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러시아어학습자코퍼스(Russian Learner Corpus)

        이수현(Lee, Su Hyoun) 한국노어노문학회 2015 노어노문학 Vol.27 No.4

        본 논문은 학습자 오류연구를 위한 세 갈래의 장기 연구활동 계획, 즉 러시아어 학습자의 문어 자료를 수집하는 활동, 제 2언어로서의 외국어 학습자와 계승어 학습자의 문어 오류분석 및 두 학습자의 오류간 비교를 통하여 언어학적으로 의미 있는 지표를 찾아내는 활동,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와 다른 나라의 계승어 학습자의 오류 유형을 비교·분석하는 언어 이론적 연구활동을 위해 전제가 되는 러시아어학습자코퍼스 구축의 필요성에서 시작되었다. 이에 따라 논문에서는 연구방법론으로서의 코퍼스 연구에 대하여 소개하고, 코퍼스 연구의 당위성과 향후 러시아어 연구는 물론 보편 언어학 연구를 위한 토대로서의 러시아어학습자코퍼스 구축 문제를 다루고 있다. 세부적으로 코퍼스를 활용한 사례연구를 통해 코퍼스 연구가 공시적 관점에서뿐만 아니라 통시적 관점에서 언어 현상에 대한 적절한 연구방법론이 되고 있음을 주장한다. 특히, 논문에서는 2015년 현재 러시아를 비롯한 해외 여러 나라의 코퍼스 연구팀과 공조연구로 진행되고 있는 러시아어학습자코퍼스 구축 과정을 기술하고 러시아어국가코퍼스와의 연계 하에 러시아어학습자코퍼스가 언어 습득연구 및 유형연구의 연구 기반으로 활용되기 위하여 어떠한 내용적 측면이 고려되어야 하는지를 고찰하고 있다.

      • KCI등재

        "학습자 중심 교육"의 의미에 대한 현직 국어 교사들의 인식

        최영인 ( Young In Choi ) 국어교육학회 2012 國語敎育學硏究 Vol.43 No.-

        이 연구는 바람직한 교육의 이상으로 통용되고 있는 ``학습자 중심 교육``이란 용어에 내재된 개념이나 의미 구성소에 대한 합의를 모색하기 위한 기초 연구의 성격을 갖는다. 지금까지 ``학습자 중심 교육``은 당위적이며, 자명한 것으로 받아들여졌고, 교육 현장에 이 용어가 도입될 때 그것의 이론적 토대나 함의에 대한 탐색보다는 기존의 ``주입식 교육`` 혹은 ``획일화된 지식 교육``에 대한 반대 개념으로 수용되어 온 경향이 있다. 학습자 중심 교육의 모태로 두 가지 이론적 흐름을 살폈다. 하나는 구성주의 이론이고, 다른 하나는 구성주의에 기반을 두고 ``학습 현상``을 보다 깊이 있게 천착한 ``학습자 중심 학습 이론``이다. 이 두 이론들에서 논의된 ``학습자 중심 교육``의 특징을 학습 주체, 학습의 선택과 책임, 학습자와 교사의 역할 및 관계, 공동체와의 관계, 학습 과정 및 방법, 성찰적 사고로 나누어 추출했다. ``학습자 중심 교육``은 능동적인 학습자의, 적극적인 지식 구성의 과정으로서의 학습을 전제하고 있었으며, 이 과정에서 개별화 학습이 장려되고 학습 전반에 걸쳐 학습자가 자율적인 의사 결정을 하는 주체로 상정되어 있다. 현장 국어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통해 ``학습자 중심 교육``의 개념에 대한 인식을 알아본 결과, 개별화 학습 및 학습자의 자율적 의사 결정권은 배제된 개념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교사들 개인에 따라 ``학습자 중심 교육``의 개념 요소에 대한 동의 여부도 크게 달랐다. ``학습자 중심 교육``이라는 것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나 합의 없이, ``학습자 중심 교육``을 실천할 때 정책 입안자, 연구자, 현장 교사들이 서로 다른 방법을 강구하는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본고는, ``학습자 중심 교육``이 우리 교육의 바람직한 미래 가치로 타당한 것이라면, 그것을 뒷받침하는 이론들을 구축하는 것뿐만 아니라 그것이 가장 실제적인 현장에서 어떻게 이해되고, 어떻게 실천되어야 할지에 대한 교육 공동체의 생산적인 논의가 필요하다는 것을 주장하기 위한 근거로서 가치를 갖는다. 다만 이 연구는 제한된 인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연구라는 한계가 존재하며, 한 개인의 ``인식``을 좀더 면밀하게 분석하기 위해 질적 연구 방법을 정교하게 적용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This study was executed to survey on perceptions of the In-Service Korean teachers about ``Learner-Centered Education``(LCE). LCE has been diversely understood and interpreted among the teachers in the educational field. LCE is derived from Constructivisim and was influenced from ``Learner-centered learning principles``. The author extracted common tenets of LCE concept from two theoretical flow(Constructivisim. and Learner-centered learning principles) and developed the questionnaire. In the LCE, emphasized are the students as a active agent, the decision and control of learner about what to learn and how to lear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and instructor, learning as experience, collaboration so on. This survey found out some defin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teachers` perception about LCE. There were distinctive groups, One showed the tendency to minimize LCE and the other showed the tendency to maximize LCE. Some korean teachers regarded LCE as ``just a good education``. And some teacher`s perception was near similar with the theoretical and ideal origins. According to a this survey, only 9~11% percent of the respondents favored ``element of choice or control`` as learner`s right and responsibility. That means most of korean teachers don`t agree that increased responsibility and accountability, increased sense of autonomy are the essential in the LCE. This result showed a big gap of LCE concepts between theory and practice.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how different they are. And this results showed that, as for LCE, the in-service korean teachers do not have understanding firmly built upon a certain theory but rather drawn from their own teaching experience, hence, nor integrated practices properly. From this results, we have to discuss about common traits of LCE and also decide realizable or acceptable traits of LCE in the real educational field.

      • KCI등재

        학습자 중심 교수가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김종백(Jong-Baeg Kim),김준엽(Junyeop Kim),이성원(Sung-Won Lee) 한국교육심리학회 2018 敎育心理硏究 Vol.32 No.1

        학습자 중심 교수는 자기 주도적 학습 환경을 지원한다. 더 나아가 자기 주도적 학습 경험은 학습자로 하여금 자신의 노력으로 인해 본인의 성장과 성취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지게 한다. 이런 학습자의 믿음과 신념은 성취 경쟁에서 오는 불안감이나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 교수, 학습동기, 성장신념, 학업스트레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증명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특히 본 연구는 경기교육종단연구 3~5차 년도(초6~중2) 데이터를 사용하여 관련 변인들의 변화에 따른 구조적 영향에 주목하고자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먼저 학습자 중심 교수는 학습자의 내재적, 외재적 동기를 모두 긍정적으로 예언하였으나, 내재적 동기를 더 잘 예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자 중심 교수는 동기를 매개로 하여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 모두 스트레스를 강화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장신념은 학습자 중심 교수와 동기를 매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구체적으로 학습자 중심 교수는 학습자가 성장에 대한 긍정적 신념을 갖는데 영향을 미치며, 성장신념을 가진 학습자는 내재적 동기가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하여 외재적 동기는 성장 가능성을 믿는 학습자일수록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습자 중심 교수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성장신념 변화를 매개로 하여 학업스트레스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다른 3요인(학습자 중심교수, 학습동기, 학업스트레스)은 변화에 따른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학습자 중심 교수는 학업스트레스를 완화할 수 있었으며, 이 관계가 기존에 연구되던 학습동기가 아닌 성장신념의 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임을 보여주었다. 이 결과는 학습자의 인식과 믿음이 내재적 동기 형성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학업스트레스 변화에 기여하는 주요요인임을 유추하게 하였다. 더 나아가 학습자가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는 방향으로 학습 환경을 개선하고 변화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주었다. 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the longitudinal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learner-centered instruction, learning motivation, growth beliefs, and academic stress. In particula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ocus on the structural effect of the related variables using data from the 3rd to 5th year of the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Results showed that while learner-centered instruction positively predicted both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of learners, it predicted the former better. In addition, learner-centered instruction influenced academic stress through motivation, both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were found to increase stress. Further, growth beliefs mediated motivation with learner-centered instruction; specifically, learner-centered instruction influenced learners’ positive beliefs about growth, and learners who had growth beliefs had intrinsic motivation. At the same time, external motivation tended to be lower for learners who believed in the possibility of growth. Finally, the perceptions of learner-centered instruction affected academic stress through changes in growth beliefs. However, the other 3 factors (learner-centered instruction,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stres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nclusion, learner-centered instruction was able to mitigate academic stress, demonstrating that this relationship is influenced by changes in growth beliefs rather than learning motivation, as previously studi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learners’ perceptions and beliefs contribute to not only intrinsic motivation but also academic stress. Furthermore, it is suggested that learners need to change their learning environments in positive ways.

      • KCI등재

        성인학습자 특성이 대학 평생교육 정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인학습자 전담 학위과정 운영 대학을 중심으로

        안현용 숭실대학교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2021 평생교육 · HRD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 전담 학위과정 운영 대학에 재학 중인 성인학습자의 특성에 따른 대학 평생교육 만족도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성인학습자 전담 학위과정 중심의 대학 평생교육 운영 만족도가 정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세부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비수도권 대학의 성인학습자가 수도권 소재 대학의 성인학습자보다, 신입학 학생이 재학생보다, 예체능 전공의 학생들이 인문·사회·교육 및 공학·자연 계열 학생들보다, 40대 학습자들이 타 연령대의 학생들보다 교육내용, 교육 방법, 교수자, 교육환경, 성인학습자 친화형 지원체제 만족도가 높았고, 대학 평생교육 정책 만족도 역시 높았다. 둘째, 남성 학습자는 여성 학습자보다 교육내용, 교육 방법, 교수자, 교육환경, 성인학습자 친화형 지원체제 만족도가 높았으나, 대학 평생교육 정책 만족도는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검증되지 않았다. 셋째, 입학전형에 있어서는 평생학습자 전형과 특성화고졸 등 재직자 특별전형은 대학 평생교육 만족도 변수 차이에서 평균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인 친화형 전담 학위과정을 운영하는 대학 평생교육 정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 평생교육 운영 만족도 요인은 교육내용, 교수자, 교육환경, 성인학습자 친화형 지원체제 만족도이며, 그 가운데 성인학습자 친화형 지원체제 만족도 요인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satisfaction of lifelong education in colleg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dult learners. Furthermore, the effect on satisfaction with the operation of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centered on degree courses dedicated to adult learners on policy satisfaction. The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adult learners at universities in the suburban area was higher than that at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re were more freshmen than enrolled students in the population of students majoring in arts, sports, music was higher than humanities, social studies, education, engineering, and nature, learners in their age of 40s tend to be more satisfied with education content, teaching methods, instructors,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adult learner-friendly support systems than students of other age groups. Satisfaction with the university's lifelong education policy was also high. Secondly, male learners tend to be more satisfied with the educational content, teaching methods, instructor, educational environment, and adult learner-friendly support system than female learners. Furthermor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s in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policy. Third, learners of the lifelong learner program who recruit adult learners and incumbent special admissions such as specialized high school graduat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fference in satisfaction variables for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Finally, this study has revealed that the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the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program policy were educational content, instructor, educational environment, and adult learner-friendly support system satisfaction, and the adult learner-friendly support system satisfaction factor was the most influential.

      • KCI등재

        학습자 중심 교육에 대한 교육행정가, 교사, 예비교사의 인식 비교 연구

        장경원,이지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9 No.1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란 교수자가 학습자에게 일방적으로 지식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가 교육의 주체가 되어 능동적으로 다양한 학습 맥락에 참여하고 독립적으로 사고하는 과정에서 학습이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학습자 중심 교육은 실제적 학습 맥락, 학습의 경험, 협동학습, 동료학습자와의 문제해결, 그리고 학습 촉진자로서의 교수자의 역할의 변화를 강조한다. 본 연구는 의사결정권을 가지고 있는 교육 행정가, 실제 현장에서 교육을 실천하고 있는 현직 교사, 그리고 교직과정에 있는 예비교사들의 학습자 중심 교육에 대한 인식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교육행정가, 현직교사, 예비교사 28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행정가, 현직교사, 예비교사들은 모두 학습자 중심 교육의 특성으로 학습자의 역할 변화와 교수자의 역할변화를 가장 핵심적인 것으로 꼽았다. 이들 모두는 학습자중심 교육의 효과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학교 현장에서 반드시 실현되어야 한다는 데 동의하였다. 그러나 아직 학교현장이 학습자 중심 교육을 실천하기에는 충분히 준비되어 있지 않다고 여기고 있었고, 예비교사 양성 프로그램과 현직교사 재교육 프로그램에서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에 대해 충분히 교육하고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기회가 마련되어야 한다고 요구하였다. 따라서 예비교사를 양성하는 교직과정은 학습자 중심 교육에서의 교수자 입장과 학습자 입장을 경험해볼 수 있도록 실제적이고 충분한 학습경험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현직 교사의 재교육 프로그램에는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 환경을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할 수 있는 모듈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Learner-centered education becomes an important research topic as the attention on quality of education increases. Learner-centered education means that learning takes place, not when an instructor directly delivers her knowledge to learners, but when learners actively experience in diverse contexts and think independently. In short, the subject of learning is learners, not instructors. In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emphasized are the learning context, learning experience, collaboration, problem solving among peer learners, and the change of an instructor’s role to a facilitator.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how differently administrators with decision power, in-service teachers practicing education in the field, and pre-service teachers, perceive diverse issues related to learner-centered education. The study reveals that all the participants commonly hold a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learning effectiveness of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and agree that learner-centered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ed in schools. Meanwhile, they do not seem to be sufficiently prepared for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As the participants suggested in this study, existing pre-service teacher programs as well as in-service teacher re-education programs should be seriously reviewed in regards to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In addition, sufficient and authentic experiences about learner-centered education as an instructor as well as a student should be provided for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the in-service teacher re-education program, instructional design capability for learner-centered education should also be emphasized.

      • 영어 학습을 통한 학습자 자율성과 정체성 고찰

        박윤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통합인문학연구소 2011 통합인문학연구 Vol.3 No.1

        This paper introduces research on the concepts of learner autonomy, learning strategy, and social identity and explores the major perspectives and key positions concerning these issues. Within a recent decade a great deal of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on 1 earner-centered instruction in the United States as well as around world. The number of scholarly works is compatible with the ever-increasing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learning populations, the desire for self-esteem, and the birth of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CLT)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Since the late 1970's, CLT has tried to provide learners with the value of their own responsibilities in learning and teaching at the same time. In this paper, it is necessary to define learner autonomy, learning strategy, and social identity. Second, the learning strategies toward implementation of learner autonomy in class are described. Then the positive value of social identity and its effects on learners of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is discussed. 최근 영어교육 특히 영어를 외국어로 학습하는 교육환경에서는효과적인 외국어습득을 위해서 무엇보다 학습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에 많은 연구자들이 공감하고 있다. 외국어 학습, 특히 영어 학습을 제한된 학습 장소와 부족한 노출시간에도 성공적으로 성취하기 위해서는 스스로 학습의 목표를 찾고, 이를 위한 노력을 자기 스스로 감독하는 학습자 자율성이 중요하며 (learner autonomy)의 이의 가치가 계속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학습자 자율성이 영어교육에 등장한 상황과 학습자 자율성의 중요성, 학습자 자율성을 실제 학습 상황에서 적용하기 위한 학습 전략 (learner strategy)에 대한 개념을 살펴보고, 이와 관련 된 내용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학습과 사회와의 관련속에서 학습자 스스로가 깨닫는 사회적 정체성 (social identity) 역시 성인학습자들의 학습에서 고려 되야 하는 것으로 사료됨에 따라, 이에 대한 개념과 학습 상황과의 관련도 살펴본다

      • KCI등재

        학습자 중심의 한자 교수·학습 방법 : 구성주의 자원 학습법을 중심으로

        한은수(Han, Eun-su)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9 동양한문학연구 Vol.28 No.-

        교수·학습 방법은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에 의해 학습이 이루어진다는 전제 아래 교수와 학습의 원리가 실제로 교실 수업에 적용되는 방법을 말한다. 지금까지 교실 수업 현장에서 한자 학습에 대한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이 모색되었다. 그렇지만 이러한 교수·학습 방법이 학습의 주체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하여 이루어지기 보다는 교사 중심의 교수·학습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므로 제7차 교육과정의 근본정신인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방법과는 괴리가 있었다. 필자는 학습자가 학습의 주체이며 학습자 스스로 한자 학습에 대한 지식을 구성할 수 있다는 인식 아래 구성주의 인식론의 시각으로 한자의 자원 교수·학습에 대한 연구를 할 필요성을 느꼈다. 이를 위해 구성주의 인식론과 문자학 연구 성과를 토대로 ‘구성주의 자원 학습법’을 창안하고 그에 따른 학습 방법을 제시하였다. 필자는 구성주의 자원 학습법을 현장에 적용하여 봄으로써 학습자들의 한자 및 한자 어휘 학습에 대한 이해능력을 기르고 나아가 학습자 스스로 한자 지식을 구성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자 하였다. 필자가 직접 구성주의 자원 학습법을 교실 수업에 적용하여 본 결과 한자 이해 능력과 한자 어휘 이해 능력을 기르는데 유의한 교수·학습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필자가 제안한 구성주의 자원학습법에 따른 한자 자원 교수·학습 방법이 효과를 거두려면 학습자들이 한자의 자원 학습에 대한 스키마를 활성화하여 유의미한 지식이 되도록 재구조화하고, 반성적 사고를 하여 한자 지식을 종합적으로 구성하여야 한다. 또한 학습자는 수업에 자발적·능동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학습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자신의 의미 있는 경험과 교과의 내용을 통합하여 새로운 지식으로 재구성할 때 참다운 한자 지식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학습자들이 단지 학습의 방관자로서 존재할 때에는 이 또한 유의미한 학습 방법이 되지 못할 것이다. 필자는 구성주의 자원 학습법의 방법으로 ‘이미지 컷 대조하기’, ‘비슷한 자형 찾기’, ‘자형 변화 그려보기’, ‘자의 추론하기’ 등의 활동을 통해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활용한 어휘 학습 방법도 고찰하여 보았다. 또한 학습자 중심의 수업 전략으로 협동 학습의 수업 기법을 적용해보기도 하였다. 그 결과 협동 학습의 수업 전략이 학습자 중심의 기법으로 성공적으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학습자 개개인의 한자 학습 능력과 모둠 구성원의 상호작용 능력을 고려한 모둠을 구성하여야 하며 아울러 학습 촉진자로서 교사의 충실한 역할이 이루어져야 함을 알게 되었다. Teaching-learning method is to be applied in a classroom on the premise that it is rendered with interaction between a teacher and students. Various teaching-learning methods have been tried in classes of Chinese characters so far, but in fact, more classes have been teacher-centered than student-centered, which deviated from the principle of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which is learner-centered teaching-learning method. I felt the necessity of study on teaching-learning method of constructive instruction method of etymology of Chinese characters with a recognition that students are the subjects of learning and they can construct knowledge of Chinese characters on their own, and so I devised constructive instruction method of etymology on the basis of constructivist epistemology and the result of study of graphology, and suggested a learning method accordingly. And I tried to apply the method in actual class through comparison of image cuts, finding of similar origins of characters, drawing of change of origins of characters and deduction of meaning of a characters, and I also considered a vocabulary leaning method. For the constructivist education of etymology of Chinese characters which I suggested to get a result, students should use schema of learning origins of Chinese characters to reconstruct their knowledge to be meaningful and synthetically construct knowledge of Chinese characters by reflective thinking. And students should actively participate in class and the teacher should properly function as a promoter of learning.

      • 학습자 개별화 프로그래밍 학습 관리 시스템 설계

        김민수(Minsu Kim),안성진(Seongjin Ahn)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3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7 No.2

        코로나19를 겪으면서 ICT 기술을 활용한 온라인 학습이 중요한 교육 방식이 되고 있다. 이러한 온라인 학습에서 교수자와 학습자가 주로 이용하는 것이 온라인 학습 관리 시스템이다. 이에 대한 이용이 늘어나면서 교수자 입장에서 다양한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고려해서 학습자에게 맞는 맞춤형 개별화 학습이 필요함을 느끼게 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프로그래밍 학습에서 학습자의 학습 내용 이해 상태를 측정한 선행 연구와 온라인 프로그래밍 평가 시스템의 특징을 이용하여 학습 관리 시스템에 이를 반영한 학습자별 맞춤형 개별화 프로그래밍 학습 관리 시스템에 대한 설계가 필요하다는 점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메타인지의 기능 영역과 학습 과정 전반에 걸쳐 학습자의 학습 내용 이해 상태를 측정하는 선행 연구의 특징과 온라인 프로그래밍 학습 평가 시스템을 평가 기능을 이용하여 학습 관리 시스템 설계 시 이를 반영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학습 과정 전반에 걸쳐서 학습 내용 이해 상태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학습자에게 맞추어진 학습을 제안 받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그리고 교수자는 학습자의 학습 내용 이해 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함으로써 학습의 조절 또한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와 교수자들은 학습의 만족도나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 논문에서는 학습자에게 설문 조사나 학습자의 학습 화면에 관련된 학습 요소배치를 통해 학습자의 학습 내용 이해 상태를 측정하는 형태의 설계를 제시하였는데, 향후에는 이러한 학습자의 개입을 최소화하여 학습 내용 이해상태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제언한다.

      • KCI등재

        교수자의 학습자 모어 사용이 제2 언어 텍스트에 미치는 영향 - 중국어를 모어로 하는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

        고은선,김성훈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7 한국언어문화학 Vol.14 No.1

        본 연구는 한국어 수업에서 교수자가 사용한 학습자 모어가 한국어 학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학습자의 특성이 쓰기 오류율에 영향을 미치는지, 각 변인의 개별적인 주효과(main effect) 뿐만 아니라 둘 이상 변인들 사이의 상호작용효과(interaction effects)를 분석하였다. 이에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 학습자 119명으로부터 수집한 질적 자료를 양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수자의 학습자 모어 사용은 문법오류율에서 주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F= 25.012, p<.001), 상호작용효과는 ‘모어×한국어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 9.871, p<.01). 이 연구결과는 제2 언어에 대한 학습결핍과 중도포기하려는 학습자들에게 지속적으로 학습을 유도할 수 있는 필수적인 도구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teacher’s usage of students’ mother tongue during a Korean language class, on their learning Korean. It investigated whether learners’ characteristics influenced the rate of writing errors. Furthermore,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wo or more variables were analyzed as well as the individual main effect of each variable.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from 119 Chinese speakers learning Korean to conduct a quantitative analysi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teacher’s usage of learners’ mother tongue significantly affected the rate of grammatical errors (F= 25.012 p<.001). The interaction effect, “mother tongue×Korean language level,” display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F= 9.871, p<.01).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essential tools to encourage learners with second language learning difficulties or those intending to quit studying, to continue their learning.

      • KCI등재

        이주배경학습자의 한국사 인식

        곽희정 역사와교육학회 2024 역사와 교육 Vol.38 No.-

        본 연구는 이주배경학습자가 한국역사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진행한 연구이다. 이에 ① 외국출신으로 중도에 한국으로 입국한 학습자 ② 한국역사를 체계적으로 배운 경험이 있는 학습자 ③ 자유롭게 한국어로 의사소통이 가능한 학습자라는 세 가지 조건에 충족되는 이주배경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설문 참여자는 150명이고, 설문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대상 중 한국역사에 대한 깊은 이해력을 지닌 6명을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이주배경학습자가 한국역사를 배우는 목적은 한국인의 정서와 문화를 이해하여 한국에 건강하게 정착하기 위함이었다. 아울러 기본적인 역사교양지식을 갖추어 자녀교육이나 직업생활에 도움이 되고, 한국인과 적극적으로 소통하기 위함이었다. 흥미로운 점은 이들은 한국역사를 배우면서 한국어 실력이 향상되었고, 모국 역사에 대한 관심이 더욱 깊어지게 된다는 것이다. 즉, 이주배경학습자는 한국역사를 배우면서 끊임없이 모국역사와 비교하면서 사고하는 경향이 있는 것이다. 한편, 이주배경학습자가 한국역사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역사적인 사건은 ‘한국전쟁’이고 이들 중의 다수는 한국이 남북으로 분단된 사실을 상당히 안타깝게 여기는 경향이 있고, 한국의 통일을 염원하고 있었다. 이들은 자신들이 정착해서 살아가고, 자신의 자녀들이 살아갈 이 땅이 전쟁의 불안에서 벗어나서 평화롭기를 바라고 있었다. 특이한 점은 이주배경학습자가 한국역사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역사적인 사건이나 시대와 실제로 이들이 흥미를 느끼는 것은 동일하지 않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이주배경학습자는 현재의 한국사회의 모습과 깊은 관련이 있는 시대와 사건, 즉 ‘한국전쟁’이나 ‘3.1운동’을 역사적으로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실제로 이들이 대체로 흥미롭게 생각하는 것은 전근대시기 사람들이 어떻게 생활하였는지에 관해서이다. 아울러 이주배경학습자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역사적인 문화재는 ‘경복궁’인데, 이들은 모국의 분위기와는 달리 한국만의 색깔이 잘 드러나는 문화재를 좋아하고, 나아가 이들이 문화재를 직접 체험하고 난 뒤에 얻은 나름의 안목을 바탕으로 특정한 문화재에 관심을 느끼는 경향이 있었다. 더불어 이주배경학습자가 꼽은 최고의 역사적인 인물은 예상대로 한글을 만든 ‘세종’이었다. 마지막으로 이주배경학습자는 각 시대별로 자신들의 모국과 관련된 역사적인 내용을 알고 싶어 하고 매우 흥미로워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들이 역사지식을 얻는 출처는 대체로 인터넷 포털사이트나 동영상 자료이고, 이들은 역사적인 지식을 비판적으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이주배경학습자의 역사인식을 고려하고, 이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역사교육을 거의 고민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처음으로 길을 내는 과정이나 다름없다. 아무쪼록 본 연구가 문화적으로 다양한 배경을 지닌 학습자들이 증가하는 한국사회에서 이들과 평화롭게 공존할 수 있는 새로운 역사교육의 방향을 수립하는데 마중물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perception about korean history of immigrant background learner who were born abroad and live in korea. The main method of research is conducted a survey for 150 immigrant background learner and interviewed in depth with six selected persons among survey respondents in Seoul or Gyeonggi-do Province. According to the result, immigrant background learners tend to learn Korean history in order to communicate smoothly with Koreans and to understand Korean culture. Furdermore, immigrant background learners improved their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s they learned Korean history and became deeply interested in their home country's history. Immigrant background learners consider the 'Korean War' as the most important historical event in Korean history, the most important cultural heritage is ‘Gyeongbokgung Palace’ and the most important historical people is ‘King Sejong’. In addition, immigrant background learners want to know historical content related to their home country in each era. And the sources from which they obtain historical knowledge are usually mass media, and they tended to critically accept historical knowledge. This paper will serve as a basic foundation for creating a new memory community that can coexist with new members of Korean society by providing information on their recognition about korean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