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한국인의 세대별 한(恨) 표상의 차이

        이재호 한국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40 No.3

        Han (恨) is known as a cultural concept that contains the minds of Korean. Lee & Choi (2003) applied a multi-task method to college students of 1994 to identify the cultural representation of Han (恨). The result confirmed the possibility that Han (恨) could represent the cultural experience of Korean discourse beyond emotion. This study raised the need to verify the process of changing the cultural meaning of Han (恨) according to the times, and tried to compare the generational difference of Han (恨) representation by elaborating the method of previous studies. Experiment 1 observed the generational difference in the representation of Han (恨) with the free generation task and the rating task. The main result is that the generation frequency and rating strength of emotion words increased in the 2019 generation than in the 1994 generation, but the type of generated words and the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Experiment 2 showed that the naming time of the 1994 generation word was faster than the 2019 generation word, the cultural stimulus and the generational variable interacted with the task type, and the priming of the cultural variable was facilitated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frequency and rating of the two generations coincide. The results were observed in the primed naming task. The two experiments showed that generations cause differences in the representation of cultural stimuli, and that the representation of Han (恨) was changed according to the generation. The 2019 generation represented Han (恨) more emotionally at the explicit level than the 1994 generation, but maintained the representation in which the meaning of the reference object and the cause of the event still persists at the implicit level.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meaningful in that it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incremental and dynamic changes in the representation of the cultural Han (恨) concept using an elaborated experimental method. 한(恨)은 한국인의 마음을 담고 있는 문화적 어휘로 알려졌고, Lee & Choi(2003)는 한(恨)의 문화적 표상을 규명하고자 1994년도 대학생을 대상으로 다중과제 방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는 한(恨)이 정서를 넘어 한국인의 문화적 경험을 담화적으로 표상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한(恨)의 문화적 의미가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과정도 검증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고, 선행연구의 방법을 연장하여 한(恨) 표상의 세대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실험 1은 자유생성과제와 평정과제로 한(恨) 표상의 세대 차이를 검증하였다. 주요 결과는 1994년도 세대보다 2019년도 세대는 정서 단어의 생성빈도와 평정강도는 증가하였지만 생성단어의 유형과 평정치의 편차가 심했다. 실험 2는 1994년도 세대 우세단어가 2019년도 세대 우세단어보다 명명시간이 빠르며, 문화자극과 세대변인 모두 과제유형과 상호작용하고, 두 세대의 빈도와 평정치가 일치하는 조건에서 문화변인의 점화가 촉진되는 결과를 점화명명과제에서 관찰하였다. 두 실험은 세대가 문화자극의 표상 차이를 야기하며, 한(恨) 표상이 세대에 따라 변화하고 있음을 보였다. 2019년도 세대는 1994년도 세대보다 외현적 수준에서는 한(恨)을 보다 정서적 의미로 표상하지만 암묵적 수준에선 참조 대상과 사건 원인의 의미가 여전히 지속되는 표상을 유지하였다. 이 연구는 문화적 한(恨) 어휘의 표상이 시대에 점진적이며 역동적으로 변화할 가능성을 실험적 방법으로 확인하였다는 의의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恨) 감성 교육 방법 연구

        이양금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23 Foreign languages education Vol.30 No.3

        The current study presents a methodology of teaching the connotations and nuances of the word Han (恨) to English-speaking Korean language learners. Since Han (恨) expresses unique and traditional aspects of Korean sensibilities, the goal would be for native English speakers to be able to understand the complexities of its meaning, in spite of the differences in culture background. To this end, research was done into how Han (恨) is translated into English, as there is no term in English with the same meaning. From these findings, a list of Korean vocabulary related to the meaning of Han (恨) was made to show its definitions in English. In addi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42 Americans to find out how English speakers understand Han (恨).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the current study demonstrates the need to teach the meaning of Han (恨) to Korean language learners from English-speaking countries, and suggests a teaching methodology which follows the order of Pre-Class, In-Class and After-Class study based on the Flip-Learning model.

      • KCI등재

        고전시가 텍스트를 통한 학습자의 한(恨) 체험 및 교육 연구

        류연석 청람어문교육학회 2022 청람어문교육 Vol.- No.90

        문학교육에선 학습자가 낯선 고전시가 텍스트에 접근할 수 있도록 문학적 ‘특질’을 매개로 활용하고자 했으나, 본질주의를 답습한 내용으로 인해 특질이 올바른 매개로 기능하지 못했다. 따라서 특질이란 개념에서 벗어나 우선 학습 독자의 주체적인 체험에 근거하는 패러다임의 전환 모색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선 먼저 한국문학의 특질로 오래 자리해 온 한(恨)의 체험적 특성을 밝히고, 그에 기반해 실제 학습자가 고전시가 텍스트를 읽으며 한(恨)을 문학적으로 체험하는 양상을 확인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고자 했다. 학습자들은 문제적 배경상황, 내적 체험의 형식, 의미와 가치 등을 갖춘 한(恨)의 체험적 특성에 따라, 한(恨)을 체험의 질료로 하여 텍스트로부터 각자의 문학적 체험을 잘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구체적인 고전시가 텍스트를 통한 학습자의 주체적인 한(恨) 체험의 가능성을 살핀 가운데, 추후 그러한 체험의 교육적 구현을 위한 몇몇 시사점 역시 논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한(恨)의 신학적 관점에서 요한계시록 읽기

        신동욱(Shin, Dong-Ook) 한국신약학회 2014 신약논단 Vol.21 No.3

        종말론이 중요한 신학적인 주제로 인정되고 있는 요한계시록을 민중신학의 핵심요소인 한(恨)의 신학적 입장에서 읽는다면, 요한계시록은 사회적 주변인과 약자들의 희생을 전제로 구축된 불의한 사회-경제 지배체제에 대한 부정과 저항을 요구하는 윤리적 안목을 독자들에게 제공해 준다. 한(恨)의 신학과 요한계시록은 사회적 약자들의 희생과 착취를 전제로 지배층의 부와 지배구조를 견고하게 해주는 통치체제를 사탄적인 것으로 평가한다. 특히 부의 양극화와 고착화 현상을 촉진시켜주고 있는 신자유주의 경제 체제가 지배하고 있는 우리 시대에 한(恨)의 신학적 입장에서 읽는 요한계시록은 독자들에게 불의한 경제적인 지배구조를 거부하고 저항하며 새로운 대항현실을 희망할 수 있는 안목을 제공해 준다.

      • KCI등재

        문학교육에서 한(恨)의 교육내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

        류연석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20 고전문학과 교육 Vol.45 No.-

        Han(恨) has been taught as a tradition of Korean literature, but now learners cannot recognize it clearly. Now, they view it as a negative old custom without any value. This is a problem that can be solved by examining the academic flow of Han in Korean literature and education. Han has been actively studied in the “Korean Studies” since the 1960s. In “Korean Studies”, there have been perspectives that find Korean traditional characteristics which are very exclusive, to be rooted in the past. The “perspective” has made Han experience a very narrow range, and disturbed the expansion of Han experience by learners. As a result, learners could not inherit Han’s continuous value and were cut off from Han. Han should prove its educational value without the contradictory premise “tradition”. Han is an experience for a person who is facing loss or deficiency, and sublimates the negativity in their mind by constructing the right literary emotion. When we can build up the structure or principle of Han as an experience, then we can devise an educational plan and concept of Han, and verify its utility, so that, Han can recover its value as an aspect of Korean tradition of literature. 한(恨)은 우리 문학의 전통으로 오랫동안 교육내용으로 자리해왔으나 현재 학습자들은 한의 개념을 명확히 인식하지도, 계승의 가치를 찾지도 못한 채 자신과 관계없는 부정적인 것으로 인식한다. 이는 미시적인 교육 방법의 차원에서 해결할 문제가 아니라, 한의 연구사와 문학교육에의 수용에 이르는 흐름을 전면적으로 검토할 문제다. 한 연구는 1960년대 ‘한국학’을 배경으로 하여, 특히 문학 영역에서 많이 이루어졌으며 사회반영적 시각에서 한을 다룬 문학 작품의 외적 특성을 논한 담론, 한의 문학적 형상화 양상으로서 정서를 논한 담론, 문학을 통한 한의 체험을 논한 담론 등이 있다. 하지만 한국학을 배경으로 과거의 순수성, 한민족만의 배타적 특수성을 강조하는 전통·특질론이 한을 문학교육의 내용으로 조직·유지하는 핵심 관점으로 작용해 부작용을 일으켰다. 문학적 경험의 차원에서 ‘우리의 특수성’을 강조해 경험을 매우 특수화하였고 그마저도 문학 외적인 요소들이 중심이 되었다. 또한, 전문가들의 전문적인 해석이 낳은 결과를 중심으로 하여 경험의 확장을 제한하였고, 한을 공유해 현재 가치를 찾고 계승할 학습자가 경험의 주체에서 배제되었다. 그리하여 학습자와 한이 단절되는 모순을 낳았다. 한은 전통이란 전제를 벗어던지고 연구들이 밝혀낸 여타 성질들로부터 그 교육적인 가능성과 효과를 재차 입증해가야 한다. 한은 상실·결핍의 상황을 마주하여 그 상황이 빚은 부정성을 문학을 통한 정서 구축을 빌려 주체의 내면에서 승화시키는 경험으로, 그 경험의 구조·원리가 이론적으로 설계되어 교육내용의 핵심이 되어야 한다. 후속 연구로 한이란 경험의 구체적인 교육적 설계와 검증이 이루어질 때 비로소 한은 학습자도 ‘할 수 있는’ 교육내용으로서 전통의 가치를 회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恨)과 멜랑콜리 비교 연구

        김동규 ( Kim Donggyu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6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4 No.3

        현재 우리는 `우울 사회`에 살고 있다. 우리의 우울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전통적인 한 담론과 서양의 멜랑콜리 담론을 비교해야 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한과 멜랑콜리 담론을 간명하게 비교하고, 그 저변에 깔린 철학적 차이를 밝히는 데 있다. 특히 그동안 비교적 소홀히 다루었던 두 개념, 즉 한 담론의 핵심 개념인 `관계론`과 `삭임(발효)`에 대해 초점을 맞출 것이다. 본 논문은 신영복과 박동환의 핵심 아이디어를 중심으로 `실체론과 관계론의 대립지점`을 선명하게 부각시키고, 멜랑콜리의 애도작업과는 변별되는 `삭임의 고유한 메커니즘`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관계론에 따르면, 관계는 실체보다 앞서며 실체를 구성하는 일차적 원리다. 관계론은 사이, 소수자, 미완성, 주변부를 중시한다. 그리고 실체론이 개체의 독립성을 강조하는 반면, 관계론은 상호의존성을 강조한다. 존재하는 모든 것이 상호의존적이라면, 그것들의 존재방식은 기생적일 수밖에 없다. 그래서 멜랑콜리가 실체, 개체, 주체로 이어지는 독립적인 존재 특유의 정조라면, 한은 종국에 `붙음살이`를 벗어날 수 없는 생명 일반의 근본(보편) 정조다. 마지막으로 한 담론에서 애도작업에 해당하는 것이 삭임이다. 삭임을 통해 원한은 정한이 된다. 생물학적으로 보자면, 삭임이란 미생물의 비가시적 활동의 산물이다. 이런 점에서 멜랑콜리 담론의 애도작업이 한 개인의 정신적 승화에 가깝다면, 삭임은 비가시적타자들의 조력을 통해 일어나는 육화된 승화에 가깝다. Currently we live in a `depressive society`. In order to understand our depression existing in this society, it is necessary to compare the traditional Han(恨) discourse and the melancholy discourse from the Wes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melancholy and Han subtly, and philosophically to elucidate differences between them. Especially we will focus on two core concepts of Han-discourse, that is to say, (1) `relation` and (2) `Sak-im`(fermentation), with which we have dealt neglectfully. I will try to contrast the world view(Weltanschauung) of substance with that of relation and make Shin, Young-Bok`s and Pak, Dong-Hwan`s philosophy a stepping-stone towards our study. According to the theory of relation, the relationship is the primary principle that constitutes substances and it precedes substances. A few concepts i.e. `between`, `minority`, `the unfinished`, `periphery`, etc. are considered as important in the theory of relation. While the independence is stressed in the theory of substance, the interdependence is emphasized in the theory of relation. If all things are interdependent, they must have a `parasitic mode of being`. Melancholy is the mood of independent being(substance, individuality and subject), while Han is the basic mood of every life that can not escape from the parasitic lifestyle. Finally, I will take a closer look at the appropriate mechanism of Sak-im that differs with the work of mourning in melancholy discourse. Sak-im is a fermentation. Biologically, it is a working of invisible microbe. While the work of mourning is close to a spiritual sublimation of the individual, Sak-im is akin to the embodied sublimation which can take place only through the assistance of invisible others.

      • 불교 지옥의 문화 콘텐츠적 변화 : 기억과 망각, 수용과 변용을 중심으로

        이필원 동국대학교 종학연구소 2021 宗學硏究 Vol.5 No.-

        지옥은 사후세계의 하나이다. 또 다른 사후세계는 천국이다. 불교에서는 천국과 지옥이 확정적인 공간이 아니다. 하지만 기독교에서는 이 둘은 확정적 공간이 된다. 이것은 곧 선악에 대한 관점과도 연결된다. 불교 지옥의 시왕과 옥졸들은 악마와는 다른 캐릭터이다. 하지만 기독교 지옥의 사탄과 그 무리들은 절대악의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관념이 중요한 것은 그 관념이 그대로 우리가 사는 현시대에 투영되어 기능하기 때문이다. 우리가 사는 현대 한국사회는 선과 악의 대결장이 되고 있다. 한쪽에서 상생을 이야기하지만 그 목소리는 힘을 얻지 못하고 있다. 대중매체에서도 전통적 한과 해원의 구조를 보여주는 것과 한과 보복의 프레임을 보여주는 것이 혼재되어 있다. 이는 지금의 한국 사회가 가치의 혼돈 혹은 미정립 상태에 있음을 보여준다. 그런 가운데 전통문화는 ‘한류’라는 방식으로 토대를 구축하고 있고, 다른 한편에서는 아직 완전히 소화되지 못한 서양문화가 ‘한국화’를 시도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지옥을 테마로 한 한류콘텐츠의 가능성은 ‘선악’의 구도가 아닌 ‘한과 해원’의 구도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결국 ‘한과 해원’은 불건전한 감정의 해소를 통한 관계의 재정립이다. 그런 의미에서 불교적 지옥이 한국적으로 변용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이것은 지금까지의 인도불교의 지옥이 중국을 거쳐 한국화된 과정이라면, 이제는 기독교의 선악과 징벌의 지옥관이 ‘한과 해원’의 구조 속에서 수용되고 변용되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럴 때 망각의 영역으로 밀려났던 ‘지옥’이 새롭게 기억의 영역에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한과 해원’의 구조는 인도도 중국도 아닌 한국적 특색이기에, 서양과 기독교의 문화와 지옥관은 ‘한과 해원’속에서 한국적 변용을 거쳐야 한다. 그럴 때, 한국은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을 온전히 수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Hell is one of the afterlife. Another afterlife is heaven. In Buddhism, heaven and hell are not definite spaces. In Christianity, however, the two become definitive spaces. This is also linked to views on good and evil. Buddhist Hell's Ten rulers of the postmortem course (十王) and hell jailer (獄卒) are different characters from demons. But Satan and his flock of Christian hell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absolute evil. This idea is important because it is projected and functioning in the present era of our lives. The modern Korean society in which we live is becoming a battleground between good and evil. One side talks of co-prosperity, but the voice is not gaining strength. The mass media also mixes the traditional structure of Han (恨) and Haewon (解冤) and the frame of Han (恨) and revenge. This shows that Korean society is in a chaotic or unsettled state of value. Meanwhile, traditional culture is laying the foundation in the way of “Korean Wave,” while on the other hand, Western culture, which has yet to be fully digested, is attempting “Koreanization.” The possibilities of the hell-themed Korean Wave (韓流) content should be found in the “Han (恨) and Haewon (解冤)” structure, not in the “good and bad” structure. After all, “Han (恨) and Haewon (解冤)” is the reestablishment of relations through the resolution of unhealthy emotions. In that sense, it can be said that Buddhist hell has been transformed into a Korean one. If this is a process in which the hell of Indian Buddhism has been Koreanized through China so far, it is now necessary for the hell view of Christianity's good and punishment to be accepted and transformed in the structure of “han (恨) and Haewon (解冤).” In that case, hell, which had been pushed into the realm of oblivion, could function in the realm of memory anew. Since the structure of “Han (恨) and Haewon (解冤)” is a Korean characteristic, not India or China, Western and Christian cultures and hell views must undergo Korean transformation in “Han (恨) and Haewon (解冤).” In that case, Korea will be able to fully perform its role as a platform.

      • KCI등재

        한(恨)의 서사에 나타나는 주체와 민족의 관계 -이청준의 <남도 사람>, 한승원의 <한> 연작을 중심으로-

        박성태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22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59 No.-

        The recognition that Han(恨) as a unique emotion of the Korean people is not Won(怨) is a product of controversy. In this study, I paid attention to the characters who appeared as the subject of Korean 'Han' and examined their limitations. Through this, I critically reflected on ‘Han beyond Won’. The works to be studied are Lee Cheong-jun's <Nam-do People> series and Han Seung-won's <Han> series. Our mother, depicted in Han Seung-won's <Han> series, is a female subject who should seek a solution only through the practice of maternal love. Their Han, the victims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cannot be converted into the resistance energy of the nation and the people. The older brother and sister, the aesthetic subject depicted in Lee Cheong-jun's <Nam-do People> series, can only reach a special aesthetic state as a creator of national art only by forgiving the perpetrators. Nevertheless, the singer appears as a non-historical artistic subject who cannot secure contact with the national historical tragedy. It is necessary to renew the imagination of the national Han that has been fixed as 'Han beyond Won'. Through this, we need to rediscover the creativity of Han. 한민족 고유의 정서로서의 한(恨)은 원(怨)이 아니라는 인식은 논쟁의 산물이다. 본고에서는 한의 서사로 정의될 수 있는 이청준의 <남도 사람> 연작과 한승원의 <한> 연작을 대상으로, 한국적 한의 주체로 등장하는 인물들의 형상화 양상에 주목하고 그 주체성의 한계를 살펴봄으로써 ‘원한을 넘어선 한’으로 파악된 민족적 감정으로서의 한에 대해 비판적으로 성찰했다. 한승원의 <한> 연작에서 그려지는 우리네 어머니는 모성애의 실천으로만 한풀이를 모색해야 하는 여성주체이다. 한국 근현대사의 희생양인 그들의 한은 민족과 민중의 저항적 에너지로 전환되지 못한다. 이청준의 <남도 사람> 연작에서 그려지는 미적 주체인 소리꾼 오누이는 가해자를 용서해야만 민족예술의 창조자로서 특별한 미적 경지에 도달할 수 있다. 그럼에도 그 소리꾼은 민족사적 비극과 접점을 확보하지 못하는 비역사적 예술주체로 한정된다. 원과 한의 배타적 관계를 지양하고 ‘원한을 넘어선 한’이라는 도식으로 고착화된 민족적 한에 대한 상상력을 갱신하지 않는다면 진정한 창조력의 원천으로서의 한의 재발견은 요원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사회적 고난(苦難)체험으로서의 한(恨)

        홍경완(Hong, Kyung-Wan)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09 신학과 철학 Vol.- No.15

        Leiden ist anderes als Schmerz. Leiden ist viel mehr als nur Schmerz. Es bedeutet, dass eine Person oder eine gesellschaftliche Gruppe in einer Gesellschaft, die in einer bestimmten Zeit und in einem bestimmten Ort besteht, eine lange Zeit durch Hunger, Krieg, natürliche Katastrophe oder unerwarteten früheren Tod mit Schmerz erfüllt ist, so dass dieser Schmerz wie ein Teil des Lebens geworden ist. Dieses Leiden, das man für unerträglich hält, hat im Großen und Ganzen zwei Dimensionen: Persönliche und gesellschaftliche Dimension. Dieser Artikel versucht nicht persönliches Leiden theologisch oder anthropologisch zu erklären, sondern gesellschaftliches Leiden im koreanischen Kontext sozialphilosophisch zu verstehen. Jedes Leidensverständnis hängt im großen Teil von den Kulturen ab, die in einer Gesellschaft oder in einer Gruppe solcher Gesellschaft erheblich großen Einfluss ausüben auf alle Lebensbereiche etwa von Esskultur bis Denkweise. In diesem Zusammenhang lohnt es sich zu fragen, wie Koreaner das gesellschaftliche Leiden in ihrer Kultur verstanden und wie sie versucht hatten, es zu überwinden. Für diese Arbeit wird ein spezifischer Begriff genommen, der als typisch koreanisch gilt, und zwar Han des Minjung. 고통과 고난은 다르다. 고난(苦難)은 단순한 육체적 혹은 정신적 고통(苦痛) 이상을 의미한다. 고난은 인간 개개인 혹은 집단이 전쟁, 고아 또는 질병이나 죽음 등의 원인으로 인해 육체적 정신적인 고통이 오랫동안 지속되어 삶의 일부가 되어 있음을 뜻한다. 이러한 인간이 당하는 고난에는 크게 보아 두 가지 차원이 존재한다. 개인적 고난과 사회적 고난이 그것이다. 이 글은 사회적 고난을 주제로 삼아, 우리 문화의 맥락 속에서의 고난이해를 다루고 있다. 우리의 고유한 고난이해는 어떤 것이 있고, 우리 민족은 사회적 고난을 어떤 것으로 이해하고 극복하려고 애써왔는지를 ‘민중의 한(恨)’이란 개념을 중심으로 전개하고 있다. 곧, 한이 무엇이며, 왜 생겨났는지, 그 한을 풀어내는 방법들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를 사회철학적으로 재조명해보면서, 우리 민족의 고난이해를 살펴보는 것이 이 글의 주된 작업이다. 이는 무엇보다 한을 개인적인 어떤 것으로만 여겨버리는 것에 대한 비판이기도 하며, 한이 우리 민족의 고유한 정서라는 편협함을 넘어, 사회적으로 당하는 갖은 고난에 대한 고유한 이해방식임을 주장하고자 하는 시도이기도 하다.

      • KCI등재후보

        샤머니즘, 침묵하는 타자를 위한 언어 - 한승원 소설에 나타난 한(恨)의 서사화 양상

        노지승 구보학회 2015 구보학보 Vol.0 No.12

        The Change of Han Seungwon’s novels from 1970s to early 1980s, is the process that the alienated women who had kept silent, get a new language. In his novels of 1970s, single mothers and madwomen, even though they are the victims of male violence during the colonial period and Korean War, are persecuted by the community. They don’t have any chance to protest against the assailants or to defend themselves. The allowed way to them is only to compromise with the unfair situation or just live isolated in the beach. Especially the case of single mother raising sons and grandsons, Han Seungwon’s novels signify their internal feeling state as ‘Han’(恨). Han means the traditional Korean emotion mixed with grudge, sorrow and resignation. Unlike single mothers who are not hostile to a patriarchal system, madwomen who live isolated in the beach are described as inexplicable and stronglysexed women. That is to say, madwomen who live isolated in the beach, represent the female monsters created in men’s guilty conscience and fright. On the other side, there are also heroes or male narrators who weave their war experiences into stories through a comprehensible and elucidatory language. This kind of gender gap is removed in the sequence novel Daughter of Fire. The male character of this sequence novel, who are dismissed from a newspaper, is suffering from psychic disease. By conceding his shamanistic gift and identifying with his shaman mother, the male intellectual ‘I’ become a shaman and get a shamanistic language. By this process, his Oedipus complex is overcome and he accepts the eroticism of his mother. 1970년대에서 1980년대 초까지 약 10여 년 동안 이룩된 한승원 소설의 변화 과정은 주체가 될 수 없었던, 침묵하는 타자가 새로운 언어를 얻는 과정이다. 70년대 한승원 소설에서 홀어머니들이나 해변의 광녀들에게 언어는 존재하지 않는다. 식민지 시기, 분단과 전쟁을 거치면서 반복된 남성들의 폭력으로 그들은 피해자가 되었지만, 침묵으로써 현실을 묵인하고타협하면서 생존하거나 혹은 광녀(狂女)가 되어 공동체로부터 유리되어 살아간다. 한승원 소설은 이러한 자기 표현이 가능하지 않은 상태에서 생성되는 여성들의 정서 상태를 ‘한(恨)’으로 명명한다. 이들에 비해 남성 혹은 남성 지식인들이 등장하는 소설들의 경우 남성 인물들은 트라우마가 된 자신의 전쟁과 성장 체험을 이해 가능한 언어로 서사화할 수 있다. 이러한 이원화된 서사 방식은 『불의 딸』에서는 무너지게 되는데 이 연작 소설에서는 샤머니즘의 언어를 통해서 타자의 언어를 구축하면서 남성 지식인조차 이 샤머니즘의 언어를 수락하게 되는 양상을 보인다. 타자의 새로운 언어는 남성인물들의 이해가능하고 언어를 뛰어 넘어 샤머니즘의 세계에서 새로운 언어를 얻는 것이며 그리고 이 언어를 통해 타자의 고통과 억압이 승화될 수 있음을 한승원의 소설은 스스로 설파하고 있다. 『불의 딸』에서는 또한 주인공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해소되면서 성욕이 강한 어머니에 대한 증오 역시 해소되는데 이러한 변화는 이전의 소설들에서 보였던, 성적으로 거세된 홀어머니와 비정상적한 성욕을 가진 광녀라는 이원적인 여성 표상에 내재된 한계를 극복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