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과 교육실습의 효과

        김신영(Shinyoung Kim),송미영(Mi-Young So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08 교육평가연구 Vol.21 No.1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에 대한 질적 제고가 강조됨에 따라, 별도의 수습기간 없이 교사 임용과 동시에 교단에 서게 되는 예비교사들에게 학생평가 분야에서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실제적인 교육기회가 제공되고 있는지를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가 갖추어야 할 학생평가와 관련한 지식과 기능에 대한 전문가 합의 기준인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기준’에 근거하여 예비교사들의 학생평가 전문성 수준을 확인하고 교원 양성기관에서 제공하는 교육평가 관련과목과 교육실습 과정의 이수가 학생평가 전문성의 향상에 도움이 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예비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향상을 위한 방안 강구에 기초가 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예비교사들의 학생평가 전문성 수준은 전반적으로 만족할 만한 수준이라고 보기 어려웠으며, 교육실습 이후의 학생평가 전문성 수준은 교육실습 이전에 비해 유의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나 교육실습 경험을 통해 학생평가 전문성 수준이 다소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평가전문성의 기준선을 통과하지는 못한 수준이었다. 교원양성과정에서는 예비교사들의 학생평가 전문성을 신장시키고 현장 적합성을 제고하기 위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예비교사들이 일정 수준의 학생평가 전문성을 갖출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to possess the competency in student assessment. Teacher"s competency in student assessment is the competence or capability of collecting, interpreting as well as applying the students" assessment information about students" learning and achievement. The teacher certification programs should provide pre-teachers the opportunities to possess the assessment competency.<BR>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field training or practice in the existing teacher certification programs on the assessment competency based on ‘the standards of teacher"s competence in student assessment’ by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field training improved pre-teachers" level on assessment competency and pre-teachers who have took a course related to ‘educational evaluation’ got higher than other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opportunities for field training or practice need enlarging and enhancing.

      • KCI등재

        초등교사의 학생평가전문성에 대한 자기평가 분석

        박정 한국교원교육학회 2013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0 No.3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학생평가전문성을 함양시키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우선 초등교사의 학생평가전문성 수준을 파악하고 교직경력별로 그 차이를 파악하였다. 또한 현직교사의 경험이 학생평가전문성에 영향을 주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예비교사와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아울러 교사교육에 필수요소인 대학에서의 관련강의 수강과 현직교사의 평가 관련연수와 업무참여 여부가 초등교사의 학생평가전문성에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초등교사는 예비교사에 비해 현격히 높은 학생평가전문성을 보이고 있었으며 교직경력별로는 5년 미만의 초임교사만 예비교사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고 경력이 있는 교사들의 학생평가전문성이 높았다. 그러나 평가도구 개발전문성은 다른 영역에 비해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었다. 한편 대학에서의 평가관련 강의는 현직교사의 학생평가전문성에 차이를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연수와 평가도구제작 참여여부는 차이를 주는 것으로 나타나 평가관련 교사연수를 확대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초등교사의 학생평가전문성 신장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시간제 통합 특수교육대상학생의 학교급별 학업성취도 평가 실태

        서선진,최종근 한국특수교육학회 2017 특수교육학연구 Vol.5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valuation practices of academic performances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who were partially included in general education classes at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level. There were 1,034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ve worked in inclusive schools nationwide answered an online surve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with disabilities partially included in general education classes, in general, participated in the same evaluation practices as their peers without disabilities in terms of evaluation types, criteria, and result report. At the elementary level, there was flexibility in implementing evaluation practices depending on subjects or teachers whereas fairness in evaluation practices was highly emphasized at the secondary level. Seco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supports for performance assessments were mainly to provide accommodations in environments and materials. Third, most schools had the assessment regulatio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t the school building level, however test modifications regulations were listed for limited subjects. Fourth, the IEP team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t elementary level relatively made more evaluation-related decisions than those at secondary level. Lastly, the IEP teams considered a student’s types and degree of disability, parents’ opinions and his/her present performance level when their decision for evaluation practices. The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evaluation practices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partially included in general education classes were provided.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간제 통합 특수교육대상학생의 평가 참여의 방식과 내용, 평가조정 관련 의사결정 등 학업성취도 평가 실태를 파악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었다. 이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반학교에 재직 중이고 통합교육 경험이 있는 초ㆍ중등 특수교사 1,03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시간제 통합교육을 받는 특수교육대상학생들에게 적용되는 평가 유형과 방법은 학교급별로 다른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초등 과정에서는 공통교육과정의 내용을 수정하여 가르치고 평가하는 등 담당교사에 따라 학생들이 참여하는 평가유형이 달라지는 반면에, 중등 과정에서는 비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평가와 거의 차이가 없었다. 둘째, 수행평가에 참여하는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을 위한 특수교사의 지원은 평가 환경 및 평가 자료의 수정이 주를 이루었다. 셋째,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평가 관련 규정 면에서, 중등 과정은 신체장애를 가진 학생에 대한 평가조정 지침 위주로, 초등 과정은 신체장애 및 인지적 장애를 가진 학생을 위한 평가조정 지침을 포함하는경우가 다수였다. 넷째, 중등 과정은 초등과정에 비해 평가 관련 의사결정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평가 참여 및 평가조정에 대한 사항이 IEP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가 절반을 넘었다. 다섯째, 개별화교육지원팀에서 평가와 관련된 의사결정을 할 때 학생의 장애 유형과 장애 정도, 보호자의 의견, 학생의 현재 기능 수준을 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에서는 이러한 학교급별 실태 조사 결과의 의미를 해석하고, 향후 시간제 통합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학업성취도 평가의 개선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하였다.

      • KCI등재

        학생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천

        김신영(Kim, Shinyou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14 교육평가연구 Vol.27 No.1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에 의한 학생평가는 학생들의 무엇을 배우고 있고 얼마나 잘 배우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접근이다. 학생평가가 제대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먼저 교사들이 학습을 촉진할 수 있는 수업과 학생평가의 특성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생의 학습을 돕고 개선을 촉진할 수 있는 학생평가의 특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실천 정도, 학생평가의 개선을 위한 노력 정도 등을 분석해 보았다. 연구결과, 교사들의 학생평가의 특성에 대한 이해수준은 비교적 높았으나 이해하고 있는 것만큼 실천으로 옮기고 있지는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수업운영전략으로의 평가 활용, 학습의 자율권 및 자기평가의 기회제공, 평가결과에 대한 의사소통 등에 대해서는 개선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을 제고하기 위한 연수프로그램의 개발과 체계적인 전문성 신장을 위한 정책 방안의 모색에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A substantial proportion of teacher's time is devoted to activities which involve evaluation of student products and behavior, and evaluation by teacher has powerful direct and indirect impact on student's learning. Therefore, particular attention should be given to teacher's professional qualifications on student assessment. If teachers wish to improve their assessment and instructional practice, they should examine the underlying cognitions that inspire these pract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eacher's cognitions and implementation on student assessment, and whether the cognitions or implementation differ by school level or teacher's carrier. The results show that most teachers deeply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role of student assessment, but most also admit that they are rarely implemented as well as they understand. There are mismatches between teacher's cognition and implemen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yield a set of implications that can be applied in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and student assessment policy.

      • KCI등재

        학생들의 평가 믿을만한가? 체육수업 구르기 활동에 대한 교사와 학생주도 평가 비교

        배정임(Jeong Ym Bai),박형란(Hyoung Ran Park),이만석(Man Seok Lee),이한주(Han Ju Lee)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1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3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의 수행에 대한 교사평가와 학생주도 평가 점수를 비교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학생주도 평가의 평가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발달단계, 친구관계, 그리고 채점자 훈련교육에 따른 학생주도 평가점수를 교사평가 점수와 비교하였다. 여자 중·고등학생 272명(중학생 138명, 고등학생 134명)은 각 학교급에 따라 체조 단원의 구르기 과제 학습 및 평가에 참여하였다. 구르기 과제의 평가도구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개발한 평가기준 도구와 서울시교육청 학생 평가 자료집의 체조편 매트운동 평가기준 예시안을 이용하였다. 교사평가와 학생주도 평가에 따라 평가된 평가점수는 과제 학습 이전과 이후에 기록되었으며 이 연구의 목적에 따라 반복측정에 의한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생주도 평가점수가 교사평가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채점자 훈련교육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채점자 훈련교육을 받은 집단의 학습 후 평가점수가 교사평가 점수와 비슷하게 나타났다. 셋째, 발달단계에 따른 학생주도 평가점수에서 중학생은 동료평가, 고등학생은 자기평가 점수가 교사평가 점수와 비슷하게 나타났다. 넷째, 친구관계에 따른 평가는 중, 고등학생 모두 친한 친구에게 관대한 점수를 주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학습자에게 명확한 평가기준 제공과 적절한 채점자 훈련 교육을 실시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동료평가의 공정성을 왜곡시킬 수 있는 친구관계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erformance assessment scores evaluated by students and teacher in physical education. Research questions were (1) Were there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ssessment on the same performance? (2) Does training improve students; assessment ability? (3) Does developmental stage affect students` performance assessment? (4) Was students` assessment affected by their friendship? A total of 272(7th graders=138, 10th graders=134) femal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Both teacher and students evaluated forward-roll performance in gymnastics during physical education (PE) class. Gymnastics movement Evaluation Instrument developed by the Korean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2001) and Gymnastics Mat Exercises Evaluation Standard” developed by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2008) were utilized for collecting data. Analysis of variance with repeated measure was used to analize the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eer assessment scores significantly were the high than teacher`s scores. Second, assessment scores by rater training education did not have effects on peer assessment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ird, student`s assessment scores depending on the stage of development of inter-rater, peer assessment scores were higher than teacher assessment scores. Fourth, sudents` scores were higher for students that they thought they are close friends than students that they did not. Discussions were provided to enhance the effective use of students` evaluation in PE class.

      • KCI등재

        단위학교 학생평가 결과를 활용한 학생 개인별 성장 모니터링 방안 연구

        김인숙,박종임,배화순,지영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0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inuously, individually monitor a student’s growth by utilizing student assessment data in response to a recent student assessment paradigm and associated policies, so that student assessment data can be used as useful information to help students grow and develop. For this, the direction of the monitoring system for individual student growth was explored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student assessment data in schools and previous domestic and abroad cases of the individual student’s growth monitoring system. The 'student growth monitoring system' which provides teachers with student data was developed in order to keep a comprehensive analysis of recorded data and to conveniently manage the assessment results of students. The system was applied to seven middle schools and one high school for Korean Language, Social Studies and Science, and ways to utilize growth monitoring inform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ilot test were explored. A satisfaction survey was done with a total of 210 students and 8 teachers. To conclude, both students and teachers showed the most positive response to the feedback and improvement aspects of the assessment that the growth monitoring system developed in this study. Opinions on system improvement were also focused primarily on feedback and information enhancement for further improvement of learn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policy suggestions were made to develop student growth monitoring system utilizing student assessment data. 본 연구는 최근의 학생평가 패러다임 및 관련 정책의 변화에 부응하여 학교 현장에서 산출되는학생평가 데이터를 활용하여 학생의 성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함으로써 학생평가 데이터가 단순히성적 산출에만 활용되는 것이 아니라 학생의 성장과 발달을 돕는 유용한 정보로써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마련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우선 학생 개인별 성장 모니터링 방향을 마련하기 위해 단위 학교에서의학생평가 데이터 활용 현황과 국내외 학생 개인별 성장 모니터링 사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는 학생평가 데이터 생성 및 기록, 활용 관련 문서와 학생평가 데이터의 유형 및 포함 정보를분석하여 국내의 교실 평가 상황을 파악하였다. 또한 교과별로 모니터링 세부 방안을 마련하였는데구체적으로는 모니터링 기준인 성장요소를 설정하여 이를 성취기준과 연계하고, 성장요소 수준진술문과 성취기준 요약 진술문을 개발하였다. 끝으로 이러한 교과별 세부 방안을 적용하여 학생 개인별모니터링을 할 수 있도록 학생 개인별 성장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시범 적용하였다. 시범적용과 설문은 중학교 2학년 3개 학급, 중학교 3학년 4개 학급, 고등학교 1학년 1개 학급에 대하여학생 210명, 교사 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종합하면, 학생과 교사 모두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성장모니터링 프로그램이 가지고 있는 평가의 피드백 측면, 학습 개선 측면에 대해서 가장 긍정적인 반응을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학생 개인별 성장 모니터링 프로그램 활용도 제고를 위한제언을 하였다.

      • 학생의 교사평가에 대한 교사 경험

        김선영(Kim Seon-Young),정광순(Jeong Kwang-Soon) 한국교육실천연구학회(한국교육포럼) 2009 韓國敎育論壇 Vol.8 No.2

        이 연구는 초등학생들이 작성한 교사평가지 및 교사 질문지와 면담을 자료로 학생의 교사평가로부터 교사들이 어떤 경험을 하였는가를 연구하였다. 첫째, 교사평가를 통해 교사는 학생들의 ‘칭찬’을 받고 있었다. 이를 통해 교사는 교실에서 자신의 교육 활동이 성공적임을 확인 받는 기회를 가졌다. 둘째, 학생의 교사평가를 통해 교사는 교사로서 성장하는 ‘채찍’으로 삼았다. 교사평가지에 학생들은 교사의 크고 작은 실수나 잘못을 지적하여 상기시켜 주었는데, 이러한 응답을 교사는 스스로를 돌아보며 성찰하는 기회로 삼았다. 셋째, 교사평가지 속 응답을 통해 교사는 학생과 ‘소통’하였다. 교사들은 학생의 교사평가를 통해서 학생에 대한 구체적이고 상세한 정보들을 얻고 있었는데, 이를 통해 교사는 현장에서 학생의 요구에 교육적으로 반응하는 방식을 배우고 있었다. 교사평가의 궁극적인 목적이 교사로서의 성장 촉진에 둔다면, 교사를 평가 영역은 교실 교육을 기반으로 교사와 학생에게 실제로 필요한 항목이어야 할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이 연구 결과에서 나온 학생의 교육 만족도에 대한 인식정도, 교사의 자기 성찰 정도, 학생과의 소통능력 발전 정도 등이 교사를 평가하는 주요 항목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riteria of teacher evaluation through exploring teachers' experiences in being evaluat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by their own initiative, were given the teacher evaluation by their class students. The research data gathered from evaluation paper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three major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Compliments.' Students praised for teacher's efforts. They also gave good words about teacher's enthusiastic teaching and educational activities. Second, 'Whip.' Students pointed out teacher's mistakes like whipping and criticized teacher's actions. Third, 'communication.' On the teacher evaluation papers, students poured information sources. Teachers responded thoughtfully and attentively to their students' evaluations. In conclusion, those meanings were linked to teacher's growth. As the aim of teacher evaluations should place the focus on the teachers' growth, the criteria of teacher evaluations are established based on the components inherent in teacher growth and professionalism. From the results, practical evaluation criteria should include the following: (a)recognition of the teachers' influence on students, (b)teachers' self reflection, (c)mutual understanding.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사회과 학생평가에 대한 인식 및 전문성 분석

        홍서영(Hong, SuhYoung),한동균(Han, DongKyun)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7 사회과교육 Vol.56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초등 사회과의 학생평가 실태 및 인식을 조사하고, 사회과 학생평가의 전문성 정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 교사들은 사회과 학생평가의 방법으로 서답형 지필검사가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하며, 현재 이를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었다. 또한 사회과 학생평가 방법의 선정 기준으로 평가의 목적을 가장 많이 고려하고 있으며, 평가활동 시 서답형 채점의 일관성 유지와 평가문항의 타당도와 신뢰도 확보에 어려움을 나타내고 있었다. 그리고 사회과 교수 . 학습에서 학생평가를 교육활동의 중요한 요소라고 인식하고 있으며, 현재의 선다형 평가방식의 질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사회과 학생평가에 있어서 교사에게 가장 중요한 능력으로 평가방법에 대한 이해 및 문항 개발 능력을 지목하고 있었다. 한편, 초등학교 교사들은 전반적으로 사회과 학생평가에 대한 전문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지만 평가도구의 개발 등에 대한 전문성은 다른 영역에 비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라 사회과 학생평가 전문성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성별과 평가 관련 연수 이수 여부는 사회과 학생평가 전문성과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심화전공, 교사 경력, 평가 과목 수강, 학력 등에 따라서는 사회과 학생평가 전문성의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사회과 학생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사의 성별, 경력, 평가관련 연수 이수 여부였으며, 그 외 대학에서의 심화전공이나 평가 관련 과목 수강 및 교사의 학력은 사회과 학생평가 전문성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This study investigated current situations and awareness of student assessment in social studies in elementary schools among teachers and analyzed degree of professionality of student assessment in social studies and influencing factors. This study observe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 short-answer examinations as the most appropriate form for evaluation in social studies and this form has been widely adopted. In addition, the objective of evaluation was commonly considered for selection criterion as the evaluation method for social studies. It also found that consistent grading of short answer questions and guarantee of validity as well as reliability in evaluation questions are challenging. Student assessment is a crucial element in an educational activity for instruction and learning of social studies. They also perceived that the quality of current multiplechoice examinations should be upgraded. In addition, they selected understanding of evaluation methods and development of questions as the most crucial skills required for teachers in terms of evaluation in social studies. Meanwhile,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generally specialized in student assessment in social studies, while they are less proficient in development of evaluation tools compared to other areas. This study explored if there is a difference in evaluating professionality in social studies depending on variables of teachers’ backgrounds. Gender and training completion are associated with evaluating professionality in social studies; whereas,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nsive major, teacher career, attending evaluation courses, and academic degrees. Influencing factors on student assessment in social studies include teacher gender, career, and completion of evaluation training. However, intensive major in university, attending evaluation-related courses, and academic degrees did not affect student performance in social studies.

      • KCI등재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에 영향을 주는 변인 탐색 연구

        임은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1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that affect teacher's competency for student assessment and to find out the strategies to improve the competency.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on 454 teachers from elementary schools, 191 from middle schools, and 227 from high schools to evaluate the teachers’ competency for student assessment, The scale of teacher's competency for student assessment is composed of the following: “planning assessments and developing tools”, “assessment adminstration”, “feedback”, “ethics and compliance with legal procedur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affecting the teacher's competency of student assesment, the general linear model analysis was employed using teachers’ sub-competencies of student assessment as dependent variables; teachers’ school levels, gender, years of teaching, whether or not to take a subject related to student assessment and the types of training/workshops participated in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general linear mode have shown that school level, gender, years of teaching, some training/workshop related to students assessment participa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reas taking courses related to student assessment at the university and training/workshops for student assessment did not affect the teacher's competency for student assessment. Nonetheless,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competency of the teachers who took courses related to student assessment was higher than that of those who did not take such courses. The comparison of the teachers’ competence according to their participation in training/workshops has indicated that taking the courses related to curriculum, teaching and learning, and subject competency partly affected the teachers’ sub-competency of student assessment while no such difference was observed in taking the student assessment training/workshops. Based on the results, in order to improve the competency, we need to understand the teacher competency for student assessment by school levels that teachers attend. Also the standards of the teachers competency for student should be developed with consideration for school levels. Since the student assessment courses at the university offer the basic skill and knowledge for pre-service teachers, universities should develop and provide high quality programs for student assessment. Training/workshops related to student assessment should be reconstruct to enhance the teacher's competency for student assessment Last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specific and detailed training/workshops focused on sub competencies rather than overall competencies for student assessment.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탐색하고, 역량을 증진할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초등학교 454명, 중학교, 191명, 고등학교 227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인 “평가계획 및 도구 개발” 역량, “평가시행” 역량, “결과환류” 역량, “윤리성 및 법적 절차 준수” 역량을 온라인으로 조사하였다.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탐색하기 위해 교사의 학생평가 하위 역량을 종속변인으로 학교급, 성별, 교직경력, 학생평가 관련 과목 수강 여부, 교육 관련 연수/워크숍을 독립변인으로 하는 일반선형모형 분석을 하였다. 독립변인 중에서는 교사의 소속 학교급, 성별, 교직경력, 일부 연수/워크숍 유형이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에서의 학생평가 관련 과목 수강 여부와 학생평가 관련 연수/워크숍을 참여 여부는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학생평가 관련 과목을 수강한 교사의 역량이 수강하지 않은 교사의 역량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참여한 연수/워크숍에 따른 교사의 역량 정도를 비교한 결과 교육과정, 교수학습, 교과역량에 연수/워크숍 참여가 일부 학생평가 하위 역량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생평가 연수/워크숍 참여는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통해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을 증진하는 방안은 다음과 같다. 학교급 상황을 고려하여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을 이해할 필요가 있고, 학교급에 적합한 학생평가 역량 기준을 설정해야 한다. 대학의 학생평가 관련 수업은 교직경력이 없는 예비교사에게 학생평가 역량의 기초가 될 수 있어서 양질의 학생평가 과목을 개발하고 제공해야 한다. 학생평가 관련 연수/워크숍은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을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인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학생평가 역량을 총합적으로 증진시키는 것보다, 하위 역량에 중점을 둔 구체적이고 세분화된 연수/워크숍 개발이 필요하다.

      • KCI등재

        교실내 학생평가의 운영실태와 개선 방향

        김신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8 No.3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에 의한 학생평가는 학생들이 무엇을 배우고 있고 얼마나 잘 배우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접근이다. 따라서 교사가 학생평가를 실시함에 있어 무엇보다 중시해야 할 것 은 학생의 학습활동을 이해하고 학습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학생평가의 교육적 기능을 강화하는 일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실내 학생평가의 교육적 기능이 어느 정도 구현되고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 해 중등학교 방문과 교사대상 심층면접 및 설문조사를 통해 학교현장의 학생평가 운영실태와 교사의 학생평가활동의 실행수준을 살펴보고, 학생평가의 교육적 기능이 강화되기 위해서는 어떤 변화와 노 력, 그리고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지를 점검해 보았다. 학교현장에서의 학생평가 운영실태와 교사집단의 학생평가활동에 이해 및 실천 정도에 대한 탐색 및 분석 결과는 학생평가의 교육적 기능을 강화하 고 교사의 평가전문성 신장을 위한 정책방안 모색에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A substantial proportion of teacher's practice is devoted to activities which involve evaluation of student products and behavior, and classroom assessment by teacher has powerfully direct and indirect impact on student's learning. Particular attention should be given to teacher's professional competencies on student assessment, which requires detail informations on classroom assessment implemented. If teachers wish to improve their assessment and instruction skills, they should internalize the underlying knowledges and skills that inspire their practices and understand what is going on in the classroo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lementation of classroom assessment and teacher's professional competencies on student assessment. Site visits to middle and high schools are conducted to explore the level of educational function of student evaluation, and also in-depth interviews and surveys for teachers are performed to examine the school plan of student assessment and teachers' evaluation activities. It is identified that changes, efforts, and administrative supports are needed to strengthen the educational function of the classroom assess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a set of implications that can be applied in development of teachers' professional competency and classroom assessment poli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