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 기독교 성육신의 영성과 사회봉사

        이강학 한국교회사회사업학회 2010 교회와 사회복지 Vol.13 No.-

        본 논문은 한국 기독교의 영성운동과 사회봉사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먼저, 기독교 영성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기독교 영성학자 샌드라 쉬나이더스(Sandra Schneiders)의 영성의 정의를 바탕으로 기독교 영성이 무엇인가를 자세히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위에서 살펴본 정의를 바탕으로 기독교 영성이 사회봉사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기독교 영성과 사회봉사의 관계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두 가지 운동 즉, 귀일원과 다일공동체를, 그 출발점과 사회봉사의 관계, 영성훈련의 특징이라는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결론적으로, 두 운동 모두 예수를 사랑하고 예수를 따르려는 것이 모든 활동의 동기였으며, 특히 사회봉사활동은 그 동기에서 나오는 자연스러운 영성훈련이었다. This paper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Christian spirituality and social service. First, it deals with the definition of Christian spirituality. Using the definition of spirituality by Sandra Schneiders, this paper explores various aspects of Christian spirituality. Second, based on the definition, it develops how Christian spirituality relates to social service. Finally, this paper explores two representative Christian spiritual movements, Guiilwon and Dail Community, focusing on its beginning, its perspective on social service, and spiritual practices. In sum, for both movements, the motivations are to love and follow Jesus Christ and all their activities including social service have been naturally flowed from those motivations.

      • KCI등재

        초기 한국 개신교 영성 전통을 토대로 한 한국기독교장로회의 영성 갱신 연구

        진형섭(Hyung-Sub Jin)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1 신학사상 Vol.- No.195

        이 논문은 한국기독교장로회의 영성이 코로나19 이후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가를 탐구한다. 특별히 한국 개신교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던 일제 강점기하 초기 원산과 평양의 대부흥 운동과 길선주, 이용도, 김재준의 영성 형성에 관심을 두고자 한다. 이들은 대부흥 운동 이후 초기 한국 개신교의 영성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길선주는 초월적이고 내세 지향적 방향으로 나아갔다. 그러나 김재준과 이용도는 이러한 흐름을 거부하고 선교사들의 근본주의적 신앙과 단절하고 사회 참여적 영성과 신비주의적 수도원 영성에 큰 관심을 보였다. 따라서 초기 한국 개신교 영성에서 길선주, 이용도, 김재준의 영향력을 배제할 수 없다. 오늘 한국기독교장로회를 포함한 한국 개신교는 이 세 인물이 보여준 영성의 흐름을 통합하면서 좀 더 건강하고 해방과 경건이 하나 된 영성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한국기독교장로회는 사회와 정치적 콘텍스트를 고려한 참여적 영성과 하나님과 깊은 내면적 만남과 삶의 전환을 강조하는 통합적 영성을 실천하지 못하는 아쉬움을 보인다. 이 논문은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고, 코로나19 이후 시대 영성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초대 교회 사막 교부들이 제시하고 실천했던 하나님의 말씀을 깊이 내재화하는 방식을 적극적으로 수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사실 수도원 영성은 길선주의 영성을 극복하고자 했던 김재준과 이용도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사막 교부들의 영성 훈련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여 코로나19 이후 한국기독교장로회가 ‘해방과 경건의 통전’을 이루는 영성을 추구할 수 있으리라 본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an alternative for the renewal of the PROK’s spirituality following the COVID-19 pandemic. In particular,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spirituality of three Korean pastors, Sunju Gil, Youngdo Lee, Jaejun Kim, who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spiritual formation of early Korean Protestants in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The revival movement, which took place in Wonsan in 1903, grew into the Pyongyang revival movement with the leadership of Sunju Gil in 1907. The early Korean Protestants were deeply influenced by these revival movements. However, the spirituality of Sunju Gil and his followers were gradually concerned with transcendental and afterlife-oriented piety. This spiritual trend was criticized by Jaejun Kim and Youngdo Lee. Jaeju Kim broke with the Christian fundamentalism of foreign missionaries and took an interest in socio-political spirituality. Youngdo Lee moved to a new monastic spirituality for Korean Protestants. However, today’s Korean Protestants do not integrate the spirituality of these three figures. The PROK has also failed to integrate spirituality based on sociopolitical concerns with the devotional movement that seeks deep encounters with God and the conversion of life. This study argues that the various methods of internalizing the biblical words of God, which were practiced by the Desert Fathers in the early Christianity, should be accepted in the lives of Korean Christians. In doing so, the PROK will be able to pursue the unity of liberation and piety after COVID-19.

      • KCI등재

        기독교 영성과 정신건강의 관계성

        김찬규 한국실천신학회 2015 신학과 실천 Vol.0 No.46

        본 연구는 기독교 영성과 정신건강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이다. 정신건강은 주지한 바와 같이 인생에 있어 얼마나 중요한지 모른다. 그런 정신건강이 기독교 영성과 밀접한 관계성이 있다는 것도 알아보았다. 그리고 영성은 정신건강의 근간을 이룬다는 것도 살펴보았다. 또 자살에 대한 예를 알아보았다. 그런 자살이 자행되는 여러 가지 원인들이 있겠지만, 연구자는 가장 심각한 문제는 생의 목적이 불분명한 것이 가장 크다고 본다. 인생은 어디서 와서, 무엇 때문에 살며, 어디를 향해 가며, 내가 왜 인생을 살아야 하는지를 인식하는 것이 자살예방에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한다. 역사적으로 기독교 전통을 살펴보면, 기독교 영성과 정신건강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선지자나 제사장, 사도, 교부, 사제, 목사 등이 주도했었다. 이것은 성령의 능력과 영적인 훈련과 영혼돌봄과 공동체 안에서 이뤄지는 점진적인 성장과 성숙의 과정이었다. 이런 방식으로 현실적인 다양한 문제들을 경험이 많은 권위자와의 관계와 성경적으로 대처하는 것을 배웠던 것이다. 마찬가지로 우리나라도 일제시대와 6. 25 전쟁 당시 소수의 기독교인들이 그 시대를 주도할 만큼 영향력을 발휘한 것처럼 숫자의 문제가 아니라 기독교 영성을 키워 시대와 사회를 앞서가는 영적인 리더가 되어야 할 것이다. 이제는 과거 믿음의 선진들이 그랬듯이 기독교 영성을 겸비한 각 분야 지도자들이 한국교회와 사회를 이끌어야 교회도 사회도 소망이 있다고 사료된다. 많은 영성이 이 세상에는 존재하지만, 그 중에 기독교 영성은 하나님과 예수님, 성경과 기독교 전통 등에서 나오는 것이다. 현대에 와서 기독교 영성이 정신건강에 끼치는 영향이 과학적으로도 자꾸 증명이 되고 있다. 그러므로 이 시점에서 기독교 영성의 침체기에 빠진 한국교회는 다시 과거에 충만했던 기독교 영성을 증진해야 한다는 막중한 사명을 재인식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Christian spirituality and mental health. Mental health is common knowledge that in life doesn't realize how important it is. We recognized that such mental health is so close relationship with Christian spirituality also. we looked up the spirituality that also forms the backbone of mental health. and I recognized an example of suicide. While there are different reasons, a researcher who has researched suicide claims the most serious problem is not clear of the life's purpose. Recognizing why they needs that where did their life come from and live for, what made, where to look ahead to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in preventing suicides I think. Looking at the historical Christian traditions, Christian spirituality and mental health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prophet or priest, apostle, fathers, pastors, etc had led. This was a gradual process of growth in soul and spiritual care and community training and maturity achieved by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In this way, you have learned to cope with various problems in the relationship and a realistic biblical authority and the experienced. Similarly, as influential enough to lead our country christian leader during japanese war and 6.25 war times, although the small number of Christians is not a matter of numbers, will also be spiritual and social leader leading the age. Now as did the christian leader of the past advanced, the korea christian and each sector leaders well-fitted with spirituality should lead, for it is considered will be hopeful our the church and society. Although lots of spirituality in this world exists, but the Christian spirituality get out of God and Jesus, Bible and Christian traditions, etc. In the present day, Christian spirituality is proven that affecting mental health again and again scientifically. Therefore, at this point, the Korean church in Christian spirituality facing a recession should realized great important mission again that must lead the promotion of Christian spirituality filled in the past.

      • KCI등재

        한국풍류영성상담의 실제 연구

        정희성(Hee-Sung Chung) 한국기독교학회 2021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22 No.-

        풍류영성상담은 이론적으로는 한국 고유의 영성인 풍류도에 기초하며, 실제에서는 한국고유 운동인 풍류운동 국선도에서 통찰을 얻었다. 또 기독교 신학적으로는 풍류도를 한 멋진 삶의 하나님과 연관하여 이해한 유동식의 해석에 기초했다. 그리하여 풍류도의 한의 차원을 ‘하나님과 하나 되어’, 삶의 차원을 ‘예수를 본받아’ 그리고 멋의 차원을 ‘성령의 바람따라’로 해석했다. 그 후 이를 기초로 풍류영성상담의 전체 구성방안을 서술한 후 세부 기술을 각기 제시했다. 즉 한의 차원은 ‘푹 잠기기’, 삶의 차원은 ‘누리기’, 멋의 차원은 ‘주체되기’라는 핵심 개념을 추출한 후 그 하부 기술로 하나님 현존 기법, 힘빼기, 하늘 공감, 머무르기, 숨통 틔우기, 바른 분별력 기법, 흔들흔들 기법, 할 수 있는 만큼 기법, 제‘멋’대로 기법, 자기개방하기, 여백 남기기 등을 제안했다. 그간 한국적 목회상담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상담 실제에 있어서는 부분적 제안을 하는 데 그쳤다. 반면 이 논문은 한국적이며 기독교적인 목회상담의 전체 구성 방법과 세부 기술을 총체적으로 조망한 데 그 의의가 있다. Korean Pungryu spiritual counseling is based on Pungryudo and Kouksundo. Pungryudo is a Korean native spirituality and Kouksundo is a Korean native exercise greatly influenced by Pungryudo. Pungryu counseling is also indebted from Dongsik Yu’s theological interpretation on Pungryudo. He understands Pungryudo as sacred embodiment of the Trinity: han(God the Creator), mut(God the Spirit), and salm(the incarnate God). Pungryu spiritual counseling thus consists of the following key concepts: submerging(han), living in the love of the Creator God; Relaxing(salm), living like the incarnate God; being a subject(mut), living with the free-flowing Spirit. These three also include various counseling techniques such as God-in-Us or Immanuel, de-powerment, hanul empathy; remaining, opening the breathless, rocking, right discernment; as much as you can, I am who I am, free-floating planning, leaving a blank space. This is the first overarching introduction of practices of Korean Pungryu spiritual counseling.

      • KCI등재

        한국 교회의 기독교 윤리학적 성향과 그 문제점

        박충구(Choong Koo Park) 한국사회이론학회 2009 사회이론 Vol.- No.35

        1884년 서구 선교사들에 의하여 시작된 한국개신교 선교역사는 120여년의 역사를 가지게 되었다. 한 세기 이상의 기독교 선교 역사를 통하여 한편으로는 세계사에 유례가 없는 개신교의 부흥을 불러왔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한국 기독교의 공신력과 신뢰도에 심각한 추락 현상을 불러오고 있다. 본 논문은 이 문제를 다루면서 한국 교회의 도덕적 미성숙, 물량주의, 집단 이기성, 배타주의, 강압적인 전도, 언행불일치 등의 문제는 한국 사회에 유입된 서구 기독교의 특수성, 즉 한국에 유입된 기독교의 성격이 서구 기독교의 선교적 전략에 따라 복음의 내용이 축소되거나 생략되었다는 사실에 크게 기인한다는 전제를 가지고 있다. 논의의 과정을 거치면서 본 논문은 서구 사회 구조와 맞물려 진화해 온 서구 기독교 사상체계가 기독교 선교라는 도구적 통로를 통하여 한국 및 아시아에 유입될 때부터 이 문제가 이미 잠재되어 있었다는 점을 밝히는데 주요 관심을 두고 있다. 그리하여 한국 개신교 선교 역사는 1910년 에딘버러 선교회의의 선교전략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았으며, 결과적으로 한국 사회 안에서 자발적 오리엔탈리즘과 자발적인 종교적 식민지화를 통한 자기 정체성의 혼란을 거듭해 왔을 뿐 아니라, 이런 혼란의 과정을 통하여 우리 사회 안에서 기독교의 사회 윤리적 정당성 확보에 많은 부분 실패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인의 문화적 정체성을 파괴하고 망각해 온 한국 기독교의 혼란스러운 문화적 자기 정체성과 더불어 4 세기 이후부터 기독교가 수용해 들인 제국주의적 논리와 식민주의적 정복주의와 승리주의의 허상이 한국교회의 내적불화, 소외, 그리고 한국 사회를 향한 사회윤리학적 영향력의 한계를 드러내게 되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따라서 오늘의 한국 기독교가 보다 바람직한 사회 윤리학적 성실성을 가지려면 탈제국, 탈식민, 탈전근대성의 극복 과제를 안고 있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한국 개신교의 신뢰도 추락의 문제는 단순한 윤리적이며 도덕적인 반성을 통하여 극복될 문제가 아니라 하나의 신학적 사유모형의 변화(theological paradigm change)를 요구 받고 있다는 귀결에 이르고 있다. Korean Christianity is presumed as a product of the mission project of the West deliberately designed in the Edinburgh mission conference of 1910. Unlike western Christian churches, the subject of the Christian mission, Korean churches were formulated in accordance with the process of omittance of the gospel that happened when western missionaries strove to Christianize Korea without confronting the possible conflicts which could have emerged from Korea`s social, political and cultural milieu. As a result, the gospel introduced by the western missionaries was accordingly de-politicized, and ignored the religious and cultural reality of Korean people. The gospel brought to Korea by western missionaries was contaminated by the compromised spirit that Ernst Troeltsch well articulated in his perception of denominationalism. The tradition of Christian denominationalism in the West was formulated though the realistic accommodation of worldly realities such as politics and economics at the cost of the eschatological, Judao-Christian prophetic spirituality revealed in the teaching of Jesus. The basic nature of the compromised spirit held within denominationalism tends to be more conservative than revolutionary. In this vein the Korean church became unable to find a balance between the ideal and the real, and lost its power to transform the unjust reality of Korean society. The more the Korean church is empowered, the more it misuses its power to ally with status quo because it has been nurtured through the imperialistic dominating spirit of the western Christianity associated with the spirit of imperialism. This is why one can easily experience of the practice of sexism, materialism, hegemonies, and prosperity theory within Korean churches. This essay concludes that unless Korean Christianity overcomes the spirit of the empire transmitted from western missionaries, it is hardly possible to serve the Korean society with a liberating spirituality of freedom, justice and equality. In order to achieve an authentic Korean Christianity, the Korean churches should reappraise Asian spirituality, where it may find the power to overcome the imperialistic dominant spirituality of the West.

      • KCI등재

        현대 한국교회 청년영성을 위한 기독교 영성교육에 대한 고찰

        강문규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19 영산신학저널 Vol.0 No.48

        Young people including teenagers are the future of the country in any country. Especially, young people are important talents who should support various social organizations including churches and play a role of taking responsibility for the future in terms of Christianity. Many Korean churches have recognized such importance of young people and the churches are seeking various measures for educating young people for religious faith. Although those churches may think that they make every effort for young people through keen attention and various education systems, the number of young people in Korean churches is still decreasing and the degree of their reliability on the protestant churches is very low in comparison to other religions. Such circumstances show the uncertainty of Korean churches in future as it is. It is considered that fundamental measures for various prominent issues in modern Korean protestant churches including young people’s distrust against Korean churches and Christianity that has accumulated since they left the churches are necessary. Among such measures, the key measure which Korean churches should implement with great interest is the spirituality education for the spirituality of young people. Christian spirituality is not simply the experience of something spiritual or secular, personal asceticism mentioned in other religions or something mysterious. In the protestant churches, the spirituality is the reception of God’s salvation including the life ordered by Jesus Christ through the Spirit of God presented in the Bible. In Christianity, spirituality is the life of Jesus Christ displayed in the life of Christians as the example, and it indicates the life of disciple as well as the correct belief as a Christian. Many young Christian people in modern Korean churches display the dualistic Christian faith to separate human body from spirit and isolate God from human being. The Christian spirituality education aims at spirituality that God and human being meet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personally. Eventually, spirituality can be considered as the process of growth and maturation with fai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Christian spiritual education to allow young people in modern Korean churches, who experience confusions and conflicts with Christian faith and leave the church, to reach spiritual maturity, think based on the religious belief, and reflect such acts in their lives. 본 연구는 현대 한국 개신교 기독교에 현저하게 나타나는 문제들, 즉 청년들이 교회를 떠나면서 쌓인 교회와 기독교에 대한 불신 문제를 비롯한 여러 부분에 대한 것들의 근본 대책이 필요한 시점에서, 한국교회가 제일 핵심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실행해야 할 것으로 청년영성을 위한 영성교육이 그 방안과 해결책이라는 관점에서 논리 전개를 한다. 기독교 영성은 단순히 영적인 것과 세속적인 것 또는 타종교에서 말하는 개인의 금욕주의나 신비한 체험을 하는 것으로 표현되지 않는다. 개신교 영성은 성경에서 밝히고 있는 성령을 통하여 그리스도께서 명하신 삶을 포함한 하나님으로부터 오는 구원의 은혜를 받는 것이다. 기독교에서 말하는 영성은 예수의 삶이 기독 신자들의 생활에 모범으로 작용하는 것이며 제자의 삶인 동시에 성도로서 올바른 믿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현대 한국교회의 많은 기독 청년들에게는 영과 육을 이원론적으로 분리하고 하나님과 인간을 격리하는 이원론적인 기독 신앙이 보이고 있다. 기독교 영성교육은 하나님과 인간이 인격적으로 만나서 소통하는 영성을 지향한다. 결국 영성은 신앙으로 성장하고 성숙해 나가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기독 신앙에 혼란과 갈등을 겪으며 교회를 떠나는 현대 한국교회 청년들의 영적인 성숙과 더불어 그들에게 신앙이 그 출발점이 되어 신앙에 의해 사고하고 그리고 그들의 삶에서 그 행위가 재현될 수 있도록 하는 기독교 영성교육에 대하여 고찰하는 것이다.

      • KCI등재

        부모의 관계적 기독교 영성과 그들의 자녀 양육 방식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유치원생 연령의 자녀를 둔 복음주의 기독교인 부모들을 중심으로-

        신승범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2 기독교교육논총 Vol.30 No.-

        This quantitative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al Christian spirituality and parenting styles among evangelical Korean Christian parents with preschool-aged children.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570 parents from 20 churches belonging to the denomination of the Korean Evangelical Holiness Church from 5 cities across South Korea. For data collection, this study used the Parenting Styles and Dimensions Questionnaire (PSDQ) to measure parenting styles, the Spiritual Assessment Inventory (SAI) to measure relational spirituality, and the Asian Values Scale-Revised (AVS-R) to assess individual’s cultural values. This study found that parents who were aware of God’s presence in their lives were more likely than other parents to teach children spiritual disciplines in the home, to believe that their spiritual maturity could impact their parenting, to exercise authoritative parenting style and parental discipline more reasonably. This study also found that parents who recognized God based on who he is, not on what he does,were more likely than other parents to teach children spiritual disciplines in the home and to believe that their relationship with God could impact their parenting. Parents who had a desire to make a positive impression on God were more likely than other parents who did not to teach children Christian practices in the home, to believe that their relationship with God could impact their parenting, and to exercise an authoritative parenting style.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could help parents recognize that their spiritual growth was related to their parenting. Additionally, pastors and Christian educators could help parents develop their spiritual maturity and Christian parenting by offering intentional programs or other resources. 본 연구의 주목적은 유치원생 연령의 자녀를 둔 복음주의 기독교인 부모들의 영성과그들의 자녀 양육 방식 사이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영성은 하나님과의 관계로 정의되었다. 하나님은 삼위일체의 관계적 존재이시기에 그분의 형상대로 창조된 인간 역시 관계적 존재이다. 관계적 존재로서의 인간은 스스로를 넘어 다른 사람과, 창조의다른 모든 부분들과, 그리고 궁극적으로 하나님과 의미 있는 관계를 가질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계적 관점에서 부모의 영성을 이해하고, 부모의 영성, 즉 그들의 하나님과의 관계가, 그들의 자녀 양육 스타일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밝히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 사용되어진 표본은 5개의 도시(서울, 대전, 전주, 부산, 춘천)로부터 기독교대한성결교회에 속한 20개의 교회로부터 추출되었다. 650개의 설문지가 배포되었고 601개가 회수되었다(회수율=92.46%). 이들 가운데 연구의 기준에 적합한 570개의 표본이 연구에사용되었다. 부모들의 영성을 측정하기 위해 Spiritual Assessment Inventory (SAI)가 사용되었고 그들의 양육 스타일을 평가하기 위해 Parenting Styles and Dimensions Questionnaires (PSDQ)가 사용되었다. 또한, 한 개인이 문화의 영향을 어느 정도 받는지를 측정하기 위해Asian Value Scale-Revised(AVS-R)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부모의 영성이 그들의 자녀 양육 스타일과 관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그들의 삶 가운데 하나님의 임재를 경험하는 부모들은 그렇지 않은 부모들보다 자녀양육을 하는데 있어 그들의 영성, 즉 하나님과의 관계의 중요성을 더 많이 인식하고 있으며,실제로, 가정에서 자녀들의 영성을 개발하는 데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양육방식에 있어서도 이러한 부모들이 그렇지 않은 부모들보다 더 권위형(authoritative) 양육스타일을 사용하며, 훈육에 있어서도 더 이성적으로 자녀들을 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연구는 또한 좋지 않은 상황 속에서도 하나님과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부모들이 그리고하나님과의 관계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나아가는 부모들이 그렇지 않은 부모들보다 더 기독교적인 관점에서의 자녀양육에 관심이 많은 것을 발견했다. 이러한 발견들은 그들의 영적인 성장이 그들의 자녀양육 방식과도 관련이 있음을 인지하도록 돕는다. 이러한 발견을기반으로, 목회자들과 기독교교육가들은 부모들이 그들의 영성을 계속해서 개발하도록 그리고 바른 기독교적 자녀 양육에 대한 관점을 가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과 자료들을 제공해 줄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해석학적 영성이해와 21세기 목회리더십 형성

        조성호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15 복음과 실천신학 Vol.37 No.-

        기독교 영성에 대한 연구는 수행 주체의 주요 관심에 따른 다양한 방법론을 통해 전개된다. 영성의 본질과 특성에 강조점을 두는 이들이 있는 반면, 외부 현상이나 파급효과 또는 사회적 기능에 중점을 둔 관계성 분석에 주력하는 이 들도 있다. 어느 방법론이 우월한가의 논쟁은 사실상 무의미하다. 양자 모두 학문적 가치와 정당성 강화에 도움을 주며, 융합과 교류를 강조하는 최근 흐름 은 배타적 선택보다 공존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기독교 영성 자체의 역 사적 기원에서 교류와 융합을 통한 공존이 강조된다는 점은 불필요한 논쟁에 종지부를 찍는 결정적 요인이다. 위의 주장을 바탕으로 본고는 정적인 실체로서의 이해를 넘어 한국교회의 진단과 예측을 목표로 구성된 해석학적 작업과 소통의 매개 즉 미디어로서의 영성의 내용을 탐구했다. 그를 위해 해석학의 내용과 기능은 물론 해석학적 변 화가 현대사회에서 미디어와 결부된 모습을 구체적으로 논의했다. 따라서 본 고는 영성의 사회적 기능을 강조하며 이질적인 영역과의 융합을 목표로 전개 되는 통전적인 과정을 뜻하고, 그런 사회적 기능들이 영성의 개념과 본성을 규 정하는 귀납법적 과정을 밟았음을 지지한다. 이처럼 다양한 사회적 기능의 융 합을 통한 영성이해는 한국교회의 목회는 물론 영성 자체의 발전을 위한 건설 적인 논의에 공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tudies of Christian spirituality have been performing through various methodologies depending on the primary concerns of those who begin it. While some its nature and features, others focus on the analysis of its relationship to outer phases, emerging effects and social function. Any discussion to decide for which method is more appropriate is somehow meaningless. Both methods help strengthening the academic value and authenticity and the recent trend that emphasizes incorporation and commensurability prefers coexistence rather than any exclusive selection. Furthermore, the fact that the historical foundation of Christian spirituality itself verifies the emphasis on incorporation and commensurability is the decisive element to finish the unnecessary controversy. Based on the above argument, this study goal is to perform analysis and anticipation of the Korean churches by exploring spirituality as hermeneutical task and medium beyond the understanding of a static entity. To do it, this study discusses in detail about the contents and functions of hermeneutics and its change related to media culture in the current society. So this study underscores a social function of spirituality, means a collateral procedure for incorporation with any dissimilar subject, and support an inductive method which such social function leads the concept and nature of spirituality. One would expect that this methodology would contribute to a constructive discussion for the Korean ministries and the development of spirituality itself.

      • KCI등재

        1980년대 한국 개신교 영성연구 분석

        권진구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9 기독교교육논총 Vol.0 No.60

        Before the 1980s, Korean scholars and church ministers had not often used the term 'spirituality' for their studies on the whole range of spiritual life and discipline of Korean Christians. Instead, they used terms like devotion, holiness, Christian life, mysticism and so on. During 1980s, Korean scholars begun to use 'spirituality' as an umbrella term to understand and explain not only about Christian life, movement, discipline, and practices, but also about Christian culture and thoughts, 1980s is also a pivotal period for the Korean scholars and church ministers to begin wide and serious studies on spirituality. Many scholars and church ministers had been involved in the study of spirituality in various fields like Christian education,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church administration, Korean feminist theology, and on.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the 1980s protestant studies on spirituality are using 'spirituality' as a key term for theological studies, developing the interdisciplinary dimension of spirituality, and understanding Korean Spirituality through Korean history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Church. 1980년대 이전 개신교 영성연구에서는 영성을 중요한 용어로 인식하거나 그 정의를 다루는 글을 발견하기 쉽지 않다. 80년대 이전에는 주로 예배, 설교, 기도, 금식, 경건, 기독교적 삶, 성령, 신비주의, 수도원 운동 등 영성과 관련된 개별 주제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1980년대는 영성을 연구의 중심 용어로 사용하는 글들이 나타나는 시기이고 영성에 관해 정의하고 그 역사를 탐구하기 시작하는 때이다. 80년대는 영성에 관해 연구하는 학자와 목회자의 수가 늘어나고 논문, 서적, 기고문 등이 이전 시대와 비교해 증가한다. 본 논문은 1980년대 생산된 영성에 관한 책과 논문 및 다양한 글을 소개하고 연구해 그 특징과 의의를 논한다. 본 연구가 주장하는 1980년대 한국 개신교 영성연구의 특징은 영성에 대한 정의, 연구 주제와 범위의 확장, 그리고 한국적 영성에 관한 탐구이다.

      • KCI등재

        신비체험과 이성적 이해의 상호관계를 통한 미래지향적 영성 교육 가능성 탐구

        조성호 한국실천신학회 2022 신학과 실천 Vol.- No.82

        기독교 영성에 관한 집중 연구가 시작된 이후, 고차원적 학문을 지향하는 이들은 하나님과 인류 사이의 본질적 차이에 집중하는 유념적 영성(긍정신학)과 무념적 영성 (부정신학)의 구별을 선호했다. 또 다른 한편에서 논리적 언어와 개념을 강조한 이성 적 이해와 봉사와 섬김을 지향하는 감성적 사랑의 표현을 통해 영성의 핵심가치를 파 악하는 시도 또한 통용되었다. 협소한 방식만으로 영성의 특징을 충분히 드러낼 수 없음을 깨달은 이들은 양자의 결합으로 영성을 설명하는 한편, 여러 유형의 교차와 융합을 활발히 수용한 셈이다. 하지만 영성이 지닌 초월적이고 추상적 특성은 이처럼 다양한 방법론의 활용을 무 색하게 만들 만큼 명료한 개념 정립을 어렵게 만들면서, 영성에 관한 기준과 세부 활 용방안의 도출에 혼동을 일으키는 직접적인 원인으로 작용했다. 그런데 이처럼 한계 로 지적되는 영성의 포괄적이고 애매한 현상이 긍정적 요소로 전환되는 역설에 영성 의 진정한 가치와 효력이 잠재한다. 즉 이성적 논리와 개념으로 정리하기 난해한 초월적 측면이 이성 영역의 발전을 견인하는 창조적 원리와 개혁의 동력으로 작용한다 는 뜻이다. 결론적으로 신학적 논리와 개념으로 정리되는 기독교 영성의 특징을 고려 하면, 신비하고 초월적 체험을 전제하는 영성과 합리적 이성 사이의 역설적 공존과 협력은 피할 수 없는 과제이며 이를 통해 영성의 점진적 발전이 가능하다는 사실 또 한 긍정적으로 수용하게 된다. 본 연구는 영성이 지니는 그와 같은 특성에 주목하여 신비체험에 관한 집중적 연 구를 통해 영성연구 방식에 내포된 의도와 취지 및 구조적 특색을 미래지향적 교육으 로 승화하는 절차를 밟았다. 그리고 이런 일련의 과정을 묘사하기 위해 신비체험의 구성요소와 한국교회에 발생한 사례를 서술한 후, 그 내용을 이성적 이해와 비교함으 로써 영성의 특성을 설명하려고 노력하였다. 이런 절차를 거쳐 신비체험을 통해 형성 되는 기독교 영성 교육이 단순히 성경 가르침을 향한 맹목적 복종이나 무미건조한 이 론적 명제 도출 또는 현실 도피적 내세 지향 사상이나 특정인에 대한 반사회적 숭배 가 아니라는 점을 서술하였다. 아울러 신비체험이 하나님에 관한 신학적 성찰과 인간 의 존재론적 가치 및 윤리적 방향 그리고 교육적 성격을 종합적으로 창조하는 건설적 작업이 되어야 할 당위성 또한 중점적으로 역설했다. This study began an academic concern upon various phenomenological aspects of mystical experiences in the church history in relation to Christian Spirituality. In many cases, mystical experiences such as ecstasy have been in a very special epistemological status in the process of Christian spirituality which functions a motivational power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spirituality itself. However, mystical experiences also often became some negative roles which prohibited an appropriate contribution to the a right construction of spiritual education for the future generation. Due to such complex situation concerning mystical experiences with Christian spirituality, this study primarily focuses on the mutual interrelationship between mystical experiences and rational understanding. Throughout this mutuality, this study tries to reveal some invisible features of mystical experiences which has been deeply intertwined to the historical agonies of a certain existential moment and its rational process of interpretation to explain the causality of such suffering. Without those series of rational explanation, diverse insights in mystical experiences would not be made and many malfunctions of mystical experiences within the Korean Churches could not be eliminated. If this bad context will continue, a healthy and necessary recovery of Christian spirituality for the Korean churches will be impossible so a theological task to prepare a proper educational process for the future generation in the Korean Churches will be requested including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