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아벨라르두스와 원죄론: 아벨라르두스는 펠라기우스주의자인가?

        이성림(Sung Lim Lee) 감리교신학대학교 2021 신학과세계 Vol.- No.100

        이 논문의 목적은 아벨라르두스의 원죄론을 통해서 12세기의 베르나르두스나 근대 신학자들이 이해하듯이 그가 펠라기우스주의자가 아니라는 것을 밝히려고 한다. 아우구스티누스와 펠라기우스의 논쟁이후, 아우구스티누스의 원죄론이 에베소 종교회의(Council of Ephesus, 431)와 오렌지 종교회의(Council of Orange, 529)에서 정통 교리로 받아들여졌다. 12세기에 아벨라르두스는 그의 『윤리학』에서 민감한 교리에 해당하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원죄론을 다시 해석을 하였다. 새로운 해석으로 인해 그가 펠라기우스주의자라는 오해를 받게 되었다. 그러나 아벨라르두스의 원죄론과 펠라기우스적 원죄론은 근본적으로 다르다. 이 글에서 아벨라르두스의 『윤리학』과 『로마서 주석』에 근거하여서 그의 원죄론이 무엇인지 재구성하고, 그의 원죄론이 펠라기우스의 원죄론과 아우구스티누스의 원죄론과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 비판적 검토를 할 것이다. 펠라기우스와 그의 사상은 인본주의적 현대 자유주의적 신학자들에게는 무척이나 매력적인 인물과 사상임에는 분명하다. 그러나 고대든, 중세든, 현대이든지 간에 펠라기우스주의를 극복하지 않고서는 그리스도의 수난과 대속적 죽음을 이해할 수 없게 되며, 기독교의 구원과 은총의 교리는 무너져 내릴 수 있다. 아벨라르두스도 이점을 정확히 알고 있었다. 아벨라르두스는 원죄론뿐 아니라, 은총론과 속죄론에서도 펠라기우스적 위협을 극복하려고 하였다. 결론적으로 아벨라르두스는 그의 원죄론을 통해 키르케고르 이후의 등장한 펠라기우스적 인본주의 또는 자유주의 신학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적 신학담론을 우리에게 제공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larify through Abelard’s theory of original sin that Abelard is not a Pelagianist as understood by Bernard of the 12th century and modern theologians. After the controversy between Augustine and Pelagius, Augustine’s theory of original sin was accepted as an orthodox doctrine at the Council of Ephesus (431) and the Council of Orange (529). In the 12th century, Abelard reinterpreted Augustine’s theory of original sin in his Ethics, a sensitive doctrine in his time. The new interpretation led him to be misunderstood as a Pelagianist. However, Abelard’s theory of original sin and Pelagius’ one of original sin are fundamentally different. In this article, I will reconstruct what his original sin theory is based on Abelard’s Ethics and Commentary on the Epistle to the Romans, and critically examine how his original sin theory differs from Pelagius’s theory of original sin and Augustine’s theory of original sin. It is clear that Pelagius and his ideas are very attractive to humanistic liberal theologians. But whether it is ancient, medieval or modern, without overcoming Pelagianism, the suffering and atonement of Christ cannot be understood, and the doctrine of salvation and grace in Christianity can collapse. Abelard knew Pelagian problems exactly so that he tried to overcome the Pelagian threat not only in the theory of original sin, but also in the theory of grace and of atonement. In conclusion, Abelardian theory of original sin provides us with an alternative theological discourse that can overcome the Pelagian humanism or liberal theology that appeared after Kierkegaard.

      • KCI등재

        히에로니무스의 금욕주의 : 펠라기우스 논쟁을 중심으로

        김경수 한국서양중세사학회 2016 西洋中世史硏究 Vol.0 No.38

        히에로니무스는 교부시대에 엄격한 금욕주의로 문제를 야기했던 인물이지만, 시차를 두고 그에 대한 유연한 태도를 취했다. 이에 본 소고는 히에로니무스의 금욕주의의 발전이라는 관점에서 히에로니무스(414)가 아우구스티누스(415) 이전에 반-펠라기우스 논쟁에 기여했고, 그 과정에서 금욕주의에 대한 그의 태도의 변화를 가져왔다는 것을 논증한다. 히에로니무스가 금욕주의에 대한 변화를 취한 것은, 우선 자신이 재정적 후원자를 얻기 위해서 엄격한 금욕주의에서 온건한 금욕주의로 그 강도의 변화를 가져와야할 필요성 때문이었다. 또한 이런 변화는 그가 초기에 가졌던 인간의 본성과 그 가능성으로부터 후기에 갖게 되는 신의 은혜라는 개념의 강조로 발전해 가면서 발생했다. 이것은 히에로니무스가 그리스도인 삶에 있어 금욕주의에 대한 강조의 무게의 추를 인간의 가능성에서 하나님의 은혜의 역할로 옮겼다는 것을 뜻한다. 그래서 히에로니무스는 펠라기우스가 주장한 교리들이 금욕주의자들을 위해서나 평신도들을 위해 해로울 뿐만 아니라 그리스도인의 삶에 대한 자신의 견해에 근본적으로 상반된다고 보았다. 펠라기우스와 히에로니무스는 금욕주의의 실천이라는 정황 속에서 하나님의 은혜를 서로 다르게 이해했고, 하나님의 도움으로 간주되는 은혜의 개념 즉, 그들의 은혜에 대한 서로 다른 견해와 해석이 4세기 말과 5세기 초에 그들의 금욕주의에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행보를 취하도록 만들었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히에로니무스는 반-펠라기우스 논쟁의 과정에서 금욕주의적 삶을 실천할 때 인간은 하나님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존재라는 것을 강조하며 이전 보다는 금욕주의에 대해 온건한 변화를 가져왔다. In his earlier life, Hieronymus held to strict asceticism, but he developed his attitude of asceticism from strict to a more moderate form in his later life. This article examines the reasons why he changed his view of asceticism, especially related to the Pelagian controversy. During the Pelagian controversy, Hieronymus needed to compete with Pelagius for financial patronage. This matter made him change his view on strict asceticism to a more moderate form of asceticism in order to get financial support from Anicia family. Moreover, this change happened, while he was changing his view on asceticism based on human beings’ good nature in his earlier life to God’s grace as a human needs. This implies Hieronymus moved his emphasis on asceticism from human being’s effort and possibility to pursue virtue more to the function of God’s grace. Thus he considered Pelagius’ claimed doctrines were harmful both for the ascetics and for laymen, and were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his own view on Christian life. In the context of the practice of asceticism Pelagius and Hieronymus brought different understandings of divine help. That is to say that in the late 4th and early 5th century of the early church there were differing levels of asceticism and differing views of divine help within the sphere of asceticism. Some more stringent and others less so. Pelagius was on one extreme end of the spectrum and instead Hieronymus was in the middle, since he changed his view on asceticism from strict to moderate, because he knew human beings need divine help on the way of ascetic life to pursue virtue during the Pelagian controversy.

      • KCI등재

        펠라기우스 논쟁의 “역설적 긴장(paradoxical tension)” 관계

        염창선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2019 서양고대사연구 Vol.56 No.-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incompatible core arguments in the debate between Augustine and Pelagius within the scope of traditional theology, and to establish a new framework of understanding so called "paradoxical tension." First of all, Augustine argues that the human's free will as a result of Adam's abuse has just an ability to do evil things, so that God's grace is absolutely necessary. Secondly, about the understanding of original sin and the imitation of sin : original sin contaminated by the fall of Adam, the representative of human beings, is still passed down to the offspring. Hence Augustine's claim that all human beings are sinners. However, according to Pelagius all human beings are born good, but they just imitate sin on their own. Finally, Pelagius claims that God punishes all mankind for the crime of one individual in regard to God's love and justice. However, according to Augustine, God will love us and give us his grace. This conflict between both claims is because their respective philosophical and theological backgrounds are different. As well known, Augustine's position has been accepted, but it is my position that this is a historical error that overlooks the limits of human epistemology and language expressions. Rather, if the interactions in the “paradoxical tension” had been maintained, much more creative outcomes would have been produced thereby. Moreover, this paradoxical tension concept could be applied in various, political and social fields. 이 논문은 아우구스티누스와 펠라기우스의 논쟁에서 나타난 서로 양립불가능한 핵심 주장들을 전통적인 신정론의 범주 안에서 살펴보고, “역설적 긴장”이라는 새로운 이해의 틀을 정립해보려는 시도이다. 우선 자유의지와 은총에 대한 주장에서는 아우구스티누스는 자유의지는 아담이 남용한 결과로 악할 수밖에 없어서 하나님의 은총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입장이고, 펠라기우스는 인간의 자유의지는 하나님의 은총이 없어도 자신을 스스로 통제하여 선을 행할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로, 원죄와 죄의 모방에 대한 이해에서는 인간의 대표인 아담의 타락으로 오염된 원죄는 계속해서 자손에게 대물림되기 때문에 모든 인간은 죄인이라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주장과 모든 인간은 선하게 태어나지만 스스로 죄를 모방함으로서 현실적인 악행의 장본인이라는 펠라기우스의 주장이 대립한다. 마지막으로 하나님의 사랑과 정의에 대하어서는 어느 한 개인의 범죄로 인하여 모든 인류에게 벌을 주는 하나님은 자신의 공정과 정의의 속성에 위배된다는 펠라기우스 주장에 사랑의 하나님은 은총을 주셔서 모든 인간이 선하게 살기를 원하신다는 주장이 상충한다. 이런 주장의 배경에는 각자의 철학적 - 신학적 배경이 다르기 때문이다. 주지하다시피 역사적으로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입장이 수용되었지만, 이것은 인간의 인식론적 한계와 언어표현의 한계를 간과한 역사적 오류라는 것이 필자의 입장이다. 오히려 “역설적 긴장관계” 속에서 상호작용이 계속 유지되도록 했더라면, 이러한 상호작용을 통하여 훨씬 더 많은 창조적 산물들이 산출됐을 것이다. 게다가 이 역설적 긴장 개념은 경제 정치 사회 각 분야에서 응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A Study on Free Will in Dante’s La Divina Commedia and St. Augustine’s De Libero Arbitrio

        정해갑 한국비평이론학회 2009 비평과이론 Vol.14 No.1

        이 논문은 수세기 동안 문학과 철학의 주제가 되고, 수많은 종교적 논란의 대상이 되었던 자유의지(liberum arbitrium)에 관한 것인데, 그 가운데 성 어거스틴과 단테에 초점을 맞추어 고찰한 것이다. 시기적으로 볼 때, 두 작가 간의 거리는 중세기의 시작과 끝에 해당하는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시간적 차이가 의미하는 바는 아주 역설적인데, 그 시작과 끝이 오히려 철학적, 문학적 통찰에 있어 동질적으로 중첩된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시작과 끝의 동질적 축을 중심으로, 자유의지 해석과 관련한 중세기 전반에 걸친 타락한 사상과 종교를 비판하는 토대로 삼고자 한다. 성 어거스틴은 선과 악의 근원에 관해 펠라기우스(Pelagius)와 논박을 하는 가운데, 『자유의지론』에서 하나님은 선하시고, 선에서 잉태된 모든 것은 선하다는 주장을 하게 된다. 아울러 하나님은 인간에게 이성(ratio; mens)과 이를 운용할 자유의지를 부여하며 선하고 행복한 삶을 추구하도록 했다. 하지만 이러한 자유의지를 잘못 운용한 인간은 타락하게 되고 그에 상응하는 징벌을 받게 되었으며, 그 탓을 하나님께 돌리는 것은 터무니없는 사상이라며 펠라기우스를 논박했다. 더 나아가 하나님이 전지전능하다면 인간의 미래를 예지했을 것이데, 이를 예지한 하나님이 인간 타락의 책임이 있다는 펠라기우스의 주장에 대해서 성 어거스틴은 신적 예지(praescientia Dei)보다 인간의 자유의지가 행동인(motus)으로 작용하는 철학적 근거를 제시하며 인간 자유의지의 중요성을 증명해 낸다. 이러한 성 어거스틴의 철학적 논증을 토대로, 단테는 당시의 교회나 정치 지도자들의 운명론적 세계관과 부패한 도덕성을 논박한다. 당시의 지도자들은 자신들의 무능함과 욕망으로 인한 사회적, 정치적 혼란과 문제점을 운명이나 하나님의 탓으로 돌리려는 무책임한 작태를 노출하는데, 이에 단테는 자유의지의 철학적 논증 위에 무능하고 타락한 지도자들의 책임을 추궁하며 비평적 사유의 지평을 넓히고 있다.

      • KCI등재

        요한 카시아누스의 신비사상

        전영준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10 가톨릭신학 Vol.0 No.16

        After visited Rome, the center of the Western Church in the fifth century, John Cassian who had learned the monastic life at Egypt in the Eastern Church area, established some monasteries in the southern France. Therefore Cassian could teach the eastern monastic tradition to the Western Church. Memorizing Cassian in his writing, the Rule of St. Benedict, St. Benedict exhorted the monks to read Cassian’s writings. It seemed that until medieval period almost all of monasteries focused on the contemplative life was influenced by Cassian. Also, Cassian gave some characteristic influences in the history of the Christian Mysticism. There were some events effect on Cassian at his times. In the Eastern Church, first of all, there was the ‘Origenist controversy’ and it was finally regarded as a heresy. Cassian already has been contacted with the Origenism through Evagrius of Pontus. In the Western Church,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dispute on the Grace between St.Augustine and Pelagius and Pelagius which emphasized on the free will of human being was convicted also as a heresy after all. In that matter, Cassian who made it possible to balance between the free will of human being and the Grace of God, considered as Semi-Pelagianist. Cassian explained that the soul of human being could unite with God through contemplative prayer. It, of course, is impossible to unite through the free Will of human being only. It also needs the Grace of God to unite with God, but not the Grace like Quietism. When the monk who could overcome the vices in an ascetic life, makes the purity of the heart in the perfection, he can contemplate God with love through God’s Grace. This has come to be one of many ways to unite with God in the sorts of Mysticism throughout Christian history. 동방교회 지역인 이집트에서 수도 생활을 익혔던 요한 카시아누스는 5세기경에 서방교회의 중심인 로마를 방문했다가 프랑스 남부 지방에 정착하여 수도원을 설립하였다. 서방교회는 카시아누스를 통해 동방 수도 생활 전통을 배울 수 있었다. 성 베네딕도 역시 자신의 저서에서 카시아누스를 기억하면서 수도자들에게 그의 작품들을 읽을 것을 권장하였다. 중세 시기까지 관상생활을 중심으로 하는 거의 모든 수도원들이 카시아누스의 영향을 받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였다. 하지만 카시아누스는 그리스도교 신비 체험의 역사 안에서도 특징적인 영향을 주었다. 카시아누스가 살던 시대에 동방과 서방에서는 카시아누스에게 영향을 주는 사건이 한 가지씩 있었다. 그중 동방교회에서는 오리게네스의 사상이 격렬한 논쟁을 통해 이단으로 단죄되는 사건이 벌어졌는데 카시아누스는 폰투스의 에바그리우스를 통해 오리게네스 사상을 접한 바 있었다. 한편 서방에서는 아우구스티누스와 펠라기우스가 은총을 주제로 벌인 논쟁이 있었고, 인간의 자유의지를 강조한 펠라기우스가 단죄되었다. 이때 카시아누스는 인간의 의지와 하느님의 은총이 균형을 이루는 반-펠라기우스주의를 선택하였다. 카시아누스는 인간이 기도 생활을 통해서 하느님과 합일할 수 있다고 이야기하였다. 물론 인간의 노력으로만 도달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하느님의 은총이 필요하다. 그렇다고 어떤 노력도 없이 하느님의 은총만 기다리는 정적주의를 말하는 것은 아니다. 인간의 악습을 끊기 위한 수덕 생활을 통해 마음의 순결을 이룩하면서 사랑으로 하느님을 관상할 때, 하느님께서 은총을 베푸시어 합일에 도달할 수 있게 된다. 그리스도교 신비체험의 역사에서 수도 생활 안에서의 관상 기도를 통한 신비 체험은 하느님과 합일하는 또 한 가지 방법이 되었다.

      • KCI등재

        요한 카시아누스의 신비사상

        전영준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10 가톨릭신학 Vol.16 No.-

        동방교회 지역인 이집트에서 수도 생활을 익혔던 요한 카시아누스는 5세기경에 서방교회의 중심인 로마를 방문했다가 프랑스 남부 지방에 정착하여 수도원을 설립하였다. 서방교회는 카시아누스를 통해 동방 수도 생활 전통을 배울 수 있었다. 성 베네딕도 역시 자신의 저서에서 카시아누스를 기억하면서 수도자들에게 그의 작품들을 읽을 것을 권장하였다. 중세 시기까지 관상생활을 중심으로 하는 거의 모든 수도원들이 카시아누스의 영향을 받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였다. 하지만 카시아누스는 그리스도교 신비 체험의 역사 안에서도 특징적인 영향을 주었다. 카시아누스가 살던 시대에 동방과 서방에서는 카시아누스에게 영향을 주는 사건이 한 가지씩 있었다. 그중 동방교회에서는 오리게네스의 사상이 격렬한 논쟁을 통해 이단으로 단죄되는 사건이 벌어졌는데 카시아누스는 폰투스의 에바그리우스를 통해 오리게네스 사상을 접한 바 있었다. 한편 서방에서는 아우구스티누스와 펠라기우스가 은총을 주제로 벌인 논쟁이 있었고, 인간의 자유의지를 강조한 펠라기우스가 단죄되었다. 이때 카시아누스는 인간의 의지와 하느님의 은총이 균형을 이루는 반-펠라기우스주의를 선택하였다. 카시아누스는 인간이 기도 생활을 통해서 하느님과 합일할 수 있다고 이야기하였다. 물론 인간의 노력으로만 도달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하느님의 은총이 필요하다. 그렇다고 어떤 노력도 없이 하느님의 은총만 기다리는 정적주의를 말하는 것은 아니다. 인간의 악습을 끊기 위한 수덕 생활을 통해 마음의 순결을 이룩하면서 사랑으로 하느님을 관상할 때, 하느님께서 은총을 베푸시어 합일에 도달할 수 있게 된다. 그리스도교 신비체험의 역사에서 수도 생활 안에서의 관상 기도를 통한 신비 체험은 하느님과 합일하는 또 한 가지 방법이 되었다. After visited Rome, the center of the Western Church in the fifth century, John Cassian who had learned the monastic life at Egypt in the Eastern Church area, established some monasteries in the southern France. Therefore Cassian could teach the eastern monastic tradition to the Western Church. Memorizing Cassian in his writing, the Rule of St. Benedict, St. Benedict exhorted the monks to read Cassian’s writings. It seemed that until medieval period almost all of monasteries focused on the contemplative life was influenced by Cassian. Also, Cassian gave some characteristic influences in the history of the Christian Mysticism. There were some events effect on Cassian at his times. In the Eastern Church, first of all, there was the ‘Origenist controversy’ and it was finally regarded as a heresy. Cassian already has been contacted with the Origenism through Evagrius of Pontus. In the Western Church,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dispute on the Grace between St. Augustine and Pelagius and Pelagius which emphasized on the free will of human being was convicted also as a heresy after all. In that matter, Cassian who made it possible to balance between the free will of human being and the Grace of God, considered as Semi-Pelagianist. Cassian explained that the soul of human being could unite with God through contemplative prayer. It, of course, is impossible to unite through the free Will of human being only. It also needs the Grace of God to unite with God, but not the Grace like Quietism. When the monk who could overcome the vices in an ascetic life, makes the purity of the heart in the perfection, he can contemplate God with love through God’s Grace. This has come to be one of many ways to unite with God in the sorts of Mysticism throughout Christian history.

      • KCI등재

        A Study on Free Will in Dante's La Divina Commedia and St. Augustine's De Libero Arbitrio

        Heagap Jeoung(정해갑) 한국비평이론학회 2009 비평과이론 Vol.14 No.1

        이 논문은 수세기 동안 문학과 철학의 주제가 되고, 수많은 종교적 논란의 대상이 되었던 자유의지(liberum arbitrium)에 관한 것인데, 그 가운데 성 어거스틴과 단테에 초점을 맞추어 고찰한 것이다. 시기적으로 볼 때, 두 작가 간의 거리는 중세기의 시작과 끝에 해당하는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시간적 차이가 의미하는 바는 아주 역설적인데, 그 시작과 끝이 오히려 철학적, 문학적 통찰에 있어 동질적으로 중첩된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시작과 끝의 동질적 축을 중심으로, 자유의지 해석과 관련한 중세기 전반에 걸친 타락한 사상과 종교를 비판하는 토대로 삼고자 한다. 성 어거스틴은 선과 악의 근원에 관해 펠라기우스(Pelagius)와 논박을 하는 가운데, 『자유의지론』에서 하나님은 선하시고, 선에서 잉태된 모든 것은 선하다는 주장을 하게 된다. 아울러 하나님은 인간에게 이성(ratio, mens)과 이를 운용할 자유의지를 부여하며 선하고 행복한 삶을 추구하도록 했다. 하지만 이러한 자유의지를 잘못 운용한 인간은 타락하게 되고 그에 상응하는 징벌을 받게 되었으며, 그 탓을 하나님께 돌리는 것은 터무니없는 사상이라며 펠라기우스를 논박했다. 더 나아가 하나님이 전지전능하다면 인간의 미래를 예지했을 것인데, 이를 예지한 하나님이 인간 타락의 책임이 있다는 펠라기우스의 주장에 대해서 성 어거스틴은 신적 예지(praescientia Dei)보다 인간의 자유의지가 행동인(motus)으로 작용하는 철학적 근거를 제시하며 인간 자유의지의 중요성을 증명해 낸다. 이러한 성 어거스틴의 철학적 논증을 토대로, 단테는 당시의 교회나 정치 지도자들의 운명론적 세계관과 부패한 도덕성을 논박한다. 당시의 지도자들은 자신들의 무능함과 욕망으로 인한 사회적, 정치적 혼란과 문제점을 운명이나 하나님의 탓으로 돌리려는 무책임한 작태를 노출하는데, 이에 단테는 자유의지의 철학적 논증 위에 무능하고 타락한 지도자들의 책임을 추궁하며 비평적 사유의 지평을 넓히고 있다.

      • KCI등재

        『펠라기우스주의자들의 두 서신을 반박하며』 Ⅰ, ⅹⅰ, 24에서 나타난 아우구스티누스의 사도의 죄성 이해

        김장생(Kim Jang-Saeng) 韓國神學硏究所 2011 신학사상 Vol.0 No.153

        본 논문에서 연구자는 아우구스티누스의 『펠라기우스주의자들의 두 서신을 반박하며(Contra duas epistulas Pelagianorum)』Ⅰ, ⅹⅰ, 24에서 나타난 “사도들은 욕정을 따르지 않았다(apostolos consensione prauarum libidinum liberos)”를 동의함(consensio)을 중심으로 해석하여 사도의 죄성에 대한 그의 태도를 조명하였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의식적이고 주체적인 동의와 비의식적이고 비주체적인 동의를 구분하였지만 양자에 모두 의식이 작용을 하고 있다고 보았다. 그는 ‘주체적 동의’와 ‘비주제적 동의’ 양자에서 모두 의식이 작용을 하고 있다고 보았기에 본 구절에서 사도들이 욕정에 ‘동의’(consensio)를 하지 않았다고 말하였지만 그것은 주체적인 의미의 동의만을 의미하였던 것이고 반대로 비주체적 의미의 동의는 제외된 것이었다. 따라서 아우구스티누스에게 있어서 사도는 욕정에 주체적 의미의 동의는 하지 않지만 비주체적 동의는 여전히 하고 있는 존재인 것이다. This article interprets “Apostles do not consent to concupiscence (apostolos consensione prauarum libidinum liberos) in Against Two Letters of the Pelagians (apostolos consensione prauarum libidinum liberos) Ⅰ, ⅹⅰ, 24. The meaning of consent (consentio) is particularly illuminated to understand Augustinus’ view of the saint. Augustinus distinguishes subjective and conscious consent and asubjective and unconscious consent. While he uses consent for connoting both subjective and asubjective consent, Augustinus’ consent implies the latter consent in the text. In Augustinus’ understanding, the saint does not consent to concupiscence in his/her subjectivity but in asubjectivity and unconsciousness. Thus “Apostles do not consent to concupiscence (apostolos consensione prauarum libidinum liberos)” accords with his understanding of original sin.

      • KCI등재

        바오로 서간, 아우구스티누스의 이단반박의 신학적 근거

        이성효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09 가톨릭신학 Vol.15 No.-

        뤼박은 바오로의 복음선포의 특징을 그리스도 신비에 집중된 실재(inre)와 희망(in spe)에 대한 가치의 부각으로 본다. 실재와 희망 사이에 존재하는 긴장은 시대를 초월하여 ‘이미’(iam) 그러나 ‘아직 아니’(non etiam)란 신학적이며 동시에 영적인 과제로 ‘신자들의 살아있는 신앙’(sensus fidei fidelium) 안에 항상 존재한다. 종교자유를 얻은 4세기 교회가 이 긴장 속에서 바오로에 관심을 가진 이유는 이단 문제를 올바로 해결하기 위한 신학적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서이다. 특히 니케아 공의회 이후에 활동한 아우구스티누스는 실재로(in re) 세례 받은 이가 자신의 구원에 대해 희망으로(in spe) 살아야 하는 이 문제를 바오로서간을 통해 극복한다. 첫째, 아우구스티누스는 마니교도의 그릇된 사상에 맞서면서 바오로 서간의 가르침을 통해 ‘율법과 복음’ 그리고 ‘구약과 신약’의 연속성을 발견한다. 둘째, 도나투스파 반박에서 바오로서간을 통해 ‘하느님의 선택을 위한 기초로서의 믿음’을 발견하고, 바오로의 다마스쿠스 체험에 대한 신학적 반성으로 ‘바오로의 불가피한 부르심’과 ‘하느님의 알 수 없는 선택’을 이해한다. 셋째, 펠라기우스 반박에서 바오로서간에 대한 인용, 인유, 재현이란 독창적인 성경해석 방법으로 믿음의 대상(하느님)과 믿음의 행위(사람)를 동시에 바라보는 바오로를 발견한다. 따라서 아우구스티누스에게 바오로란 그리스도의 신비를 이해하기 위해 하느님께 간청하고 사람의 구원을 위해 죄스런 사람의 조건을 드러내는 신비의 전달자이다. 또한 성령에 따른 삶을 이해하기 위해 하느님께 간청하고 이미 여기에 있는 구원의 은총과 매일 매일 은총의 삶에로 부르는 영혼의 목자이다. 아우구스티누스는 바오로에게서 사람과 하느님을 동시에 바라보는 시각, 구원이 예수 그리스도에 의해 실재적으로(in re) 선포되어 이미(iam) 지금 그리고 여기에(hic et nunc) 있으나 그 완성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고(non etiam) 희망 안에서(in spe) 종말론적으로 이루어짐을 바라보는 시각을 배운다. 이 균형 잡힌 시각으로 원죄, 그리스도 구원의 신비, 유아세례의 필요성, 은총에 대한 교회의 전통적인 가르침을 이해하고 히포의 공동체에 ‘예수님 때문에 예수님’(Iesus propter Iesum)을 찾으라고 가르친다. ‘이미’(iam) 그러나 ‘아직 아니’(non etiam)의 긴장에 대한 올바른 신학적 가치를 규명하는 것은 오늘의 교회의 과제이기도 하다. H. de Lubac a évoqué le sujet intéressant sur le fondement théologique des missions dans la proclamation paulinienne de l évangile, et montré la valeur théologique de la tention existante entre ‘déja’(iam) et ‘pas encore’(non etiam), qui concentre le mystère du Christ sur la réalité(in re) et l espérance(in spe). Cette tension existe toujours dans la foi vécue des fidèles(sensus fidei fidelium). L église du 4eme siècle obtenue la liberté religieuse s est intéressée à la théologie paulinienne puisqu elle a du préparer la base théologique contre la doctrine fausse des hérésies. Après le concile de Nicée, Augustin a confronté le meme problème, c est-à-dire la compréhension de la tention chez le nouveau baptisé entre la réalité du bapteme et le salut dans l espérance. Grace à la théologie du saint Paul, il a trouvé d abord la solution contre manichéisme, qu il s agit de la sucession entre la loi et l évangile et entre l Ancien Testament et le Nouveau Testament. Deuxièmement, en controversant les donatistes, Augustin a évalué la valeur de la foi qui s est fondée sur le choix de Dieu; l expérience du Paul à Damas a été compris comme le choix incompréhensible de Dieu et comme la vocation indispensable. Troisièmement, par la dispute avec les pélagiens, Augustin a établi l interprétation propre des lettres pauliniennes, nommée la ‘citation-allusion- réminiscence’ par laquelle il a pu découvrir le Paul regardant simultanement l objet de la foi(le Dieu) et l action de la foi(l homme). Ainsi, pour Augustin le saint Paul a été le solliciteur au Dieu pour le salut des hommes et le messager des mystères révélés dans la condition pécheuresse des hommes. De plus il a été le pasteur de l ame, en invitant tous les hommes à la vie de la grace de Dieu par l aide de l Esprit. Par conséquent, Augustin a appris chez le Paul la vision harmonieuse entre le Dieu et l homme, et compris le salut proclamé par Jésus le Christ dans la forme de la réalité mais son accomplissement à la fin du monde.

      • KCI등재후보

        발타자르 휩마이어의 구원론

        최정기 ( Choi¸ Jung Ki )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2020 역사신학 논총 Vol.37 No.-

        16세기 재침례교도는 개혁자들로부터 행위구원을 가르친다는 비판을 받았고 그런 시각은 세20기 까지도 이어졌다. 재침례교 신학자 발타자르 휩마이어의 구원론 역시 펠라기우스주의 내지 반펠라기우스주의(Semi-Pelagianism)라는 평가를 받아왔다. 특히 데이빗 스타인메츠(David C. Steinmetz)는 “Scholasticism and Radical Reform: No minalist Motifs in the Theology of Balthasar Hubmaier”(1971)라는 논문에서 휩마이어의 구원론에 가브리엘 비엘(의Gabriel Biel) 원리, 즉 ‘하나님은 자신 안에 있는 것을 행하는 자에게 은혜를 거부하지 않으신다’(facientibus quod in se est deus non denegat gratiam)가 남아 있다고 주장했다.스 타인메츠에 따르면 휩마이어는 타락하지 않은 영의 의지로 구원의 과정을 시작할 수 있다고 보았다. 죄인은 자신 안에 있는 두 가지 자원, 곧 ‘타락하지 않은 영의 의지’와 ‘자연 안에 있는 하나님의 계시’로 인해 복음을 듣지 않고도 하나님께 돌이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휩마이어는 구원에 있어서 언제나 은혜의 선행성을 인정했다. 스타인메츠의 주장과는 달리 휩마이어는 말씀이 일차적으로 역사하지 않으면 영은 육에 갇혀 무력한 상태로 남아있다고 했다. 스타인메츠는 휩마이어의 구원론에서 말씀이 두 단계로 역사한다는 점을 간과했다. 하나님은 먼저 모든 사람에게 말씀을 보내셔서 영을 해방시키고 혼을 치유하셔서 자유의지를 발휘할 수 있게 하신다. 그러면 영은 하나님께 기도하고 구원을 위해 부르짖을 수 있게 되는데, 하나님은 그에 대한 응답으로 복음 선포자를 보내주셔서 말씀으로 거듭나게 하신다. 즉 말씀은 먼저 보편적 선행은혜로 모든 사람에게 임하고, 다음은 믿음으로 반응하는 자에게 거듭나게 하는 은혜로 임한다. 스타인메츠가 자연상태에서 하나님을 찾을 수 있다는 주장의 증거로 제시한 「의지의 자유의」(1527) 이디오피아 내시와 고넬료의 예는 휩마이어의 다른 논문과 비교해 보면 이미 말씀을 듣고 구원을 갈망하는 부류의 사람들로 이해해야 함을 알 수 있다. 휩마이어는 보편 속죄와 자유의지의 협력을 구원의 필수요소로 인정했다는 점에서 17세기 아르미니우스주의를 예견했다고 할 수 있다. The sixteenth century Anabaptists were criticized by reformers for teac hing ‘work-righteousness,’ and such criticism has never died out since then. Anabaptist theologian Balthasar Hubmaier was not an exception but his soteriology has often been categorized as Pelagianism or Semi-Pelagia nism. Especially David C. Steinmetz argued in his article “Scholasticism and Radical Reform: Nominalist Motifs in the Theology of Balthasar Hub maier”(1971) that the Gabriel Biel’s norm ‘God does not deny grace to those who do what is in them’(facientibus quod in se est deus non denega t gratiam) remains in Hubmaier’s soteriology. According to him, Hubmai er admitted that man can initiate the process of salvation in natural state by the work of spirit, which has been preserved intact through the fall. That is, sinners can turn to God without hearing the gospel due to two resources in them: “the unfallen will of the spirit” and “God’s revelation in nature.” However, Hubmaier consistently affirmed the prevenience of grace in salvation. Unlike Steinmetz’s contention Hubmaier argued that the spirit is imprisoned in the flesh and remains impotent until the word of God release it. Steinmetz failed to see that the word in Hubmaier’s theology operates in two stages. First, God sends his word Christ to all people so that he may liberate the spirit and heal the soul, and as a result free will is restored to man. Then the spirit in man can pray and cry to God for salvation, in answer to which God sends the preacher of the gospel in order to regenerate the believer. Thus, the word of God comes first to all humanity as prevenient grace, and then to those who respond in faith as regenerating grace. If we compare the Ethiopian eunuch and Corn elius in Freiheit (1527), whom Steinmetz presents as the examples of thos e who cry for God in natural state, with the same in the other treatises of Hubmaier, they ought to be those who long for salvation after hearing the word. Hubmaier antecipated Arminianism in the seventeenth century in that he acknowledged the universal offer of Christ’s atonement and the cooperation of human free wi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