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인일본어학습자의 일본문화 관심도에 관한 일고찰 -일본어교재를 개발하기 위한 시점을 중심으로-

        윤호숙 ( Youn Ho-sook ),윤정훈 ( Yoon Jeong-hun ),최진희 ( Choi Jin-hui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6 日語日文學硏究 Vol.99 No.1

        국제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일본어 학습의 문화 이해와 문화 학습의 중요성에 의해 한국인일본어학습자가 구체적으로 어느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연구에서는 일본어교육의 관심도에 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고 특히 문화에 관한 관심도 연구는 대부분이 제2언어에 있어서의 동기부여의 요인 가운데 하나로 다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한국인일본어학습자를 대상으로 일본문화에 대한 관심도에 관해 상세하게 고찰하였다. 그 결과 한국인일본어학습자가 높은 관심을 나타내고 있는 일본문화는 `일본의 미디어` `일본의 일상생활(특히 식문화)` `일본 여행`이고 낮은 관심도를 나타내고 있는 일본문화는 `일본의 개요` `일본의 대중문화`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일본어교육 시 필요한 학습항목에 관해 알 수 있었으며 한국인일본어학습자가 높은 관심도를 나타내고 있는 `일본의 미디어` `일본의 일상생활` `일본 여행`이 앞으로 일본어 수업과 교재개발 시 가장 우선시되어야 할 학습내용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관심도가 낮은 항목이라고 해도 교육적인 관점에서 필수적으로 학습해야 할 내용은 존재한다. 즉, 학습자가 관심이 높다고 해서 `일본의 미디어` `일본의 일상생활` `일본 여행`에만 너무 국한되면 교육의 기본 가치가 문제시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일본어와 일본 문화를 학습할 때 전제가 되는 `일본의 개요` 등은 교재개발과 수업에 반드시 고려해야 하며 `유학` 등 장기체류를 희망하는 학생들에게는 `일본의 생활 정보`에 관한 학습내용도 필요하다. 본고의 의의는 선행연구에 비해 구체적인 조사항목을 추출하여 세부적으로 한국인일본어학습자의 관심도를 조사할 수 있었으며 일본어교육과 교재개발에 고려할 점을 시사하였고 학습내용의 방향성을 규명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규명된 한국인일본어학습자의 일본문화에 관한 관심도를 더욱 검토하여 금후 일본어 교육과 교재개발에 적극 활용하려고 한다. Due to the importance of the cultural understanding on learning Japanese and learning culture of the target language in international relations, an investigation on the interest of Korean learners of Japanese is required. However, there were not much research conducted on this area which concerned in Japanese language education in previous studies. Especially, cultural impact has been merely dealt with as a motivational factor in the second language acquisition.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review as detailed the degree of the interest in Japanese culture of Korean learners of Japanese as possible. In the result of that, Korean learners of Japanese are highly interested in Japanese culture such as “Japanese Media”, “Japanese daily life style (Specially about food)” and “Travel to Japan” whereas “Overview of Japan” and “Japanese public Culture” are less popular. Thus, this issue of learning items is needed for the Korean learners of Japanese in future and the items like “Japanese Media”, “Japanese daily life style” and “Travel to Japan” are considered to put in priority when people make lesson plans and its textbooks. However, the parts which the learners felt less interested in is also needed to be considered carefully since there are some learnable contents in it. In other words, it would cause some problems when instructors only focus on this area which learners prefer to learn. Therefore, the part like “Overview of Japan”, a prerequisite to learn Japanese language and its culture, must b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lesson planning and textbook development.Also“General information about living in Japan”is recommended to learners who want to stay in Japan for a longer perio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identifying the direction and we can examine the specific survey items which detailed in Korean Japanese learner`s interest. To further examine the interest of the Japanese culture, Korean Japanese learners will identify through this study. They can take advantage of the future development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and textbooks.Media`, `Japan`s daily life`, `Travel to Japan`. Therefore, the part like `Overview of Japan`, a prerequisite to learning the Japanese language and its culture, must b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lesson plan and textbook development. Also, `General information about living in Japan` is recommended to the learners who want stay in Japan for a longer period of tim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identifying the direction and we were able to examine the extract specific survey items detailed in interest in Korean Japanese learners in comparison to the previous study was uninteresting points to consider in the Japanese education and textbook development considering the high learning content future needs was is that. To further examine the interest of the Japanese culture, Korean Japanese learners identified through this study will try to take advantage in the future development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and textbooks.

      • KCI등재

        複合動詞の翻譯の類型についての分析と評價*

        趙南星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06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11

        In this thesis, an investigation was conducted on the compound verb translation patterns and evaluation by JKL (beginner) on these patterns [KJL, JKL (advanced)] of Korean Japanese Leaners (KJL) and Japanese Korean Leaners (JKL).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Advanced Korean Language Ability Group JKL (advanced), Beginner Group JKL (beginner)] (1) In KJL,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in compound verb translations is nearly identical regardless of Japanese study level. However, the distribution of correct answers ranged from 6.5 to 89.8% depending on the type of compound verbs which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patterns. (2) When translation patterns of compound verbs by KJL and JKL are compared, mother tongue interference is observed in all compound verb translations by JKL. And also in JKL (advanced), numerous patterns that seem to be Korean interference are observed. (3) In JKL, variations in translation patterns are observed depending on Korean study level. In other words, in JKL (advanced) there are many patterns that are influenced by Korean interference, but in JKL (beginner) patterns that appear to have derived from the natural sound of the sentence can be found without the influence of Korean interference. (4) Translation pattern evaluation of JKL (beginner) conducted by KJL and JKL (advanced) strictly evaluate confusion of intransitive and transitive verbs that result in wrong patterns of 『V1+V2』 to 『V2+V1』. And nearly similar evaluation is made on 『V1 +V2』 and 『adv +V1』 patterns.

      • KCI등재

        한국인일본어학습자의 일본어 파찰음의 음향음성학적 특징 분석

        최영숙(Choi,Young-Sook) 동아인문학회 2015 동아인문학 Vol.32 No.-

        한국인일본어학습자가 일본어 파찰음을 발음할 때 한국어의 간섭을 받아 어두에 오는 유성 치경파찰음을 무성음으로 구개음화하여 잘못발음하는 경향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어 음성교육 현장에서 파찰음 발음지도에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일본어학습자가 발음한 일본어 파찰음을 무게중심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일본어화자가 발음한 일본어 치경파찰음과 치경경구개파찰음의 무게중심 비율이 1:0.69로 나타났다. 일본어 파찰음의 무게중심 값은 ざ[ʣa]→つ[ʦɯ]→ず[ʣɯ] 순으로 나타나 ざ[ʣa]가 つ[ʦɯ]보다 앞에서 조음의 좁힘이 발생하고 있고, 그 다음으로 ‘ち[ʨi]・じ[ʥi]→じゃ[ʥa]・ちゃ[ʨa]순으로 나타났다. 일본어학습자가 발음한 유성 파찰음의 무게중심 값은 ‘ざ→じ→ず→じゃ’순으로 나타나고, 무성 파찰음에서는 ‘つ→ち→ちゃ’순으로 나타났다. 조음위치가 같은 치경음 ‘ざ’와 ‘つ’에서는 ‘つ’가 ‘ざ’보다 더 앞에서 발음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일본어학습자의 치경음과 치경경구개음의 무게중심 비율이 1:0.82로 나타나, 일본어 치경파찰음 ‘ざ[dza]’와 치경경구개 파찰음 ‘じゃ[ʥa]’를 구별할 때 조음의 좁힘이 발생하는 위치가 일본인만큼 상대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 한국인일본어학습자는 치경파찰음을 발음할 때 구강 내 협착 지점을 더욱 앞으로 하여 발음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Japanese affricates oppose phonologically depending on vibration of vocal cords and, they are divided into voiced affricates [ʣ, ʥ] and voiceless affricates [ʦ, ʨ]. When trying to pronounce the Japanese affricates, Korean Japanese-language learners are interfered by Korean language and in terms of [dz] as in ‘ざ[dza], ず[dzɯ], ぜ[dze] and ぞ[dzo]’, the pronunciations of the voiced alveolar affricate which would come at the beginning of a word, the Korean Japanese-language learners often replace the pronunciations with these wrong sounds, it is difficult for Japanese-language learners to personally perceive where their tongues should be placed to correctly pronounce the affricates. This study analyzed Korean Japanese-language learners’ Japanese affricates concentrating on the center of gravity in order to offer references that would be favorably used for affricates pronunciation instruction in the field of Japanese pronunciation education. According to the findings, the rate of the center of gravity of Japanese alveolar affricate to the alveolo-palatal affricate that Japanese speakers have pronounced turned out to be 1:0.69. Values of the center of gravity of Japanese affricates were observed in order of ‘ざ[ʣa] →つ[ʦɯ] →ず[ʣɯ]’ and based on the fact, the study learned that for ‘ざ[ʣa]’, the location of its articulation point narrowing comes before where narrowing of the articulation point of つ[ʦɯ] occurs and, the order was continued in ‘ち[ʨi]・じ[ʥi] →じゃ[ʥa]・ちゃ[ʨa]’. Add t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Korean Japanese learners’ voiced affricates was presented in order of ‘ざ[ʣa] →じ[ʥi] →ず[ʣɯ] →じゃ[ʥa]’ and regarding the voiceless affricates, the order came in ‘つ[ʦɯ] →ち[ʨi] →ちゃ[ʨa]’. Moreover, when it comes to the same alveolar consonants, ‘ざ[ʣa]’ and ‘つ[ʦɯ]’, the study figured out that ‘つ[ʦɯ]’ is pronounced before ‘ざ[ʣa]’. The study also noticed that the rate of the center of gravity of Korean Japanese-language learners’ alveolar consonants to alveolo-palatal consonants is 1:0.82 and as a consequence, the study confirmed that when trying to distinguish the Japanese alveolar affricate, ‘ざ[dza]’, from the alveolo-palatal affricate, じゃ[ʥa]’, Korean Japanese-language learners would less mind the differences in locations of the articulation point-narrowing compared to how much local Japanese people do. In other words, the study suggests that Korean learners should move the narrowing point in the mouth forward when trying to pronounce the alveolar affricates.

      • KCI등재

        丁寧体の談話における「のだ」の使用実態

        宮內桂子(미야우치 게이코) 한국일본어학회 2015 日本語學硏究 Vol.0 No.46

        본 연구는 정중체 담화에 있어서의 일본어모어화자의 ‘のだ’의 사용을 밝히고 비교를 통해서 한국인일본어학습자의 습득 상황과 그 문제점을 고찰한 것이다. 그 결과 일본어모어화자의 1분당 사용수는 ‘설명’(0.9회) > ‘해석’ ‘서두표현’ ‘중도종료형’ ‘인식강요’(0.3회) > ‘역접’(0.2회) 순으로 높았다. 일본어모어화자와 같은 수준의 사용이 있는 것을 ‘습득’으로한다면 상급에서 ‘서두표현’ ‘역접’, 최상급에서 ‘설명’을 습득한다고 판단된다. 또한 일본어모어화자와 한국인일본어학습자의 발화에는 용법을 대표하는 형체가 존재했지만 양자에는 상이가 보였다. 일본어모어화자는 ‘공화(共話)’를 도우는 ‘の(ん)です+ね’를 사용하거나 다시 묻기,‘んだ’ 나 하강조 ‘の(ん)です+か’를 사용한 맞장구로 담화를 활발하게 시키는 등 일본어로 원활히 의사소통을 달성하기 위해서 중요한 역할을 지는 발화가 많이 관찰되었다. 반면, 한국인일본어학습자는 ‘の(ん)です+ね’를 과도하게 사용해서 발화권을 계속 유지하는 자기본위의 발화가 되어 있었거나 ‘の(ん)です+け(れ)ど(も)’를 과잉사용해서 발화의도가 불명확해지는 등 원활한 의사소통에 지장을 주는 발화가 많이 보였다. 이와 같이 수량적으로는 한국인일본어학습자가 ‘のだ’를 습득했다고 말할 수 있지만 실제 사용법을 보면 일본어모어화자의 사용법과 거리가 있어서 그 사용에는 많은 문제가 있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learning status of Korean learners of the Japanese language in the use of ‘noda’ in polite conversation by comparing the use of the phrase with Japanese native speakers, thereby revealing problems the learners have. As a result, Japanese native speakers used ‘noda’ most frequently for ‘explanation’ (0.9 times in 1 minute) followed by ‘accounting’, ‘introduction’, ‘incomplete utterance’, ‘awareness imposition’ (0.3 times in 1 minute) and ‘adversative expression’ (0.2 times in 1 minute). If ‘successful acquisition’ of ‘noda’ can be assumed as using it as frequently as Japanese native speakers do, it is considered that ‘introduction’ and ‘adversative expression’ are acquired at advanced level while ‘explanation’ is acquired at post-advanced level. In addition, both Japanese native speakers and Koreans learning Japanese have their own forms of conversation. For instance, Japanese native speakers used phrases such as ‘no(N)desu+ne’, ‘Nda’ or ‘no(N)desu+Ka’ to support mutual conversation or repeat the question, and as a result make the conversation more active. Meanwhile, Koreans who are learning Japanese used ‘no(N)desu+ne’ or ‘no(N)desu+Ke(re)do(mo)’ too much, disturbing the smoothness of the conversation by creating self-oriented conversation or making the intentions of conversation unclear. In sum, Koreans learning Japanese may be seen to have acquired the word ‘noda’ from the quantitative point of view but they use it in a very different way from Japanese native speakers in reality. This result indicates that ‘noda’ needs to be treated not only as a grammatical item but also as a ‘conversational’ item.

      • KCI등재

        한국인일본어학습자의 오용을 통해 본 한국어의 <면서>와 일본어의 <ているうちに>

        이정옥 한국일본근대학회 2022 일본근대학연구 Vol.- No.76

        한국인일본어학습자가 「ているうちに」가 정용인 예문을 「ながら」로 오용하는 예문을 출발점으로 하여, 코퍼스의 「ているうちに」예문이 한국어의 <면서>에 대응하는지를 조사하였다. 한국어의 <면서>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는 첫째, 종속절과 주절의 주어가 다른 경우이다. 둘째, 주어는 동일하나 주절의 동사가 「ゆきあたる、出る、ふみこむ、泳ぐ 等」과 같은 이동동사와 함께 쓰인 경우에도 대응하지 않는다. 즉, 일본어의 「ているうちに」가 한국어의 <면서>에 대응하는 경우는 종속절과 주절의 주어가 동일하며, 주절에는 무의지 동사가 오며, 동사의 종류로는 「分かる、知る、感じる、気がつく 等」와 같은 인식동사, 「なる、減る、忘れる 等」와 같은 상태변화동사, 「思い出す、 浮かぶ 、思える 思い浮かべる 等」와 같은 자발 동사 등과 함께 쓰여 사태의 변화와 발견을 나타내는 경우였다. 이런 경우, 한국인일본어학습자의 경우, 「ているうちに」대신에 「ながら」로 오용할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한국인일본어학습자의 일본어 파찰음의 음향음성학적 특징 분석-무게중심을 중심으로-

        최영숙 동아인문학회 2015 동아인문학 Vol.32 No.-

        한국인일본어학습자가 일본어 파찰음을 발음할 때 한국어의 간섭을 받아 어두에 오는 유성 치경파찰음을 무성음으로 구개음화하여 잘못 발음하는 경향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어 음성교육 현장에서 파찰음 발음지도에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일본어학습자가 발음한 일본어 파찰음을 무게중심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일본어화자가 발음한 일본어 치경파찰음과 치경경구개파찰음의 무게중심 비율이 1 : 0.69로 나타났다. 일본어 파찰음의 무게중심 값은 ざ[ʣa]→つ[ʦɯ]→ず[ʣɯ] 순으로 나타나 ざ[ʣa]가 つ[ʦɯ]보다 앞에서 조음의 좁힘이 발생하고 있고, 그 다음으로 ‘ち[ʨi]・じ[ʥi]→じゃ[ʥa]・ちゃ[ʨa] 순으로 나타났다. 일본어학습자가 발음한 유성 파찰음의 무게중심 값은 ‘ざ→じ→ず→じゃ’순으로 나타나고, 무성 파찰음에서는 ‘つ→ち→ちゃ’순으로 나타났다. 조음위치가 같은 치경음 ‘ざ’와 ‘つ’에서는 ‘つ’가 ‘ざ’보다 더 앞에서 발음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일본어학습자의 치경음과 치경경구개음의 무게중심 비율이 1 : 0.82로 나타나, 일본어 치경파찰음 ‘ざ[dza]’와 치경경구개 파찰음 ‘じゃ[ʥa]’를 구별할 때 조음의 좁힘이 발생하는 위치가 일본인만큼 상대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 한국인일본어학습자는 치경파찰음을 발음할 때 구강 내 협착 지점을 더욱 앞으로 하여 발음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Japanese affricates oppose phonologically depending on vibration of vocal cords and, they are divided into voiced affricates [ʣ, ʥ] and voiceless affricates [ʦ, ʨ]. When trying to pronounce the Japanese affricates, Korean Japanese-language learners are interfered by Korean language and in terms of [dz] as in ‘ざ[dza], ず[dzɯ], ぜ[dze] and ぞ[dzo]’, the pronunciations of the voiced alveolar affricate which would come at the beginning of a word, the Korean Japanese-language learners often replace the pronunciations with these wrong sounds, it is difficult for Japanese-language learners to personally perceive where their tongues should be placed to correctly pronounce the affricates. This study analyzed Korean Japanese-language learners’ Japanese affricates concentrating on the center of gravity in order to offer references that would be favorably used for affricates pronunciation instruction in the field of Japanese pronunciation education. According to the findings, the rate of the center of gravity of Japanese alveolar affricate to the alveolo-palatal affricate that Japanese speakers have pronounced turned out to be 1:0.69. Values of the center of gravity of Japanese affricates were observed in order of ‘ざ[ʣa]→つ[ʦɯ]→ず[ʣɯ]’ and based on the fact, the study learned that for ‘ざ[ʣa]’, the location of its articulation point narrowing comes before where narrowing of the articulation point of つ[ʦɯ] occurs and, the order was continued in ‘ち[ʨi]・じ[ʥi]→じゃ[ʥa]・ちゃ[ʨa]’. Add t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Korean Japanese learners’ voiced affricates was presented in order of ‘ざ[ʣa]→じ[ʥi]→ず[ʣɯ]→じゃ[ʥa]’ and regarding the voiceless affricates, the order came in ‘つ[ʦɯ]→ち[ʨi]→ちゃ[ʨa]’. Moreover, when it comes to the same alveolar consonants, ‘ざ[ʣa]’ and ‘つ[ʦɯ]’, the study figured out that ‘つ[ʦɯ]’ is pronounced before ‘ざ[ʣa]’. The study also noticed that the rate of the center of gravity of Korean Japanese-language learners’ alveolar consonants to alveolo-palatal consonants is 1:0.82 and as a consequence, the study confirmed that when trying to distinguish the Japanese alveolar affricate, ‘ざ[dza]’, from the alveolo-palatal affricate, じゃ[ʥa]’, Korean Japanese-language learners would less mind the differences in locations of the articulation point-narrowing compared to how much local Japanese people do. In other words, the study suggests that Korean learners should move the narrowing point in the mouth forward when trying to pronounce the alveolar affricates.

      • KCI등재

        3韓国人日本語学習者の漢字学習に対する ビリーフとストラテジー

        李善姬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09 일본학연구 Vol.27 No.-

        본 논문에서는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대학에서 일본어를 배우고 있는 한국인 학습자 100명을 대상으로 한자 학습에 관한 신념과 한자 학습 전략의 사용에 관해서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한국인 일본어학습자는 한자 학습은 중요하며 한자의 의미나 읽는 방법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또한 한자 학습은 어려우나 한자를 쓸 수 있도록 학습해야 하며 일본어 학습 초기부터 일본어의 문자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다. 한편, 일본어의 한자를 공부할 경우, 그 한자의 한국어의 발음을 아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학습자가 많다. 이에 반해서 한자의 부수나 획순에 관한 지식이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지 않는 학습자가 많다. 2) 한국인 일본어학습자의 경우, 한자를 외울 때 한자를 반복해서 써 보거나 한자의 의미와 읽는 법을 동시에 암기하는 전략을 많이 사용한다. 또한, 한자를 외울 때 한자의 의미 뿐 만 아니라 글자의 형태나 읽는 방법 등에 주의를 기울이는 경향이 있다. 3) 한국인 일본어학습자의 학년별 한자 학습 전략을 비교한 결과, 양자 간에 커다란 차이점은 없었다. This study examines Korean JFL student’s belief in Kanji learning and Kanji Learning Strategies. 100 Korean JFL student’s completed both a belief questionnaire(14-items) and a 40-item questionnaire to assess their Kanji learning strategies. The results are explained below. 1) Korean JFL students consider learning Kanji as important factor in Japanese study. Also they believe that understanding meanings and reading methods are the essential parts as well. Despite of its level of difficulty, students agree that they need to be capable of writing in Kanji, therefore they understand that using Japanese letter should be applied from the beginning of studying Japanese. When students learn a certain Kanji letter in Japanese, they feel that they need a korean pronunciation of that specific letter in order to clearly understand the concept. On the other hand, parts and stroke counts of the letters are not considered as important as the other categories.. 2) Korean JFL learners prefer writing and reading letters repeatedly and memorizing definitions as they study strategies. Also, the students tend to focus on the structure of letter and the reading methods. 3) Comparing the Japanese studying strategi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different grades.

      • KCI등재

        日本語の授受動詞習得における母語の影響 -韓國人日本語學習者と中國人日本語學習者を比較して-

        윤희정 한국일본어문학회 2009 日本語文學 Vol.41 No.-

        本硏究は、日本語學習者の授受動詞の習得における母語の影響を授受本動詞と授受補助動詞ごとに檢討したものである。調査對象者は日本で日本語を學習している韓國人日本語學習者と中國人日本語學習者である。調査資料は學習者が繪をみて授受動詞文を書く文産出テストを用いた。その結果、授受本動詞と授受補助動詞の習得は學習者の母語によって異なるが、それは習得促進であり、習得順序は變わらないことがわかった。また授受本動詞の場合は韓國人學習者のほうが中國人學習者より習得が進んでいるのに對して授受補助動詞の場合は中國人學習者のほうが韓國人學習者より日本語母語話者の受益動詞の使用狀況(「てくれる」<「てもらう」)に早く近づいていくことがわかった。つまり、日本語の授受動詞の習得において母語の影響は授受本動詞の場合とそれが文法化した授受補助動詞の場合で異なっていた。

      • KCI등재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와 일본어 모어화자의 자기개시의 남녀차 ー회화 데이터 분석으로부터ー

        오현영 한국일본어교육학회 2022 日本語敎育 Vol.- No.99

        본 연구는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와 일본어 모어화자의 남녀를 대상으로 자기개시의 발화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여성은 남성보다 자기개시를 하는 겨향이 보였고, 여성도 남성도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가 개시하는 경향이 보였다. 또한 자기개시의 내용은 평가적 자기개시 보다 기술적자기개시 출현 수가 많았다. 장면의 차를 보면 여성은 접촉장명에서 많고 한국인 남성은 접촉장면, 일본인 남성은 모어장면에서 자기개시 출현 수가 많았다. 마지막으로 남녀의 출현 수는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도 일본어 모어화자도 여성의 출현 수가 많았지만 한국인 남성은 경우는 기술적 자기개시만 유의차가 보였다. 일본어 모어화자의 경우 여성의 출현 수가 많았지만 모어장면에서는 기술적 자기개시도 평가적 자기개시도 남성의 출현 수가 많은 결과였다. 이처럼 양국의 차가 보이며 이문화 사람과의 대화에서 서로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며 주의가 필요하다.

      • KCI등재

        커뮤니케이션 방략의 명시적 지도가 학습자간의 일본어 회화에 미치는 영향

        李賢珍(이현진) 한국일본어학회 2010 日本語學硏究 Vol.0 No.29

        본고에서는 커뮤니케이션 방략(communication strategies, 이하 CS)지도가 학습자간의 일본어 회화에 미치는 영향을 사례연구를 통해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CS지도는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주1회 60분간의 수업을 각CS별(‘바꿔 말하기’, ‘명확화 요구’, ‘이음말’, ‘맞장구’)로 4주간 실시하였으며, CS지도에 의한 학습자간 회화의 변화에 대해 ①발화량 및 침묵 시간, ②발화기능, ③선취발화, 에 주목하여 분석하였다. 학습자들은 CS학습 후, 일본어 회화에 자신감을 얻게 되었으며, 화자 뿐 아니라 청자로서도 적극적으로 커뮤니케이션에 참가하게 되었다. 그 결과, ①발화량 증가, 침묵 시간 감소, ②발화기능의 다양화, ③선취발화의 증가, 등의 변화가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CS지도가 학습자의 불안감 감소 및 적극적이고 자연스러운 커뮤니케이션에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