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집논문 : 호남학(湖南學) : 어느 철학자의 비전과 그 후 50년

        이향준 ( Hyang Joon Lee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3 호남학 Vol.0 No.54

        이 글은 철학 분야를 중심으로 호남학연구원의 50년에 걸친 학술적 성과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구체적으로 다음 세 가지 논제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첫째 연구원의 창설에 기여한 철학자 이을호의 호남학에 대한 철학적 비전을 돌이켜 본다. 둘째, 철학 사상 분야에 국한해서 그 동안 이루어진 연구 성과의 제반 양상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셋째, 이상의 논의를 배경으로 호남의 지역적 자장 속에서 “철학자들은 자신들이 디디고 사는 곳을 자신의 고유한 학술 활동 속에서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가?”하는 질문을 다룬다. 앞으로 호남학연구원의 철학적 발전은 바로 여기에 대해 대답하려고 시도하는 철학자들의 노력 여하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 이 질문을 중요시 하지 않는 철학자에게 호남학이 철학적 탐구의 주제로 부상하리라는 것을 기대할 수 없다. 이런 점에서 50년 전의 이을 호로부터 50년 후의 우리는 어디까지 나아왔으며, 앞으로 또 어디로 나아가야 할 것인가를 호남의 유교문화권이란 개념과 최근에 나타난 인문한국 사업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This paper reviews the academic results critically which the Honam Study Research has accumulated over 50 years around the field of philosophy. Concretely, Three issues are developed. The first, We look back into Lee eulho`s philosophical vision on the Honam Study that he contributed to set up. The second, We synthetically research and analyze all the matters which have come to fruition in philosophy`s field. The third, We deal with the question, “How does philosopher deal with the place in which we live among our unique academic activities?” Because the philosophical development of Honam Study in the future depends on philosopher`s efforts answering this question. In other words, We can`t expect philosopher who doesn`t make importance of this question to bring up the subject of philosophical inquiry.

      • KCI등재

        湖南學의 연구 경향과 徽州學과의 비교연구 가능성

        김병인(Kim Byoung-I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8 한국학연구 Vol.28 No.-

        본고에서는 湖南學의 범주와 연구 경향과 추이 등을 살펴보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 徽州學과의 비교연구 가능성을 검토해보았다. 광주와 전ㆍ남북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호남학은 대학 박물관과 연구소를 중심으로 역사ㆍ철학ㆍ국문ㆍ민속ㆍ인류ㆍ사회학 관련 연구자들에 의해 고고, 역사, 인물, 사상, 종교, 문학, 민속, 건축, 미술, 음악, 생태 등의 분야에서 연구되어 왔다. 특히 연구의 양적 측면에서 역사고고에 집중된 측면이 있으며, 이외 (향토, 생활)역사문화, 고문서, 도서해양, 민족 민주운동 등에 관한 것이 많았다. 호남학 연구는 지역적 위상을 높이려는 의도가 많았으며, 시대적 트렌드에 맞는 연구주제의 변화상이 뚜렷하고, 1990년대 이후에는 지역문화에 관한 관심이 증대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와 같은 호남학은 중국의 휘주학과 비교해 볼 때 역사적 유구성, 교류 중심지, 적극적인 현실 참여, 문화적 다양성 등의 측면에서 유사한 경험과 특징을 공유하는 바, 향후 두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비교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ange, direction, research findings and development of Honam Study and to check the possibility of comparative study with Hwiju Study, China. Honam Study covering Gwangju and Jeonnam & Jeonbuk area has been dealt with natural & ecological environment and basic culture of Honam area in the field of archaeology, history, folk customs, architecture, fine arts, music, ecology, religion, thought, and figures by researchers, centering around university museums and institutes, of Korean literature, history, philosophy, anthropology, folklore and sociology. This study researched the characteristics of Honam Study by Time. First, interest in local culture has increased since 1990's. Second, the change in subjects by time is clear. Third, the intension to promote local and national status gets increased. Fourth, there are a lot of items reflecting the speciality of Honam area. The researches on Honam Study as above mentioned have common features with those of Hwiju Study, China. Thus, it is quite meaningful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comparative study of them based on the common backgrounds; First, both Honam and Hwiju have a long history. Second, both areas are the center of exchanges. Third, both areas have the spirit of actual participation in public affairs. Fourth, Honam and Hwiju areas have cultural variety. These common points of two areas show the possibility of comparative study of them, Honam Study and Hwiju Study.

      • KCI등재

        특집논문 : 호남학연구의 성과와 전망: 역사 및 사회 분야

        정명중 ( Myung Jung Jeong ),류시현 ( Si Hyu Ryu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3 호남학 Vol.0 No.54

        역사와 사회 영역에서 지난 50년간의 호남학연구의 성과를 검토하는 작업은 호남이란 공간 속에서 이루어진 공동체 구성원의 다양한 실천 활동에 대한 역사적ㆍ사회적 의미를 검토하는 일이다. 역사학의 영역에서는 시간적 추이와 맥락에 관해 주목하면서, 호남적인 정체성 즉 호남인의 정신과 감성을 규명한 글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사회 분야에서는 호남 문화의 경험적 또는 구조적 특질을 여실히 드러내 주고 있는 중요한 연구 성과들을 검토했다. “향토애”로 표현되는 지역에 대한 정확하고 자세한 이해는 지금 이곳에 살고 있는 공동체 구성원에게 자긍심을 제공하는 방안이 된다. 본고에서는 『호남문화연구』, 『감성연구』그리고 인문한국사업단이 발행한 감성총서를 바탕으로 역사학과 사회과학 분야의 호남학 연구 성과를 검토했다. 특히 개별적인 사례 중심보다는 호남학과 연동된 연구 성과물에 주목했다. 이를 통해 볼 때, 호남문화연구로 대표되는 호남학 연구의 성과는 중앙과 연계된 정치사의 영역을 넘어서 성장하고 삶을 영위하고 있는 공간을 다루기 있기 때문에 생생한 현장감을 부여하는데 기여해 왔다. 향후 이 분야 연구 영역에서는 장기간의 연속성이 강조되면서도 동시에 각기 분리되고 고립된 것처럼 보이는 사건과 인물의 활동을 서로 연결시켜 그 의미를 새롭게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 방안이 된다. 따라서 단순히 행정적, 지리적 경계로 나누어지는 구역이 아니라 정치, 경제 사회문화적 요소의 상호 작용이 일상적으로 일어나는 생활영역임에 주목해야 한다. 그리고 1960년 이후 축적된 호남문화연구 의성과를 바탕으로 “호남문화론”에 관한 이해의 폭을 본격적으로 확장해야 할 필요가 있다. It can be said that reviewing the achievement of Honam Studies for the last fifty years in history and social field is to examine historical and social significance of various practical activities of the community members in the space called Honam. In the field of history, the study reviewed the writings which look into the sprit and emotion of Honam people as the identification of Honam, paying attention to the temporal trends and context. And in the field of society, the study reviewed the significant results which apparently show empirical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Honam culture. Exact and detailed understanding of one`s community expressed as “local patriotism” is a way to provide its members with self-esteem. Based on 『Honam Munhwa Yongu』, 『Gamsung Yongu』, and Gamsung Chongseo published by HK Project, the study reviewed the outcome of the researches on Honam Studies in history and social science field. Especially, what is noticed is the research achievement related to Honam Studies rather than any individual case. The review showed that the achievement of Honam Studies represented as 『Honam Munhwa Yongu』has contributed to adding vivid sense of realism as that dealt with the space where we grow and lead a life beyond the area of political history related to the Center. In this field, it would be a key for follow-up researches to connect events emphasizing the long-term continuity and looking divided and isolated at the same time with the activities of a figure to newly understand the significance. Thus, we should note that an area is not the space divided by a simple administrative and geographical boundary, but a daily living area having interaction of political, economic, and socio-cultural elements. In addition, understanding of “Honam culturism” should be actively expanded based on the achievement of 『Honam Munhwa Yongu』 accumulated for a long time since 1960.

      • KCI등재

        근현대 장소 ‘전라도’에 관한 개념사적 접근과 해석

        류시현 ( Ryu Si-hyun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21 호남학 Vol.- No.69

        전라도에 대한 ‘부정적’ 표현은 현재 진행형이다. 그리고 이러한 논리는 일시적이거나 단발적이지 않으며 동어반복 혹은 비슷한 논리는 계속 재생산되어 왔다. 차별이 전제된다고 할 때, ‘전라도’라는 단어는 중앙과 타 지역과의 권력관계가 반영된 정치적인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전라도에 관한 개념사적 접근의 가능성을 모색했다. 왜냐하면 개념 전라도(인)은 지역차별과 연동해서 민감한 정치적 주제가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국 근현대사에서 개념 전라도는 한국 근·현대 일상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는 정치·사회운동적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 근현대사에서 개념 전라도에 관한 접근은 호남학과 연동된 연구 과제라고 할 수 있다. 근현대 시대적 흐름을 중심으로 개념 전라도를 첫째, 일제강점기 전라도 지역에 대한 기행문에 관한 문화적 해석을 둘째, 1960∼80년대 정치가 김대중과 전라도를 연동한 정치적 해석을 셋째, 87년 체제 이후의 전라도에 대한 긍·부정 논의가 담고 있는 사회적 해석을 살펴보았다. 전라도에 관한 개념사적 접근을 통해 학문 ‘호남학’의 구축에 기여하고자 한다. The ‘negative’ expression for Jeonrado is currently in progress. And this logic is not temporary or unilateral, and the same repetition or similar logic has continued to be reproduced. As such, the word “Jeonrado” is a political concept that reflects power relationships. This paper explored the possibility of a conceptual historical approach to Jeonrado. Because the concept of Jeonrado and Jeonrado people are discrimination and to work sensitive political subject. Thus, in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history, Jeonrado is a political and social movement concept closely related to modern Korean daily life. The approach to the concept of Jeonrado in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history is a research project linked to Honam Studies. For the purpose of concept approach on Jeonrado First, Japanese colonial era cultural Interpretation of Jeonrado region, second, the ’60s and ’80s, Kim Dae-jung and Jeonra provinces with a political spin, third, we looked at the social interpretation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discussions on Jeonrado since 1987.

      • KCI등재

        일반논문 : 영호남사림(嶺湖南士林)과 금남최부(錦南崔溥)

        최한선 한국고시가문학회 2011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27

        崔溥(1454-1504)는 耽津人으로 자는 淵淵호는 錦南인데 進士澤의 아들이다. 나면서부터 異質하여 剛毅精敏했다고 한다. 금남은 점필재의 문하로서 戊午士禍(1498) 시 그의 집안에 점필재집이 있다는 이유로 訊問을 받고 杖刑을 받은 뒤 端川에 유배되었다가 甲子士禍(1504) 때 處刑되었다. 금남은 호남인으로서 占畢齋의 학문을 직접 받아들여 이 고장 士林의 발흥에 크게 기여한 첫 번째 세대로 평가받고 있다. 그 당시 점필재와 어깨를 나란히 한 호남 선비로는 竹林曺秀文인데 그는 담양 竹林書院에서 배향되고 있거니와 그의 아들 雲穀曺浩는 점필재의 문하로서 汝忠, 汝諶등 문학으로 훌륭한 후손을 많이 배출했다. 安裕-權溥-李穀-鄭夢周-吉再-金淑滋-金宗直-崔溥로 이어지는 학맥은 安裕-權溥-李穀-鄭夢周-吉再-金淑滋-金宗直-金宏弼로 이어지는 학맥과 함께 호남 사림의 깊이와 폭을 더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최부는 후생의 敎導에 미미不倦하였는데 해남의 邑을 밑아 있을 때 그 곳은 바다 모퉁이에 치우쳐 있어 文學이란 게 없고 禮儀또한 荒陋했는데 금남은 正論으로써 陋俗을 변화시켰다고 한다. 이때 漁樵隱尹孝貞과 林遇利그리고 柳桂隣등을 부지런히 가르쳤는바 이들을 보고 온 고을 사람들이 翕然하여 마침내 文獻之邦이 되게 했다고 한다. 호남의 사림은 크게 두 부류로 나눠 말 할 수 있겠다. 먼저 앞서 말한 바와 같이 王朝交替期(1392)와 世祖의 王位簒奪事件(1455) 때 입향 또는 낙향해 온 세력과 다음으로는 安裕-權溥-李穀-鄭夢周-吉再-金淑滋-金宗直-崔溥로 이어지는 이른바 영남을 통하여 호남에 뿌리를 내린 계열을 들 수 있겠다. 호남 사림은 대체로 金宏弼, 崔溥, 宋欽, 樸祥, 李恒, 金安國계열 등으로 나누는데 이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樸祥을 제외한 모두가 金宗直淵源임을 알 수 있다. 宋欽도 김굉필을 私淑했으니 송흠을 연원한 박상도 어떤 면에서는 같은 뿌리라고 말해도 무방하겠다. 최부 계열은 주로 海南과 羅州에서 활약한 인물들이다. 금남 학맥은 尹孝貞, 林遇利, 柳桂隣, 羅질, 尹衢, 尹巷, 尹行, 尹復, 柳成春, 柳希春, 李仲虎, 鄭介淸, 羅士침(錦南의 外孫子), 羅德明등 6 兄弟, 羅緯素(羅德埈의 子) 등으로 이어진다. 최부의 호남학맥은 安裕-權溥-李穀-鄭夢周-吉再-金淑滋-金宗直-崔溥(1454-1504)로 이어지는 사림의 正脈이었다. 그의 문하에서 배출된 사림들은 韓國儒學史上 또는 韓國文學史上과 韓國義兵史등에서 뚜렷한 足跡을 남긴 인물들이 다수 배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의 문하들이 이룬 호남학에서의 문학적 성과는 浪漫的情緖라는 風流性과는 다른 차원의 세계를 열어보였다는 데서, 곧 溪山風流를 표방한 부류와는 시 세계를 달리 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부여할 수 있겠다. 그의 史學, 文學, 經學등 학문적 영향은 해남과 나주를 중심으로 湖南學의 정립에 큰 기여를 하였는데 특히 文學에서는 17세기 중반까지(羅緯素: 1582-1666) 약 2세기 동안 그 전통이 활발히 이어져 나왔고, 그 이후에도 羅景煥(性菴家藏), 鄭錫珍(蘭坡遺稿), 羅允煦(錦坡集), 羅燾圭등으로 20세기까지 계승되면서 근현대 문학으로 移行되었다. 崔溥(1454-1504) 字淵淵,號錦南,明朝朝鮮全羅道耽津(卽今韓國康津郡),進士澤的兒子。崔溥是占畢齋(金宗直)門下,不幸戊午士禍(1498)時因家裏被發現占畢齋文集,他受杖刑後流放到偏僻端川,然後甲子士禍(1504)時被處刑。錦南崔溥被評爲韓國湖南士林人脈的第一個世代。連接安裕-權溥-李穀-鄭夢周-吉再-金淑滋-金宗直-崔溥的一些人的學脈근連接安裕-權溥-李穀-鄭夢周-吉再-金淑滋-金宗直-金宏弼的學脈對韓國湖南士林的形成和發展起了흔大的影響。韓國湖南士林分爲兩大類。朝鮮王朝交替期(1392)和世祖的簒奪王位事件(1455)時入鄕或被露鄕的勢力。前者是光州出身錦城範氏範世東、羅州出身河東鄭氏鄭地、天安全氏全新民、在鄕下隱居的沃川趙氏趙瑜、光山金氏金子進、金麟厚祖先蔚山金氏金穩、光州卓氏卓光武等。後者世祖的찬奪王位事件時在鄕下隱居的是順天金氏的金宗瑞、流放到長興的晉州鄭氏鄭분、在靈巖隱居的南平文氏文孟和、在光山隱居的樸祥的父親忠州樸氏樸智興、在務安隱居的務安樸氏樸益卿、在長興隱居的忠州金氏金麟、在高興隱居的礪山宋氏宋侃、在淳昌隱居的高靈申氏申末舟、在羅州隱居的慶州李氏李碩、在海南隱居的原州李氏、在潭陽隱居的洪州宋氏、在鹹平隱居的陽城李氏、在靈巖隱居的鹹平魯氏魯宗周等。其次是嶺南系的安裕-權溥-李穀-鄭夢周-吉再-金淑滋-金宗直-崔溥學脈。湖南士林分爲金宏弼、崔溥、宋欽、樸祥、李恒、金安國系, 細看湖南士林的分類分析, 除了樸祥以外都是其淵源在金宗直。崔溥系主要是在海南和羅州活動的人物。崔溥學脈是尹孝貞、林遇利、柳桂隣、羅질、尹衢、尹巷、尹行、尹復、柳成春、柳希春、李仲虎、鄭介淸、羅士침(錦南的外孫子)、羅德明等6兄弟、羅緯素(羅德埈的兒子)等人。住在海南蓮洞的尹孝貞是孤山尹善道的高祖父, 以근海南鄭氏家婚姻爲跳板復興名門貴族。尹孝貞的三個兒子橘亭尹衢、尹行、杏堂尹復是公認的詩書門弟。尹衢的兒子曆任左參贊, 他的兒子尹惟幾曆任江原道觀察使。他抱養了尹善道繼承下來了海南尹氏家的榮譽。孤山尹善道寫瞭『孤山遺稿』『漁父四時詞』40首等75首詩歌。孤山尹善道與長歌松江一同稱爲韓國文學界的皇帝。此外尹氏家在壬辰倭亂和丁酉再亂中培養出了許多的義兵將,在救國運動中立了大功。尹衢的女서履素齋李仲虎是在光州初次實行鄕約, 以鄕校爲中心振作了儒學。他曆任全羅監査和大提學,有四子汲、潑、潔、직。杏堂尹復曆任全羅道使、忠淸道觀察使,寫出了『杏堂先生遺稿』及許多漢詩。杏堂的甥姪楓菴文緯世在退溪門下學了「八陳圖」,硏究了性理學。壬辰倭亂和丁酉再亂中근5個兒子、奴僕、弟子一起擧行了義軍蜂起,特別是在自籌軍糧米中做出了흔大貢獻。.柳桂隣有兩個出衆的兒子懶齋柳成春和眉巖柳希春。柳成春同尹衢、崔山斗被稱誦爲湖南三傑,又曆任了吏曹銓郞,但因己卯士禍時被流放到邊疆幷夭折的緣故沒留下特別的業績。柳希春寫出了有名的『眉巖日記』。『眉巖日記』是從宣祖卽位年(1567)起十年時間裏的公私內容的日記,在當時曆史硏究上흔有硏究價値。他校訂『朱子大典』,編纂『國朝儒先錄』,寫出『眉巖集』,還刊行外祖父崔溥的『漂海錄』。流放到鏡城的羅德明在流配地遇到壬辰倭亂,在戰亂中討伐鞠景仁等的叛亂留以功績。也有文學方面的知識流傳『嘯浦遺稿』。他兒子羅緯素是短歌『江湖九歌』的作者。他的詩歌作品和孤山尹善道的『漁父四時詞』相提幷論,又被評爲江湖詩歌潮流的繼承。羅德憲從流配地被釋放後壬辰倭亂和李適之亂(1624)時立下了功勳,而且善於外交的他訪問了三次瀋陽,被國王稱爲忠烈諡號。林遇利是善山人,其父秀的四個兒子元、亨、利、貞中排老三。林亨有五個兒子千齡、萬齡、億齡、百齡、九齡都是賢達。林千齡被追贈領議政,寫出了『遯庵先生文集』。林九齡曆任光州牧使以善政被稱爲淸官的稱誦。林百齡被追贈右議政,乙巳士禍時受禍了。林億齡(號石川)是韓國湖南歌詞的詞宗,被退溪、栗穀、聽松、玉峰、高峰、河西、龜峰等盛贊叫大詩人。同霽峰高敬命、松江鄭澈、棲霞堂金成遠等一起有時以朋友交流,有時以師弟關系交遊,開展了不拘一格,又不失氣稟和格調的講學與詩的創作活動。從上述來看崔溥的湖南學脈是連接安裕-權溥-李穀-鄭夢周-吉再-金淑滋-金宗直-崔溥(1454-1504)的韓國士林正脈。從崔溥門下輩出的人在韓國儒學史上、韓國文學史上、韓國義兵史上都有흔多影響。他門下一些人的文學方面的成就因근以前浪漫情緖的不一樣,근標榜溪山風流的當時詩歌派的不一樣,有著更深的意義,他們創作了新詩歌世界。他的史學、文學、經學等學問的影響對以海南和羅州爲中心成立的湖南學有흔大貢獻。特別是在文學方面直到17世紀中期(羅緯素1582-1666)還活潑地流傳了下去。此後以羅景煥(性菴家藏)、鄭錫珍(蘭坡遺稿)、羅允煦(錦坡集)、羅燾圭等形式繼承到20世紀的文學,現在移行到了近現代文學。

      • KCI등재

        제주학에서 지역연구의 성과와 전망 : 타 지역학과의 관계 모색을 위하여

        염미경(Mi Gyeung Yeum),한석지(Seok Ji Han) 제주학회 2007 濟州島硏究 Vol.30 No.-

        각 지역마다 지역자료의 수집과 번역 및 조사연구 등 지역학의 정립과 발전에 대한 지역사회 내부의 움직임이 한층 가속화되면서 타 지역학과의 관계 모색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 글은 제주학과 호남학과의 관계 모색을 위한 것으로, 1946년 8월 1일 대한민국의 행정법에 따라 도 제도가 생기면서 제주도가 행정구역상 전라도에서 분리되기 이전 시기, 특히 해방 전후시기까지의 제주도 지역에 대한 조사연구 성과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제주학에서 지역연구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검토 결과, 최근 사회사와 생활사, 문화사에 대한 관심의 고조, 세계화와 지방화 흐름 속에서 제주도 지역에 대한 조사연구가 활성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연구대상 시기와 분야 면에서 집중현상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제주학과 호남학의 관계 설정과 관련해서는 제주도 지역의 근대사 연구에서 호남지방사와 연관시켜 접근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제주도와 전라도는 타 지역에 비해 지리적 거리의 근접성, 특히 한반도의 타 지역과 교류할 때 가장 많이 애용한 전통적 바닷길과 가장 근접한 연안이었다는 사실 등을 감안할 때 문화적 교류가 왕성하게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제주학과 호남학 간 조사연구교류는 양자 모두의 학문적 심화에 도움을 줄 것이다. 이률 위해서는 연구여건의 조성이 중요한데. 팀워크를 조직하는 것도 중요하다. 동일 학문분야간 혹은 인접학문과의 연관성 속에서 학제 간 팀워크를 통한 제주도 지역조사연구는 명실상부한 제주학의 정립은 물론 호남 지역자료의 수집과 정리, 나아가 제주학의 발전에도 일정하게 기여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 While taking a position of local study, such as collection, translation, investigation research, etc. of local data, and the motion inside the community to development are further accelerated for every place region, the related grope with other local study is important. This paper is a thing for a related grope with the Jeju study and the Honam study, While Do(道) system arose by the South Korean administrative law on August 1, 1946, before Jeju Island dissociated by administration zone of Jeolla-do, it was going to grope for the direction of area studies in Jeju study by examining investigation research result on Jeju-do area. Although the investigation research to the Jeju Island was activated in a rise of the concern about social history, a life history, and cultural history, in globalization, and a localization flow, it turns out that there is a limit decided as usual in the time for research and a field side. If involved with a related setup of the Jeju study and the Honam study, most researches which were made connected with the Honam history and approached by modern history research of the Jeju Island area are the actual condition which is not. When the fact that Jeju Island and Jeollan-do were the traditional seashore road regularly used when interchanging with the approachability of geographical distance and other areas of especially a South Korean peninsula compared with other areas, and the coast which approached most etc, was taken into consideration, cultural exchange may have been realized flourishing. Therefore, the investigation research exchange between the Jeju study and the Human study, it will help each other for academic enhancement each other. For this, reclamation of research situation is important. it is also important but to organize teamwork. It is concluded that the Jeju Island area investigation research through the systematization of the interdisciplinary teamwork which leads can contribute so that development of the Jeju study in development of collection and arrangement of the Honam area data in a link with the field of the same study or adjacent study.

      • KCI등재

        嶺湖南士林과 錦南 崔溥

        최한선 한국시가문화학회 2011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27

        崔溥(1454-1504)는 耽津人으로 자는 淵淵 호는 錦南인데 進士 澤의 아들이다. 나면서부터 異質하여 剛毅精敏했다고 한다. 금남은 점필재의 문하로서 戊午士禍(1498) 시 그의 집안에 점필재집이 있다는 이유로 訊問을 받고 杖刑을 받은 뒤 端川에 유배되었다가 甲子士禍(1504) 때 處刑되었다. 금남은 호남인으로서 佔畢齋의 학문을 직접 받아들여 이 고장 士林의 발흥에 크게 기여한 첫 번째 세대로 평가받고 있다. 그 당시 점필재와 어깨를 나란히 한 호남 선비로는 竹林 曺秀文인데 그는 담양 竹林書院에서 배향되고 있거니와 그의 아들 雲谷 曺浩는 점필재의 문하로서 汝忠, 汝諶 등 문학으로 훌륭한 후손을 많이 배출했다. 安裕-權溥-李穀-鄭夢周-吉再-金淑滋-金宗直-崔溥로 이어지는 학맥은 安裕-權溥-李穀-鄭夢周-吉再-金淑滋-金宗直-金宏弼로 이어지는 학맥과 함께 호남 사림의 깊이와 폭을 더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최부는 후생의 敎導에 亹亹不倦하였는데 해남의 邑을 밑아 있을 때 그 곳은 바다 모퉁이에 치우쳐 있어 文學이란 게 없고 禮儀 또한 荒陋했는데 금남은 正論으로써 陋俗을 변화시켰다고 한다. 이때 漁樵隱 尹孝貞과 林遇利 그리고 柳桂隣 등을 부지런히 가르쳤는바 이들을 보고 온 고을 사람들이 翕然하여 마침내 文獻之邦이 되게 했다고 한다. 호남의 사림은 크게 두 부류로 나눠 말 할 수 있겠다. 먼저 앞서 말한 바와 같이 王朝 交替期(1392)와 世祖의 王位 簒奪 事件(1455) 때 입향 또는 낙향해 온 세력과 다음으로는 安裕-權溥-李穀-鄭夢周-吉再-金淑滋-金宗直-崔溥로 이어지는 이른바 영남을 통하여 호남에 뿌리를 내린 계열을 들 수 있겠다. 호남 사림은 대체로 金宏弼, 崔溥, 宋欽, 朴祥, 李恒, 金安國 계열 등으로 나누는데 이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朴祥을 제외한 모두가 金宗直 淵源임을 알 수 있다. 宋欽도 김굉필을 私淑했으니 송흠을 연원한 박상도 어떤 면에서는 같은 뿌리라고 말해도 무방하겠다. 최부 계열은 주로 海南과 羅州에서 활약한 인물들이다. 금남 학맥은 尹孝貞, 林遇利, 柳桂隣, 羅晊, 尹衢, 尹巷, 尹行, 尹復, 柳成春, 柳希春, 李仲虎, 鄭介淸, 羅士忱(錦南의 外孫子), 羅德明 등 6 兄弟, 羅緯素(羅德埈의 子) 등으로 이어진다. 최부의 호남 학맥은 安裕-權溥-李穀-鄭夢周-吉再-金淑滋-金宗直-崔溥(1454-1504)로 이어지는 사림의 正脈이었다. 그의 문하에서 배출된 사림들은 韓國 儒學史 上 또는 韓國文學史 上과 韓國 義兵史 등에서 뚜렷한 足跡을 남긴 인물들이 다수 배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의 문하들이 이룬 호남학에서의 문학적 성과는 浪漫的 情緖라는 風流性과는 다른 차원의 세계를 열어보였다는 데서, 곧 溪山風流를 표방한 부류와는 시 세계를 달리 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부여할 수 있겠다. 그의 史學, 文學, 經學 등 학문적 영향은 해남과 나주를 중심으로 湖南學의 정립에 큰 기여를 하였는데 특히 文學에서는 17세기 중반까지(羅緯素: 1582-1666) 약 2세기 동안 그 전통이 활발히 이어져 나왔고, 그 이후에도 羅景煥(性菴家藏), 鄭錫珍(蘭坡遺稿), 羅允煦(錦坡集), 羅燾圭 등으로 20세기까지 계승되면서 근현대 문학으로 移行되었다.

      • KCI등재

        고유섭의 조선 미술사 구도와 ‘호남미술’ 인식

        류시현 ( Ryu Si-hyun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9 호남학 Vol.0 No.66

        고유섭(1905∼1944)은 조선예술사 연구의 선구적인 존재였다. 그는 경성제국대학이란 아카데미즘에서 출발해서 학술적 연구를 바탕으로 조선미술사를 구성하고자 했다. 일제강점기 제국 일본에 대비된 식민지 조선의 ‘향토’가 강조될 수 있다면, ‘향토’의 논의는 조선 안에서도 역사적 과거인 백제의 호남이란 공간 속에서의 미술사로 세분화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고는 선행 연구에서 주목되지 않았던 고유섭의 조선 미술사 구도 속에 존재한 ‘호남미술’에 관한 내용을 살펴보았다. 호남은 행정적으로 전라남북도에 해당하는 공간이지만, 역사 속의 호남 미술은 삼국시대 백제(미술)로 대표된다고 생각된다. 특히 백제 예술품 가운데 탑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호남미술’의 접근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고유섭은 조선미술사를 구성할 때, 백제 예술품은 석탑을 중심으로 서술되었다. 석탑에 주목한 이유는 첫째 중국과 일본의 예술품과 대비된 조선 예술품의 특징이 ‘석공’에 있고, 둘째, 백제 예술품으로 남아있는 것이 석탑이기 때문이었다. 고유섭의 백제 석탑 연구는 건립 순서와 관련된 내용이 중심이 되었다. 이러한 주제에 주목한 것은 일본인 학자에 대한 ‘대결의식’에서 비롯되었다. 또한 조선 탑의 ‘기원’ 혹은 전형성에 관해 출발된 이러한 논의는 결국 ‘조선 예술’의 정체성에 관한 물음과 연결되었다. Ko Yu-sub(1905∼1944) was a pioneer in the study of the history of Korean art. He started with the academy called the Kyungsung Imperial University and wanted to form this works based on academic research. Japanese colonies can be highlighted for ‘homeland’ of the colonized Joseon to be ready for the Japanese occupation. The discussion of locality(hyangto) can be divided into the history of art in the space of the Honam region of Paekje, which is also a historical past within the Korean history. The paper looked at Honam Art, which existed in the structure of Ko Yu-sub’s history of Korean art, which was not noted in the preceding study. Although Honam is an administrative equivalent of both Jeollanam-do and Jeollabuk-do, it is thought that Honam art in history is represented by Baekje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particular, we looked at the possibility of access to “Honam Art,” focusing on discussions about the pagoda among Paekje artworks. When he composed the history of Korean art, the Paekje artwork was described around stone pagodas. The reasons for paying attention to the stone pagoda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art works contrasted with those of China and Japan are in “stone work.” Second, it was because stone pagodas were the remains of Paekje art. Ko Yu-sub's study of the stone pagoda in Paekje focused on the construction sequence. These discussions, which started on the origin of the Korean pagoda, were eventually linked to the question of the identity of the Korean art.

      • KCI등재

        朝鮮時代 湖南儒學의 전개 양상과 의의

        朴鶴來(Park Hak-rae) 대한철학회 2006 哲學硏究 Vol.99 No.-

        본고는 호남유학에 대한 선행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호남 유학의 전개양상과 특징적 면모를 고찰하고, 지방분권화 시대에 있어 호남지역 유학사상의 의미 및 현재적 의의를 제시하여 향후 과제를 검토하고자 한 것이다. 그동안 학계에서는 호남유학에 대해 상대적으로 기호유학이나 영남유학에 비해 그 독자적 영역이나 의미에 대해 소홀히 취급한 감이 없지 않았다. 그 이유는 대체적으로 조선 성리학을 이해할 때 주로 李滉와 李珥를 중심으로 그 학맥과 理氣論의 경향, 그리고 지역과 정치적 입장이 결합되는 구도 하에서 크게 기호와 영남으로 나누어 이해하였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해는 17세기 이후 노론 정국 하에서 정치·사상계가 학맥을 바탕으로 지방이 결합하는 현상이 뚜렷해진 시기에는 어느 정도 타당한 점이 있지만, 그 이전 시기나 19세기 이후에까지 일률적으로 적용하기에는 적절하지 않은 측면이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호남유학이라는 명칭을 통해 퇴계학파나 율곡학파처럼 학문적 동질성을 공유하면서 지역적 기반을 함께하는 학파가 있었는가를 究明하는 것이 아니라, 호남이라는 지역을 기반으로 하여 형성되고 전개되었던 유학사상의 맥락과 정체성을 확인하고, 한국사상 흐름 전반에 걸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의미를 갖는가를 고찰하였다. 본고에서는 호남 유학의 사적인 흐름을 통해 호남 유학의 특징적 면모를 사림정신 발현과 실천적 의리정신의 표출, 다양한 학파의 공존과 대립, 개혁지향의 실천적 학문관, 문학적 풍모와 예술정신의 발현, 소통과 개방의 학문관 등으로 요약하였다. 그리고 이 특징적 면모는 호남유학에만 드러나는 면모는 아니지만, 호남유학에서 드러난 특징적 면모라 할 수 있고, 이것은 결국 호남 지역의 문화를 특징짓고 지역의 정체성을 확인시키며, 동시에 지역민의 동질적 유대감을 일깨우는 역할을 하였다고 판단하였다. 호남 유학에 대한 관심은 최근 활성화되고 있는 호남학에 대한 활발한 연구열과 관련이 깊다. 호남 유학을 비롯한 호남학에 대한 연구는 초보 단계이기는 하지만, 일련의 학계와 지방자치단체의 움직임으로 볼 때 보다 진전된 형태로 드러날 것으로 여겨진다. 다만 새로운 학문의 틀을 만드는 실험적이고 창조적인 과제인 만큼 연구방법론을 비롯한 다양한 모색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basing on the results of earlier researches on the Honam Confucian thoughts, is trying to find the aspect of development of the Honam Confucian thoughts and its distinctive features. Moreover, the further study task will be revealed by showing the meaning of the Confucian thoughts in the times of decentralization. In the mean time, the academic circle had little attention to the realm and the meaning of the Honam Confucian thoughts comparing to the other Confucian thoughts such as the Kiho region and the Yeongnam region Confucian thoughts. This phenomenon derived from the academic circle’s structure of understanding on the Chosun neo-Confucianism which is regionally understood such as the Kiho school and the Yeongnam school. And this understanding is influenced by the division of the Yi-hwang and Yi-i schools, the influence of li-qi theory, and the composition of the mixture of political situation with the regions. However, this understanding only relevant from the 17th century to 18th century under the ruling of Noron Party when the political and the ideological circles consolidated regionally by academic schools. Accordingly, rather than finding the regional Confucian school - such as the Teogye school and the Yulgok school which had homogeneity in academics - by naming the Honam Confucian thoughts, the context and identity of Confucian thoughts in the Honam province will be confirmed and what kind of impact affected to the whole current of Korean thoughts by the Homan Confucian thoughts and its meaning and significance will be found in this study. By studying the history of the Honam Confucian thoughts, it was summed up that the Homan Confucian thoughts had distinctive features such as manifestation of the spirit of Sarim, the expression of practical principle of righteousness, the coexistence and antagonism among various schools, innovative and practical academic view, the manifestation of literary appearances and artistic spirits, communicative and opened academic attitude. It is concluded that these distinctive traits, which were not the only traits of the Honam Confucianism though, featured the Honam culture, confirmed the regional identity, and simultaneously aroused the sense of bond of its people. It is deeply related with the scholars active interest on the Honam study that the interests on the Honam Confucian thoughts. Not only the Honam study but also the study on Honam confucian thoughts are in the initial stage, the future of these studies are promising thanks to the interests and concerns of academic circles and the local government. However, it is required that the various perspective and dimensions on research methodology in framing new Honam study which is an experimental and creative task.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