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대 대선관련 뉴스에 대한 언론사별 팩트체킹 분석- 2017년 저널리즘 공정성에 관한 탐색적 고찰 -

        최영준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0 No.49

        본 연구는 2017년 제19대 대선과 관련하여 TV 방송사와 신문사들이 자체적으로 시 도한 팩트체킹에 대한 분석을 재점검하여 저널리즘의 공정성에 대해 탐색해 본 것이다. 총 250건의 팩트체킹 시도를 살펴본 결과, 중앙일보의 팩트체킹이 62건(24.08%)으 로 가장 많았고 TV 방송사 중에서 SBS 방송뉴스가 39건(15.60%)을 차지하였다. 매체 내에서 보수성향의 매체가 106건(64.63%)으로 진보성향의 매체 58건(35.37%)보다 더 많은 기사량으로 팩트체킹에 나섰다. 방송사에서 대선 후보자의 직접 발언(총27건)을 검증해 본 결과, 홍준표 후보 발언 은 15건(55.56%)이며 그중 13건(86.67%)이 거짓이었다. 진보성향 매체들이 확인한 전 체 후보군 팩트체킹(41건)에서 홍준표 후보를 대상으로 하는 기사는 3건(7.32%)이었고 상대후보(문재인, 안철수)에 대한 기사는 32건(78.04)을 차지했으며 그중 16건(50.00%) 이 거짓이었다. 총17건의 후보자 직접 발언을 검증해 본 결과, 11건(64.70%)이 홍준표 후보의 발언이며 이중 9건(81.82%)이 거짓으로 나타났다. 보수성향 매체들이 확인한 전체 후보군 팩트체킹(77건)에서 홍준표 후보를 대상으로 하는 기사는 5건(6.49%)이었 고 상대후보(문재인, 안철수)에 대한 기사는 46건(59.74%)이었으며 홍준표 후보 관련 뉴스는 거짓이 0건이고 상대후보 기사는 16건(20.78%)이었다. 또한, 총29건의 후보자 직접 발언에 대하여 16건(55.17%)이 홍준표 후보의 발언이며 검증결과사실이 4건 (25.00%), 절반사실 6건(37.50%), 거짓이 6건(37.50%)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안철수 후보의 직접 발언 검증은 없으며 문재인 후보의 발언 13건(44.83)에 대한 검증결과, 사 실 4건(25.00%), 거짓 5건(31.25%), 절반사실 3건(18.75%), 논란중 1건(6.25%)으로 나 타났다. 결론적으로, 후보자 정치성향으로 볼 때 홍준표 후보 보수진영에서 상대후보에 대 한 가짜뉴스는 가장 많이 생산되었고 검증결과는 대부분 거짓이었다. 홍준표 후보의 직접 발언은 대부분 거짓이었으며 보수성향 매체들은 팩트체킹을 통하여 홍준표 후보 지원을 실행하고 있었다. This study is to research journalism fairness, focusing on analysis of fact-checking that television broadcasters and newspaper companies attempted, which is related to the 19th presidential election in 2017. As a r esult of r esearching a t otal o f 250 fact-checking, the JoongAng I lbo had the largest number of fact-checking, which is 62 cases (24.08%), and SBS among the television broadcasters had the largest number of fact-checking, which are 39 cases (15.60%). Within the media, conservative newspapers conducted the more fact-checking with more articles as many as 106 cases (64.63%) than the fact-checking of progressive news papers as many as 58 cases (35.37%). As a result of verifying direct statements of president candidates, which are 27 cases, statements of a candidate, Hong Joon-Pyo, were 15 cases (55.56%) and 13 out of them were lie (86.67%). In the fact-checking of progressive media, which are 41 cases, there were 3 articles (7.32%) to aim at Hong Joon-Pyo, and there were 32 articles (78.04%), dealing with opposite candidates (Moon Jae-In and Ahn Cheol-Soo), and 16 cases out of them (50.00%) were lie. As a result of verifying 17 direct statements of president candidates, 11 cases (64.70%) are in case of Hong Joon-Pyo, and 9 cases out of them (81.82%) were lie. In the fact-checking of progressive media which is a total of 77 cases, 5 articles (6.49%) appeared, which are related to Hong Joon-Pyo, and 46 articles (59.74%) were related to the opposite candidates (Moon Jae-In and Ahn Cheol-Soo). 16 cases (20.78%) out of 29 direct statement cases of presidential candidates were Hong Joon-Pyo’s statements, and according to its verification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4 acases are fact (25.00%), 6 cases are half fact (37.50%), and 6 cases are lie (37.50%). In conclusion, depending on a view from candidate’s inclination of politic, the conservative camp of Hong Joon-Pyo produced the most fake news and their verification results were almost lies. The conservative media supported Hong Joon-Pyo through fact-checking.

      • KCI우수등재

        자동화 팩트체킹을 위한 대조학습 방법

        송선영,안제준,박건우 한국정보과학회 2023 정보과학회논문지 Vol.50 No.8

        As proliferation of online misinformation increases, the importance of automated fact-checking, which enables real-time evaluation, has been emphasized. In this study, we propose a contrastive learning method for automated fact-checking in Korean. The proposed method deems a sentence similar to evidence as a positive sample to determine the authenticity of a given claim. In evaluation experiments, we found that the proposed method was more effective in the sentence selection step of finding evidence sentences for a given claim than previous methods. such as a finetuned pretrained language model and SimCSE. This study shows a potential of contrastive learning for automated fact-checking.

      • KCI등재

        코로나19 가짜뉴스의 유형분석: 허위조작정보의 조작특징을 중심으로

        정두흠(Dooheum, Jeong),박지혜(Jihye, Park)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21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25 No.4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팬데믹 초기에 발생한 코로나19 관련 허위조작정보에 대해 형식적 유형화와 생산주체 탐색과 함께 정보조작의 측면에서 조작대상, 조작방식, 조작목적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SNU 팩트체크, 시민단체, 언론기관 및 정부기관의 가짜뉴스 팩트체크 전문기관에 보고된 106개의 사례들을 선정해 귀납적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허위조작정보의 유형으로는 루머가 가장 지배적인 형식이었으며 생산주체는 신원미상인 경우가 가장 많았으나 신원이 확인된 경우에는 언론사와 정치세력이 유사한 수준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조작대상은 방역연계사안이, 조작방식으로는 왜곡이, 조작목적으로는 정치적 이득이 가장 높은 비중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선행연구결과와 유사하게 팬데믹 상황에서 발생하는 허위조작정보 역시 여론왜곡을 통해 정치적 이득을 얻고자 하는 목적이 크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허위조작정보의 폐해를 줄이기 위한 허위조작정보의 생산 및 확산방지 방안이 정부, 언론사, 수용자 측면에서 각각 제시되었다.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categorize the Covid-19 fake-news that were generated during the initial stage of pandemic as well as verifying the producers of these information through detailed content-analysis. Specifically, from the view point of information manipulation theory, this research explores to define the major subjects, means of manipulating information and purposes of disinformation pertaining to Covid-19 epidemic. A total of 106 Covid-19 fake-news examples which were introduced by specialized fact-checking organizations(or websites) such as Seoul National University, KBS, JTBC, CCDPM and KCDCP etc. were carefully selected for Inductive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point to the fact that ‘rumor’ was the most predominent type of the disinformation, second, ‘unidentified’ was the most frequently appeared fabricator in the collected data. Meanwhile, in the cases in which creators of these disinformation are clearly identified, “media press” and “political power group” were equal in proportion. “Quarantine-related issue”, “distortion” and “political gain” were the most noticeable factor in the areas of manipulation subject, means of manipulation and goals of manipulation respectively. In conclusion, in accordance with precedent researches, it could be said that widely spread Covid-19 disinformation during the times of pandemic has had secular aim to obatin political gain by manipulating public opinion. Based on these results, a plan to prevent the production and spread of disinformation is suggested to reduce the harmful effects of disinformation.

      • KCI등재

        가짜뉴스 정책 및 제도 구성을 위한 쟁점 연구

        김해영 ( Haeyoung Kim ),정정주 ( Chung Joo Chung ) 한국지역언론학회 2020 언론과학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가짜뉴스 규제 입안에 있어 고려해야 할 쟁점을 도출하고, 관련 정책대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최근 가짜뉴스로 인한 피해가 급증함에 따라, 정부나 규제기관의 시장 개입이 불가피해졌다. 반면, 표현의 자유를 침해할 수 있는 직접 규제를 최소화해야 한다는 반론도 제기된다. 본 연구에서는 가짜뉴스에 대한 기존 논의들을 검토해 정책 도입을 위한 주요 쟁점으로 가짜뉴스의 개념, 판정 준거. 규제범위, 규제 실효성 이슈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쟁점들은 위계적인 구조를 가지며 상호연결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즉, 가짜뉴스의 개념을 통해 판정 준거를 마련하고, 규제범위를 획정하는 한편, 구체적인 정책 대안을 도출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가짜뉴스와 관련된 이론적 논의에 기초해 주요 쟁점을 재구성하고, 정책 입안의 방향성과 고려 사항을 구체화하였다. 나아가 사후적인 처벌 규제와 자율규제, 팩트체킹 사업자의 지원, 미디어 교육 등 진흥 정책의 효과를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가짜뉴스 규제 입안의 근거를 마련하고, 정책 및 규제와 관련한 사회적 소통을 촉구한다. Fake news has become a global phenomenon due to its explosive growth. In spite of an increase in the infringement of societal legal rights caused by fake news, it is not easy to seek reasonable methods to legally regulate fake news. This is because the specification of victim and clear identification of infringed legal interest are difficult. In order to restrain the spread of fake news, the measures for legally regulating fake news to the minimum necessary need to be explored and the legal regulation of fake news should focus on the prevention of imminent and irreparable social harms that can be caused by fake news. This research presents a comprehensive overview of the regulation and policy issues relating to fake news.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1) introduce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fake news and how it can be formally differentiated from other similar concepts which helps deepen the understanding of fake news; (2) provide a comprehensive review of fundamental frame of fake news detection technology; (3) demarcate the legal scope of fake news regulation; and (4) to analyze the costs and benefits of fake news regulation in Korea.

      • KCI등재

        가짜 뉴스에 대한 규범적 고찰

        오일석(IL SEOK, OH),지성우(SEONG WOO, JI),정운갑(WOON GAB, JEONG) 미국헌법학회 2018 美國憲法硏究 Vol.29 No.1

        가짜 뉴스는 정치적 의사결정을 왜곡하여 민주사회의 근본 가치를 저해할 수 있다. 따라서 가짜 뉴스에 대하여 우리 사회는 적극적으로 대응하여야 한다. 가짜 뉴스에 대해서는 민법, 형법,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공직선거법 등에 의하여 처벌하거나 손해배상책임을 물을 수 있다. 즉, 우리법제는 가짜 뉴스 생성자에 대하여 형법상 명예훼손죄, 업무방해죄, 민법상 불법행위책임은 물론 공직선거법에 따른 허위사실 공표죄와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명예훼손 정보 유통 금지 등을 통하여 책임을 묻고 있다. 가짜 뉴스 매개자에 대하여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른 타인권리 침해 정보의 유통 방지 의무, 동정보의 삭제 또는 반박내용의 게재 등 필요한 조치 및 임시적 조치 의무 등을 규정하고 있다. 공직선거법은 정보통신서비스제공자에 대하여 동 법을 위반한 정보에 대한 후보자 등의 삭제, 취급 거부·정지·제한 요청을 규정하고 있으며, 인터넷언론사에 대하여 실명확인 등을 규정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책임과 처벌 및 제재 등은 선거기간, 타인의 권리 침해 등의 요건으로 인하여 가짜뉴스에 대한 적극적 대응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가짜 뉴스를 공익을 해하는 허위통신 유포로 처벌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으나, 헌법재판소는 이미 이러한 처벌 법규에 대하여 표현의 자유를 제한하고 죄형법정주의에 의한 명확성의 원칙에 위반된다고 한 바 있다. 이와 같이 인터넷상을 통한 가짜 뉴스의 생성에 대하여 허위통신 등으로 처벌하는 것은 한계가 있지만, 언론의 형식을 따르고 있는 가짜 뉴스에 대하여는 정치적 의사결정 과정에 악영향을 미쳐 민주적 기본질서를 훼손할 우려가 매우 크기 때문에 처벌을 고려할 필요성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가짜 뉴스 대응은 SNS, 포털 등 정보통신서비스제공자 등의 적극적인 노력에 기초한 정책에 의할 때 실효성이 극대화된다고 할 것이다. 정보통신서비스제공자들로 하여금 가짜 뉴스를 식별하거나 가짜 뉴스의 노출을 제한하도록 하는 알고리즘 변경을 자율적으로 추진하도록 독려하고 이를 수행하는 경우 일정한 지원을 제공하는 입법을 시도할 필요도 있다. 아울러 가짜 뉴스에 대한 팩트체킹과 가짜 뉴스 생성자에 대한 광고 등 경제적 이득을 제한하는 SNS, 포털 등의 자율적 규제를 통하여 가짜 뉴스의 확산을 차단하는 조치가 시장에서 시행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나아가 언론 관계 법제의 SNS 등 디지털 뉴스 매개자에 대한 적용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가짜 뉴스를 구체적으로 인식하고 있었거나 그 게시물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었음이 외관상 명백히 드러나며, 기술적 및 경제적으로 가짜 뉴스에 대한 관리·통제가 가능한 경우 SNS, 포털 등에 대하여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책임을 인정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가짜 뉴스를 악의적으로 삭제하지 않는 경우 징벌적 손해배상책임을 도입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다. 또한 가짜 뉴스 대응을 위하여 알고리즘의 변경을 공지하거나 팩트체킹 제도를 도입하는 경우 위와 같은 손해배상책임을 감경하는 입법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가짜 뉴스 대응의 실효성 확보를 위하여 국민들에 대한 인식제고와 교육이 선행되어야 하는바, 미국의 입법을 참고하여 교육부로 하여금 가짜 뉴스 대응을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시행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가짜뉴스의 합리적 규제에 관한 고찰

        노동일,정완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경희법학 Vol.53 No.4

        거짓이거나 잘못된 정보를 유통시켜 국민들에게 혼란을 초래함으로써 민주주의를 위기에 처하게 만들 수 있는 이른바 ‘가짜뉴스’는 당연히 규제의 필요성을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가짜뉴스는 그 개념이 모호하여 규제대상이 지나치게 넓어진다는 것이 문제될 수 있으므로 가짜뉴스라는 포괄적 개념으로 규정하기보다는 이를 유형화함으로써 규제대상을 명확히 해야 한다. 아울러 가짜뉴스의 개념과 규제범위를 확정하더라도 가짜 혹은 허위라는 것을 누가 어떻게 판단할 수 있는가가 문제된다. 정부가 가짜뉴스 판별에 나설 경우 권력층이나 집권자에 의해 오용 또는 남용됨으로써 정치사회적으로 민주주의에 큰 해를 부를 수 있다. 정교하고 세련된 외양을 갖춘 가짜뉴스의 경우는 더욱 판별하기 어려울 것이다. 가짜뉴스에 관한 한국과 미국에서의 논의는 새로운 가짜뉴스 규제방안을 강구하기보다는 정부와 뉴스생산자, 뉴스이용자, 뉴스매개자 등 모두가 함께 노력해야 한다는 것으로 귀결되고 있다. 본문에서 전개된 논의의 결론은 첫째, 전통적 뉴스생산자들은 정밀한 팩트체킹을 통해 생산된 뉴스를 통해 뉴스의 신뢰도를 높여야 하고, 둘째 뉴스이용자들은 가짜뉴스를 골라낼 수 있는 안목과 미디어 리터러시를 향상시켜야 하며, 셋째 뉴스매개자들은 비록 완벽하지 않더라도 가짜뉴스를 걸러내는 장치를 마련하거나 신고된 가짜뉴스를 신속히 차단할 수 있는 기술적 방법을 고안해야 한다는 것 등이다. 가짜뉴스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미디어 리터러시를 위한 이용자 교육을 보다 중시할 필요가 있다. 현재 미디어 환경에서 이용자들은 뉴스 제작자이자 소비자이고 참여자이므로 제작자나 소비자 양자의 입장에서 모두 기사와 광고의 구분, 사실과 의견의 구분, 유머와 뉴스의 구분 등에 대해 이해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가짜뉴스에서 허용되는 범위와 제한되는 범위를 이용자에게 알기 쉽게 교육하거나 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선행되어야 한다. 결과적으로 가짜뉴스에 대한 해결책은 한두 가지 새로운 법률이나 공권력이 동원하는 규제책 등 정부의 개입에서 찾을 수는 없다. 새로운 현상에 대한 대응책은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고, 또 시간이 걸리더라도 다양한 주체들의 적극적인 노력을 통해서만 문제의 해결책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So-called ‘fake news’ has a need for regulation in that it can confuse the voter by distributing false or false information, ultimately putting democracy itself at risk. However, the so-called ‘fake news’ may be a problem because the concept itself is ambiguous, as discussed above, and the objects that need to be regulated are too broad. Therefore, rather than trying to define the object of regulation as a comprehensive concept of fake news,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object of regulation by tying it. Even if we define the concept or regulatory scope of so-called ‘fake news’, it is also a question of how and who can judge ‘fake’ or ‘false’. If the government makes false news, misuse or abuse by the power or the ruling party can cause greater harm to democracy politically and socially. It would be harder to discern fake news that has more sophisticated and sophisticated appearance than an absurd fake. It is also a problem to use technical methods such as algorithms or big data to block them. In the algorithm generation stage, there may be a prejudice based on the influence of external power or the judgment of the enterprise itself, and above all,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corporation takes the role of the inspector acting on behalf of the government. In the end, it seems that the discussions of the US and Korea are gathering the efforts of the government, news producers, news users, and news brokers together rather than trying to regulate new ‘fake news’. The conclusions of the active discussions in the United States are as shown above, and the conclusions of some of the following discussions are also similar. “Traditional news producers need to increase news credibility through news produced through precise fact checking, and news users need to improve their perspective and media literacy to pick up fake news. The news brokers should also devise a technological way to get rid of fake news or to quickly block reported fake news, even though it may not be perfect. As a solution to fake news, user education for media literacy needs to be more important. In the current media environment, users are news producers, consumers, and participants. Therefore, both the producers and the consumers need to understand the distinction between articles and advertisements, the distinction between facts and comments, and the distinction between humor satire and news. It should be preceded by educating or providing information to the user in an easily understandable and limited range of fake news. So the solution to so-called “fake news” can not be found in government interventions, such as one of two new laws or regulations that mobilize public power. The response to the new phenomenon is time consuming, and it takes time to find solutions to this problem only through the active efforts of various actors. Only the active participation and discussion of government, news producers, news brokers, and news consumers can find the best means of cleansing the democratic public sphere, and the process of finding such solutions is appropriate for democracy.

      • KCI등재

        한국 신문 사실확인 관행 연구 : 주요 일간지 사회부 취재기자를 중심으로

        김창숙(Changsook Kim)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20 언론정보연구 Vol.57 No.3

        이 연구는 한국 주요 신문 취재기자가 사실을 어떻게 확인하고 있는지 취재와 기사 작성 과정으로 구분해 알아보았다. 주요 신문사 사회부 취재기자 12명을 심층 인터뷰한 결과, 취재 과정에서는 객관주의 형식에 맞춘 의도적 사실 확인 관행이 발견됐다. 구체적으로 취재 과정에서는 방어적, 소극적, 선별적, 선택적, 결과 맞춤형 사실 확인 관행이 드러났다. 기사 작성 과정에서는 가장된 객관성을 바탕으로 사실과 의견을 혼용하는 관행이 발견됐다. 익명이 전제되고, 의견은 강화되었으며 기술적 표현을 통해 의도가 강화되었다. 또 가장된 객관적 글쓰기를 통해 미확인 정보가 사실화되었다. 종합적으로 봤을 때, 한국 신문의 사실 확인 관행은 사실을 확인, 검증하는 것이 아니라 사실로 만드는 의례적인 행위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신문의 사실 확인 관행의 수준을 미국 저널리즘과 비교해 논의했다. This study explored how major Korean newspapers were checking the facts and trying to find out the truth throughout the process of reporting and writing news articles. I hav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2 reporters from major newspapers’ social departments. As a result, I have found out that it is a common practice to confirm facts intentionally tailored to appear objective. Specifically, the fact checking in the course of reporting could be summarized as defensive, passive, selective, and results-tailored. In the process of writing articles, I could find the practice of mixing facts and opinions based on superficial objectivity. Anonymous resource was prerequisite, opinion was added and intent was reinforced through descriptive expression. Unverified information has also been made to appear factual through objective writing. Overall, the Korean newspaper"s practice of checking facts was a strategic ritual of making newspaper articles appear true, not confirming and verifying the facts. Based on these results, I have discussed the cause of such Korean newspaper fact-checking practices, and the level of fact-checking practices in Korean newspapers compared with practices in American journalism.

      • 국내외 가짜뉴스(Fake News)에 대한 뉴스 공정성 연구논의 탐색 : 가짜뉴스에 대한 대응전략을 중심으로

        최영준 청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18 한국사회과학연구 Vol.40 No.1

        The issue of fake news at the U.S. presidential election in 2016 raised controversy about the truth because when it is related to political issues it could produce severe information distortion to make voters judge wrongly and it could cause some crises in the formation of democracy. What are the countermeasures to deal with the fake news that brings distrust and conflict into this society? As considering harmful effects of the fake news, it is the calling for everyone related to news producers, news mediators, and news consumers to verify the fake news and take responsibility for the fake news. Specifically, not only is it responsible for institutional journalists but also everyone should have a vocation to news production that seeks for truth because any journalist is going to be a news producer in this new media age, and they should be devoted to basic duty to verify the facts of news. Online portals or SNS carriers must give efforts to purify themselves such as finding sources of the news and approaching the truth so that the fake news just for mere attention is not going to be a moneymaking means. Finally, news consumers should restrain irresponsible information moving and have a habit to crosscheck the news’ truth, and also media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in order to cultivate an eye that could screen good and bad news. Now, our countermeasures on the fake news should be an effort to keep the existence of our society beyond the pursuit of truth in news. 2016년 미국 대선과정에서 주목받게 된 가짜뉴스 문제는 정치적 이슈와 결합될 경우 심각 한 정보 왜곡으로 인한 유권자의 판단 오류를 야기할 수 있다는 우려와 민주주의 여론형성에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뉴스 진실성 논란을 불러 일으켰다. 우리 사회에 불신과 갈등을 조장하는 위협적인 가짜뉴스를 상대할 대응책은 무엇인가? 가짜뉴스의 폐해를 생각할 때 가짜뉴스는 뉴스 생산자와 뉴스 매개자, 뉴스 소비자 모두가 검증하고 책임을 다해야 할 소명이다. 구체적으로 제도권 언론인의 책무뿐만이 아니라 뉴미 디어 시대의 저널리스트들은 누구나 뉴스 생산자가 될 수 있는 만큼 스스로 진실을 추구하는 뉴스생산의 소명의식을 가져야 하며 항상 뉴스의 팩트를 검증하는 기본적 소임에 충실해야 한다. 뉴스 매개자인 온라인 포털이나 SNS 정보통신 사업자들은 단순한 관심끌기용 가짜뉴 스가 더 이상 돈벌이 수단으로 전락하지 않도록 뉴스의 출처와 진실에 접근하려는 자정 노력 을 철저히 이행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뉴스 소비자들은 무책임한 정보 퍼나르기를 지양하 고 뉴스의 진실성에 대해 교차 체크를 하는 습관과 좋은 뉴스를 선별하는 안목을 위한 미디 어 교육을 충실히 수행해야 한다. 이제, 가짜뉴스에 대한 우리의 대응은 뉴스의 진실성 추구 를 넘어서 우리 사회의 존립을 지키는 노력이 되어야 한다.

      • KCI우수등재

        의례적, 방어적, 의도적 : 한국 주요 신문 에디터의 사실확인을 중심으로 한 게이트키핑 관행 연구

        김창숙(Changsook Kim) 한국언론학회 2020 한국언론학보 Vol.64 No.5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actices regarding how major Korean newspaper editors check and verify the facts contained in the articles written by reporters during the gatekeeping process, and how they refine articles in a way that confirms the facts. Unlike previous gatekeeping studies, which were mainly about news topics or factors that influence gatekeeping,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gatekeeping behaviors centered on fact verification. To that end, I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2 editors of the social affairs department of six major daily newspapers: Chosun Ilbo, JoongAng Ilbo, Dong-A Ilbo, Hankyoreh, Kyunghyang Shinmun, and Hankook Ilbo. Results showed that editors were checking facts formally and defensively based on trust, common sense, and experience, like a rite of passage, and they also distorted the truth according to the required facts. In terms of expression, perceptions and practices were separated from the reporters anonymous expression, only the expressions that were clearly problematic were corrected, and there was a practice of expressing opinions by pretending to convey objectivity. Overall, editors were more aware of the fact-checking norms related to coverage and article writing, but it was found that, the more specific questions were asked, the more they emphasized the limitations of practice and justified the wrong way of doing things. Most interviewed editors had rationalized, internalized, and consolidated existing practices, and were unable to break away from existing wrong practices if they did not actively engage in learning with a sense of problem on their own. To solve this problem, the researcher suggested reinforcing journalism education for editors, assigning fact-checking staff, and teaching citizens news literacy, and stressed the need for Korean media to be reborn as truth verifiers.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expanded its research on gatekeeping and media practices academically. Until now, gatekeeping research has mainly studied how gatekeeping has changed in the changing media environment and what factors affect gatekeeping. This study found out the gatekeeping practices, focusing on checking the facts, which can be said to be key in the news gatekeeping process, and found out more specifically the cause of the production of inaccurate reports that are not accurate. This study expands the subject and scope of research through specialized research for editors. In practice, it is meaningful that the clues for resolving the problem were substantiated by understanding the internal practices of the media. Until now, many studies have criticized news released without confirmation of facts, but the causes have been discussed somewhat abstractly. Editors perceptions of facts, facts confirmation, and practices revealed through this study can be a practical guide in suggesting solutions that urge the press to report accurately and truthfully.

      • KCI등재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Document Summar ization Technique on the Fake News Detection Model

        심재승,원하람,안현철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19 지능정보연구 Vol.25 No.3

        Fake news has emerged as a significant issue over the last few years, igniting discussions and research on how to solve this problem. In particular, studies on automated fact-checking and fake news detec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ext analysis techniques have drawn attention. Fake news detection research entails a form of document classification; thus, document classification techniques have been widely used in this type of research. However, document summarization techniques have been inconspicuous in this field. At the same time, automatic news summarization services have become popular, and a recent study found that the use of news summarized through abstractive summarization has strengthened the predictive performance of fake news detection models. Therefore, the need to study the integration of document summarization technology in the domestic news data environment has become evident.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extractive summarization on the fake news detection model, we first summarized news articles through extractive summarization. Second, we created a summarized news-based detection model. Finally, we compared our model with the full-text-based detection model. The study found that BPN(Back Propagation Neural Network) and SVM(Support Vector Machine) did not exhibit a large difference in performance; however, for DT(Decision Tree), the full-text-based model demonstrated a somewhat better performance. In the case of LR(Logistic Regression), our model exhibited the superior performance. Nonetheless, the results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our model and the full-text-based model. Therefore, when the summary is applied, at least the core information of the fake news is preserved, and the LR-based model can confirm the possibility of performance improvement. This study features an experimental application of extractive summarization in fake news detection research by employing various machine-learning algorithms. The study’s limitations are, essentially, the relatively small amount of data and the lack of comparison between various summarization technologies. Therefore, an in-depth analysis that applies various analytical techniques to a larger data volume would be helpful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