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국 단오문화 전승에 한국 강릉단오제가 주는 시사점

        강소천 동아시아비교문화연구회 2018 東硏(동연) Vol.4 No.-

        단오는 한국과 중국에 모두 전승되고 있는 전통명절이다. 한국의 경우, 단오는 고려시대 9대 명절에 속하였고, 조선시대에는 설날, 한식, 추석과 함께 4대 명절로 여겨져 한국의 대표적인 여름철 명절로 손꼽힌다. 중국의 단오절은 선진(先秦) 시대에 기원하여 진한(秦漢) 시대 초보적으로 형성되었다. 정확하게 언제 한국으로 전해 들어왔는지를 알 수 없으나 현존 자료를 살펴보면 삼국시대까지 기원을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한국의 단오문화는 중국에서 유래했기 때문에 “단오(端午)”라는 명칭과 명절의 날짜가 중국과 같을 뿐만 아니라 많은 풍속들도 유사하다. 그러나 많은 세월이 흘러가면서 한국의 단오문화는 이미 현지화, 자국화되어 처음 중국부터 유래했을 때의 형태와 많이 달라졌다. 이제는 한국 단오제와 중국 단오절을 같은 것으로 보기가 어려워졌다. 특히, 유네스코 세계 무형 유산으로 등록된 한국 강릉단오제의 경우, 중국의 단오절을 모태로 삼고는 있지만 강릉의 민간신앙 등과 긴밀하게 결합되어 현지화되면서 완전히 다른 명절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중국의 단오절은 전국시대(戰國時代)에 기원하여 한나라(漢) 때 “악월악일(惡月惡日)” 설의 영향을 받아 악한 기운을 막고 건강을 기원하는 의례로 진행되었다. 후대에 영웅인물들의 전설과 결합하면서 단오절은 점점 영웅을 기념하고 그에게 제사지내는 날이 되었다. 각 지역에 전승되는 전설은 조금씩 다르지만 “굴원(屈原)”을 기념하는 설이 가장 보편적이다. 단오 때 종자(粽子)를 먹는 풍속, 용선경도(龍船競渡) 풍속 등이 원래부터 있었는데, “굴원” 전설이 생기고 나서 이 두 가지 풍속도 굴원과 연결되었다. 현재 중국에는 지역별, 민족별로 단오절을 지내는 풍속이 조금씩 다르다. 또한 한국에 비해 중국에서는 전통문화 복원의 중요성을 늦게 인식하였기 때문에 일부 풍속은 이미 실전(失傳)되기도 했다. 한국의 강릉단오제가 한국식 단오의 풍습을 잘 보존해 오는 경험을 참고하여 이를 거울로 삼아 중국도 자신의 전통문화를 잘 보호하고 발전시켜야 한다고 생각한다. 한국의 강릉단오제가 2005년 유네스코 세계 무형문화유산으로 등록되면서 단오의 소유문제가 한중 양국에 중요한 이슈가 되었다. 중국에서는 단오를 중국의 고유 전통명절로 주장하여 학계에 논란이 일어났고 그때부터 자극받아 전통문화의 중요성을 인식했다. 전통문화의 전승 등의 문제에 대해서 반성하고 예전에 비해 전통문화의 보호 및 발전에 힘을 집중하기 시작하였다. 이뿐만 아니라 중국 및 인접 국가의 각종 전통문화에 대한 연구도 활성화되었다. 한국 강릉단오제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조선시대의 것이다. 조선의 문신(文臣) 허균(許筠)의 기록에 의하면 조선 중기까지 강릉단오제는 신라의 대장군 김유신(金庾信)을 주신(主神)으로 모시는 제사의식이었다. 중국 성황제(城隍祭)의 영향을 받아 강릉단오제는 점점 읍치 성황제의 모습을 보이게 되었고, 조선 후기에 이르러 강릉의 승려 “범일국사(梵日國師)”가 성황신으로 모셔지고 강릉단오제의 주신이 되었다. 이때부터 대장군 김유신은 강릉의 산신(山神)이 되었다. 강릉단오제는 현재까지 전승하는 과정에 여러가지 변화를 겪었으나 기본적인 제의를 통해 복을 기원하고 나쁜 기운을 쫓아내는 벽사진경(僻邪進慶)의 정체성을 잃어버리지 않았다. 현재까지 강릉단오제에서는 유교식 제의와 무속식 제의가 모두 잘 보존되어 있다. 또한 강릉단오제는 전통축제이면서 전형적인 지역축제이다. 공동체의 문화유산이라서 지역사람들이 매우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강릉단오제가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면서 지역의 문화유산일 뿐만 아니라 한국의 대표하는 축제로서 알려져,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인들의 참여도 늘어나고 있다. 바로 이러한 적극적인 참여가 있기 때문에 강릉단오제가 오랫동안 지속되고 오히려 더욱 흥성하게 국제적인 축제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고 생각한다. 강릉단오제가 전통의 모습을 잃지 않고 온전하게 그 생명력을 이어올 수 있는 또 하나의 요인은 바로 단오제 행사 중의 “난장”이다. 난장은 축제의 볼거리, 먹거리, 놀거리를 모두 제공하여 인근 지역뿐만 아니라 전국 각 지역의 관람객들을 끌어들인다. 정기적 상설시장보다 오히려 난장과 같은 부정기시장이 단기간 내에 경제적 효과를 더 발휘하는 셈이다. 본고에서는 한국 강릉단오제와 중국 단오절의 기원 및 역사를 간략하게 살펴보면서 강릉단오제가 가진 문화적인 가치가 전통명절의 현대화 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하였다. 한국 강릉단오제의 성공적 케이스 분석을 통해서 중국 단오절 전승에 있어서 얻을 수 있는 제언을 논의해 보았다.

      • KCI등재

        다문화사회에서의 ‘한국 전통음악’의 역할

        최성환(Sung-hwan Choi),이진아(Jin-a Lee)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2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2

        이 연구는 다문화사회에서 개방적인 정체성 확립을 위한 ‘한국 전통음악’의 역할에 대한 고찰이다. 우리는 다문화사회에 직면하여 과거 혈연중심의 단일민족주의와 서구문화에 대한 편향적 태도에서 벗어나 다원주의적 입장에서 세계를 인식하고, 다인종?다문화 세계에 살아갈 청소년 세대들을 위한 새로운 다문화 교육이 요청되고 있다. 음악을 포함한 문화예술 활동은 다양한 문화적 유산과 자원이 서로 평등하게 공존하고 소통할 수 있으며, 다양성이 인정되고 실현될 수 있는 연결고리로 작용할 수 있다. 레비스트로스(Levi-Strauss)는 “다양성이 없이는 인류가 진정으로 살아갈 수 없다”고 지적하였다. 우리는 다문화사회에서 여러 문화의 다양성을 보존해야 한다. 또한 민족 전통 속의 정체성과 잠재력을 북돋워 특수성을 유지하면서 타문화와 교류하여 새로운 문화를 창조해야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문화예술활동은 다문화 사회에서 타문화의 이해와 공존을 위한 가장 자연스럽고, 쉽게 융화될 수 있는 효과적인 활동이다. 그동안 한국 다문화교육에서는 문화예술활동에 대한 지원이나 구체적 방법론 보다는 다른 활동에 관심을 기울였다. 특히 음악교육부분에서는 우리문화의 정체성 확립을 연관된 한국 전통음악에 대한 내용은 부족하였다. 무조건적 동화를 지향하는 한국 전통음악교육이 아니라 한국의 다문화사회에서 사회의 통합, 소통을 위한 한국 전통음악을 포함한 음악교육과정이 필요하며, 교과서에 충분히 반영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과 다문화사회에서의 한국 전통음악의 역할에 대한 재인식이 요구된다. 또한 우리의 고유한 사회적 배경과 한계를 분명하게 인식하고 ‘한국 전통음악’의 정체성을 확립함과 동시에 시대흐름에 맞는 음악을 추구하는 문화교육’의 가능성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이 글은 먼저 문화예술교육의 위상과 한국의 다문화교육의 한계점을 살펴본 다음, 문화의 본질과 관련된 음악교육의 필요성과 우리의 정체성과 관련된 ‘한국 전통음악’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미래의 전망과 더불어 한국 전통음악의 아시아음악과의 혼융을 통한 다문화사회에서의 음악의 역할과 한국 전통음악의 다문화교육콘텐츠의 방향성을 제시하려한다. 한국 전통음악은 다문화사회에서 다른 문화권의 음악과 함께 이해되고 발전시켜야 그 가치를 인정받게 될 것이다. 따라서 단순히 한국 전통음악을 소개하고 교육하는 것에서 끝나지 않고, 전통음악의 정체성을 지키면서 넓게는 아시아음악과의 혼융을 통해 새로운 문화예술교육의 방향이 모색되어야 한다. 또한 세계화라는 불가피한 변화 속에서 한국 전통음악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한국 전통음악(교육)의 콘텐츠화’ 작업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This study is about the rol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for the establishment of open identity at multi-cultural society. Facing on the multi-cultural society we need to be free from deflective attitude about Western culture and nationalism and recognize the world from the position of multiculturalism. So new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e youth generation who will live in the multi-racial?multi-cultural world is required. Culture, art and music could naturally occupy as the tool of communication between various cultural heritage and resources co-exist without discrimination. Levi-Strauss claimed that human race cannot truly live without diversity. We should preserve diversity of various cultures in multi-cultural society. Also by encouraging potential and identity for their uniqueness within ethnic tradition, we should create a new culture interchanging of various culture.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the meantime did not have enough contents which are required for the establishment of open identity of our culture. Music education course for the communication and unity of society is in need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in multi-culture is also essential. Additionally more detailed methods to reflect enough in the textbook and Korean traditional music’s directivity in multi-cultural society are necessary. This study attempts to look very closely at the status of culture, education of arts and the limitation of Korea’s multi-cultural education, Second, it proposes the necessity of the music education that’s related to essence of a culture and our identity in ‘Korean traditional music’. Lastly, the study suggests the role of music in multi-cultural society through combin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Asian music together with the brightness of future and directiv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Korean traditional music will be worthy when it is understood and developed together with music of other culture in multi-cultural society. Furthermore by accepting education theory of multiculturalism the introduc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education must be considered so that the significance of culture art education where the coadaptation of traditional music of multi-cultural society can be done systematically with keeping the identity of traditional music. Making content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s also very important in Korean music market of the flow of globalization.

      • 세계화 시대 한국춤의 경계

        윤지현(Yoon, JiHyun) 민족미학회 2013 민족미학 Vol.12 No.1

        본 글은 한국전통춤의 전승을 중심으로 세계화 시대 문화상호적 교류가 일어나는 문화경계의 변화를 관찰한다. 한국전통춤의 문화상호적 교류의 접점을 한국문화와 서양문화라는 동서의 지리적 경계에서만이 아니라 변화하는 사회문화적 맥락에 따라 한국문화의 내부에 재설정된 문화경계에서도 관찰한다. 20세기 중반 이후 가속화된 세계화는 문화간 접촉과 교류의 확대 속에 문화혼종이라는 새로운 문화를 양산하고 있다. 문화혼종을 생산하는 문화상호적 교류는 국가와 민족 등 지리적 경계만이 아니라 세대, 계급, 예술위계 등 지역 내부의 다양한 문화범주들 사이에 설정되는 복잡하고 중층적인 문화경계로 확산되고 있다. 한국문화의 내부는 더 이상 동질적이고 결속된 공간이 아닐 뿐 아니라 한국문화가 오랫동안 지켜온 단일민족문화의 신념도 흔들리게 한다. 이에 한국전통춤의 전승과제는 재설정된 문화경계와 이들 사이의 문화상호적 교류과정 가운데 사고하게 된다. 문화혼종이 문화생산의 ‘원칙’으로 관찰되는 세계화 맥락에서 한국전통춤의 전승은 문화정체성의 제고와 한국문화의 우수성 강조가 함의하는 한국문화와 다른 문화의 지역적 대립과 경쟁보다는 우리 문화 내부에 설정된 문화경계에 대한 이해와 세계문화의 보편성 확보 노력을 통해 가능해진다. 곧 지리적 경계내부의 세대간 문화경계에서 일어나는 문화상호적 교류에 적극적으로 개입함으로써 한국전통춤의 현재화를 도모하고 세계인과의 공감을 확대함으로써 보다 잘 전승될 수 있다. 한국전통춤은 후속세대를 포함한 세계인과 공유하는 동시대성을 획득하는 문화상호적 교류와 문화혼종의 생산 속에 전승될 수 있다. 이에 본 글은 첫째 한국전통춤의 후속세대 전승을 위해 한국전통춤계의 형성과 확대를, 둘째 세계인과의 교감을 위해 동시대성 확보의 노력 등 세대와 지리적 경계를 넘어선 문화상호적 교류를 제안한다. 또한 새로이 설정된 문화간 경계에서 일어나는 문화상호적 접촉과 교류의 활용을 요구한다. 세계화 시대 한국전통춤은 고정된 민족문화의 보존이 아니라 문화혼종화과정의 개입과 새로운 전통의 모색 가운데 가능하기 때문이다. This paper aims to inquiry the change of intercultural boundaries by accelerating processes of cultural globalization. Focusing on the transmission of Korean traditional dances, it demands active participations in the processes of intercultural exchanges and producing cultural hybridity. It is the very strategies to transmit Korean traditional dances alive in the contemporary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Globalization from the view of the nationalist aesthetics, had been dealt as an important but negative cause to Korean culture because the commercialized western mass cultures which globalization brought, have weakened Korean cultural identity in Korean traditional dances. In this view, the boundary seemed to be set up only between the west and Korean culture. However, in the contemporary context of cultural globalization since the late 1990s, the cultural boundaries have been set up not only between the west and Korean culture but also inside Korean culture itself. Now inside of Korean culture is not homeogenous. The complex and layered cultural boundaries between ages, generations, sexes, provinces, schools, the hierarchies of arts and so on can be traced and the intercultural phenomena also observed.

      • 세계화 시대 한국춤의 경계 ―한국전통춤의 전승에 대한 문화상호적 접근

        윤지현 민족미학회 2013 민족미학 Vol.12 No.1

        본 글은 한국전통춤의 전승을 중심으로 세계화 시대 문화상호적 교류가 일어나는 문화경계의 변화를 관찰한다. 한국전통춤의 문화상호적 교류의 접점을 한국문화와 서양문화라는 동서의 지리적 경계에서만이 아니라 변화하는 사회문화적 맥락에 따라 한국문화의 내부에 재설정된 문화경계에서도 관찰한다. 20세기 중반 이후 가속화된 세계화는 문화간 접촉과 교류의 확대 속에 문화혼종이라는 새로운 문화를 양산하고 있다. 문화혼종을 생산하는 문화상호적 교류는 국가와 민족 등 지리적 경계만이 아니라 세대, 계급, 예술위계 등 지역 내부의 다양한 문화범주들 사이에 설정되는 복잡하고 중층적인 문화경계로 확산되고 있다. 한국문화의 내부는 더 이상 동질적이고 결속된 공간이 아닐 뿐 아니라 한국문화가 오랫동안 지켜온 단일민족문화의 신념도 흔들리게 한다. 이에 한국전통춤의 전승과제는 재설정된 문화경계와 이들 사이의 문화상호적 교류과정 가운데 사고하게 된다. 문화혼종이 문화생산의 ‘원칙’으로 관찰되는 세계화 맥락에서 한국전통춤의 전승은 문화정체성의 제고와 한국문화의 우수성 강조가 함의하는 한국문화와 다른 문화의 지역적 대립과 경쟁보다는 우리 문화 내부에 설정된 문화경계에 대한 이해와 세계문화의 보편성 확보 노력을 통해 가능해진다. 곧 지리적 경계 내부의 세대간 문화경계에서 일어나는 문화상호적 교류에 적극적으로 개입함으로써 한국전통춤의 현재화를 도모하고 세계인과의 공감을 확대함으로써 보다 잘 전승될 수 있다. 한국전통춤은 후속세대를 포함한 세계인과 공유하는 동시대성을 획득하는 문화상호적 교류와 문화혼종의 생산 속에 전승될 수 있다. 이에 본 글은 첫째 한국전통춤의 후속세대 전승을 위해 한국전통춤계의 형성과 확대를, 둘째 세계인과의 교감을 위해 동시대성 확보의 노력 등 세대와 지리적 경계를 넘어선 문화상호적 교류를 제안한다. 또한 새로이 설정된 문화간 경계에서 일어나는 문화상호적 접촉과 교류의 활용을 요구한다. 세계화 시대 한국전통춤은 고정된 민족문화의 보존이 아니라 문화혼종화과정의 개입과 새로운 전통의 모색 가운데 가능하기 때문이다.

      • KCI등재후보

        전통놀이를 활용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한국문화교육 방안 연구- 윷놀이의 교육적 활용 방법을 중심으로

        장영희(Jang Young Hee) 한국문화융합학회 2016 문화와 융합 Vol.38 No.5

        이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국 전통문화 특히 전통놀이를 통해 한국어는 물론 한국의 문화에 관련된 지식을 통합적으로 습득하게 하여 이들이 우리 사회에 잘 적응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전통문화는 오랜 역사적 경험 속에서 체계화된 행동양식과 고유의 상징이라는 점에서 한 나라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중요한 잣대이기도 하다. 전통문화를 배우고 체험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언어 표현을 통해 언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 속에 나타나는 문화적 지식을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게 된다. 그런 의미에서 전통문화의 활용은 한국어는 물론 문화교육을 통합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이다. 2014년 다문화가정 학생이 전체 초ㆍ중ㆍ고 학생의 1%를 넘어섰다. 이처럼 다문화가정 학생 수가 지속적으로 높아지는 가운데 이들이 일반 학생들과소통하고 안정적으로 학교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언어의 극복과 함께 문화적 차이를 줄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의 청소년들이 우리의 정서와 문화를 이해하고 사회의 건강한 구성원으로 잘 적응할 수 있는 문화교육 방안으로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찾을 수 없는 고유성이 강한 우리나라 대표적인 전통놀이인 윷놀이를 교육적으로 활용하였다. 즉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이 한국의 전통놀이가운데 윷놀이를 같이 공부하는 친구들과 해봄으로써 친구 관계를 돈독하게하고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를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게 함이다. This study aims to see it in the integrative learning in the knowledge of the Korean language as well as culture of Korea through the Korea traditional culture, especially traditional game targeting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young people looking for ways that can they adapt to our society well. The Korea traditional culture is important criterion to confirm a country’s identity in symbol of particular about the systemed behavior patterns and their own in long historic experiences. The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can improve the language ability through the various language expression in the experience Korea traditional culture process and they can learn the cultural knowledge naturally. In a sense, Utilization of Korea traditional culture is effective method that can teach Korean and Korean language cultural education syntagmatically. The stud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were over 1% of the whol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2014. With continuously increasing number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t is very important for the stud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to reduce the cultural difference with language overcome to interact with general students and to adopt school life stably. This study utilized the play of yut (yunnori) educationally, the unique and typical Korean game can not be found in any country in the world, to help the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understand Korean emotion and culture effectively and can adapt well to the healthy members of the society. It provides friendships with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also able to efficiently learn the cultural understanding of Korea. I hope this study helps the current situation in Korea that shows high growing rate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 KCI등재

        한류 콘텐츠로서의 한국 전통춤 활용에 관한 담론

        문희철,김운미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14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10 No.1

        본 연구는 한국 전통춤이 한류의 새로운 전통문화 콘텐츠로서 활용되어 한류의 확산과 지속을 돕는 방안의 관 점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동안 한국 전통춤 콘텐츠가 노출되었던 드라마와 K-POP의 퍼포먼스를 사례로좀 더 구체적이고 확장된 문 화 융합을 통한 대중문화와 한국 전통문화의 연계와 협업이 필요하다. 비교적 자주 노출되는 TV 사극 드라마에 나오는 한국 전통춤의 분량의 증가를 위하여 각 시대별 전통춤 연행 연대표를 개발 하여 사극 제작자가 쉽게 드라마에 전통춤을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고 K-POP 가수의 노래나 퍼포먼스에서도 한국의전통문화와 춤을 창의적으로 접목하여 한국 전통문화예술과 한국 전통춤의 이 미지 노출을 통하여 세계인들이 한국 전통춤을 인식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고 한류를 이룬한국 대중문화와 한국전통문화의 협업을 통한 연구와 콘텐츠의 개발이 더욱 활성화되어 이루어 진다면 한국 전통춤은 현 시대 가 요구하는 한류전통문화 콘텐츠로서 한류의 지속과 발전에 기여할 수 콘텐츠로 활용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help the Korean Wave to extend and continue by usingKorean traditional dance as new content in traditional culture of the Korean Wave. Basedon Korean traditional dance contents exposed to television dramas and performances ofK-pop, popular culture should be connected and collaborated with Korean traditional culturethrough more specific and extended cultural convergence. Korean traditional dance will beused as content to contribute to maintaining and developing the Korean Wave as Koreantraditional culture contents meeting the needs of the times if establishing a basis thathistorical drama makers easily apply Korean traditional dance to historical dramas bydeveloping a chronology of Korean traditional dance in each period in order to increase theappearance of Korean traditional dance on historical dramas, to create a basis that people inthe world can recognize Korean traditional dance through the image exposure of Koreantraditional cultural art and dance by creatively combining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dance with songs or performances of K-pop artists, and to activate the development ofcontents and studies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Korean popular culture and Koreantraditional culture that have achieved the Korean Wave.

      • KCI등재

        청소년의 한국전통문화인식, 한국무용이미지, 문화유산보존 그리고 한국무용체험의도의 관계

        서희정,박세혁,이윤정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10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한국전통문화인식, 한국무용이미지, 문화유산보존 그리고 한국무용체험의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편의표본추출법을 통해 서울과 경기도의 중·고등학생 482명에게 자기평가기입법으로 설 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중 459부의 설문지를 SPSS 25.0과 AMOS 25.0로 자료처리를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 다. 첫째, 한국전통문화인식 중 한국전통문화관심만 한국무용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한국전 통문화교육과 한국전통문화활용능력은 한국무용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무용 이미지는 한국문화유산보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타나났다. 셋째, 한국무용이미지는 한국무용체험의도에 유 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타나났다. 마지막으로, 문화유산보존은 한국무용체험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Korean traditional culture awareness, Korean dance image,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and the intention for Korean teens to experience Korean dance. The respondents were 459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in Seoul and the Gyeonggi Provinc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off, it was discovered that only interest in Korean traditional cultur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mage of Korean dance. Also that Korean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and utilization create the overall impact on the image of Korean dance. Secondly, the image of Korean danc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reservation of Korean cultural heritage. Next, the image of Korean danc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ntention of teens to experience Korean dance. Finally,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was not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teens intention to experience Korean dance.

      • KCI등재후보

        소련 해체 이후, 한국 전통춤을 통한 러시아 한인들의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 변화 연구-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소재한국청소년문화교육센터 <난(蘭)>의 사례를 중심으로-

        양민아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4 한국문화연구 Vol.27 No.-

        This article investigates Korean’s migration processes to Russia from the mid-19th Century, their culture and characteristics in St. Petersburg, Russia. And then, examines the change of Korean-Russian’s attitude to the South-Korean culture with the acceptance of South -Korean culture and South-Korean traditional dance, which was started from the Post-Soviet times. Furthermore, when they contact and accept South-Korean culture, they can reproduce new korean culture. In this process, the glocalizaton of South-Korean traditional dance has occurred. This phenomenon can regard as one of the global model of South-Korean traditional dance.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mind the importance of Korean traditional dance and to vitalize studies on Korean dance activities in the Korean diaspora’s culture. Objects of this study are members of Korean Youth Cultural-Educational Center <NAN> in St.Petersburg, Russia, who learn South-Korean culture(Korean, Korean traditional dance, Samulnori etc.). Including 9 adult dancers, who learn and perform South-Korean traditional dance from 1 year to 10 years at the dance company <SOUN>, which was founded in 2003. The methodologies used in this study are a literature research, 2 questionnaire polls(2008, 2011) and 2 semi-structured interviews(2008, 2011). 본 논문에서는 소련 해체를 기점으로 시작 된 러시아 한인들의 한국문화 및 한국 전통춤의 수용과정과 향유방식을 통한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 변화를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소재한 한국청소년문화교육센터 <난(蘭)>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19세기 중반부터 시작된 한인들의 러시아로의 이주과정과 그들의 문화 그리고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의 한인들의 특징을 통해 한국문화 수용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들의 한국문화 향유방식을 센터 <난>에서 한국문화(한국어, 전통무용, 사물놀이 등)를 배우고 있는 회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2회(2008, 2011)를 통해 알아볼 것이다. 그리고 2003년에 창단된 한국전통무용단 소운에서 활동하는 러시아 한인 및 러시아인들과의 반 구조화된 면담 2회(2008, 2011)를 통해 한국 전통춤이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서 러시아 한인들의 한국 전통춤을 통한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 변화 뿐만 아니라, 이를 그들만의 문화로 재생산 하는 과정 속에서 한국 전통춤 활동의 현지화과정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앞으로 한국 전통춤의 세계화‧현지화 모델의 한 예로 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를 통해서 한국 전통춤의 중요성을 되집어 보고, 한국문화 연구에 있어서 재외한인들의 전통춤 활동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 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학습 유형별 書堂의 敎育方法을 활용한 韓國傳統文化 수업

        함정현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0 동방학 Vol.19 No.-

        우리나라는 반만년의 유구(悠久)한 역사와 자랑스러운 민족문화를 간직하고 고유(固有)한 전통문화를 키워 온 문화 선진국이며 또한 교육에서도 삼국시대부터 지금까지 뿌리 깊은 역사를 가지고 우리 고유의 학문적 전 통을 전수하고 있다. 최근 급증하는 외국인 인구에 따라 한국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여 각 지자체의 복지 시 설 및 대학등의 교육기관에서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대세 속에 한국어 교육에 있어 언어의 기능적 역할은 물론 민족의 얼을 담고 있는 전통문화를 언어와 함께 교육 할 수 있는 방안 을 모색해야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학습자의 학습유형을 고려하여 전통적인 서당식 교육방법을 활용한 한국문화수업을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 적용해 보며 그 활용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서당의 교육방법 및 학습유형에 대해 알아보고 학습유형에 따른 서당의 교육방법의 적용가능 성을 탐색해보았다. 3장에서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 있어 문화교육 현황 및 교과과정을 검토하였다. 4 장에서는 2장과 3장의 논의를 토대로 학습 유형별 서당의 교육방법을 활용하여 외국인을 위한 한국전통문화 수업을 외국인 유학생의 학습유형에 따라 활동을 달리하여 적용해보았다. 본 실험을 통하여 교재 교육만을 활 용하여 한국어를 학습한 비교집단보다 학습유형에 따라 서당의 교육방법을 활용하여 다양한 활동을 통해 한 국전통문화를 학습한 실험집단이 한국어의 기능 중 듣기와 읽기능력부분 향상에 있어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 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5장에서는 4장의 실험결과를 토대로 학습자의 학습유형에 따른 서당식 교육방법을 활 용한 외국인을 위한 한국전통문화 교육이 적극적으로 보급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주장하며 다문화 속 한국전 통문화 발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The goal of learning the foreign language is communicative competence of a situational practicable language, but still Korean teaching has practiced follows the Korean textbooks which are centered around grammar or struc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work out a plan for a Korean culture lesson through Seodang's educational method based on students' learning style to help an understanding of language background. However, the opportunity for students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to exposed to Koreans and the Korean culture are very limited. In chapter 2, I classified the Seodang's educational method and learning style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dapting it for a Korean culture lesson. In chapter 3, I explored the Korean cultur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In chapter 4, I experimented with Korean culture lessons through Seodang's educational method based on students' learning style. Based on the results, reached the conclusion that Korean culture lessons through Seodang's educational method based on students' learning style is a very effective way to improve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Korean listening and reading skills. In chapter 5, this paper intends to suggest the directions for the teaching of Korean which need to be conducted through teaching Korean culture lessons using Seodang's educational methods based on students' learning style.

      • KCI등재

        외국인이 보는 한국 구비문학

        나수호 한국구비문학회 2008 口碑文學硏究 Vol.0 No.27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에 살고 있는 외국인이 어떻게 한국 구비문학을 보는가하는 질문에서 시작하여 그 질문의 저류에 있는 보다 깊은 문제를 파악하고 그에 대한 답을 제시하는 데에 첫걸음을 내딛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 거주 외국인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응답자 중에 두 명을 선택하여 직접 인터뷰를 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설문조사 1부는 응답자에 대한 통계학적 정보를 얻기 위한 것으로 국적, 인종, 한국 거주 기간, 직업, 연령, 성별, 한국어 능력 등의 정보를 수집했다. 2부는 한국 전통·현대 문화와 구비문학에 대한 질문이었다. 한국 전통 문화는 유교문화로 특징되고 현대 문화는 기술로 특징된다는 답이 우세했다. 전통 구비문학 장르의 인지도는 설화, 속담, 판소리, 민요, 탈춤, 무가, 인형극 순으로 나타났으며 문화축제나 예술극장에서 접했다는 답이 많았다. 한국 현대 구비문학에 대한 의견은 대략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전통 장르 중에 설화나 판소리와 같이 아직도 살아 있는 구비문학을 지적한 것, 대중음악이나 드라마와 같은 현대적인 장르를 지적한 것, 그리고 전통과 현대의 만남이라고 지적한 것이 그것이다. 인터뷰 내용은 대략 두 가지 문제를 다루었다. 첫째는 어떻게 하면 외국인이 한국 구비문학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을까하는 것이며 둘째는 한국이 진정한 다문화주의 사회로 가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하는 것이었다. 첫째 질문에 관하여 기본적으로 인터뷰 대상자 모두 비슷한 의견을 제시했다. 즉, 한국 구비문학을 알리는 것이 일방통행 길이 되면 안 된다는 것이다. 외국인의 입장을 고려해야 하고 어떻게 하면 외국인의 입맛에 맞게 할 수 있을까하는 문제를 다루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둘째 질문에 대하여서도 비슷한 맥락에서 한국을 외국인에게 알리는 것보다 한국에 살고 있는 외국인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타자가 한국 문화나 문학을 재해석하는 것이 인정되어야 한다고 했다. 외국인이 한국 구비문학을 어떻게 보고 있느냐는 질문은 결국엔 타자와의 만남을 다루는 문제이다. 일방적으로 외국인에게 한국 문화나 구비문학을 알리겠다는 생각을 하기 보다는 타자와의 만남 속에서 그 문화와 구비문학을 공유하는 단계를 목표로 삼아서 서로 간의 이해와 교류가 있는 세상을 이루어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This paper begins with the question of how foreigners in Korea view Korean oral literature and goes on to deal with the issues underlying that question, ultimately aiming to take the first step in providing an answer.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that targeted foreigners residing in Korea; in addition, two of the respondents were interview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first part of the survey dealt with demographic information, with questions on nationality, ethnicity, length of stay in Korea, occupation, age, and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he second part dealt with views and opinions on traditional and modern culture and oral literature. Most respondents chose Confucian culture as the defining characteristic of traditional Korean culture, while technology was seen as the defining characteristic of modern Korean culture. Recognition of traditional genres of Korean oral literature was as follows, from highest level of recognition to lowest: tales and stories, proverbs and sayings, pansori, folk songs, mask dances, shaman songs, and puppet plays. Opinions on modern Korean oral literature can be placed into one of three general categories: those that focused on a traditional genre that survives to the present, such as tales and pansori, those that focused on a modern representation, such as pop music or television dramas, and those that saw modern oral literature as a meeting of past and present. The interviews dealt mainly with two questions: how can we make Korean oral literature more accessible to foreigners, and what does Korean need to do to become a truly multicultural society? With regards to the first question, the interviewees had similar views, namely that bringing Korean oral literature to foreigners cannot be a one-way road. They also mentioned that the views of foreigners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and thought given to the issue of how to make oral literature more palatable to foreigners. Replying to the second question, they stressed the need to come to a greater understanding of foreigners living in Korea rather than efforts to simply advertise Korea to foreigners. They also noted that Koreans needed to accept the possibility of a reinterpretation by the Other of Korean culture and literature. The question of how foreigners view Korean oral literature ultimately deals with a meeting with the Other. Rather than engaging in a one-way education of foreigners on Korean culture or oral literature, it would be better to aim for a place where culture and oral literature are shared within a meeting with the Other, and to work to create a world of mutual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