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인의 페이스북 중독 결정요인 연구 : 커뮤니케이션 관련 변인을 중심으로

        전범수,이정기,상윤모 한국소통학회 2014 한국소통학보 Vol.23 No.-

        전 세계적으로 페이스북 이용이 활성화되면서 페이스북의 중독적 사용에 대한 우려가 높 아지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초고속 인터넷과 스마트폰 등 인터넷 이용이 가장 활성화되어 있는 국가 중 하나인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한국인들을 대상으로 페이스북 중독 결정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페이스북 중독이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고자 하는 인간의 심리 적 욕구가 반영되어 발생한다고 가정하였다. 따라서 심리변인(관계의 질), 페이스북 이용동 기(커뮤니케이션), 사회적 연결(교류자 수) 등 인간의 관계적 특성을 반영하는 독립변인을 활용하여 페이스북 중독을 예측해 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페이스북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페이스북 이용동기(커뮤니케이션), 활용 (페이스북 정보 활용) 등의 변인으로 나타났다. 즉 심리변인(관계의 질)과 사회적 연결(교류 자 수)은 페이스북 중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다만, 심리변인(관계의 질)은 페 이스북 이용동기(커뮤니케이션)를 통해 간접적으로 페이스북 중독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한편, 페이스북 이용동기는 페이스북 정보 활용과 사회적 연결(교류자 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페이스북 중독을 결정하는 것은 사람들과 관계의 질을 향 상하고자 하는 심리적 차원에 있다기보다는 페이스북을 이용하면서 유발되는 커뮤니케이션 동기와 페이스북을 통한 정보 활용 행위, 즉 페이스북 이용 습관이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As Facebook usage is surging at global levels, concern is growing over the addictive use of Facebook.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factors contributing to Facebook addiction among Koreans, a group living in one of the most wired countries in the world. This study tests the assumption that a person becomes addicted to Facebook due to his or her desire to maintain social relationships. It thus examines such influences on the tendency of Facebook addiction as quality of social relationship, communication motive, and number of Facebook friends. The results show that those who use Facebook for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are more likely to be addicted to Facebook. Another factor influencing one's inclination to Facebook addiction is quality of relationship, which impacts one's motivation to make use of Facebook. The results also show that communication motive influenced both the number of Facebook friends and information-gathering habits via Facebook. The study finds that two determining factors of Facebook addiction are usage pattern of Facebook and communication motive. What does not explain a person's tendency towards Facebook addiction is that person's desire to maintain social relationships.

      • KCI등재

        페이스북의 이용동기와 이용효과의 차이, 긍정적 · 부정적 효과 결정요인 : 2030대와 4050대의 페이스북 대인 네트워크 변화, 중독을 중심으로

        전범수,이정기 한국소통학회 2014 한국소통학보 Vol.24 No.-

        본 연구는 20∼30대와 40∼50대 페이스북 이용자를 대상으로 페이스북 이용동기를 파악하고, 이용동기와 이용량(이용빈도, 강도)이 긍정적 효과로서 대인 네트워크의 변화, 부정적효과로서의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페이스북 이용동기는 ‘오락 및사회관계 동기’, ‘자기현시 및 표현 동기’, ‘학습 동기’로 나타났다. 둘째, 20∼30대와 40∼50대의 페이스북 이용과 효과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오락 및 사회관계 동기는 20∼30대가, 학습 동기는 40∼50대가 높았다. 아울러 페이스북 이용 강도와 페이스북 이용 효과 중 대인 네트워크의 변화 역시 40∼50대가 높았다. 셋째, 20∼30대의 페이스북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변인은 자기현시 및 표현 동기, 이용강도였고, 40∼50대의 페이스북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변인은 연령(-), 자기현시 및 표현 동기, 학습 동기, 이용 빈도 및 강도였다. 넷째, 20∼30대의 대인 네트워크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학습 동기, 이용빈도 및 강도였고, 40∼50대의 대인 네트워크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오락 및 사회관계 동기, 자기현시 및 표현 동기, 이용빈도 및 강도였다. 본 연구는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페이스북의 긍정적효과를 극대화하고, 부정적 효과를 줄이기 위한 제언을 수행하였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dispositional use motives forFacebook among users in the age groups of 20∼39 and 40∼59 and furtherthe effects of use motives and amounts (frequency and intensity) includingtheir positive effects on changes to interpersonal networks andnegative ones on addiction. As a result, first, dispositional use motivesfor Facebook included "entertainment and social relationships,""self-display and expression," and "learning." Second, the study examineddifferences in the uses and effects of Facebook between the 20∼39user group and that of 40∼59 and found that while the former group washigher in the motive of entertainment and social relationships, the latterwas higher in the learning motive. In addition, the latter group was alsohigher in changes to interpersonal networks in terms of intensity and effectivenessof Facebook usage. Third, the motive of self-display and expressionand the intensity of usage influenced Facebook addictionamong the users in the range of 20∼39, whereas age (-), the motive of self-display and expression, the learning motive, and frequency and intensityof uses affected Facebook addiction among the users in the rangeof 40∼59. Finally, the learning motive and frequency and intensity ofuses had impacts on changes to interpersonal networks among the usersin the range of 20∼39, whereas the motive of entertainment and socialrelationships, the motive of self-display and expression, and frequencyand intensity of uses affected changes to interpersonal networks amongthe users in the range of 40∼59. Based on those findings, the studymade a set of proposals to maximize the positive effects of Facebookand reduce its negative ones.

      • KCI등재

        외로움, 대인 민감 및 페이스북 중독 간의 관계

        고은영,최윤영,최민영,박성화,서영석 한국상담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6 No.3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understand Facebook addiction process on the basis of relationship-centered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the Addition Syndrome Model. In doing so, with the knowledge that South Korean college students use Facebook to satisfy their relationship needs, this study set loneliness as a psychosocial risk factor and interpersonal sensitivity as an underlying vulnerability that triggers Facebook addiction. It was hypothesized that loneliness would affect Facebook addiction through interpersonal sensitivit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ith a sample of 482 undergraduate students was utilized to test the fit of the hypothesized model and estimat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the variables of interest. Results indicated that loneliness did not affect Facebook addiction directly. However, its effect on Facebook addiction was fully mediated by interpersonal sensitivity. Implications for counseling practice (e.g., addressing interpersonal sensitivity within interpersonal psychotherapy) and future research on Facebook addiction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페이스북 중독 과정을 한국의 관계중심적 문화특성과 중독증후군모델을 토대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 대학생들이 주로 관계적인 욕구 때문에 페이스북을 사용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외로움과 대인 민감을 페이스북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변인으로 선정하였으며, 중독 선행요인으로서의 심리사회적 위험요인과 기저취약성에 주목하였다. 페이스북 중독에 개입하는 심리사회적 위험요인으로 외로움을, 중독을 유발하는 기저취약성으로 대인 민감을 각각 설정하고, 외로움이 대인 민감을 통해 페이스북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설을 설정하였다. 서울, 경기 지역 대학생 482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모형의 적합도 및 변인들의 직간접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외로움은 대인 민감을 매개로 페이스북 중독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페이스북 중독에 대한 외로움의 영향을 대인 민감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나 외로움이 직접 페이스북 중독을 초래하는 것이 아니라, 대인 민감을 활성화시켜 페이스북 중독을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관계중심적인 접근을 통해 대인 민감을 줄이기 위한 상담 기법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스트레스, 자기 통제력 및 페이스북 중독 간의 관계

        신성만,송용수,오준성,SHIN JUNG MI 한국재활심리학회 2018 재활심리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페이스북 중독 과정을 자기 조절 이론을 토대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자기 조절 이론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스트레스와 자기 통제력을 페이스북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선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스트레스와 페이스북 중독 사이를 자기 통제력이 매개한다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경북 P시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221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모형의 적합도 및 변인들의 직·간접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스트레스는 자기 통제력을 매개로 페이스북 중독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기 통제력이 페이스북 중독에 대한 스트레스의 영향을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트레스가 직접 페이스북 중독에 영향을 끼치는 것이 아니라 스트레스가 자기 통제력을 낮춰 페이스북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폐이스북 중독의 예방과 대처에 있어 자기 통제력 향상을 위한 개입이 필요함을 연구의 함의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소셜 네트워크』 - 페이스북 중독의 정치학

        김문주 한국중독범죄학회 2018 한국중독범죄학회보 Vol.8 No.2

        본 연구에서는 2004년 개발된 이례로 사용자 수가 끊임없이 증가하면서 세계적 SNS로 평가 받고 있는 페이스북 중독의 정치학에 대해 논의 하였다. 페이스북 중독에 관한 연구는 최근 십여 년간 다양한 형태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그 논의들은 페이스북 사용자 중심의 양상으로 펼쳐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페이스북 중독양상의 관점을 달리 보고자하였다. 필자는 한병철의 스마트 권력 개념을 가져왔다. 스마트 권력이란 자유롭고 친절한 모습으로 우리를 자극하고 유혹한다. 자발적으로 스스로에 대한 모든 것을 노출한다는 점에서페이스북은 스마트 권력의 장이다. 우리는 좋아요 버튼을 누르면 누를수록 지속적으로 자아는 타자에게 노출이 된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 하지만 좋아요 버튼을 누르면 숫자로서 즉각적인 성공과 보상이 주어지기 때문에 타자에 의한 감시를 잊어버린다. 좋아요 버튼을 누르면서 상호작용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논의 한 것은 영화 『소셜 네트워크』에 대한 내용분석이다. 영화의 내용을 통해서, 알고 지내는 사람들과의 네트워크화, 단순하고 깔끔한 디자인, 실명과 실제 사진 등의 투명함을 페이스북의 특징으로 정리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특징들은사용자들을 스스로 자발적 순응을 하게하여, 페이스북을 효과적인 디지털 파놉티콘으로 만든다. 페이스북의 CEO 저커버그는 사람들의 마음을 읽어내는 것을 가장 흥미로운 일이라고 보고 있으며, 그는 그 전략을 성공함으로 인해 자신은 감추고, 다른 이들은 드러내는 중독의 정치학을 펼치고 있다고 본다 In this paper, I discuss the politics of facebook addiction, which had been evaluated as a global social networking system(SNS), with a number of users constantly increasing. Research on facebook addiction has been active in various forms over the past decade, but the discussions are centered on facebook users. So, in this paper, bringing Han Byung Chul's concept of smart power, I’ve tried to differentiate an aspect of facebook addiction. Smart power stimulates and seduces us with a free and kind appearance. Facebook is a place of smart power in which people exposes everything about themselves voluntarily. We know that pressing the LIKE button continues us to be exposed to others. But we are entirely forgotten to be watched by others because you are given instant success and rewards as a form of numbers. Pressing the LIKE button means interacting each other. The next discussion is a content analysis of the movie The Social Network. I regard facebook itself as a place of smart power. Through the movie, the networking with the people who haven known, the simple and neat design of facebook, and the transparency of the real name and the actual photograph make facebook that users voluntarily adapt themselves to digital panopticon. Facebook CEO Zuckerberg has been thought that reading people’s minds is the most exciting thing, and then concealing himself and revealing others, he has been engaged in the politics of addiction.

      • KCI등재

        Determinants of Facebook Addiction among Korean Users

        Chon, Bum Soo(전범수),Lee, Jeong-Ki(이정기)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8 사회과학연구 Vol.25 No.3

        이 연구는 한국의 페이스북 이용자 679명을 대상으로 페이스북 중독 결정 요인들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는 페이스북 중독에 외로움이나 자기노출과 같은 심리적 요인들이나 페이스북 이용 동기들, 그리고 사회적 지지와 같은 사회적 요인이 영향을 어떻게 미치는 가를 탐색하기 위한 이론적 틀을 만들었다. 핵심적인 연구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외로움이나 자기노출과 같은 심리적 요인들은 한국 페이스북 이용자들의 중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페이스북 이용 동기들 중에서 정보 및 관계적 동기 요인들은 페이스북 중독을 설명하는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와 같은 사회적 요인은 페이스북 중독에 정적인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determinants of Facebook addiction in Korea. Using a cross-sectional survey study targeting Facebook users, we collected the data from 679 users. We proposed a model suggesting that Facebook addiction can be determined by three factors: (1)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loneliness and self-disclosure,(2) three motives for using Facebook, and (3) social factors including social support.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wo including information and relationship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Facebook addiction. Social support also had a positive influence on Facebook addiction. It was found that Facebook addiction among Facebook users in Korea were associated with use motives and social supports. However, the findings revealed that Facebook use and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loneliness and self-disclosure were not significantly linked to Facebook addiction.

      • KCI등재

        한국판 대학생용 Bergan 페이스북 중독 척도 타당화 연구

        신성만,김재영,라영안 한국건강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페이스북 중독 수준을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정할 수 있는 페이스북중독 척도를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Andreassen, Torsheim, Brunborg와 Pallesen(2012)이제작한 Bergan 페이스북 중독척도(Bergan Facebook Addiction Scale: BFAS)의 18문항을 번안하여 타당화하였다. 먼저 번안된 페이스북 중독 예비척도의 요인구조를 탐색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문항분석을 실시한 결과 18개의 예비문항 모두 척도 구성에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 328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고 다른 328명의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페이스북 중독 예비척도에서 원척도와 동일한 현저성, 내성, 기분변화, 재발, 금단, 갈등의 6요인 모형이 확인되었다. 또한 인터넷 및 스마트폰 중독 관련척도, 성격 5요인 중 외향성, 신경성과의 상관 분석을 통해 준거 타당도를 확인하였고 문항들의내적 일치도 또한 적절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Bergan Facebook Addiction Scale’. The aim of validating the scale was to measure Korean college students’ levels of Facebook addiction. After item analysis, all 18 items of the Bergan Facebook Addiction Scale were kept for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six-factor model (i.e., salience, tolerance, mood, relapse, withdraw, and conflict) was the best structure. These results supported the goodness-of-fit of the model. The criterion validity was verified by making significant relationshipswith an Internet Addiction scale, Smart phone Addiction scale, and Big Five Personality Test. The reliability of the model was also supported, thus we found that a six-factor model of the scale was an acceptable measuring tool to assess Korean college students’ levels of Facebook addiction. At the end, we offered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s well as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페이스북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황유선 한국언론학회 2015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1 No.3

        With the prevalence of smart phone, under the mobile Internet environment various SNSs have become daily communication platforms. By means of Facebook’s convenient functions more and more people are accustomed to receive information and conduct interactions, which has brought the addictive use of Facebook. This study explore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immersion in Facebook. Technology addiction such as Internet addiction is to fulfill mental needs without injecting toxic chemicals and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have been proposed. One is that people who lack social interactions pursue supplementary interactions in the online world which results in the isolation from the real world. The other is that online interaction helps socially active people to overcome physical limit in the real world and to maintain their offline relationships. Based of previous researches,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among smart phone application use, personal environment,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and Facebook immersion. Data were obtained through online survey and 600 responses were gathered. The results revealed that people with the higher level of Facebook immersion use the smart phone application mostly for social interaction such as SNS. However those with lower level of Facebook immersion mostly use functional application such as finance app and portal app. The amount of interactions with parents positively affect the level of Facebook immersion, contrary to this, self-esteem negatively affect Facebook immersion. Life satisfaction was found to positively affect the degree of Facebook immersion. Theoretical and social implication were further discussed. 스마트폰의 확산과 더불어 모바일 인터넷 환경이 이루어지면서 페이스북과 같은 SNS는 사람들의 보편인 소통 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페이스북의 편 리한 기능을 활용하여 정보를 하고 커뮤니이션을 수행하는 사람들이 늘 어나면서 과도한 페이스북 의존 성향이 사회으로 문제가 되었다. 본 연구에 서는 페이스북 이용에 과도하게 몰입하도록 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확인하 고자 했다. 과거 인터넷 독과 같은 테크놀로지에 한 의존 성향은 화학 물질을 남용하여 투약하는 것과는 달리 정신인 필요를 충족하려는 것으 로서 지까지 부정 측면과 정 측면이 모두 제기된 바 있다. 오라인 에서의 사회 계 결핍을 충족하기 해 이용함으로써 차 실에서부터 고립된다는 과 오라인의 물리 한계를 극복하고 사회 계를 유지 확장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이 그것이다. 기존의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애리이션 사용 패턴, 환경 요인, 자아존감, 그 리고 삶의 만족도 등과 페이스북 몰입 간의 계를 살폈다. 자료수집은 온라 인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고 총 600명의 응답자를 상으로 분석을 수행 했다. 그 결과, 페이스북에 몰입하는 성향이 있는 사람들은 SNS 등 사회 교류를 한 애리이션 이용 정도가 높았고 그지 않은 사람들은 메신 나 융 앱 등 기능 애리이션을 주로 사용했다. 가정환경 에서는 부 모와의 화 정도가 페이스북 몰입 성향에 향을 미쳤으며 자아존감이 낮 을수록 페이스북 몰입 정도는 높았다. 인구사회학 요인 가정환경과 자아존감을 통제한 뒤 분석한 결과에서 삶의 만족도는 페이스북 몰입에 정 인 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ㆍ사회 함 의를 기술했다.

      • KCI등재

        개인 심리적 특징, 이용 충족과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 중독과의 관계에 관한 실증적 연구: 페이스북 사용자를 중심으로

        이성준 ( Sung Joon Lee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3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어떻게 인구통계학적인 특성, 내현적 자기애의 하부영역과SNS 이용 동기들이 전반적인 SNS 중독과 일상생활의 장애, 금단, 내성, 및 가상 세계 지향성을 포함하는 중독 성향의 하부 영역을 예측하는 지 살펴보는 데 있다. 자료 수집은 할당 표집 방법을 통한 온라인 서베이를 이용하여 419명의 20세부터 40세까지의 국내 페이스북 사용자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여성의 경우 남성에 비해 전반적인 SNS 중독 성향이 크게 나타났다. 더불어 내현적 자기애 중 소심성 차원이 SNS 중독과 크게 연관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NS중독 성향이 높은 사람은 대체적으로 SNS 이용시 자아존중감을 실현하고자 하는 동기가 강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가 지닌 함의에 대해서도 토론해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ed light on how demographic attributes, sub-domains of covert narcissism and the motivational needs for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usage can predict a general tendency toward SNS addiction and all its sub-areas, including disturbances of adaptive function, withdrawal, tolerance and virtual-life orientation. Data were gathered from a quota sampling of 419 Facebook users in South Korea whose ages ranged from 20-40 years, using an online survey. The results show that females have a greater tendency to be addicted with SNS than males do. They also show that of all the sub-domains of covert narcissism, timidity was most highly associated with SNS addiction. The findings also reveal that those who are at risk have high levels of self-esteem-seeking motivation when they use SNS.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의 SNS 이용 동기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성요안나(Yoanna Seong),현명호(Myoung-Ho Hyun) 대한스트레스학회 2016 스트레스硏究 Vol.24 No.4

        본 연구는 이용도가 가장 높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인 페이스북(Facebook)을 중심으로 대학생의 SNS 이용 동기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와 이러한 관계를 경험회피가 매개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대학생 279명(남 103명, 여 176명, 연령 21.94±2.76세)이었다. 그 결과 커뮤니케이션, 정보탐색, 엔터테인먼트, 자기확인, 유대감 확인 동기 등 페이스북 이용 동기가 높고 경험을 회피하는 경향이 클수록 SNS 중독경향성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동기, 정보탐색동기 및 자기확인 동기에서 경험회피의 매개효과가 있어서 이들 동기가 높은 사람은 현실이나 정서 등의 경험을 회피하는 경향으로 인해 SNS 중독경향성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의 의의 및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mediating effect of experiential avoid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ndergraduate student’s motives for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SNS) and SNS addiction tendency. The current study focuses on Facebook as it is the leading SNS in Korea, and the motives for using Facebook are consisted of communication, information seeking, entertainment, self-confirmation and companionship. The total data of 279 undergraduate students (male N=103, M=21.94, SD=2.76)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validated that all of the motives for using Facebook are positively related to SNS addiction tendency. Experiential avoidance is also positively associated with SNS addiction tendency. Moreover, the mediating effect of experiential avoidance is significa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es for using SNS and SNS addiction tendency except for entertainment and companionship motive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