance to gender power held by men.

      • KCI등재

        노년 호명의 정치학

        정진웅(Gene-Woong Chung) 한국노년학회 2011 한국노년학 Vol.31 No.3

        본 연구는 노년의 호명과 관련해 한국사회의 다양한 언어적 실천이 노정하고 있는 갈등과 그 정치적 함의를 밝히고, 이러한 현상이 벌어지고 있는 원인을 문화적 차원에서 조명하려 한다. 근래에 들어 한국사회에서 노년을 어떻게 호명할 것인지가 일상에서 문제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새로운 호명방식이 등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노년의 주변화를 의미한다. 하지만 새로운 호명방식들도 노년 호명의 문제를 풀어내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는 한국사회의 연령주의적, 성차별적, 신분주의적 시선이 노년에 대한 다양한 호칭과 지칭의 의미를 주변화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노년의 주변화는 문화적 차원에서 노년의 타자화가 심화되면서, 노년이 타자성의 집적지가 되어가는 '주변성의 노년화'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학계와 전문가 집단에서도 노년의 호명과 관련된 다양한 언어적 실천이 지니는 정치적 함의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차별적 언어사용을 넘어서려는 실천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conflicts and political implications of the various linguistic practices concerning how to call old age, and to illuminate the reasons for these conflicts in the cultural sphere. Recently, the issue of proper ways of calling old age has become problematized. As a result, new ways of addressing older people are being devised, which signifies the marginalization of old age. These new ways of calling older people, however, are not settling the problems. It is because the ageist, gender-discriminatory, status-conscious culture of Korea marginalizes the meaning of the various ways of calling old age. As the otherization of old age deepens in the cultural realm, old age becomes a site where various features of marginality accumulate. The academy and the professionals need to be aware of the political implications of the various ways of calling old age, and to strive to surmount discriminatory linguistic practices.

      • KCI등재

        『만인보』의 중복 텍스트 연구

        박종덕 ( Jong Deok Park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5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63

        『만인보』 전 30권에는 사물을 포함하여 약 7,224명의 인물이 호명되고 있다. 본고는 『만인보』 전권의 인물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매우 독특한 점을 발견하였다. 그것은 동일한 이름이 반복적으로 호명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단순히 이름만 반복되는 것이 아니라, 서사가 연속되는 경우도 상당수 발견되었다. 먼저 한국 현대사의 핵심적 인물인 이승만과 박정희가 반복적으로 호명된다. 그러나 이들에 대한 고은의 시선은 대단히 부정적이다. 이승만은 국가를 분열시킨 장본인으로 그려지고 박정희는 도덕적, 사상적으로 매우 부정적인 인물임이 폭로된다. 4·19 희생자와 5·18 희생자들도 반복적으로 호명되고 있다. 이들은 대개 희생자와 가족의 이름이 연쇄적으로 호명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것은 희생자가 겪은 고통이 개인적인 것이 아니라 가족 전체가 감당해야 하는 고통임을 드러내기 위함이다. 『만인보』에서 호명되는 인물은 한국 현대사가 대화합과 상생의 역사가 아니라, 반목과 투쟁의 역사라는 사실을 알게 한다. 고은이 『만인보』에서 송시열을 반복 호명하여 맹렬히 비판하고, 탕평책을 외친 영조를 반복적으로 호명하는 이유는 대화합과 상생을 소망하는 고은의 바람이 투영되었기 때문이다. 기황후에 대한 반복 호명은 기황후를 통해 고려의 문화가 원나라에 종속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이를 통해 우리가 주체성을 회복해야 한다는 염원을 투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About 7,224 characters including things are mentioned in a total of 30books of Maninbo. Something very unique was found in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characters in the whole series of Maninbo. The same names are often called repeatedly. Names are not only repeated but also a considerable number of narrations are consecutively found. For instance, Rhee Seung-man and Park Jeong-hee are repetitively called as historic figures. Nevertheless, Go Eun’s view of them is very negative. Rhee Seung-man is illustrated as the author of divisions in the nation and Park Jeong-hee is disclosed as a very negative person morally and politically. Victims of 4·19 Revolution and those of 5·18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are repeatedly called. Mostly a series of the victims and their families are called. This is to reveal that the suffering the victims went through was not merely individual but it was something the whole families had to manage. The characters called in Maninbo lead us to know that modern Korean history is not the history of coexistence and the grand national harmony but that of struggle and antagonism. Why Go Eun criticizes neo-Confucianism and Song Si-yeol but repetitively calls King Yeongjo, who spoke of Tangpyeongchaek(a policy of maintaining balance and equality between the factions), is the reflection of Go Eun’s desire of wishing for coexistence and the grand national harmony. Repetition of calling Empress Gi can show the fact that culture of the Goryeo Dynasty was not subordinated to the Yuan Dynasty and refect the aspiration that we should restore our national pride.

      • KCI등재

        국가는 ‘청년’을 어떻게 ‘호명’해 왔는가? : 건국으로부터 신시기 이전, 중국 청년 주체의 소환과 관련하여

        이보고 현대중국학회 2023 現代中國硏究 Vol.25 No.1

        This paper analyzes how the Chinese government, party, and ideology created the image of young people from the founding of socialist China in 1949 to the end of the Cultural Revolution and how it affected the Chinese political ground. In the process of calling young people by other subjects that represent the Communist Party, this paper investigated how the Chinese youth were shaped and what purpose the shaping of these young people had. In this process, Louis Pierre Althusser's concept of calling, the description of the subjectification process, and Slavoj Zizek's criticism on Althusser were all utilized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st Party and youth. Althusser hypothesizes that a person who is called by another subject becomes a subject, through the example that when we meet someone on the street, the person who greets us, thinking that we are calling him, becomes a true subject inside. However, in this pap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ther subject and the subject is not viewed as one-sided but as mutually constructive. Due to the calling by the Communist Party, the image of youth, different images of youth by era, such as 'Red Guards' and 'intellectual youth' as supporters of the revolution, have become subjectified. However, in opposite way, it needs to remember that the change and revolution of the nation or the Communist Party were unavoidable by the subjectification of these young people. In particular, during the Cultural Revolution of 1949, when ideologies such as socialism were used as a tool for calling names in Chinese society, it was found that these young people gradually left the ideology and became individualized. 본 논문은 1949년 사회주의 중국 성립부터 문화대혁명의 종결까지 중국 정부와 당, 그리고 이데올로기가 청년들의 이미지를 어떻게 만들었으며, 이것이 중국 문화 정치 지형에 미친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공산당으로 대표될 수 있는 대타자(Other Subject)가 청년을 호명(呼名)하는 과정에서 중국의 청년들은 어떤 모습으로 주체화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당의 청년들에 대한 형상화가 어떤 지향점을 가지고 있었는지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알튀세르가 제안한 호명개념과 주체화 과정에 대한 설명, 그리고 알튀세르에 대한 지젝의 비판이 모두 공산당과 청년과의 관계를 설명하는데 활용되었다. 알튀세르는 길거리에서 어떤 아는 사람을 마주쳤을 때, 그 마주친 사람이 나에게 친숙함을 표현하는 행동을 함으로써 주체가 된다는 사례를 통해, 대타자의 호명에 의해 호명되는 사람이 주체화된다는 가설을 제시하는데, 본 논문에서는 대타자와 주체 사이의 관계를 일방적인 관계로 보지 않고, 상호 구성적인 관계로 보았다. 우리는 공산당의 청년에 대한 호명이 ‘혁명의 수호자’, ‘홍위병’, 그리고 ‘지식청년’ 등 시대별 다른 청년상들을 만들어냈고, 이로 인해 청년들은 주체화되었지만, 반대로 이들 청년들의 주체화 과정에 의해 국가나 당의 변화와 개혁도 피할 수 없었다는 사실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특히 1949년부터 문화대혁명의 시기 중국 사회에서 이념이 강력한 호명의 도구로 사용될 때, 오히려 이들 청년들이 점차 그 이념을 이탈하여 개인화하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기억의 호명과 전유

        유임하(Yoo Im ha) 동악어문학회 2009 동악어문학 Vol.53 No.-

        이 글은 김사량(1914~1950)을 모델로 삼은 소설의 한 사례를 통해서 북한문학에서 왜 그를 호명했는지, 그리고 그 기억을 어떻게 전유(appropriation)하고 있는지를 검토했다. 북한문학에서 김사량에 대한 ‘이데올로기적 호명(interpellation)’은 ‘민족’과 ‘민족주의’에 대한 변화된 인식을 반영하는 기표의 하나이다. 북한사회가 ‘김사량’을 이데올로기적으로 호명한 것은 그가 ‘민족적 량심을 소유한 인텔리작가’로서 ‘우파(부르주아) 민족주의’와는 구별되는 ‘애국적 민족주의’의 길을 선택했기 때문이다. 여기에 활용된 역사적 기억은 김일성의 회고이다. 김일성의 회고는 80년대 중반 김사량의 정치적 복권의 토대가 되었다. 김사량의 개인 생애는 북한의 ‘민족’과 ‘민족주의’에 대한 태도 변화 속에 민족의 차원에서 전유된다. 북한문학에서 호명해낸 ‘김사량’은 식민지 시기 그의 문학이 보여준 혼종적 측면을 우회하며 ‘민족적 량심과 지조’를 견지했고 ‘조국해방투쟁’에서 전사한 ‘애국주의자’라는 단일한 이미지로 주조(鑄造)되었다. ?벗을 찾아?는 ‘김수민의 죽음’을 둘러싼 진상과 왜곡의 갈등을 남북한 사회가 ‘민족’을 놓고 경합하는 헤게모니 투쟁의 현실로 확장시킨 또하나의 민족 서사이다. 이 서사는 ‘김사량’의 기억을 호명해낸 뒤 그의 기억을 ‘민족’의 차원에서 전유한다. ‘김수민’은 ‘만들어진 김사량의 기억’에 기초하여 새롭게 구성된 허구적 개인이다. 텍스트에서, 그의 생애와 죽음은 민족을 위한 영웅적 개인의 행로로 번역되고 민족의 차원에서 제의화 된다. 이 과정에서 그의 생애와 죽음은 ‘김일성의 교시와 관심 속에 빛나는 존재’로 다시 태어난다. This thesis, using an example of a novel based on Kim Sa-ryang(1914-1950), examines why the North Korean literature interpellated him and how the memories were appropriated. In the North Korean literature, the ideological interpellation on Kim reflects changed perception on the ‘people’ and ‘nationalism.’ The North interpellated Kim ideologically because, as an intelligent with national conscience, he chose the path of ‘patriotic nationalism,’ rather than ‘right-wing (bourgeois) nationalism.’ And the historical recollection used in this context was that of Kim Il-sung. Reviewing Kim Il-sung was the basis of Kim Sa-ryang's political reinstatement in the mid-1980s. And Kim Sa-ryang's personal ethnography can be seen in the nationalist dimension amid the changing attitude toward ‘people’ and ‘nationalism’ in North Korea. ‘Kim Sa-ryang’ as interpellated in the North Korean literature skirts around the hybridity apparent in his writing during the colonial period and takes a not of ‘national conscience and principle.’ He was also cast as the ‘patriotic martyr’ who died ‘fighting for the national liberation.’ [Searching for Companion] expands the conflict on truth and lies surrounding ‘the death of Kim Soo-min’ into the real hegemonical battle on ‘people’ between the two Koreas. This nationalistic epic interpellates memories of ‘Kim Sa-ryang’ and appropriates them from the ‘nationalistic’ perspective. ‘Kim Soo-min’ is the fictional character created through such making of Kim Sa-ryang's memory. And his life and death can be interpreted as the part of the personal journey of a national hero, and can be ritualized in the nationalistic perspective. And in this process. he is reborn as ‘the outstanding presence in the teachings and interest of Kim Il-sung.’

      • KCI등재

        『만인보』의 인물 호명과 서사 진술 방식 연구

        박종덕(Jong deok Park) 어문연구학회 2015 어문연구 Vol.83 No.-

        본 논문은 『만인보』를 대상으로 인물의 호명 방식과 서사 진술 방식에 대하여 살펴본 것이다. 먼저 호명 방식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역사적 인물에 대한 호명은 성과 이름을 갖춘 형태로 이루어져 객관성을 확보하였다. 이름 앞에 직업이나 직책을 두어 호명하는 방식은 독자에게 인물에 대한 사전 정보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이때 그 사전 정보는 반전의 효과를 가지는 경우가 많다. 별명으로 인물을 호명하는 방식의 장점은 인물에 대한 해학성을 드러낼 수 있다는 것과 인물에 얽힌 서사를 압축하여 전달하는 경제성이다. 다음으로 서사 진술 방식을 살펴보았다. 이는 논평 없이 사건만 서술하는 방식, 사건에 대하여 화자가 논평하는 방식, 인물을 통해 논평하는 방식 등으로 대별할 수 있다. 논평 없이 사건만 서술하는 방식에서 화자는 사건에 대한 객관적 기록만을 남길 뿐 사건에 대한 개입이나 전지적 논평을 시도하지 않는다. 이는 다성성을 담보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사건에 대하여 화자가 논평하는 방식은 다성성은 소거되어 있으나 텍스트의 진술이 매우 명료하고 서사를 압축하며 화자가 지닌 세계관에 대하여 짐작할 수 있게 한다는 장점이 있다. 인물을 통해 논평하는 방식은 진술의 질감이 매우 교조적이라는 점이다. 작가가 직접 발화하는 형식을 피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메시지 자체가 교훈적이라는 점은 자칫 『만인보』를 경직된 시선으로 응시하게 할 우려가 있다. In this article, based on Maninbo, we examined the method of mentioning characters and narration statement, regarding "the speaker with the viewpoint of the poet" without separating the author from the speaker. The greatest effect of mentioning one's occupation or position is the reversal. It turned out that readers was able to obtain advance information of a character through the occupation or position in front of the character's name and then the lexical meaning had a ironical effect in many cases. In case of calling a character his or her nickname, its advantage is that they can reveal a vein of humor of the character and deliver the condensed narration of the character economically. Next, we studied the methods of narration statement. As a result, we could categorized them as the way of narrating events without comment, the way that the speaker comments on the events and the way of commenting through a character. In the way of narrating events without comment, the speaker merely keeps an objective record of events and he does not try intervening in the events or making omniscient comment. It has an advantage of guaranteeing the diversity. In the way that the speaker comments on the events, diversity is eliminated, however, its merit is that the direction of statement in the text reveals the clarity, condenses the narration and enables you to assume the speaker's view of the world. The benefit of the way of commenting through a character is that the texture of the character's statement is very doctrinaire. Although the author tried not delivering the message rigidly by using his own narration, it is apprehended that Maninbo might be analyzed with a rigid view in terms that the message itself is instructive.

      • KCI등재

        맘충 호명에 대한 담론 분석: 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김이경,유미숙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19 Global Creative Leader Vol.9 No.1

        This study analyzed the phenomenon of Mamchoong-related discourse being formed and practiced through the analysis of articles on Mamchoong in society where the names of abomination, emotion and disgust, emerged as social problems. Through this analysis, we wanted to discuss how the hateful call for some young mothers is conveyed, influential and what the discourse is about. For analysis, we searched and selected articles related to the Mamchoong through the Integrated Search System of the Korea Press Promotion Foundation and Naver News Search. The selected article underwent text analysis, discourse analysis and social analysis according to the method and process of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article is reported in the form of a simple issue report, expanding controversy and reproducing. Second, the main topics discussed in the article were the definition of Mamchoong, the expression of disgust, the spread to social issues, the eyewitness of issues, the controversy of harm and damage. Third, while Mamchoong is showing signs of broadening its scope, it is found that alternative discussions are needed because it does not extend to alternative discussions, such as hate discourse and Gender discourse. 본 연구는 혐오 정서, 혐오를 담은 호명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된 현 사회 속에서 맘충 호명에 대한 기사 분석을 통해 맘충 관련 담론이 형성되고 실천되는 현상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온라인 공간의 논쟁을 넘어 일부 젊은 엄마들을 향한 혐오적 호명이 어떻게 전달되고, 영향력을 미치는지, 여기에 관련된 담론기제는 무엇인지 논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맘충 호명 관련 기사를 한국언론진흥재단 기사통합검색시스템과 네이버 뉴스검색을 통해 검색, 선정하였다. 선정된 기사는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법(Critical Discourse Analysis) 방법과 과정에 따라 텍스트 분석과 담론분석, 사회적 분석 과정을 거쳤다. 본 연구결과 첫째, 기사는 단순 이슈보도 형태로 가장 많이 전달되어 논란을 확대, 재생산되는 양상을 보였다. 둘째, 기사에서 다뤄진 주요 담론 주제는 맘충이라는 신조어 정의, 혐오 표현, 사회적 이슈로 확산, 이슈의 목격자, 가해・피해 논란이었다. 셋째, 맘충 호명은 그 대상이 광범위해지고 있는 양상을 보이고 있음에도 혐오 담론, 젠더 담론 등 거대 담론이 확대되는 추세에 비해 대안 담론으로 확장되지 못해 이에 대한 대안적 담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만인보」인물의 유형적 고찰

        박종덕 ( Jong Deok Park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학연구 Vol.54 No.4

        본고는 「만인보」 전권을 분석하여 호명된 인물의 유형을 살핀 것이다. 「만인보」 전 30권에 약 4,001편의 시가 수록되어 있음을 근거로 대략그에 육박하는 인명이 호명될 것이라 짐작만 할 뿐이다. 기왕의 연구 성과가 총체적 의미를 확보하기 위해서 가장 먼저 선행되었어야 할 연구였지만 「만인보」 전권이 소논문 연구에 적합하지 않을 만큼 분량이 방대하고, 25년에 걸친 출간 기간이 「만인보」 전권의 인물 연구가 지체된 원인이다. 본고는 시인의 말을 참조하여 전 30권을 대강 6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만인보」 제 1부(1권-9권)는 고향과 고향 부근의 사람들의 이야기이다. 제 2부(10권-15권)는 70년대 사람들의 갖가지 초상을 그리고 있다. 제 3부(16권-20권)는 1950년대 전후를 묘사한다. 제 4부(21권-23권)는 1960년대 초 혁명 전후의 인간군상을 묘사한다. 제 5부(24권-26권)는 승려를 호명하고 있다. 제 6부(27권-30권)는 1980년대 사람들 중에서 5·18 광주민주화운동의 희생자를 집중적으로 호명하고 있다. 「만인보」의 서사를 구성하는 전체 인물은 약 7,224명이다. 이 중에서 실명으로 파악되는 인물은 약 4,227명이다. 여기에는 사물도 포함된다. 사물을 인물의 범주에 포함한 이유는 사물이 서사를 구성하는 핵심 요소로서 사람만큼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인간의 역사를 사람을 통해 노래하는 「만인보」는 1980년대의 벽두에서 종료된다. 만일 「만인보」의서사가 오늘까지 이어졌다 하더라도 호명되는 인물의 질감은 전혀 달라지지 않았을 것이다. 이것이 「만인보」의 현재성이요, 「만인보」에서 호명한 인물들이 지니는 의의이다. This article aims at analyzing all the books of “Maninbo” and studying the aspects of the portrayed characters. We can only guess that there should be names reaching the number of poems based on the fact that around 4,001 poems are included in a total of 30 books of “Maninbo.” Although this study should have preceded in order to ensure the general significance of research already published, the entire series of “Maninbo” is so extensive that it is not fit for the research of an article and it even took 25 years to complete the publication of the whole series. That is why the study of characters in the whole series of “Maninbo” has been delayed. In this article, first of all, we divided the whole 30 books in the series into 6 sections and examined them thoroughly, referring to the poet’s comments. The first section(Book 1 to 9) is the story of his home and people living around there. The second section(Book 10 to 15) portrays a variety of figures in the 1970s. The third section(Book 16 to 20) describes the life before and after the 1950s. The fourth section(Book 21 to 23) portrays the various types of men before and after the military takeover in the early 1960s. The fifth section(Book 24 to 26) deals with Buddhist monks. The sixth section(Book 27 to 30) focuses on the victims of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among people of the 1980s. The total number of characters constituting the narrative of “Maninbo” is approximately 7,224. Around 4,227 characters among them are mentioned under their real names. Things are also included in this number. Why we place them under the category of characters is they play important roles as much as human characters as elements of its narrative. “Maninbo”, singing human history through people ends at the beginning of the 1980s. Even if the narrative of “Maninbo” continues down to this day, the texture of characters named in it would not be changed at all. It is the nowness of “Maninbo” and the significance of characters named in “Maninbo.”

      • KCI등재

        특집논문 : 1970년대 『창작과비평』의 이론과 실천 ; 남자(시민)되기와 군대 -1970년대 『창작과비평』을 중심으로

        김우영 ( Woo Young Kim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5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6

        이 논문은 1970년대 『창작과비평』에 발표된 박순녀, 강용준, 신상웅, 서정인의 작품을 대상으로 삼아 특히 군대 경험 재현을 통해 남성성을 재구성해가는 양상을 추적하였다. 생물학적으로 남성이라는 성을 부여받는 존재가 사회적으로 ``남성성``을 획득하여 남성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사회적으로 여러 단계들이 필요한데, 이 글이 대한민국 청년의 특수한 경험인 ``국민개병제``와 군대 체험에 주목하였다. ``군대 다녀와야 남자 된다``라는 언급은 단순한 수사가 아니라 ``군대``라는 공간 안에서 남성으로서 요구되는 특정 행동들을 ``수행``함으로써 남성으로 재탄생한다는 의미를 지닌다. 더욱이 대한민국의 근대성이 권위주의에 바탕한 군사주의에 기인하는 바가 크다는 점에서 군대 체험이 가지는 의미는 상당하다. 이 글은 국가의 ``호명``의 차원에 개별 주체가 대응하는 양상들에 주목하였다. 이 글은 균질적이지 않은 다양한 방식으로 군대를 체험하는 청년 남성들의 궤적을 추적하였으며 복무 기간 뿐 아니라 제대 이후의 삶에도 주목하면서 군대 내에서 ``남성``으로 재탄생하고자 수행해야했던 행위들이 그들의 삶을 어떻게 바꾸어놓았는지를 탐색하였다. 우선 국가의 호명에 적극적으로 순응하여 남성성을 신체화하는 경우가 있었는데, 베트남 전쟁에 자원했던 인물들도 이에 해당한다. 이 중에는 자발적으로 국가의 호명에 응답한 이도 있었지만, 박순녀의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들처럼 ``월남``이라는 조건 아래서 유일한 선택지였기 때문에 군인의 길을 선택한 청년도 존재하였다. 다른 한 편으로 권위주의 사회 체제를 축소한 형태인 군대의 호명에 불응하거나, 혹은 비껴가는 주체도 존재했다. 신상웅의 작품은 군인의 비균질성을 드러냈으며, 강용준의 작품은 국가의 호명에 과잉응답한 존재의 트라우마에 주목하였고, 서정인의 작품에는 국가의 호명에 응답한 입사를 자발적으로 유보하는 태도를 형상화하였다. 당대 진보적인 입장을 자처한『창작과비평』이었지만, 이 매체에서 군대와 남성성과 관련된 비판적인 논문이나 비평을 발견하기는 어렵다. 이것은 『창작과비평』이 국가, 근대주의, 자본주의의 공모와 착종 관계를 남성성 및 여성성의 시각에서 비판적으로 고찰하지 못하였음을 의미한다. 『창작과비 평』 의 남성성을 고찰한 이 글의 후속작업으로, 『창작과 비평』의 여성성에 대한 젠더적 고찰이 필요한 것은 이 때문이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1970 works of Chang-bi was to track down, especially the military, going to reconstruct aspects of masculinity through the description of military life. Granted the presence of biologically male sex to obtain social ``masculinity`` in order to be reborn as a male requires several steps are socially, this article is especially for the special experience of the 1970s ``army`` of three former youth It is for this reason one attention. ``Masculinity`` but they make a number of mechanisms, of which there is also greater because the bar is due to the fact it was based on militarism authoritarian modernity large part of the Republic of Korea to be discussed by the ``army``. Often, not just rhetoric to say, has the meaning of a particular action is required as a man in space called`` army ``in the sense that men, by`` performing``. Therefore, this article has been party to point out first track of the various ways in which young men experience the army, the military service period, as well as, pay attention to their appearance after the umbilical cord while many who have done this ``man`` in the army to become "male sex It looked at through the aspect that corresponds to the dimension of the subject" how they put that changed their lives significantly in the country ``roll ca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