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희운의 化粧談論

        류수연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5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3 No.1

        Hyeon Hui-un(玄僖運) was not only valued as a founder of a transitional modern drama, but a director of Kyeong-seong Beauty Parlor[京城美容院] which was the first research institute of cosmetics in Joseon. He had taken the lead three women’s magazine; Trace of Perfume(香痕), Madam(婦人), Hygiene and Makeup(衛生과化粧), and he had tried to build makeup as fundamental value of modern cultural discourse. This thesis intends to illuminate why he had called a Makeup as modern liberal assignment through analyzed his writing in three magazines. There were filled with his will to change matter of dressing up the outside from hygiene as modern bodily discourse to more independent territory of refinement in his articles. It could be rated as an enthusiastic attitude that paid attention value of makeup in modern health discourse. He recognized makeup, which dresses up and expresses beauty, as an essential element of modern social attitude. Especially he regarded cosmetics as modern scientific products, furthermore he paid attention to its artistic value. So this thesis examines Hyeon Hui-un's will and limit which had tried to make makeup, which was called by modern appearance, to one of modern cultural discourse. 玄僖運은 過渡期的 近代劇의 創始者인 동시에 조선 최초의 화장품 연구소였던 京城美容院의 원장이기도 했다. 그는 <香痕>, <婦人>, <衛生과化粧>이라는 세 女性雜誌를 주도하면서 化粧을 近代 女性敎養의 핵심적인 價値로 정립하고자 노력했다. 이에 본고는 玄僖運이 세 잡지에 寄稿했던 여러 가지 글을 바탕으로, 그가 近代敎養의 중요한 과제로 화장을 呼出하고자 했던 根據를 조명하고자 한다. 여기에는 衛生이라는 近代的 ‘몸’ 談論으로부터, 아름다움을 가꾸는 문제를 보다 獨立的인 敎養의 영역으로 만들고자 했던 그의 意志가 담겨 있다. 이는 近代健康談論 안에서 化粧의 價値를 주목하고자 하는 積極的인 試圖로서 評價될 수 있다. 특히 그는 化粧品을 近代科學의 산물로 여겼고, 더 나아가 그 藝術的 價値에 주목하였다. 이에 본고는 화장이라는 近代的 外裝을 近代的 敎養談論의 하나로 만들고자 했던 현희운의 意志와 限界를 고찰하고, 近代美容의 先驅者로서 그의 의미를 再定立하고자 했다.

      • KCI등재
      • KCI등재

        현진건의 문학적 후견인과 개인적 재능 - 「희생화」, 「지새는 안개」를 중심으로 -

        남상권 ( Nam Sang-kwon ) 한민족어문학회 2020 韓民族語文學 Vol.0 No.90

        이 글은 현진건의 어린 시절을 보냈던 대구와 작가로 성장하는 데 기여한 인물[후견인]들에 대해 자전적 소설을 토대로 논의했다. 주 논의 대상으로는 단편소설 「희생화」와 「지새는 안개」이다. 현진건의 첫 소설 「희생화」는 그간 알려지지 않았던 가족사적 비극을 내포한 작품이다. 「희생화」는 <개벽사> 문예부장이던 당숙 현희운의 주선으로 <개벽>지에 발표되었다. 이 소설에서 독립운동가였던 셋째 형 현정건의 결혼 파탄의 시초와 해외 망명의 동기를 추정케 한다. 「지새는 안개」에서는 현진건이 기자로서 취업하게 되는 과정에서의 후원자를 얘기하고 있다. 「지새는 안개」를 통해 그간 알려져 있지 않았던 현진건과 숙부 현영운의 관계를 엿볼 수 있다. 이런 점에서 「희생화」, 「지새는 안개」는 현진건 형제와 서울 친척들 간의 긴밀한 유대가 드러난 작품으로 논의한다. 이 두 소설의 등장인물에게는 대구가 고향이라는 의미와 함께 가족사의 위기를 내포한 공간이다. 하지만 현진건이 개인적 재능과 성공한 작가로서 뒤돌아 본 대구는 빼앗긴 땅, 빈곤의 땅으로서 민족사의 비극을 담아내는 공간이기도 하다. 현진건의 수필 「여름과 맨발」을 통해 현진건의 빈곤 소재 작품에 나타는 빈곤층에 대한 체험적 통찰과 연민을 살필 수 있다. This study discusses Daegu, where Hyeon Jin-geon spent his childhood, and the contributors patrons who contributed to his growth as a writer based on his short stories “Sacrificial Flowers” and “Overnight Fog.” . His first short story, “Sacrificial Flowers,” involves a mysterious tragedy in the history of his family. It was published in Gaebyeok thanks to the arrangement made by Hyeon Hee-woon, his uncle and the head of the literature department at Gaebyeoksa. This story hints at the beginning of the failed marriage of his third brother, Hyeon Jeong-geon, who was an independence activist and his motivation for going into exile overseas. “Overnight Fog” depicts Hyeon Jin-geon's employment as a reporter. This story also reveals the whereabouts of Hyeon Yeong-woon, another uncle of his, who had been unknown to the public. Both the stories show the close relationships and solidarity among his brothers and relatives in Seoul. Daegu is not only the author's the home town, but it also symbolizes the crisis of their family history to the characters of the stories. Looking back on the city as a successful writer , however, Hyeon Jin-geon saw Daegu as a land that had been taken away, a town of poverty, and a placeholder for the tragedy of Korea's national history. He expresses his experiential insight into and compassion for the poor in his essay “Summer and Bare Feet” as well as in other works.

      • KCI등재

        「각본 격야(隔夜)」 번역의 시공간적 맥락

        손성준 ( Son Sung-jun ),한지형 ( Han Ji-hyoung ) 국제어문학회 2015 국제어문 Vol.0 No.67

        투르게네프는 시대 상황과 그 변화의 조류에 대해 예민한 감각을 가졌지만 혁명적 변혁에 대해서는 반대하는 정치적 온건파로 평가받는 작가이다. 하지만 그의 장편소설 중 『그 전날 밤(Накануне)』(1860)의 경우 혁명을 꿈꾸는 불가리아 청년을 주인공으로 내세워 당대 러시아의 급진 세력이 적극적 평가에 나서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했다. 정작 투르게네프 본인은 『그 전날 밤』을 `혁명의 전야`로 간주하는 입장을 완강히 거부했지만, 이 텍스트에는 정치적 해석의 중층성이 내재되어 있었다. 1920년, 신극운동가이자 개벽사의 학예부장 현철은 『개벽』의 창간호부터 제9호까지 번역 연재물 「脚本 隔夜」를 선보인다. 이는 소설 『그 전날 밤』을 연극 공연용 각본으로 각색한 것으로서, 저본은 `예술좌(藝術座)`의 각본가로 활약하던 구스야마 마사오(楠山正雄)의 『脚本 その前夜』였다. 『脚本 その前夜』는 그 자체로 식민지인의 현실 환기와 투쟁적 측면이 원작보다 강화된 텍스트였다. 현철은 역자서문에서부터 원작을 `오늘날의 러시아`, 즉 사회주의 혁명국가가 수립된 러시아를 설명하는 작품으로 소개하며, 이 각본을 번역하게 된 이유가 바로 작금의 조선과 공명되는 지점이 가장 많기 때문이라 밝힌다. 현철의 선택 이면에는 혁명 러시아를 통해 조선의 정치적 현실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했던 의도가 자리잡고 있었던 것이다. 한편 그는 번역 과정에서 여성해방의 당위성을 중심으로 한 신ㆍ구세대 등장인물의 `사상충돌`에 방점을 둠으로써 조선의 문화적 진보를 꾀하기도 하였다. 현철의 기획 하에 「隔夜」는 단성사에서 실제로 공연된 바 있으며, 「隔夜」에 대한 조선인의 반향은 현진건의 소설 『지새는 안개』를 통해 간접적으로 증언된다. 『개벽』의 창간이 임박한 시기, 현철은 『인형의 집』이나 『햄릿』이 아닌 소설 『그전날 밤』의 각색 극본을 번역의 최우선순위로 낙점했다. 그는 일본 유학시절 『脚本 その前夜』를 접하며, 이것이 식민지 조선이라는 특수한 시공간으로 전이될 때 지니게 될 위상을 예감했던 것이다. Turgenev is a writer a ssessed as a political moderate who was opposed to revolutionary changes, though he had sensitivity to the situation of times and the current of its changes. In the case of On the Eve(Накануне, 1860) among his novels, it featured as its main character a young Bulgarian man who dreams of revolution, and even such a situation was created that even the radical group of the then Russia came to evaluate the work positively. Actually, Turgenev himself was adamant in rejecting the position of considering On the Eve as `the eve of a revolution`; however, its text contained inter-textuality for political interpretation. In 1920, Hyun Cheol, who was a New Drama Movement promoter and the Chief of Department of Art & Science for Gaebyeok, published Scenario Gyeogya, serials of a translated work, in the first issue of the magazine through its ninth issue. The Scenario Gyeogya was On the Eve adapted for the stage, and its original script was Kyakuhon Sono Zenya(脚本 その前夜) by Kusuyama Masao(楠山正雄), who was working as a dramatizer for Geizyutsuza(藝術座). Kyakuhon Sono Zenya (脚本 その前夜) itself was a text that emphasized more the aspects of awakening colony people to the reality and their struggle than the original work. In the translator`s forward, Hyuncheol introduced the original work as a work that explained `today`s Russia,` that is, Russia where a socialist revolutionary state was established; and made it known that the reason for translating the scenario was that it had the most points in common with Joseon of those days. Behind Hyun Cheol`s selection of the scenario was his intention to tell about the political reality of Joseon through the revolutionary Russia. On the other hand, he attempted progress in the culture of Joseon by emphasizing in the translation `the collision of ideas` between characters of old and new generations revolving around the necessity for women`s liberation. Under Hyun Cheol`s planning, Gyeogya was actually performed at Danseongsa theater, and a sensation created by Gyeogya among Joseon people is indirectly witnessed by Overnight Fog (Jisaeneun angae), a novella written by Hyun Jin-geon. At the time when the first publication of Gaebyeok was imminent, Hyun Cheol picked the scenario of On the Eve, placing the first priority in his translation to the work over A Doll`s House (Et dukkehjem) or Hamlet. For after encountering Kyakuhon Sono Zenya(脚本 その前夜) during his study in Japan, he had a hunch about the status to be retained by it in case that it would be placed into the specific time and space of colony Jose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