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 부진 학생의 학습 주체 형성을 위한 교수 방안 탐색

        김도남(Kim, Do Na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3

        학생의 학습 부진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발생한다. 학습 부진 학생이 학습 부진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원인이 되는 문제를 해결해 주어야 한다. 학생들의 학습 부진의 원인 중 한 가지는 학생이 학습 주체를 형성하지 못해서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심리적 도움이 필요하다. 학습 주체 형성의 측면에서 볼 때, 학습 부진은 학생의 학습 심리와 교사의 교수 심리 문제에서 비롯된다. 학생의 학습 심리 문제의 요소로는 인지적 학습의 결여, 학습 만족감 부족, 주도적 학습 부족, 인지 내용 교환의 자신감 부족, 학습 욕망의 작용 부족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교사의 교수 심리 문제로는 학생의 학습에 대한 낮은 기대, 동일시 상대 역할 부재, 타자의 역할 부재, 주체적 관계 확립 소홀, 제3자의 거리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학습 주체 형의 관점에서 학생의 학습 부진은 학생의 학습 심리와 교사의 교수 심리가 상보적으로 작용하지 않아서 발생한다. 라캉의 욕망 이론 관점에서 학생의 학습 부진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사가 학생에게 학습 주체를 형성해 주어야 한다. 라캉의 논의를 참조할 때 학습 주체를 형성하려면 교사는 학생에게 학습 만족감을 갖게 만든 후, 학습 만족감에 결여가 생기게 하여 학습 욕망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학생이 학습 욕망을 갖게 되면 학습 만족감을 회복하기 위하여 주체적으로 학습함으로써 학습 부진에서 벗어날 수 있다. 교사가 학습 부진 학생이 학습 주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학습 주체 형성을 돕는 역할과 학습 주체를 강화시키는 역할을 해야 한다. 학생의 학습 주체 형성을 돕는 활동으로는 ‘학습 만족감 갖게 하기, 학습 만족감 결여 만들기, 학습 만족감 회복 방법 찾게 하기, 학습 만족감 회복 돕기’ 등이 있다. 그리고 학생의 학습 주체 강화 활동으로는 ‘학습 활동 점검하기와 더 큰 만족감 갖게 하기’가 있다. 학습 부진 학생이 교사의 도움으로 학습 주체를 형성하게 되면 학습 욕망에 의한 학습 주체가 주도적 학습을 함으로써 학습 부진에서 벗어나게 된다. 이 방법을 구체화기 위해서는 실제 부진 학생 지도에 적용하여 결과를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instruction method on becoming the learner s subject for low achiever student. For this aims, I investigated the problems of learning-teaching in low achiever student instruction on the basis of Lacan s desire theory. And I explained the process of becoming the learner s subject, which consist of experience to acquisition and to deficiency of learning satisfaction that occurring as a necessary consequence of interaction of student and teacher. And then I suggested to instruction method of the becoming the learner s subject for the teacher whom teaches the low achiever students. If teacher use this method then help the low achiever student for becoming the learner s subject. So, The low achiever student is able to self-directed learning, and may overcome of the learning ability deficiency.

      • KCI등재

        초등학교 학급담임 교사가 인식한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어려움 탐색

        고재천(Ko Jae Ch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

        이 연구는 초등학교 학급담임 교사들이 인식하는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어려움이 무엇인지를 탐색하는데 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초등학교 학급담임 교사들이 지 각하는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어려움에 대한 개념적 구조와 중요도는 어떠한가이다. 이를 위해 K광역시 소재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학급담임 교사 15명을 대상으로 개념 도 연구방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초등학교 학급담임 교사들은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어려움을 교사-학생과 지도- 지원의 두 차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학급담임 교사들이 인식하는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어려움은 4개의 군집으로 나타났으며, 학습부진학생의 학습 의욕과 능력 부족, 학부모의 관심 저조, 교사의 열의 부족 및 지도여건 미비, 학교의 지원체제 미흡이었다. 셋째,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어려움에 대한 4개 군집별 중요도 의 차이는 그리 크지 않았으나, 교사의 열의 부족과 지도여건의 미비 요인과 학교의 지원체제 미흡 요인보다 학습부진학생의 학습 의욕과 능력 부족 요인과 학부모의 관심 저조 요인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학급담임 교사들이 인식한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어려움은 학습부진학생 자신인 학 생, 학부모, 교사, 그리고 학교의 요인과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초등 학교 학급담임 교사들은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어려움과 관련하여 교사 요인과 학교 요인보다는 학습자 요인과 학부모 요인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이 연구가 초등학교 학급담임 교사가 인식하는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어려움에 대한 개 념적 구조를 밝혀 줌으로써 학습부진학생 지도 관련 이론의 정립과 이와 관련된 정 책 및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plored elementary school classroom teachers perceived difficulties instructing underachievers in elementary schools using concept mapping methods. The research questions are what the conceptional structures are and what importance of the difficulties instructing underachievers a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classroom teachers are. This study analyzed data taken from interviews with 15 elementary school classroom teachers in two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s a result, 45 final statements were extracted and 15 participants classified and rated them. The methods of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cluster analysis were employed to estimate and categorize the dimensions and factors of state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classroom teachers recognized this difficulties as ‘teacher-student dimension and ’instruction-support dimension. Second, elementary school classroom teachers were recognized in four clusters: lack of motivation and ability of underachievers, poor attention of parents, lack of teacher’s passion and instructional conditions, and lack of support systems in school. Third, elementary school classroom teachers perceived difficulties of ‘lack of motivation and ability of underachievers’ and ‘poor attention of parents’ were highly appreciated.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dentified that elementary school classroom teachers perceived four difficulties instructing underachievers in elementary schools were related with factors such as students, parents, teachers, and schools. Second, this study found that elementary school classroom teachers were more highly important the difficulties of students and parents factors than other factors of difficulties instructing underachievers in elementary schools. And last, this study will provide appropriate basic data to identify the conceptual structures of the difficulties instructing underachievers.

      • KCI등재

        다문화 가정 학생과 학습부진/학습장애 학생의 사회과 교수․학습에 관한 일반 초등교사의 인식

        김의정,김애화,유현주 한국학습장애학회 2012 학습장애연구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perceptions of general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social studies teaching and learning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s well as low-achieving/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L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FGI). 12 teachers(6 who have taught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FGI #1, 6 who have taught low-achieving students/students with LD-FGI #2) participated in the focus group interviews which were based upon three open-ended questions. After the interviews were completed, the data were transcribed and coded by three coding systems. The major findings about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s have difficulties learning social studies due to the influence of their parents, their external appearance, periods of their life spent in Korea/different countries, and Korean skills. Second, teachers have difficulties teaching social studies because they don’t know how to support to meet the needs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ird, teachers indicated that they need human, physical and systematic support for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major findings about low-achieving students/students with LD were as follows: First, low achieving students/students with LD have trouble learning social studies because of their lack of motivation to learn, insufficient reading skills, and cognitive deficiencies. Second, teachers have difficulties teaching social studies due to problems in administrative system and not being able to set the same learning objectives for low-achieving students/students with LD as those for typical students. Third, although teachers use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for low achieving students/students with LD, there is limited time to allocate instructional time for them.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가정 학생과 학습부진/학습장애 학생의 사회과 교수․학습에 관한 일반 초등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실시하였다. 총 12명의 교사(다문화 가정 학생을 지도해 본 경험이 있는 교사 6명-FGI #1, 학습부진/학습장애 학생을 지도해 본 경험이 있는 교사 6명-FGI #2)가 포커스 그룹 인터뷰에 참여하였고, 인터뷰는 3개의 개방형 질문에 따라 진행되었다. 인터뷰 자료를 전사한 후 총 3차례에 걸쳐 코딩하였다. 다문화 가정 학생에 대한 주요 결과로는 첫째, 학생들이 사회과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어머니의 영향과 학생의 국내/외국 거주 기간, 외모적 특성 및 한국어 능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가 사회과 교수에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다문화 가정 학생의 교육적 요구에 적합한 지원 방법을 잘 모르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 가정 학생을 위해 인적, 물적, 제도적 지원의 필요성을 지적하였다. 학습부진/학습장애 학생에 대한 주요 결과로는 첫째, 학생들이 사회과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학습에 대한 동기 결여, 읽기 능력 부족, 인지 결함 등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가 사회과 교수에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행․제도적인 문제와 일반학생과 동일한 학습 목표를 적용하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가 학습부진/학습장애 학생을 위해 교수․학습 전략 및 자료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들을 지도하기 위한 시간이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교 학습부진학생 지원을 위한 미술과 교수·학습 방안 탐색: ‘즐거운 상상의 축제’ 개발 과정을 중심으로

        안지연(Ahn, Ji Youn),김귀옥(Kim, Kwi Ok),류희선(Ryu, Heui Sun),이은진(Lee, Eun Jin),최성희(Choi, Sung Hee) 한국미술교육학회 2020 美術敎育論叢 Vol.34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습부진학생을 지원할 수 있는 미술과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전문가 검토 및 예비시행을 거쳐 평가하는 단계를 통해 학습부진학생을 지원할 수 있는 미술과의 교수·학습 방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현재 초등학교 학습부진학생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은 읽기·쓰기·셈하기 및 학습부진학생의 심리 정서적 측면을 지원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특히 미술과 프로그램은 심리 정서적 측면의 지원을 위한 수단으로서 활용되고 있어 미술 교과의 교수·학습방법론을 적용한 지도 방법은 아직 실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술과 영역 특정적 지식을 기반으로 학습부진학생을 지원할 수 있는 미술과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학습부진학생지원 영역을 확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미술 감상을 기반으로, 조형요소 및 조형원리의 교수 및 미술과 조작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즐거운 상상의 축제’라는 미술과 교재를 개발하였다. ‘즐거운 상상의 축제’는 선재, 면재, 양재를 활용한 작가의 작품을 감상하면서 주요 미술 개념을 학습하고 재료에 따라 단계적으로 제시된 조작 활동을 수행하며 ‘즐거운 나의 방’, ‘상상의 집’, ‘축제의 정원’을 완성하여 미술과 역량을 기르는 동시에 성취감과 자신감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프로그램 예비시행 결과 분석을 통해 수업 환경 및 교실 문화 조성, 작지만 명확한 학습 목표 설정과 반복적 훈련을 통한 성취, 학생들의 잠재적 어려움에 대한 교사의 민감성 및 대응 능력 함양, 과업 분석에 기반한 교수법 지원 등을 학습부진학생을 위한 미술과 교수·학습 방안으로 도출하였다. This study is about developing art education-supporting program for the underachievers who struggle in academic areas in elementary schools, focusing more on the search of developmentally appropriat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art subject for them. So far, the studies have concerned providing underachievers with academic support through implementing reading, writing, and arithmetic content knowledge, while focusing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In particular, art education programs have been exploited as a mere means of backing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light which underachieving students might fall. In these reason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art subject which might help underachievers improve their abilities and skills while cultivating art knowledge have not been yet actively studi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rt education programs which support underachievers for better academic performance, while activating and cultivating art education-specific knowledge, abilities, and skills. Based on the appreciation of art, art teaching workbook called ‘Joyful Imaginary Festival’ were developed to build the motor skill of hands and hands-eyes coordination and teaching of the art elements and principles. Through analysis of the preliminary implementation results of the program, the creation of class environment and classroom culture, achievement through small but clear setting of learning goals and repetitive training, development of teacher sensitivity and ability to respond to students potential difficulties, and support of teaching methods based on task analysis were derived as art and teaching methods for underachiever.

      • KCI등재

        학습부진 극복 여부에 대한 수준별 하반 편성 및 특별보충수업의 효과

        백병부 한국교육사회학회 2010 교육사회학연구 Vol.20 No.4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ow ability grouping and special supplemental instruction for overcoming underachievement. In addition to using representative data from the 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KELS), this study adopts a multi-level analysis method(HGLM) to rais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results. The major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pecial supplemental instruction for underachievers has negative effects on overcoming underachievement. This result is coincides with western studies and Korean teachers statements which report failure of supplemental education for underachievers. Second, low ability grouping for underachievers also has negative or no effects. These negative effects of cognitive achievements are larger in math than English. Third, participation-oriented instructions can not offset the negative effects of special supplemental instruction and low ability grouping. This study tested the interaction terms of participation-oriented instruction and special supplemental instruction or low ability grouping. As a result, it was shown that these interaction terms have no effect on overcoming underachievement. From these findings, it is suggested that the reform of ability grouping and special supplemental instruction and preparing alternative methods for underachievers is imperative. 본 연구는 학습부진학생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학습부진학생을 구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특별보충수업과 수준별 하반 수업이 학습부진의 극복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고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한국교육종단연구(KELS) 자료를 위계적 일반화선형모형(HGLM)을 통해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특별보충수업은 영어 및 수학 과목의 학습부진 극복 여부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서구사회에서 사회경제적 배경이 열악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보상교육 프로그램이 소기의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는 보고들이나 학교 현장에서 학습부진학생 지도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이 이들 프로그램에 대해 내리고 있는 부정적인 평가와 일치한다. 둘째, 학습부진학생을 수준별 하반에 편성하는 것도 학습부진학생들의 학습부진 극복 여부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거나 특별한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이러한 결과는 수학 과목에서 더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적인 도전의식을 제고하고, 학생들의 수업 참여를 유도하려는 교사들의 노력이 특별보충수업 및 수준별 하반 편성의 부작용을 상쇄하는 데 뚜렷한 기여를 하지 못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참여지향수업 경험 정도와 특별보충수업 및 수준별 하반 편성의 상호작용항을 투입하여 학습부진학생들의 학습부진 극복 여부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으나 유의미한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학습부진학생 대상 특별보충수업의 운영 실태를 점검하고 획기적인 개선 방안을 마련할 것과 수준별 수업의 부작용을 면밀히 검토하고, 이질집단 편성이나 협동학습 모형, 속진 학교 프로그램 등의 대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다문화가정 학습부진학생의 교육 지원 콘텐츠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구영산(Youngsan Goo),오상철(Sangchul Oh),이화진(Hwajin Yi),장경숙(Kyungsuk Chang)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12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학습부진학생의 기초학력 교육 지원을 위한 콘텐츠 개발을 위해 기초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전국의 200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2,091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다문화가정 학습부진학생의 기초학력 향상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다문화가정 변인과 일반 학습부진 변인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도록 설문 대상에 다문화가정 학습부진학생뿐만 아니라 일반 학습부진학생과 중상위권의 다문화가정 학생을 포함시킨 후 변인에 따른 집단별 차이를 살펴보았다. 학습 특성과 학습 환경의 많은 부분에서 다문화가정 중상위권 학생이 다문화가정 학습부진 학생과 일반 학습부진학생에 비해 더 높은 평균을 나타냈다. 그러나 소속감과 사회적 관계의 일부 측면에서는 학습부진과 상관없이 다문화가정 학생들이 일반 학생들에 비해 더 낮은 평균을 나타냈다. 또한 다문화가정 학습부진학생은 아버지 또는 어머니 문화에 대한 이해 부분에서 취약함을 보였다. 본 연구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학생들의 기초학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과 교육 지원 콘텐츠 개발 방향을 제언하였다. The study aims to gain information for developing educational contents to support LPSMB(low-performing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through the survey on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attitudes related to learning, and learning environment. We analyzed a survey of 2,091 students from 200 schools who were low-performing Korean students, LPSMBs, and normally performing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Normally performing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scores on most questionnaires than low-performing Korean students and LPSMBs. However, normally performing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and LPSM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lower scores on identity and social relationships. LPSMBs showed lower scores on parents culture than normally performing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We suggested how to support LPSMBs’ learning and learning environment based on the survey results.

      • KCI등재

        초등교사의 과학학습부진학생 지도경험에 관한 근거이론적 연구

        강지훈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2 초등과학교육 Vol.41 No.1

        본 연구는 근거이론 분석 방법을 바탕으로 초등교사의 과학학습부진학생 지도경험을 탐색하였다. 과학학습부진학생을 최근 3년 이내에 지도한 경험이 있고, 5년 이상의 현장 경험을 가진 교사 13명을 대상으로 과학학습부진학생 지도경험에 대한 자료가 이론적 포화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심층면담과 분석을진행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의 과학학습부진학생 지도경험은 119개의 개념과41개의 하위범주 및 17개의 범주로 도출하였다. 도출된 범주들을 패러다임 모형에 근거하여 ‘과학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어려움’이라는 중심현상을 바탕으로 인과적 조건, 맥락적 조건, 중재적 조건, 작용/상호작용 전략 및 결과로 구조화하여 제시하였다. 둘째, 초등교사의 과학교과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핵심범주는‘어려움을 극복하며 과학학습부진학생 지도하기’로 상정하였다. 그리고 핵심범주의 속성과 차원에 따라과학학습부진학생을 지도하는 교사유형은 ‘현실타협형’, ‘현실극복형’, ‘현실수용형’, ‘현실갈등형’의 네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셋째, 초등교사의 과학학습부진학생 지도경험을 교사-학교-교육청 차원의 교육공급자 측면과 학생-가정 차원의 교육수요자 측면으로 구분하여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통합할 수 있는 상황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교과 부진학생 지도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논하였다.

      • KCI등재

        초·중 다문화 가정 학습 부진 학생 교과 교육 지원을 위한 기초 연구

        구영산(Youngsan Goo)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5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학습부진학생의 기초학력 지원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 연구에 해당된다. 이를 위해 전국의 200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1,147명의 다문화가정 학생과 전국의 320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3,760명의 다문화가정 학생을 대상으로 기초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다문화가정 학생에 대한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이들의 학습부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한 후 이를 ‘학습 일반’과 ‘학습 환경’으로 나누어 설문 문항에 반영하였다. 문항 타당도 검증을 거친 뒤 2013년과 2014년에 걸쳐 실시한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습부진’, ‘학교 급(초등학교·중학교)’, ‘출생지’ 여부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았다. ‘학습부진’ 변인과 관련하여 초등학교 및 중학교 다문화가정 학생 모두 학습 동기, 학습 전략, 학습지원에 대한 거의 모든 문항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학습 환경 중 초등학교 다문화가정 학습부진학생에게 부모 나라의 문화에 대한 이해가, 중학교의 경우 사회적 관계가 주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학교 급’ 변인과 관련하여 초등학생이 중학생에 비해 학습 동기 측면에서 긍정적이며 교사 및 교우와의 학습 또한 더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초등학생은 교사의 학습 지원을 중학생은 교우의 학습 지원을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출생지’ 변인과 관련하여 국내 출생 다문화가정 학생에 비해 중도 입국 다문화가정 학생에게 보다 면밀한 언어적, 정서적 지원이 필수적이며, 부모 나라의 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교육적 기회를 균형감 있게 제공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및 중학교 다문화가정 학생들의 기초학력 향상을 위한 교육 지원 방향을 제언하였다. The study aims to gain information for developing educational content to support LPSMBs (low-performing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The procedure involved surveying students about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attitudes related to learning, and learning environment. I analyzed responses from 1,147 students from 200 elementary schools and 3,760 students from 320 middle schools who were LPSMBs and NPSMBs (normally performing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LPSMBs in bo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lower scores on most questionnaires related to learning and learning environment than NPSMBs. LPSMBs in elementary schools showed higher scores on teachers’ learning support, LPSMBs in middle school showed higher scores on classmates’ learning support. LPSMBs born in foreign countries need to be given opportunities to learn Korean as well as their father’s and mother’s culture. I give suggestions for how to support LPSMBs’ learning and learning environment based on the survey results.

      • KCI등재

        초등학교 기초학습부진학생지도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이동성 ( Dong Sung Lee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0 교육인류학연구 Vol.13 No.3

        이 글은 기초학습부진학생의 지도과정에서 발생한 현장교사의 개인적 경험들을 자문화기술지를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이 글은 이러한 시도를 통하여 현행 기초학습부진학생의 구제방식에 대한 문제점과 그 한계를 조명함으로써 기초학습부진학생들의 지도방식에 대한 대안적 관점과 접근을 찾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학습부진학생들을 누가 가르칠 것인가는 학교구성원의 한 개인에게 책임을 전가할 수 없다. 둘째, 학습부진의 실제적 원인을 규명하는 일은 문서상의 가정환경 기초조사나 각종 심리검사를 통한 과학적이고 처방적인 방식으로는 한계가 있다. 셋째, 기초학습부진학생들은 일반학급보다 더욱 이질적인 집단이다. 따라서 현장교사들에게는 기존의 수준별지도와는 다른 방식의 대응과 가르침이 필요하다. 넷째, 방학 중 특별보충 프로그램의 운영방식에 대한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방학 중 특별보충 프로그램의 운영방식은 기초학습부진학생들의 기초학력을 신장시키는데 일부분 도움을 주었지만, 동시에 고비용저효율의 문제점을 드러내었다. 따라서 기초학습부진학생들의 장점과 특기를 살린 체험과 활동중심의 교수학습 활동이 필요하다. This paper aims to illuminate the teaching experiences of underachievers through autoethnography of an elementary schoolteacher. This study then scrutinizes alternative perspective and approach for underachievers through problems and limits of teaching method. The specific results and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blem on who must teach underachievers should not transfer to another member (for instance, a teacher in charge) of the elementary school. Second, an educational plan examining the origin of underachievement through scientific and prescriptive method should be put in place,: archival surveys and psychological tests are not effective on helping underachievers` learning. Third, the class of underachievers was more heterogeneous than the general class. Therefor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uld consider alternative teaching strategies, which is quite different from instruction plan by level. Fourth, we need to reconsider the supplementary short-term program for underachievers during summer vacation as it was not efficient in raising academic achievem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pplementary short-term program was high expense and low efficiency. Therefore, elementary school and elementary schoolteachers should develop alternative teaching-learning program, rooted in the experiences and activities of underachievers.

      • KCI등재

        학습동기, 학습전략, 자기통제성의 학교급별 측정동등성 및 학습부진과의 관계 분석

        김영빈,함은혜,황매향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0 No.1

        이 연구는 학생의 학습동기, 학습전략, 자기통제성 측정치의 학교급별 측정동등성을 분석하고, 세 측정치가 준거지표로서 학습부진을 학교급별로 동일하게 예측하는지를 검토하기 위한 것이다. 전국의 초등학교 4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의 2,28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다집단 확 인적 요인분석과 다집단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측정모형의 학교급별 동등성을 분석한 결과, 학습전략에 있어서는 요인구조의 동등성이 지지 되고, 자기통제성에 있어서는 오차분산의 동등성이 지지된 반면, 학습동기에서는 측정동등성이 지 지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학습동기 구조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예측된 다. 둘째, 세 가지 구인들이 학습부진을 예측하는 정도에 있어서 초등학생과 중학생 간에 차이를 보였다. 이를 토대로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학업특성 이해를 위한 후속연구 및 학교급별 학습관련 검사의 차별화 필요성, 학습부진 예방을 위한 학업지도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surement invariance of three student non-cognitive measures – academic motivation, learning strategies, and self control–and whether the degree to which each measure predict underachievement is similar across school levels. Data from a representative sample of approximately 2,282 4th Grade to 9th Grade students in South Korea were used to estimate a series of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multi-group CFA) and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s (multigroup SEM).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ubstantial discrepancy between the two school levels in the fit of the hypothesized factor model of academic motivation, which indicates that the factor structure of academic motivation is different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level. Second, their predictive power of the three constructs diagnosing underachievement differed between the two school levels Practical implications for designing and using non-cognitive construct measures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