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 토정의 '청주 홍수 예고' 전설 고찰

        황인덕 어문연구학회 2013 어문연구 Vol.76 No.-

        토정 이지함(1517-1578)은 매우 역동적인 행적을 보여준 인물이었다. 때문에 그에 대한 전설은 지역성을 띠는 것이 많으며, 따라서 이러한 관점에서 그에 대한 관련 전설을 탐색하고 다루는 일이 필요하다. 이 글은 이러한 관점에서 토정이 청주의 홍수를 예고했다는 전설을 고찰해본 것이다. 청주가 홍수에 취약한 것은 옛날부터 잘 알려진 사실로 여러 문헌기록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근본적인 이유는 청주의 지리적 특징에서부터 찾을 수 있다. 청주시가 무심천의 하류쪽에 위치해 있는 점, 홍수 유발 지점인 청주시와 무심천이 만나는 지점이 굽어있다는 점, 무심천 상류 유역 일대가 높은 산지로 둘러싸여 있다는 점, 그로 인하여 전체적으로 무심천의 하상계수가 크다는 점 등을 그 구체적인 요인들로 들 수 있다. 토정은 청주의 이러한 지리적 특징을 알고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토정이 실제로 청주를 방문함으로써 위 전설의 발생이 가능했을 것이다. 토정이 청주를 방문했을 가능성은 청주와 이색과의 관계, 토정과 그의 제자 박춘무와의 관계 등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위 전설의 유형은 기본형과 변이형으로 나뉘고 있음을 살폈다. 그리고, 특히 기본형은 줄거리가 매우 짧음에도 각편(version)들에 따른 세부 표현에서 차이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것이 기본형의 화소가 보여주는 내용상, 표현상의 중요한 특징임을 주목하고자 했다. 그리고 그 기존적인 표현은 ㉠ "용수 사시오."와 ㉡ "청주 뜨는 용수 사시오."로서 이것을 중심으로 각편에 따른 변이 표현들을 낳았다고 보았다. 이로써, '청주 홍수 예고' 전설은 토정과 청주와의 실질적인 관련성 위에서 우러난 지역전설의 하나임이 드러났다고 할 수 난 있다. 청주라는 고유 지명과 토정의 기발한 상상력이 빚어낸 독특한 전설의 하나임을 알 수 있다. 위 전설은 늘 민생을 걱정하는 토정의 사상과 행적에 기반을 둔 것이면서 '물'과 밀접한 관련성을 지닌 토정의 모습을 보여주는 예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전설로서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Lee, Ji-ham(之菡) (1517-1578, referred to as his penname Tojeong) was a person who showed a dynamic life trajectory. Many of the legends regarding Tojeong, are local in nature, which necessitates local points of view in exploring and studying those legends. This paper examines the legend entitled "Tojeong predicts flood in Cheongju(淸州)" from such a viewpoint. That Cheongju is vulnerable to flood is a long-known fact which can be witnessed in many documentary records. The fundamental reason for this can be found in the geographical features of the city : it is located in downstream of Musimcheon(無深川) ; the stream bends where it meets Cheongju, the point where flood originates, the upstream of Musimcheon is high in a mountainous area, and consequently the stream's regime coefficient is large overall. Tojeong must have been aware of thes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The legend could not have come into existence without Tojeong visiting Cheongju. The possibility that he visited the city can be inferr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Cheongju and Lee, Saek(穡), and Tojeong's relationship with Park, Chun-mu(春茂), one of his students. The study also shed light on the distinction between the legend's original version and its variations. In particular, despite the extremely simple plot, the variations show differences in expressional details. This paper attempted to draw attention to those differences as important characteristics, given the content of the motifs of the original version. It is suggested that the different expressions are variations of two basic phrases: ① "Buy Yongsoo(용수)" and ② "Buy Yongsoo to scoop up(=depart from) Cheongju". As such,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prediction of flood in Cheongju turns out to be a local legend based on the actual relationship between Tojeong and Cheongju. It is shown that the unique legend was created by the rendezvous of the geographical name, Cheongju and Tojeong's ingenious imagination. The legend is meaningful in that it is based on the thoughts and deeds of Tojeong who always cared about ordinary people's livelihood, and it exemplifies his close relationship with water.

      • KCI등재후보

        이지함(李之菡)의 걸인청(乞人廳)을 활용한 ICT 융합콘텐츠 제안

        배지혜 ( Bae Ji-hye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8 韓國思想과 文化 Vol.93 No.-

        지역의 역사문화자원에 대한 문화콘텐츠의 기획은 대중이 원하는 방향의 문화적 요구사항을 고려하고 문화콘텐츠의 지속적인 브랜드를 확보함을 전제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문화콘텐츠는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를 활용하여 다중 감각적인 융합콘텐츠로의 기획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역의 특수성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공간에서의 콘텐츠 활용과 파급효과에 대한 극대화를 위해 제작되어진다. 이지함(李之菡)은 토정비결의 저자로 민생문제 해결을 위해 펼친 경제개혁론 및 그가 설립한 것으로 알려진 걸인청의 존재로도 주로 다루어지는 인물이다. 본 논문에서는 ‘토정(土亭) 이지함(李之菡)’이라는 역사적 인물과 그의 수많은 업적 중 ‘걸인청(乞人廳)’이라는 소재를 선정하였고 이를 역사적 고증과 해석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대중의 문화적 요구와 인식에 초점을 맞추어 하나의 역사문화콘텐츠로 구축하는 과정을 목표로 하여 ICT 기반의 융합콘텐츠로 기획을 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해보고자 한다. 이는 비록 대중적 관심은 낮지만 충남 아산 내에서 사회·문화적 가치를 지닌 역사인물인 ‘이지함’을 대중에게 이해시키고 관심을 유도하기 위한 문화콘텐츠를 기획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걸인청을 소재로 한 ICT 융합콘텐츠의 다양한 활용방안제안 중 ‘토정 이지함’과 관련된 유적 및 자료를 실현가능한 문화적 차원에서 활용해보고자 할 때 ‘토정이지함 기념관’이라는 공간형 콘텐츠기획을 대표적으로 제안해보았다. 공간형 콘텐츠와 ICT를 적용한 기술에 대해서는 사실감과 실제감을 부여하고 대중들에게 몰입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증강현실 콘텐츠를 구현해보는 것을 제안하였다. 관람객들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을 통해 걸인청 재현 공간을 비추면, 화면을 통해 실제 걸인청을 배경으로 하여 여러 영상 및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외에도 비콘(beacon) 기술적용과 뉴미디어 활용방안으로 미디어파사드(Media façade) 기술을 적용한 스토리텔링 콘텐츠 구현을 제안 하였다. 디지털콘텐츠 활용방안으로는 ‘토정 이지함’의 업적과 ‘걸인청’에 대한 역사자원을 디지털 미디어로 재생하기 위한 사이버 기념관 구축과 다양한 포맷의 에듀테인먼트 콘텐츠 제작 및 디지털 교육콘텐츠 제작 등을 구체적인 방안으로 제안해보았다. The planning of cultural contents for local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needs to be based on the cultural consumption direction of the public and the continuous brand acquisition of cultural contents. In this regard, multi-sensory convergence contents planning is being done using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and it has been produced from the viewpoint of maximizing the utilization and ripple effects in various spaces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ficity of the area. Lee Ji-Ham(李之菡) was the author of Tojeongbigyeol(土亭秘訣) and was mainly dealing with the economic reform theory and the Geolincheong, which was known to have been established by him,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welfare. In this paper, the historical person named 'Tojeong(土亭) Lee Ji-Ham(李之菡)' and 'Geolincheong(乞人廳)’, Which is one of his many accomplishments, is focused on building a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 for the public's cultural consumption and awareness, without focusing on historical confirmation and interpretation and we propose a convergence content using ICT technology. It is aimed at create cultural contents to understand and attract the public to the 'Lee Ji-Ham', a historical person with social and cultural values, in Asan, Chungnam, although the public interest is low. For this reason, one of the various proposals of ICT convergence contents using Geolincheong, we tried to utilize the relics and data related to Lee Ji-Ham in a feasible cultural dimension. Therefore, we proposed a space type contents called 'Tojeong Lee Ji-Ham's Memorial Hall'. In this regard, ICT application technology is suggested to realize realistic feeling by using augmented reality contents and maximize immersion effect to the public. Visitors will be able to see the space reproduced by Geolincheong through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and receive various images and information on the screen in the background of the actual Geolincheong. We also proposed to implement contents using beacon technology and media façade. In addition, Lee Ji-Ham's achievements and the historical resources of Geolincheong were implemented through digital technology and suggested ways of utilizing digital contents to play with digital media. To this end, we have proposed the construction of cyber memorial hall and the production of edutainment contents in various formats as practical ways.

      • 토정 이지함에 대한 경영학적 소고

        심현철(Shim Hyun Chul) 성신여자대학교 경영연구소 2014 경영관리연구 Vol.7 No.2

        한국적 경영 모델의 형성을 위해 과거의 한국 경영자들의 경영실제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본고는 선구적인 경제이론가요 경영실천가인 토정 이지함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관련연구들을 참고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였고, 이 모형의 틀에 따라 이지함의 경영실제를 분석하였다. 경영계획 측면에서, 이지함은 뚜렷한 국가경제관점과 사회적 책임의식을 가졌다. 조직화의 측면에서, 솔선수범하여 근검절약하였고, 사람을 평등하게 대우했다. 지휘 측면에서 교육훈련을 실시했고, 고충처리를 우선시했다. 사기앙양의 방법으로 토정비결을 발간하였다. 마케팅과 물류활동으로 백성들을 구제하였고, 해외 무역도 추진하였다. 생산운영관리는 투명경영을 표방하였다. 왕에게 어업, 염업, 옥광, 및 은광의 개발을 통한 국민소득의 증대를 제안했다. 이지함의 모형은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들을 제시한다. 첫째, 사회의 부정부패를 일소하는것이 경제를 부흥시킬 것이다. 둘째, 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우선시한다면 공공복지에 보다 나은 기여를 하게 될 것이다. 셋째, 국민경제의 신규사업 창조를 위해 재능있는 인재들을 활용해야 한다. 본 연구의 한계는 연구자료가 많지 않았다는 점이다. 앞으로 보다 심도있는 이지함 연구들이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The review on the practices of Korean business-administrators of old times for the formation of Korean-management model is needed. I have reviewed the schola Tojeong Lee Ji Ham who was an early economist and was practicing business-administration. I have constructed my research model after referring to related studies on him. And I have analyzed the managerial practices of Lee Ji Ham within the framework of the model. In managerial planning, Lee Ji Ham had vivid national economic view and the concept of social responsibility. In organizing the enterprises, he took the initiative and set an example in frugality and treated people equally. In leading the business, he implemented eduacation and training, putting grievance settlement as a priotity. To encourage morale of people, he published the prophetic writing- Tojeong-Bigyeol. Through marketing and logistics in business he had helped the poor and he started overseas trade. In operating business, he adopted transparent management. He made a suggestion to the king on the development of fishery, salt farm, silver mine and jade mine for national wealth. Lee Ji Ham"s model has many implications on us. First, rooting out the corruption and irregularities will revitalize Korean economy. Second, if companies focus on the social responsibility first, they can contribute better to public welfare. Third, in order to create new businesses for Korean economy, we should use the talented person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e shortage of research materials. I expect more in-depth studies carried out by many on Lee Ji Ham.

      • KCI등재

        토정 이지함의 도학사상(道學思想) 연구

        김창경 (사)율곡학회 2017 율곡학연구 Vol.35 No.-

        Tojeong, Lee Ji-ham was a Confucian scholar during the mid-Joseon era who tried to implement the perfection of knowledge by studying the principles of real things in Confucianism. He continually tried to put primaryrealworth into practice. Tojeong was conscious of the anxiety concerning the nation and of common people with exceptional abilities and academic backgrounds. He was a true scholar who tried to solve problems derived from social discrimination, disease and starvation that people are forced to face in their daily lives. However, he is recognized as an eccentric scholar who transcended all the formality of the mundane world with extra-ordinary behaviors. In the academic world, he is categorized as a Ghi-oriented scholar or a natural philosopher and these labels have caused his academic achievements to be devaluated, overlooked and excluded. However, Tojeong practiced the funeral and ancestral rites according to Confucius’manners and used the noble poverty of Geuk-Gi-Bok-Rye from Yan Hui and Mencius` reduction of desires as the foundation for cultivating one's mind. He also carefully considered the studies of Gyeong and faithfully committed himself to the practice of it. This signifies that he is a true Confucianist who tried to implement the teaching of Confucianism. As incumbent mayor in Pocheon Hyeon and Asan Hyeon, he tried to implement a practical way for people to govern through petition which is similar to the principle of a ruler’s governance. Tojeong's practical spirit has a philosophy that is earnest for patriotism and has affection for people. In addition to this, Tojeong's Confucian ethics reveal his strong will to realize ethical ideas and lessons by not avoiding the present reality which common people face. 토정 이지함은 조선중기 선비로서, 유가 학문이 추구하는 사물의 이치를 궁구해서 당면 현실에 구현하고자 하는 본지를 노력하고 실천하며 살아간 유학자이다. 무엇보다도 토정은 비범한 능력과 학문적 경지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국가와 백성들을 걱정하는 우환의식(憂患意識)을 지녀서, 백성들이 당면한 신분차별과 질병 및 굶주림 등을 현실적으로 해결하고자 실천한 선비이다. 다만 그의 행적이 세속을 초월하여 비범한 일들이 많기에, 학계에서도 기(氣)중심론자 내지는 자연철학자로 분류되어 오늘날까지 학문적 위상을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고 소외되어 있다. 그러나 토정은 공자의 예법을 따라 상제례(喪祭禮)를 실천하고, 안회와 같은 극기복례의 청빈과, 맹자의 과욕(寡慾)을 수양의 근본으로 삼고 있다. 또 경(敬)을 위주로 학문을 궁리하고 독실하게 실천함을 근본으로 삼아서, 유교의 가르침에 충실한 유학자였음이 잘 드러나고 있다. 더구나 포천현감과 아산현감 재직시에 그가 상소문을 통해 실천하고자 했던 치인(治人)의 실천방법은, 왕도(王道)의 지치(至治)와 다름이 아니다. 이러한 토정의 실천정신에는 절실한 우국애민사상이 자리하고 있다. 아울러 일반 백성들과 더불어 살면서 당면한 현실을 회피하지 않고, 행도(行道)와 수교(垂敎)를 투철하게 실천하고 있는 그의 삶에는 토정의 도학사상이 잘 드러나 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지역 문화인물 콘텐츠개발연구 -보령, 토정(土亭) 이지함(李之?) 을 중심으로-

        이해광 ( Haekwang Lee ),김병수 ( Byoungsoo Kim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2 예술과 미디어 Vol.11 No.1

        본 논문은 충남 보령의 역사인물인 토정 이지함과 그의 저술로 추정되는 <토정비결>의 문화콘텐츠 개발에 관한 제안을 연구한 것이다. 문화콘텐츠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대하고 실제 다양한 문화콘 텐츠들이 제작, 유통됨에도 우리나라의 지역 문화콘 텐츠는 단순한 관광상품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운명학의 대가 이지함을 중심으로 다양 한콘텐츠 개발 방법을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제시 하고 한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means for Tojeong Lee Jiham, a historical figure of Boryeong, Chungnam Province, and his work <Tojeong Bigyeol> to be developed as traditional culture contents. Interest and needs on traditional culture contents are enlarging, and so numerous traditional culture contents are produced and on the market nowadays. However, traditional culture contents in Korea`s rural areas are utilized no more than as simple tourist courses. In this regard, this study exemplifies the methods of developing various contents, concentrating on Lee Jiham, a master in Korean divination.

      • KCI등재후보

        『직성행년편람』과 『만보오길방』 이본 연구

        이윤석 (재)한국연구원 2021 한국연구 Vol.- No.9

        방각본 『직성행년편람(直星行年便覽)』은 간단히 점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을 실어놓은책으로, 그동안 ‘효교신간(孝橋新刊)’ 간기가 있는 이본 하나만 알려져 왔다. 그런데 『직성행년편람』과 완전히 같은 내용의 방각본 『만보오길방(萬寶五吉方)』이 있고, 효교신간본『직성행년편람』은 선행하는 『만보오길방』을 그대로 옮겨놓은 것이다. 『직성행년편람』은물론이고 『만보오길방』도 학계에서는 별로 다루지 않았으므로, 이러한 사실은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그동안 ‘직성행년편람’이라는 제목을 당연한 것으로 생각했으나, ‘직성행년편람’이라는 제목은 이 책의 내용과는 맞지 않는다. 『직성행년편람』에는, ‘직성(直星)’과‘행년(行年)’을 쉽게 열람(便覽)할 수 있는 ‘직성행년편람’만이 아니라, 몇 가지 점치는 방법이 더 들어 있다. 그러므로 직성법(直星法), 행년법(行年法), 오행점(五行占), 척사법(擲柶 法), 귀신병송법(鬼神病送法) 등 다섯 가지 내용이 들어 있다는 의미의 ‘만보오길방’이 ‘직성행년편람’보다는 더 합당한 제목이다. 현재까지 필자가 확인한 방각본 『만보오길방』은5종이다. 이렇게 적어도 다섯 군데의 방각본 업소에서 간행한 책이라면, 대단히 많은 부수를 찍어낸 것이다. 1902년에도 수천 부가 팔린다는 The Korea Review 의 기사 내용을 통해 19세기 중반부터 20세기 초까지 수만(또는 수십 만) 부 이상이 팔린 책이라는 것을 알 수있다. 한문을 해독하지 못하는 일반 서민들의 점치는 책으로는 오랜 기간 『만보오길방』이독보적인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다. 이 글에서 필자는 효교신간본 『직성행년편람』과 여러종의 방각본 『만보오길방』의 내용을 비교하고, 그 간행시기를 추정해보았다. 효교신간『직성행년편람』의 간행시기는 철종 연간이고, 『만보오길방』은 1850년 이전으로 보았다. 20세기에 들어와 ‘토정비결’이 유행하기 전까지 『만보오길방』은 한글방각본 점서(占書) 로 매우 많이 보급된 책이므로, 앞으로 이 방면의 연구에서 중요하게 다룰 필요가 있다.

      • KCI등재

        「三寅刀製造秘法」에 대한 고찰

        조혁상 동방한문학회 2022 東方漢文學 Vol.- No.91

        The 「secret process of making SamInDo(三寅刀製造秘法)」 is the method of making the three tiger saber(三寅刀), which was the holy sword(神劍) of JoSeon(朝鮮) dynasty. This method is in the NongAGoomBangDanSee(聾啞禁方單始) , written by ToJung the elderly(土亭老人). The 「secret process of making SamInDo(三寅刀製造秘法)」 includes the reason of making the three tiger saber,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instructions for incantation words, and the skill of curse. And 「SamGaHapIlBuSik(三家合一符式)」, an appendix to the 「secret process of making SamInDo(三寅刀製造秘法)」, contains the method of drawing the talisman paper during the process of making the four tiger sword(四寅劍) or the three tiger sword(三寅劍). This paper analyzes the 「secret process of making SamInDo」, and shows three types of talisman paper, corresponding to February 6th, February 18th, and March 2nd of 2022, respectively. These three days represent the best timing to make both the four tiger sword and the three tiger sword. 土亭老人이 지은 方術書 聾啞禁方單始 에 수록된 「三寅刀製造秘法」은 寅年․寅月․寅日․寅時 중 삼인이 겹치는 때 제작하는 神劍인 三寅刀의 제조 비법을 설명한 글이다. 辟邪의 神物인 寅劍의 일종인 삼인도는, 조선시대 왕실과 민간에서 종종 제작되어 왔는데, 「삼인도제조비법」에는 인검의 제작 이유, 제작 방식, 呪文 사용법, 詛呪術 등이 요약되어 있다. 그리고 「삼인도제조비법」 뒤에는 「三家合一符式」이 첨부되어 있는데, 인검 제조과정에서 사용되는 부적을 만들 때 참고가 된다. 본고에서는 「삼인도제조비법」의 내용을 분석하고, 「삼인도제조비법」의 인검 제조법에서 사용하는 삼가부를 「삼가합일부식」의 법식에 따라 2022년 壬寅年 壬寅月 庚寅日, 壬寅月 壬寅日, 壬寅月 甲寅日 세 날짜에 해당하는 형상으로 그려보았다. 黑虎의 해인 2022년 壬寅年의 양력 2월 6일은 음력 壬寅月 庚寅日, 양력 2월 18일은 음력 壬寅月 壬寅日, 양력 3월 2일은 음력 壬寅月 甲寅日에 해당한다. 상기 날짜들은 모두 寅이 겹쳐지는 때이기에, 전부 四寅劍 및 三寅劍을 제작할 수 있는 적기였다.

      • KCI등재후보

        이지함(李之?)의 빈민구제활동과 걸인청(乞人廳)

        방기철 ( Bang Ki-cheol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8 韓國思想과 文化 Vol.92 No.-

        16세기 활약했던 이지함은 『토정비결』의 저자로, 기인적 모습을 보인 다양한 설화로 잘 알려진 인물이다. 그는 성리학 뿐 아니라 불교와 노장 등 다양한 사상을 받아들였고, 민들과 어울리는 개방적 모습을 보인 인물이기도 하다. 이 글에서는 민생문제 해결을 위해 펼친 이지함의 경제개혁론과 그가 설립한 것으로 알려진 걸인청의 존재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지함은 경제개혁을 위해 재원의 확보와 국가 수입의 증대를 강조했다. 그러나 무엇보다 주목되는 것은 그가 농업이 아닌 염업·어업·상업, 외국과의 통상 등을 통해 경제문제를 해결하려 했다는 점이다. 특히 이지함은 단순히 그 순간만을 모면하고자 하는 것이 아닌 문제의 근본적 해결을 지향했다. 또 자신의 생각을 직접 실천에 옮긴 점 역시 주목해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지함의 애민사상과 관련하여 주목되는 것이 걸인청이다. 여러 방송이나 책에서는 이지함이 아산현감 재직시 걸인청을 설립하여 빈민을 구제했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걸인청의 존재는 사료에서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포천현감과 아산현감 재직시 이지함이 펼친 정책이나, 여러 행적들을 통해 그가 유민을 돕기 위한 어떤 행동을 취했음은 분명하다. 그러나 그것은 걸인청과 같은 공적인 성격의 기관은 아니었을 가능성이 높다. 오히려 걸인청으로 알려진 빈민구제 기관은 아산현감 이지함이 지역 유지들과 힘을 합친 사창이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한다. Lee Ji-ham(李之?), who was active in the 16th century, was the author of 『Tojeongbigyeol(土亭秘訣)』 and known for his eccentric aspects in various tales. He accepted a range of ideas including Buddhism and Taoism as well as Neo-Confucianism and was an open-minded personal that had interactions with common people.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his economic reform theory to solve problems concerning public welfare and the existence of Geolincheong(乞人廳) known to have been established by him. Lee put an emphasis on the promotion of self-sufficiency and national wealth for economic reform. It is the most noteworthy that he tried to solve economic issues through the salt and fishing industries, commerce, and trade with other countries instead of agriculture. His approach was oriented toward the fundamental solution of issues rather than a temporary attempt to evade the moment. It is also noteworthy that he translated his ideas into his acts himself. It is Geolincheong that attracts attention with regard to his love for the people. Broadcasting shows and several books explain that he set up Geolincheong to relieve the poor while serving as the Hyeongam of Asan(牙山縣監), but there are no historical materials to confirm its existence. Judging from his policies and various achievements during his service as the Hyeongam of Pocheon(抱川縣監) and Asan, there is no doubt that he took an action to help drifting people. There is, however, a big possibility that it was not a public agency such as Geolincheong. The agency for the relief of the poor known as Geolincheong is highly likely to be Sachang(社倉) in which he worked together with community leaders in the Asan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