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심층 신경망을 이용한 영상 내 파프리카 인식 알고리즘 연구

        화지호 ( Ji Ho Hwa ),이봉기 ( Bong Ki Lee ),이대원 ( Dae Weon Lee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1

        본 연구에서는 파프리카를 자동 수확하기 위한 시스템 개발의 일환으로 파프리카 재배환경에서 획득한 영상 내에 존재하는 파프리카 영역과 비 파프리카 영역의 RGB 정보를 입력으로 하는 인공신경망을 설계하고 학습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학습된 신경망을 이용하여 영상 내 파프리카 영역과 비 파프리카영역의 구분이 가능 할 것으로 사료된다. 심층 신경망을 설계하기 위하여 MS Visual studio 2015의 C++, MFC와 Python 및 TensorFlow를 사용하였다. 먼저, 심층 신경망은 입력층과 출력층, 그리고 은닉층 8개를 가지는 형태로 입력 뉴런 3개, 출력 뉴런 4개, 각 은닉층의 뉴런은 5개로 설계하였다. 일반적으로 심층 신경망에서는 은닉층이 깊을수록 적은 입력으로 좋은 학습 결과를 기대 할 수 있지만 소요되는 시간이 길고 오버 피팅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요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Xavier 초기화를 사용하였으며, 오버 피팅을 줄이기 위하여 ReLU 함수를 활성화 함수로 사용하였다. 파프리카 재배환경에서 획득한 영상에서 파프리카 영역과 비 파프리카 영역의 RGB 정보를 추출하여 학습의 입력으로 하고 기대 출력으로 붉은색 파프리카의 경우 [0 0 1], 노란색 파프리카의 경우 [0 1 0], 비 파프리카 영역의 경우 [1 0 0]으로 하는 형태로 3538개의 학습 셋을 만들었다. 학습 후 학습 결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30개의 테스트 셋을 사용하였다. 학습 셋을 이용하여 학습을 수행하기 위해 학습률을 변경하면서 학습 결과를 확인하였다. 학습률을 0.01 이상으로 설정한 경우 학습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는 학습률에 의해 결정되는 가중치의 변화량이 너무 커서 비용 함수의 결과가 0에 수렴하지 않고 발산하는 경향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학습률을 0.005, 0.001로 설정 한 경우 학습에 성공하였다. 학습률 0.005의 경우 학습 횟수3146회, 소요시간 20.48초, 학습 정확도 99.77%, 테스트 정확도 100%였으며, 학습률 0.001의 경우 학습 횟수 38931회, 소요시간 181.39초, 학습 정확도 99.95%, 테스트 정확도 100%였다. 학습률이 작을수록 더욱 정확한 학습이 가능하지만 소요되는 시간이 크고 국부 최소점에 빠질 확률이 높았다. 학습률이 큰 경우 학습 소요 시간이 줄어드는 반면 학습 과정에서 비용이 발산하여 학습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음을 확인 하였다.

      • KCI등재

        파프리카 급여가 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의 혈청 지질과 α-Tocopherol농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박재희 ( Jae Hee Park ),노상규 ( Sang K. Noh ),김창순 ( Chang Soon Kim ) 한국식품영양학회 2010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3 No.3

        본 연구는 추출물 형태에 따른 파프리카 첨가 식이가 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의 혈청 지질과 α-tocopherol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Sprague-Dawley 수컷 25마리를 대조군(NC), 고콜레스테롤군(HC), 고콜레스테롤+동결 건조 파프리카 분말 섭취군(HC-FDP), 고콜레스테롤+파프리카 물 추출물 섭취군(HC-WEP), 고콜레스테롤+파프리카 에탄올 추출물 섭취군(HC-EEP)으로 나누어 실험 식이를 6주간 공급하였다. 6주 후 HC군과 파프리카 급여군에서 체중 증가는 각각 85.2%와 65.5~68.88%로 HC군에서 체중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리고 내장지방 무게는 HC군보다 파프리카 급여군에서 감소하였으며, 파프리카 급여군의 중성지질,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과 atherogenic index 역시 HC군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그리고 파프리카 급여군들 중에서는 HC-EEP 군이 혈청지질 농도 감소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혈청 α-tocopherol 농도는 HC-EEP에서 30.5±0.6μMol/ℓ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는 HC-WEP(30.0±0.8μMol/ℓ)>HC-FDP(29.1±0.5μMol/ℓ)>HC(27.7±0.3μMol/ℓ)이었다. 이는 고콜레스테롤 식이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혈청 α-tocopherol이 소모되는 것을 파프리카 급여로 절약 하는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파프리카는 혈중 지질 농도 저하 효과를 보였고, α-tocopherol 절약 작용을 통해 체내 항산화제로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파프리카 수확작업의 자동화를 위한 인공지능 및 영상처리를 이용한 수확로봇 개발

        이봉기 ( Bong-ki Lee ),감동환 ( Dong-hwan Kam ),이대원 ( Dae-weon Lee ),화지호 ( Sea-bo Oh ),오세부 ( Byeong-ro Min ),민병로 한국농업기계학회 2018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3 No.2

        본 연구는 파프리카 재배 환경의 영상 정보를 얻고 파프리카의 인식 및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인공지능 및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구현하였다. 위치 정보를 통하여 파프리카를 수확 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수확로봇을 제어하여 파프리카의 자동 수확을 수행하였다. 파프리카의 색상 정보를 분석하여 특징적인 색상(Hue)의 임계값과 그를 보조하기 위한 채도(Saturation)의 임계값을 설정하였다. 인공 신경망을 통하여 은닉층이 1개인 BP 알고리즘과 은닉층이 3개 이상인 심층 신경망 및 CNN 알고리즘을 통하여 학습을 수행하였으며 영상에서 파프리카 영역을 분할해 내는 알고리즘을 완성하였다. 수확로봇의 매니 퓰레이터는 좁은 공간에서 효율적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회전축, 수평, 수직축으로 이루어진 원통 형 로봇의 형태로 제작 하였으며, 엔드이펙터는 파프리카 외형 치수에 기반 하여 하부에서부터 접근하여 수확할 수 있는 형태로 제작하였다. 파프리카의 과실만을 이용하여 수확작업이 가능한 형태로 제작하였으며 수직방향의 줄기를 절단 할 수 없도록 절단부를 수직방향으로 제작하였다. 수확로봇을 제어 할 수 있도록 서보 모터와 앰프 및 모션 컨트롤러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엔드이펙터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파프리카를 인식하고 ROI의 상단 중심과 하단 중심을 이용하여 파프리카의 위치와 자세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정보를 바탕으로 3단계에 걸친 수확 작업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수확을 시도한 110개의 파프리카 과실 중에서 97개는 수확이 가능하였으며, 전체 대상 작물 중 88.2%의 수확 성공률을 보였으며, 총 수확 작업을 하는데 소요된 시간은 79분 04초이다.

      • 파프리카 품종에 따른 metrafenone의 잔류특성

        신희정,김단비,김창조,노현호,김택겸,오민석,이은영,경기성 한국농약과학회 2021 한국농약과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21 No.11

        최근 형태와 크기가 다양한 파프리카 품종이 개발되었지만 아직 품종별 농약의 잔류특성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일반 파프리카(품종: scirocco)와 미니 파프리카(품종: WLS 3455) 중 농약의 잔류특성을 비교함으로써 안전한 농약사용을 도모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시험농약은 metrafenone 15% 입상수화제이었으며, 안전사용기준에 따라 7일 간격으로 수확 3일전까지 3회 살포 후 최종 약제 살포 당일부터 7일차까지 5회 채취하였다. 파프리카 중 시험농약의 잔류량은 QuEChERS 방법과 LC-MS/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일원분산분석 후 Duncan의 다중검정과 독립표본 t-검정을 이용하여 유의성을 검정하였다(p < 0.05). 일반 및 미니 파프리카 중 시험농약의 회수율은 각각 94.95~104.62%(RSD 0.43~4.89%), 83.54~99.14%(RSD 0.45~0.91%)으로 분석법이 유효함을 입증하였다. metrafenone의 경과일수별 잔류량은 일반과 미니 파프리카에서 각각 0.84~1.06 mg/kg, 0.63~1.03 mg/kg이었으며 미니 파프리카에서의 0일차 잔류량을 제외하고 경시적으로 유의한 감소경향을 보이지 않았다(p < 0.05). 또한 품종별 잔류량에서는 3일차와 5일차를 제외하고 품종 간의 잔류량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metrafenone의 경과일수별 잔류량은 모두 잔류허용기준 미만이었으므로 일반 파프리카의 안전사용기준을 미니 파프리카에 적용하여도 안전하다고 판단되었다.

      • ICT기반 스마트팜 수출파프리카 농업경영체의 경영성과

        이승현,하지영,박향자,김덕현,이혜림 한국품질경영학회 2018 한국품질경영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

        ICT 기반의 스마트팜은 생산의 품질향상, 수확시기 조절, 생산량 증대에 기여하고 있다. 현재 스마트팜은 토마토, 파프리카 등의 시설원예분야에 도입비중이 가장 높은데, 국내산 파프리카는 신선농산물 중에 대표적인 수출품목이다. 국내산 파프리카는 일본 등에 지속적인 해외수출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내수가격의 여건변화에 따라 생산자들이 수출 비중을 낮춤으로써 안정적인 수출물량공급에 차질이 빚어지고, 이로 인해 우리나라의 수출품질이 낮아지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팜 도입 수출농업경영체 4개소를 대상으로 파프리카의 10a당 경영성과를 년차별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스마트팜 수출파프리카 농업경영체의 2016년(2015-2016년도 작기)과 2018년도(2017년-2018년도 작기)를 상호 비교하였는데 스마트팜 수출파프리카 농업경영체의 2016년도 조수입 33,000천원, 경영비 31,410천원, 생산비 42,868천원, 소득 1,589천원, 순수익 -9,868천원, 소득률 4.8%로 나타났다. 스마트팜 수출파프리카 농업경영체의 2018년도 조수입 45,162천원, 경영비 37,196천원, 생산비 65,781천원, 소득 7,965천원, 순수익 -20,619천원, 소득률 17.6%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2016년도에 비해 2018년도는 조수입 12,162천원, 경영비 5,786천원, 생산비 22,913천원, 소득 6,376천원, 순수익 -10,751천원, 소득률 12.8%가 증감하였다. ICT기반 스마트팜 수출파프리카 농업경영체의 경영성과는 2016년에 비해 2018년도에 더욱 개선되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수출품질 향상을 위해 스마트팜 도입 경영체가 수출 상대국(일본 등)의 생산시기에 따라 순차적 생산을 하거나, 시장에 따라 품종을 달리하여 납품하는 등 계획생산을 함으로써 안정적인 수출물량 공급이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

      • KCI등재

        돈육 패티에 첨가한 파프리카 추출물의 항산화효과

        정강진,양한술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3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7 No.5

        기존의 합성 항산화제를 대체하기 위하여 천연물질 유래 항산화제인 파프리카 추출물을 돈육 패티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제를첨가하지 않은 돈육 패티(C), 합성 항산화제인 아질산염을 첨가한 돈육 패티(NC), 파프리카 추출물을 5 mg 첨가한 돈육 패티(T1), 파프리카추출물을 10 mg 첨가한 돈육 패티(T2)를 제작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돈육 패티는 7 ℃ 냉장 온도에서 0일 및 7일간 저장하였으며, pH, 육색,가열 감량, 지방산패도, 및 카르보닐함량을 비교하였다. C에 비해 모든 처리구에서 낮은 pH와 가열 감량을 보였다(p < 0.05). 처리구에서 낮은명도와 높은 적색도 값을 나타냈다. 또한 합성 항산화제인 아질산염 첨가구보다 파프리카 추출물 첨가한 돈육 패티에서 높은 적색도를 나타냈다(p< 0.05). 모든 처리구에서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카르보닐함량과 지방산패도는 증가하며, 저장 7일째 처리구에서 낮은 카르보닐함량과 지방산패도를 보였다(p < 0.05). 특히 저장 7일째, 합성 항산화제인 아질산염을 첨가한 돈육 패티에서 가장 낮은 지방산패도를 보였다. 파프리카 추출물또한 지방산패도를 낮추며, 파프리카 추출물 첨가량이 높을수록 더 크게 지질산화를 억제하였다. 따라서, 돈육 패티에서 파프리카 추출물을 첨가하면돈육 패티의 산화를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또한 파프리카 추출물의 첨가량을 조절함으로써 아질산염과 유사한 항산화능을 지님을 확인하여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ntioxidant effect of paprika extract (PE) compared to sodium nitrite in pork patties duringrefrigerated storage. Pork patties were prepared with added no antioxidant (C), sodium nitrite (NC), 5 mg of PE (T1), and 10 mg ofPE (T2). These pork patties were stored at a temperature of 7 °C for 7 days, and the degree of quality characteristics and oxidationwere compared. The incorporation of NC and PE led to a significant (p < 0.05) reduction of pH, cooking loss, and lightness valuesand an increase in the redness color values. For carbonyl contents and thiobarbituric acid-reactive substance (TBARS) values, the treatedsample showed a significant (p < 0.05) difference compared to the C at 7 days storage time. The NC decreased lipid oxidation ascompared to PE (p < 0.05). Also, 10 mg PE (T2) was more effective in delaying lipid oxidation compared to the other added 5 mgPE (T1). Our results suggest that fresh pork patties with paprika extract can enhance quality characteristics, as acceptable quality foundthat pork patties added with PE had better color. Therefore, the addition of PE to pork patties can lead to lower lipid oxidation andprotein degradation, and a natural antioxidant in replacing sodium nitrite which is a synthetic antioxidant.

      • KCI등재

        파프리카 수경재배 시 배액 재사용과 배지 종류에 따른 생육 및 배액 내 이온 농도 변화

        임미영(Mi Young Lim),정은설(Eun Seol Jeong),노미영(Mi Young Roh),최경이(Gyeong Lee Choi),김소희(So Hui Kim),이충근(Choung Keun Lee)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22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31 No.4

        본 연구에서는 파프리카(Capsicum annuum L.) ‘Scirocco’ 품종 수경재배 시 배액 재사용 여부에 따른 순환식 재배와 비순환식 재배 및 배지 종류가 배액의 양분 이온 변화 양상과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파프리카의 파종은 2021년 8월 19일에, 정식은 2021년 9월 16일, 순환식 및 비순환식의 재배 방식 적용은 2021년 10월 21일에 시행하였다. 배액 내 양분 분석 결과, Na+와 Cl-은 작물이 제대로 흡수하지 않는 대표적은 이온으로써 생육이 진전될수록 순환식 재배방식에서 집적되었다. 또한 배액 내 NH4-N의 함량이 NO₃-N의 함량에 비해 현저히 낮으므로 파프리카의 이온 선택성으로 인해 NO₃-N 보다 NH₄-N이 우선 흡수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파프리카의 생육 및 과실 특성은 배액 재사용 여부와 배지의 종류에 따른 처리 간의 차이가 크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순환식과 비순환식의 수경재배 방식, 코이어와 암면의 배지 종류에 따른 파프리카 수경 재배 시 중기 이후의 세력 약화로 인한 착과 불량을 유의하여 관리한다면 처리 간의 차이가 크지 않으므로 농가의 실정에 맞는 재배 방식과 배지를 선택하여 파프리카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최근 환경오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만큼 배액 재사용에 따른 병원균 감염 등을 잘 관리한다는 가정 하에서 순환식 재배 방식을 채택해도 수량 감소나 품질 저하 등은 우려하지 않아도 될 것이라 판단되며, 폐기 문제가 발생하는 암면 대신 코이어 배지를 선택한다면 더욱 환경오염 감소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losed cultivation and open cultivation method and substrate type on the nutrient ion change pattern and growth of sweet pepper (Capsicum annuum L.) ‘Scirocco’ according to the reuse of drainage in hydroponics. The sowing, transplanting, and application of the closed and open cultivation method were carried out on August 19 and September 16, and October 21, 2021,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nutrients in the drainage, Na+ and Cl- are representative ions that crops do not absorb properly, and as the growth progresses, they are accumulated in the closed method. In addition, since the content of NH₄-N in the drainage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NO₃-N, it is thought that NH₄-N is preferentially absorbed rather than NO₃-N due to the ion selectivity of sweet pepper. The growth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sweet pepper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reatments according to the drainage reuse and the type of substrate. In conclusion, if you take care of poor fruiting due to the weakening of power after the middle period in hydroponic cultivation of sweet pepper according to the cultivation method of closed and open, and the substrate type of coir and rock wool, the difference between treatments is not large, so the sweet pepper can be produced by selecting the cultivation methods and substrate types suitable for the conditions of grower. However, as interest in environmental pollution has recently increased, it is judged that there is no need to worry about a decrease in quantity or quality, even if a closed cultivation method is adopted under the assumption that pathogen infection due to drainage reuse is well managed. It is expected that if coir is applied instead of rock wool, which causes a problem of disposal, it will further contribute to the reduc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 파프리카 추출물의 색소안정성과 Ethoxyquin 및 잔류용매 검출

        이선옥,경석헌,박길동,강희곤,박주성,이시경,Lee, Seon-Ok,Kyung, Suk-Hun,Park, Kil-Dong,Kang, Hee-Gon,Park, Joo-Sung,Lee, See-Kyung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02 한국농화학회지 Vol.45 No.2

        올레오레진 파프리카의 색소 안정성과 ethoxyquin의 잔류량 분석을 위하여 용매별 최대 흡수파장과 흡광도, 용매와 ethoxyquin파의 잔류량 분석 조건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용매별 올레오레진 파프리카의 최대 흡수파장은 444-458 nm에서 나타났으며 흡광도 값은 에탄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아세톤, 클로르포름, 메탄올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용매별 올레오레진 파프리카 추출물에서의 색가는 에탄올, 아세톤, 클로르포름 그리고 메탄올 순으로 높았으며 국가별로는 미국 제품이 용매에 따라서 다른 나라의 제품보다 2-6배 정도가 높았다. 올레오레진 파프리카에서 잔류되는 용매는 주로 아세톤, 메탄올 그리고 헥산이 일부제품에서 미량 검출되었으며 기타의 잔류용매는 검출되지 않았다 Ethoxyquin의 분석에서 GC에 의한 분석방법으로는 다양한 분석조건에서 실시하였으나 적합하지 않았다. HPLC에 의한 ethoxyquin의 분석을 위한 올레오레진 파프리카 추출물의 용해용매로 헥산을 이용한 것이 가장 분리능이 좋았으며 검출한계는 $0.01\;mgl^{-1}$이었다. 생산국별 올레오레진 파프리카에서의 ethoxyquin 검출은 미국과 스페인 제품에서 미량 검출되었으며 ethoxyquin이 검출된 제품이 검출되지 않은 제품보다 색가가 더 높게 나타났다. Effects of ethoxyquin on the color stability of oleoresin paprika extracts and amount of residual ethoxyquin, a color stabilizer, in commercial extracts were determined. The oleoresin paprika extracts dissolved in ethanol gave the highest maximum photo-absorbency at 444-458 nm, with the color index of United States product 2-6 times higher than that produced in India. The residual solvents in oleoresin paprika extracts were mainly acetone and methanol, although some other extracts also contained small amounts of hexane. HPLC analysis was determined as a proper analytical method for residual ethoxyquin assay in the oleoresin paprika extracts, particularly when hexane was used as a solvent. The residual ethoxyquins were detected in the extracts produced in US and Spain which had relatively high color indices.

      • KCI등재

        파프리카 추출물의 색소안정성과 Ethoxyquin 및 잔류용매 검출

        이선옥,이시경,경석헌,박길동,강희곤,박주성 한국농화학회 2002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45 No.2

        올레오레진 파프리카의 색소 안정성과 ethoxyquin의 잔류량 분석을 위하여 용매별 최대 흡수파장과 흡광도,용매와 ethoxyquin의 잔류량 분석 조건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용매별 올레오레진 파프리카의 최대 흡수파장은 444~458nm에서 나타났으며 흡광도 값은 에탄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아세톤,클로르포름,메탄올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용매별 올레오레진 파프리카 추출물에서의 색가는 에탄올, 아세톤, 클로르포름 그리고 메탄올 순으로 높았으며 국가별로는 미국 제품이 용매에 따라서 다른 나라의 제품보다 2~6배 정도가 높았다.올레오레진 파프리카에서 잔류되는 용매는 주로 아세톤,메탄올 그리고 핵산이 일부제품에서 미량 검출되었으며 기타의 잔류용매는 검출되지 않았다. Ethoxyquin 의 분석에서 GC에 의한 분석 방법으로는 다양한 분석조건에서 실시하였으나 적합하지 않았다. HPLC에 의한 ethoxyqui의 분석을 위한 올레오레진 파프리카 추출물의 용해용매로 핵산을 이용한 것이 가장 분리능이 좋았으며 검출한계는 0.01㎎l^-1 이었다. 생간국별 올레오레진 파프리카에서의 ethoxyquin 검출은 미국과 스페인 제품에서 미량 검출되었으며 ethoxyquin이 검출된 제품이 검출되지 않은 제품보다 색가가 더 높게 나타났다. Effects of ethoxyquin on the color stability of olearesin paprika extracts and amount of residual ethoxyquin, a color stabilizer in commercial extracts were determined. The oleoresin paprika extracts dissolved in ethanol gave the highest maximum photo-absorbency at 444-458 nm, with the color index of United States product 2-6 times higher than that produced in India. The residual solvents in oleoresin paprika extracts were mainly acetone and methanol, although some other extracts also contained small amounts of hexane. HPLC analysis wsa determined as a proper analytical method for residual ethoxyquin assay in the oleoresin paprika extracts, particularly when hexane was used as a solvent. The residual ethoxyquins were detected in the extracts produced in US and Spain which had relatively high color indices.

      • 초분광 이미지를 이용한 파프리카 숙성도 분류의 최적 밴드 선정

        조병효 ( Byeong-hyo Cho ),송혜영 ( Hye-young Song ),김용현 ( Yong-hyun Kim ),서다솜 ( Dasom Seo ),김원경 ( Won-kyung Kim ),김경철 ( Kyoung Chul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1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본 연구에서는 파프리카의 숙성도를 비파괴적으로 분류하기 위하여 초분광 이미지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최적의 분광 밴드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실험 재료로는 전라북도 전주시의 온실에서 재배된 나가노(적색계) 파프리카를 사용하였다. 파프리카의 숙성도는 미숙, 중숙 및 완숙 총 3단계로 분류하였으며, 각 숙성도별로 3개씩 총 9개의 과실을 사용하였다. 수확된 파프리카는 초분광 카메라(HyperCam v10e, ASIA Aero Survey co., Ltd., Seoul, Korea)를 이용하여 실험실 수준에서 분광 데이터를 취득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초분광 카메라는 400-1,000 nm의 분광대역을 제공하며, 분광 해상도는 1.2 nm이었다. 취득된 초분광 이미지는 NDVI 필터를 적용하여 배경을 제거한 후, 과실로부터 ROI를 추출하였으며, ROI로부터 얻은 초분광 데이터는 Multiplicative Scatter Correction (MSC) 필터를 이용하여 데이터 전처리를 하였다. 초분광 데이터 전처리 후, 파프리카의 숙성도를 분류할 수 있는 주요 파장을 선정하였다. 그 결과, 600-720nm의 분광대역에서 파프리카의 숙성도와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0.85 이상의 R 값)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파프리카의 숙성도를 비파괴적으로 분류하기 위해서는 600-720 nm의 파장대역이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