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역량중심 교육과정의 핵심요소가 중학생의 역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길혜지,김주아 한국교육학회 2018 敎育學硏究 Vol.5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key elements of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on competenc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Korea. Using 9th grade student data from 2017 KEDI Survey Research on Student Competencies, 55 middle school and 2,769 students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2-level multilevel analysis was conducted with competencies extracted based o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analyzing basic model indicates that the overall distribution of students’ competencies can be explained by the student’s factor than school ’s factor. Second, the analysis of the final model shows that students’ differences (gender, physic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cademic achievement levels, peer relationship, and experiential activities) and family related backgrounds (parental support) are positively effect on their competencies. Moreover, the school-level variables, which are the teacher-student ratio and teaching method(structured class, collaborative project-based learning)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competencies significantly. Especially, the key elements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like student-participatory activities, the meanings of learning, process-based assessment had aldo positively effects on competencies. The results implies that education needs to encourage their students to internalize the meanings of learning, take personal initiatives through curriculum so as to improve their competencies. 이 연구는 역량중심 교육과정의 핵심요소들, 즉, 학생참여형 수업, 교과내용의 의미 내면화, 과정중심평가, 그리고 평가 및 피드백이 중학생의 역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에서 2017년에 수집한 KEDI 학생역량 조사 자료 중에서 전국의 55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3학년 2,769명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개정 교육과정에서 명시한 6가지 핵심역량을 종합하여 산출한 역량지수를 종속변수로 하여 2수준 다층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모형 분석결과, 중학생 역량은 학생수준의 특성들이 94.9%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나 역량중심 교육의 핵심적인 주체가 학생임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최종모형 분석결과, 학생과 학교수준의 배경변수 중에서는 여학생, 신체적 및 심리적 건강상태, 주관적 학업성취 수준, 부모의 지원적 양육태도, 교사의 1인당 학생 수가 중학생의 역량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리고 학생과 학교수준의 과정변수 중에서는 친구와의 관계, 체험활동과 자치활동, 독서, 예술, 체육 활동, 수업방법(구조화된 수업, 협동학습)의 정적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역량중심 교육과정의 핵심요소라고 할 수 있는 학생 참여형 수업과, 교과내용의 내면화, 과정중심평가 역시 중학생의 역량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학생들이 학습의 의미를 스스로 찾고 주도적으로 학습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향으로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것이 중학생의 역량을 증진하는 데 핵심적인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진로 역량 도출 및 타당화

        박재경,이건남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6 實科敎育硏究 Vol.22 No.1

        이 연구는 지적장애 초등학생에게 요구되는 진로 역량을 도출하고, 델파이 방법을 적용하여 개발한 역량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 목적을 위하여 관련 선행연구 및 문헌을 분석하고 종합하여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진로 역량 초안을 구성하였고, 전문가 협의를 거쳐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진로 역량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개발한 역량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교육전문직 및 연구원, 특수학교 교감 및 교사, 특수학급 교사로 구성된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2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정 및 보완을 거쳐 타당성을 확보하여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진로 역량을 최종적으로 확정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 도출된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진로 역량은 비장애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진로 역량 관련 연구에 비교하여 볼 때 기초직업능력을 포함하고 있다. 둘째, 이 연구에서 도출된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진로 역량은 지적장애 학생의 진로 역량 관련 선행연구 및 문헌과 비교하여 볼 때 구체적인 직업적 능력은 포함하고 있지 않다. 셋째, 이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생에 재학 중인 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진로 역량 관련 연구가 부족한 실정에서, 지적장애 초등학생에게 필요한 진로 역량을 도출하였다. 넷째, 이 연구는 전체 특수교육 대상자 중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지적장애 학생에게 필요한 진로 역량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duct and valid career competencies required for elementar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y using literature research and the delphi method. To achieve the purpose,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related to career competenci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explored and subsequently synthesized and analyzed. Career competenci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developed by literature research method and expert conference. A delphi study was conducted twice for expert panels so as to verify the validity of capabilities. Expert panels consisted of educational professionals and researchers, teachers and a vice-principal of a special-education school, and teachers of special education classes. First, career competencies for elementar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derived from this research included key competencies. Second, Career competencies for elementar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derived from this research not included the ability to specific job. Third, in addition to the lack of research of career in the elementar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is study was to deduct career competencies for elementar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rth, this research was to deduct career competencies in required for elementar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rates are especially high among special needs student

      • KCI등재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 연구

        임은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9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2 No.1

        최근의 학생평가 동향인 과정 중심 평가, 고교학점제, 교사별 학생평가, 대입전형에서의 수시 비율의 확대 등에 의해 교실 단위의 학생평가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고, 이와 함께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18개 문항으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척도를 개발하였다. 척도에는 최신 학생평가 동향인 과정 중심 평가와 성취평가제의 특성을 측정할 수 있는 문항들을 포함하여, 최신 학생평가와 관련된 역량을 실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학생평가 역량 조사는 온라인 설문으로 진행되었고, 총 1,307명의 교사가 응답에 참여하였다. 이 중 300명의 교사의 응답을 척도 타당화를 위해 사용하였고, 나머지 1,007명의 교사 응답을 바탕으로 실태조사를 하였다. 척도 타당화를 위해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고, 척도는 평가시행(α=0.919), 평가계획 및 도구개발(α=0.913), 윤리성 및 법적절차 준수(α=0.938), 결과환류(α=0.876), 4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개발된 척도를 활용하여 학교 급에 따라, 교사의 교육 경력에 따라, 성별에 따라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 실태조사를 하였다. 초등 교사가 모든 요인에서 다른 학교 급 교사에 비해 학생평가 역량을 높이 인식하고 있었고, 중학교, 고등학교 순으로 역량을 인식하고 있었다. 남녀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은 모든 요인에서 초중고 모두 차이가 크지 않았으며, 교육 경력별로는 경력이 오래될수록 자신의 역량이 높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최근 학생평가 정책에 대한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을 살펴보면 과정 중심 평가와 관련된 항목들이 성취평가와 관련된 항목보다 높은 평균을 보였다. The importance of student assessment in the classroom has been increasing due to recent trends and polices on student assessment, and so has the importance of teachers’ competencies in student assessment. In this study, a self-report scale was developed to measure teachers’ competencies in student assessment. The scale is composed of 18 items including the latest student assessment polices: process-oriented assessment and standard-based achievement assessment system. The survey using the scale was conducted online and a total of 1,307 teachers participated. Among the responses, the responses of 300 teachers’ were used to validate the scale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hose of 1007 teachers’ were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teachers’ competencies in student assessment. Based on the factor analysis, the scale consists of four factors: administering student assessment (α = 0.919), developing assessment (α = 0.913), ethics and legal process (α = 0.938), and feedback and usage for assessment results (α = 0.876). With the developed scale, teachers’ competencies in student assessment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s, the years of educational experience, and gender. The results showe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mpetencies were highest in all factors followed by middle school teachers’ and then high school teachers’. Also, there were no meaningful gender differences between the school levels in all four factors. According to the years of educational experience, the longer the teachers have served, the higher they think their competencies are. Regarding the recent student assessment policies, the mean of the items related to the process-oriented evaluation was higher than those related to the standard-achievement evaluation.

      • KCI등재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에 영향을 주는 변인 탐색 연구

        임은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1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that affect teacher's competency for student assessment and to find out the strategies to improve the competency.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on 454 teachers from elementary schools, 191 from middle schools, and 227 from high schools to evaluate the teachers’ competency for student assessment, The scale of teacher's competency for student assessment is composed of the following: “planning assessments and developing tools”, “assessment adminstration”, “feedback”, “ethics and compliance with legal procedur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affecting the teacher's competency of student assesment, the general linear model analysis was employed using teachers’ sub-competencies of student assessment as dependent variables; teachers’ school levels, gender, years of teaching, whether or not to take a subject related to student assessment and the types of training/workshops participated in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general linear mode have shown that school level, gender, years of teaching, some training/workshop related to students assessment participa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reas taking courses related to student assessment at the university and training/workshops for student assessment did not affect the teacher's competency for student assessment. Nonetheless,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competency of the teachers who took courses related to student assessment was higher than that of those who did not take such courses. The comparison of the teachers’ competence according to their participation in training/workshops has indicated that taking the courses related to curriculum, teaching and learning, and subject competency partly affected the teachers’ sub-competency of student assessment while no such difference was observed in taking the student assessment training/workshops. Based on the results, in order to improve the competency, we need to understand the teacher competency for student assessment by school levels that teachers attend. Also the standards of the teachers competency for student should be developed with consideration for school levels. Since the student assessment courses at the university offer the basic skill and knowledge for pre-service teachers, universities should develop and provide high quality programs for student assessment. Training/workshops related to student assessment should be reconstruct to enhance the teacher's competency for student assessment Last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specific and detailed training/workshops focused on sub competencies rather than overall competencies for student assessment.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탐색하고, 역량을 증진할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초등학교 454명, 중학교, 191명, 고등학교 227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인 “평가계획 및 도구 개발” 역량, “평가시행” 역량, “결과환류” 역량, “윤리성 및 법적 절차 준수” 역량을 온라인으로 조사하였다.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탐색하기 위해 교사의 학생평가 하위 역량을 종속변인으로 학교급, 성별, 교직경력, 학생평가 관련 과목 수강 여부, 교육 관련 연수/워크숍을 독립변인으로 하는 일반선형모형 분석을 하였다. 독립변인 중에서는 교사의 소속 학교급, 성별, 교직경력, 일부 연수/워크숍 유형이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에서의 학생평가 관련 과목 수강 여부와 학생평가 관련 연수/워크숍을 참여 여부는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학생평가 관련 과목을 수강한 교사의 역량이 수강하지 않은 교사의 역량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참여한 연수/워크숍에 따른 교사의 역량 정도를 비교한 결과 교육과정, 교수학습, 교과역량에 연수/워크숍 참여가 일부 학생평가 하위 역량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생평가 연수/워크숍 참여는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통해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을 증진하는 방안은 다음과 같다. 학교급 상황을 고려하여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을 이해할 필요가 있고, 학교급에 적합한 학생평가 역량 기준을 설정해야 한다. 대학의 학생평가 관련 수업은 교직경력이 없는 예비교사에게 학생평가 역량의 기초가 될 수 있어서 양질의 학생평가 과목을 개발하고 제공해야 한다. 학생평가 관련 연수/워크숍은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을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인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학생평가 역량을 총합적으로 증진시키는 것보다, 하위 역량에 중점을 둔 구체적이고 세분화된 연수/워크숍 개발이 필요하다.

      • KCI등재

        과학영재 학생연구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과 지도자의 연구역량에 대한 인식

        최진수(Jinsu Choi),김영민(Young-min Kim),이영주(Young Ju Lee) 한국영재학회 2021 영재교육연구 Vol.31 No.3

        본 연구에서는 과학영재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생연구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학생들의 연구역량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학생과 지도자의 인식차이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학생연구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에게 사전, 사후 연구역량에 대해 자가진단하여 응답하도록 하였고, 지도자에게는 직접 지도했던 학생들의 연구역량에 대하여 평가하고 응답하도록 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학생은 과학고 164명, 영재학교 60명으로 총 224명이고, 참여한 지도자는 과학기술특성화대학의 교수 27명과 대학원생 49명이다. 연구역량은 연구단계와 학습목표에 따라 기초연구역량, 사전연구역량, 집중연구역량, 사후연구역량 4개 하위요인으로 구분하여 5점 Likert 척도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연구 프로그램 통해 학생들의 연구역량은 효과적으로 증가하였다. 둘째,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이 영재학교 학생들보다 본인의 연구역량이 높다고 인식하였고, 교육적 효과도 더 큰 것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학생과 지도자의 인식을 비교한 결과, 학생이 인식한 본인의 연구역량이 지도자가 평가한 연구역량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영재 고등학생들에게 요구되는 연구역량에 대한 이해와 이를 바탕으로 연구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ducational effects of research programs on perceptions of research capabilities for science gifted high school students and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and leaders" perceptions. 224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ent creative research program answered the research capacity survey of pre- and post-program. Students who had been participated were evaluated based on their research capacities, which were analyzed across four sub-factors: basic-, pre-, intensive and post-research, according to the research stage and learning goa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education program effectively increased students" research capacities. Second, students attending science high schools recognized that their research capacities and educational effects were higher than those of gifted high school science students... Third, a comparison of perceptions showed that students" recognition of their own research capacities were higher than those evaluated by leader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eas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research capacity for science gifted high school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planning specialized research education programs to strengthen an individual’s research capacity in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 KCI등재

        초·중등 영재학생들의 영재성과 미래핵심역량 비교 : 농촌지역 학생들을 중심으로

        윤찬희(Yoon, Chanhee),전미란(Chun, Mir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3

        급변하는 지식기반사회에 발맞추어 미래핵심역량이 강조되고 있으며 영재교육 분야에서도 미래사회에 필요한 핵심역량을 골고루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래핵심역량 진단 검사지를 활용하여 영재학생들의 핵심역량 수준을 일반학생들과 비교하고 이를 영재성검사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으며 두 검사의 상관이 매우 높거나 매우 낮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인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중등 영재학생 총 80명과 같은 지역의 일반학생 80명이 참여하였으며 자료는 영재학생들 수업이 있는 5월~8월 사이에 수집 분석되었다. 영재학생들의 미래핵심역량은 모든 하위 영역에서 일반학생들보다 우수하였으나 각 하위 영역별로 영재학생들에게도 충분하지 못한 요소가 나타났다. 또한, 영재성 검사와 핵심역량 수준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 회귀분석 결과 창의역량을 제외하면 자기주도역량이나 사회역량은 영재성검사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현재는 주로 영재 선발을 위하여 영재성검사를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창의·융합형 미래사회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창의역량 외에 자기주도역량, 사회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가 별도로 개발될 필요가 있음을 알게 되었으며 영재교육 현장에 필요한 시사점을 찾을 수 있었다. It is necessary to educate to adapt in a knowledge-based society, and the future core competency is emphasized. In the field of gifted education, it is emphasized to cultivate creative convergent talents with core competencies necessary for future society in line with these social trend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ore competency level of gifted students compared with general students. 80 gifted students and 80 general students in the same region were participated, and data was collected between May and October when gifted students have classes. Gifted students responses to each item were examined in detail,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giftedness test and the core competency level in the selection process was verified. Also,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some exceptional student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 of the students.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if we look at each of the sub-areas, there are some elements that we need to pay attention for gifted students.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giftedness test and the core competence level. Also,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only Creative Competency of th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giftedness. In order to cultivate future-oriented social tal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ool that can separately measure self-directed competence and social competence in addition to creative competence.

      • KCI등재

        학생중심 역량기반 수업계획서 개발 사례 연구

        조진숙(Jinsuk Cho),전영미(Youngmee Jeon) 한국열린교육학회 2023 열린교육연구 Vol.31 No.2

        본 연구는 최근 강조되고 있는 역량기반교육의 내실화를 위해 학생중심의 역량기반 수업계획서를 개발한 사례 연구이다. 문헌연구, 전문가자문, 기존 수업계획서에 대한 분석, 파일럿 테스트 결과를 토대로 기존 수업계획서와 구분되는 학생중심 역량기반 수업계획서를 개발하고, 개발된 수업계획서에 대한 학생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파일럿 테스트 참여 교과목을 수강한 학생 155명과 최종 수업계획서에 대한 만족도 설문에 참여한 학생 246명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중심 역량기반 수업계획서의 구성요소는 핵심역량, 전공역량, 교과개요, 학습성과, 수업운영방식(운영방식/세부진행방식), 평가방법(평가항목/세부기준), 수업규정, 주차별 수업계획(학습성과, 학습내용, 수업진행방식, 학생들의 학습활동(수업전, 중, 후), 수업자료 등이다. 둘째, 파일럿 테스트에 참여한 학생들은 새롭게 개발된 수업계획서의 구성요소의 적합성에 대해 4.25이상의 높은 점수를 주었다. 특히 주차별 수업진행방식과 학생활동 구성요소의 점수가 높았다. 또한 수업계획서의 구성요소가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다는 의견 역시 많았다. 셋째, 파일럿 테스트 결과를 반영하여 시스템으로 구현된 최종 수업계획서에는 핵심역량 및 전공역량과 교과목과의 연계성 요소가 추가되었으며, 학습성과요소에 교과목표를 부제로 보완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수업계획서에 대해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만족하며 학습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역량기반교육의 내실화를 위해서는 대학의 상황과 역량기반교육에 적합한 수업계획서를 개발해야 한다는 점, 그리고 개발된 학생중심 역량기반 수업계획서가 실질적으로 학습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교수들을 대상으로 수업계획서를 구체적으로 작성하도록 지원하고 실제 수업에서 학생과 함께 수업계획서를 많이 활용하도록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 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is a case study on competency-based syllabus design for college students.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professional advice, analysis of an existing syllabus, and pilot study results, a competency-based syllabus for college students was designed. And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is syllabus was analyzed. For this study, 8 professors and 155 students in the pilot study and 264 students completed a survey questionnaire to analyze th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syllabus design. Results indicate the following. First, the competency-based syllabus components were core competency, major competency, subject outline, learning outcomes, classroom operation methods, assessment methods, class rule, weekly lessons plans (learning outcomes, learning content, classroom operation methods, student learning activities-pre class, during class, after class), and learning materials. Second, students showed very positive perceptions of the suitability of syllabus components, especially of the class operation methods and students’ learning activities in weekly lesson plans. Additionally, students' perceptions of the specificity of the syllabus were also favorable. Third,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final competency-based syllabus for students and anticipated it would be helpful for their learning.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that the competency-based syllabus design for students should be central to a university’s mission to provide competency-based education. Furthermore, the university should regularly and consistently conduct workshops or training for professors to write syllabuses with more specifics and to use them actively during their classes.

      • KCI등재

        중등학교 학생부 교사의 역량모델링

        서명희(Seo, myunghee),김민정(Kim, min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9

        최근 학교 폭력 등 다양한 학내 문제의 발생과 해결이 중요한 이슈가 되면서, 학생부 교사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중등학교학생부 교사의 직무를 정의하고, 학생부 교사들에게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지 구체적 으로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가장 먼저 학생부 교사의 직무를 정의하기 위해 단위학교의 업무 분장표와 관련법을 분석하였으며, 교사들의 역량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학생부 교사와 유관한 역량을 추출하였다. 이와 함께 현직 학생부장 교사 5명과 개별 심층인터뷰를 통해 역량의 내용을 추가하여 학생부교사의 잠정적 역량을 도출하였다. 그런 다음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잠정 도출된 역량을 수정하였다. 마지막으로는 도출된 역량의 타당도를 획득하기 위해 일선에 있는 현직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7개 역량군18개 역량을 최종적으로 확정하였다. 연구결과, 도출된 학생부 교사의 역량은 일반교원의 역량에 비하여 학생들에 대한 열정과 인성적 자질, 학생들에 대한 본보기 역할을 위한 자기관리영역과 문제해결능력 등이 강조되었다. 연구결과는 향후, 교사들의 인사배치, 연수프로그램 개발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as the cause and resolution of various school problem such as violence has become a very important issue, the role of the ministry of the student teacher becomes more important than ever before.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role of secondary school the ministry of the student teacher and find out concretely what the desired competency for the teacher is. Firstly, to define the role of the ministry of the student teacher, analyzing segregation of duties and related laws in school unit was conducted and relevant competencies for the ministry of the student teacher were extracted through related literature review about competency for school teachers. Secondly, potential competencies of the ministry of the student teacher were deducted through adding more detailed contents by in-depth individual interview with 5 current head teachers. After that, Delphi survey of focus group was implemented to revise potentially designed competency for the ministry of the student teacher. Survey for current teachers was conducted to obtain the validity of potentially designed competencies and finally, 7 units of competency and 18 detailed competencies of secondary school the ministry of the student teacher were settled. The study result has it that passion for students, qualification of personality and self-regulation for role model about the students are especially emphasized in competency of the ministry of the student teacher, compared to that of general teacher. Based on the findings and conclusion of this study, the result will be put to use for base line data such as personnel allocation of teachers and developing training programs.

      • KCI등재

        학생 행위주체성에 기반한 학생 역량 통합관리 시스템 개발과 활용 방안 모색

        문소윤,김하진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11

        본 연구는 학생 행위주체성에 기반한 역량 통합관리 시스템의 개발과 활용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한다. 이를 위해 학생들이 대학에서 활용하고 있는 각종 시스템에 대한 인식과 학생의 스스로 역량 개발·관리에 필요한 요구를 확인하여, 학습의 과정과 결과에 있어서 학생이 온전한 주체가 되는 역량 통합관리 시스템의 개발과 활용에 대해 모색하였다. 먼저, 학생들의 인식과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서 A대학교의 다양한 시스템을 활용해 교내·외 교육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여 FGI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기존 시스템의 문제점에 대한 3가지 주제와 6가지 소주제, 학생들의 새로운 시스템의 기대와 요구사항에 대한 3가지 주제와 8가지 소주제를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학생의 역량 개발·관리를 위한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는 4년제 대학 3곳의 시스템 사례를 조사·분석하여 각 대학 시스템의 특징을 확인하였고, 역량 개발·관리의 주체가 여전히 대학에 있어 학생들의 대학 생활과 학습(역량) 등의 이력을 관리하는 정도로 활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역량 개발·관리의 주도권을 학생으로 옮겨 본인 역량에 대해 자조(自照) 가능한 시스템 즉, 학생 행위주체성 기반의 학생 역량 통합관리 시스템을 구축·활용하기 위한 대학 지원 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university support plan for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an integrated competency management system based on student agency. To this end, we identified the perceptions of various systems used by students in universities and the needs of students to develop and manage their own competencies, and sought ways to develop and utilize an integrated competency management system in which students are a complete subject in learning. First, in order to understand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students, FGI was conducted by selecting students participating in on-campus and on-campus educational activities using various systems of University A. As a result, three themes and six subtopics were derived for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system, three themes and eight subtopics were derived for the expectations and requirements of the new system of students. Nex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university system were identified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system cases of three four-year university operating systems for student competency development and management.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subject of competency development and management is still in the university and is only used to manage the history (competency) of students' college life and learning. Combining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a university support plan to transfer the initiative of competency development and management to students to establish and utilize a system that can self-help for their own competencies, that is, an integrated student competency management system based on student agency.

      • KCI우수등재

        서울 지역 중학생의 역량 발달에 따른 잠재계층 분류 및 영향 요인 분석

        나우열(Wooyoul Na),권연하(Yeonha Kwon),안영은(Youngeun An) 한국교육학회 2023 敎育學硏究 Vol.61 No.1

        본 연구는 중학생의 인지, 사회·정서, 참여자치의 측면에서 역량 실태를 다면적으로 평가하고, 중학생의 균형 있는 역량 발달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해 인지·사회·정서·참여자치 역량 발달의 현황에 따른 잠재계층을 분류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 특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학생종단연구(SELSS) 2020』 1차년도 중학교 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총 97개 학교에 소속된 서울 지역 중학생 3,993명을 대상으로 다층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 지역 중학생의 인지·사회·정서·참여자치 역량에 따른 하위유형을 분류한 결과, ‘전 역량 부족’, ‘인지역량 부족’, ‘전 역량 우수’, ‘사회·정서역량 부족(인지역량 우수)’과 같은 4가지의 이질적인 잠재계층이 도출되었다. 둘째, 잠재계층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특성을 살펴본 결과, 성별, 수업태도, 교우관계, 사회경제적지위(SES)와 같은 학생 특성이 역량에 따른 잠재계층 분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잠재계층 분류에 영향을 주는 학교 특성을 살펴본 결과, 교사분위기, Wee클래스 운영 여부, 비대면수업 비율 등은 인지역량 및 사회·정서역량 측면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의 인지·사회·정서·참여자치 역량의 균형 있는 발달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classified the latent classes of cognitive, social-emotional, and autonomy competencies and analyzed the effects of student and school factors in order to provid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balanced competencies develop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3,993 middle school students data from the first-year middle school panel of the Seoul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of Students 2020 were used and multilevel latent profile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our latent class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competencies. Second, the student factors such as gender, class attitude, friendship and socioeconomic status affected the classification the classes. Third, the school factors such teacher atmosphere, the operation of the WeeClass, and the ratio of online class had a positive effect on cognitive and social-emotional competenc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 balanced develop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competencies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