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심리치료의 탈동일시 개념에 관한 고찰

        이채화,박성현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6

        심리치료는 특정한 경험 또는 대상과의 그릇된 동일시 상태의 고통에서 벗어나도록 돕는 탈동일시 과정을 포함한다. 본고에서는 다양한 심리학 이론에서 탈동일시를 어떻게 정의하고, 치료 작업에 응용하는가를 정리, 고찰하고자 한다. 불교 명상은 몸과 마음에서 일어나는 경험에 대해 거리를 두고 알아차리는 훈련을 통해 오온의 무상성과 무실체성을 깨닫게 함으로써 나를 경험과 동일시하는 경향을 줄인다. Assagioli의 정신통합이론과 Ken Wilber의 통합심리학은 인간의 초월적 의식에 주목한 이론으로 탈동일시 개념을 사용하여 인간 의식의 변화 또는 변용을 설명하고 있다. 정신분석이론가인 Winnicott은거짓자기로부터 참자기로의 이행에 있어 탈동일시의 개념을 사용하고 있으며, 수용전념치료(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CT)는 언어와 상징에 대한 동일시로부터 벗어나는 과정을인지적 탈융합 개념을 사용하여 설명하고 있다. 이밖에 정신화(mentalization)이론에서 보이는 탈동일시개념을 분석하였다. 본고는 여러 이론에서 탈동일시가 갖는 다면적 측면을 제시함으로써 탈동일시에 대한 확장된 개념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심리치료 접근의 성과를 설명하는 공통 요인으로서 탈동일시 개념이 갖는 의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공감, 정체성, 탈동일시(Disidentification)

        김미덕(Kim, Mi-Duk) 사회와철학연구회 2013 사회와 철학 Vol.0 No.26

        최근 인문사회과학계에서 이성과 감성의 이항대립을 비판하고 감성의 문제에 관심이 증가하면서, 공감, 연민, 사랑, 소통 등의 언술이 공동체와 교육의 대안적 사유로 회자되고 있다. 이 글은 이러한 언술들이 감상주의적으로 읽히면서 립서비스 차원이나 종교적 규범으로 읽히는 경향을 경계하고, 공감이 매우 행하기 힘든 사회적 실천이라는 자각, 이유, 그리고 그것을 가능케 하는 방법에 대한 문제를 살펴본다. 공감이 어려운 데는 수많은 이유가 있다. 개인의 품성, 무관심, 고통을 낳는 사회적 요인에 대한 미인지 등이 있다. 이들 중에서 이 글은 우마 나라얀이 지적하고 있는, 피억압자가 겪는 억압과 부당함의 ‘감정적 반응’에 대한 이해가 어렵다는 사실을 주목했다. 그렇다고 해서, 공감이 실행하기 어려운 사회적 실천이기 때문에 포기하거나 회의하지는 않으며 정반대로 매우 긴급한 사회적 실천이라고 주장한다. 다만 이를 위한 한 방법으로 감정이입, 역지사지, 동일시를 넘어서는(혹은 포함하는) 탈동일시를 제안한다. 탈동일시는 1990년대 중반 이래 호세 무노즈, 릴라 페르난데스, 로즈메리 헨네시, 호세 메디다 등의 학자들에 의해 제기되었다. 논자에 따라 맥락, 수위, 주장이 다르지만 정체성이 핵심적 자원이며 주변부 집단의 저항 전략이라는 데는 이견이 없다. 탈동일시는 기존의 이데올로기 및 주류 정체성에 동일시하거나 그에 대한 반동일시의 형태 양자를 비판하고, 그들의 이분법적 대립항 자체를 벗어난 존재론적 혹은 저항적 양식을 뜻한다. 정체성 정치와 변혁의 문제를 고민한 헨네스와 페르난데스가 주장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탈동일시 주체는 소수자 정체성을 저항의 준거점으로 삼지 않는다. 탈동일시 주체는 특정 정체성 자체가 아닌 역사적으로 구성된 경험에 대한 분석 능력을 강조하고, 성별, 인종, 계급 등과 같은 사회적․외피적 정체성과 자아의 분리를 주장한다. 더 나아가 보편적 자아로서의 영적 자아로의 변화도 염두하고 있다. 이 영적 자아는 신비주의적 가치라기보다 에고 중심의 자아에 대한 집착을 탈피한 일상적, 윤리적 실천 을 뜻한다. 이러한 과정들이 실천하기도 상상하기도 힘들지만, 이와 같은 변혁 이 실천되었을 때만이 장기적․제도적 사회변화의 가능성 또한 도모할 수 있다고 본다.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the interest in emotion has been intensified with a critique of the dichotomy between reason and emotion. Compassion, empathy, love and communication are being suggested as alternative discourse and thoughts for a better society. In spite of the widespread acknowledgement of the noble value of those terms, they have also been seen as divorced from practical application. There are many reasons of difficulty in practicing compassion. individual personality, non-recognition of the structural nature of suffering, ignorance, indifference to others, the essential impossibility of understanding suffering and the plurality of identities. Drawing on feminist thinker Uma Narayan. I demonstrate the key reason is that outsiders doesn"t share the subtle emotional responses to violence and oppression inflicted on marginal social groups. Based on the realization of how hard we can feel compassion toward others/underprivileged social groups, I suggest a disidentification strategy for a way to practice compassion, which is different from empathy, love, and identification. The concept of disidentification has been suggested by some scholars such as José Esteban Muñoz, Rosemary Hennessy, Leela Fernandes, and Josè Media in U.S. academia since mid-1990s. Disidentification refers to a third way of resistance or survival strategies the minority subject practices, which is beyond identification and countersidentification to mainstream ideology․society. Drawing on Hennessy and Fernandes, I focus on two levels of disidentification in terms of compassion. First, it needs a critical discourse to better understand underprivileged social, historical experiences and positions. Second, we need to separate a spiritual self and socially given, superficial identities such as sex, nation, class, and caste. It includes the need to engage in a continual process of self examination ad self-transformation in Fernandes’s term. Of course, it is difficult to practice such a process. However, it is a process that overcome the opposition and privilege which identity politics assumed, and promote compassionate practice for long-term and institutional social transformation.

      • KCI등재

        불교 관법에 대한 심리학적 이해: 정신통합의 탈동일시와 대행선의 주인공관법의 비교분석

        문진건,이광숙 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23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9 No.3

        This study comprehensively analyzes the process of spiritual development and integration and the practice theory of Daehaeng Seon, which is a general term for Ven. Daehaeng's thoughts and practice methods, through a focused comparison between the Juingong contemplation method and Assagioli’s disidentification techniques.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Ven. Daehaeng's thoughts and practice methods from a psychological framework. Looking at the teachings of Ven. Daehaeng (1927-2012) from a psychological perspective, they follow a methodology that is thoroughly based on experience, instilling motivation that promotes beneficial growth and change at the personal and social level, and fostering the development of correct cognition and correct behavior. It has a psychological system that promotes psychotherapeutic changes according to the results. Additionally, historically, Ven. Daehaeng herself suggested reasonable solutions or provided counseling regarding the problems in the lives of monks and laypeople. In this context, Ven. Daehaeng's thought and practice methods can become an important research topic in psychology and counseling. Though there have been abundant Buddhist and religious studies on Ven. Daehaeng's thought and practice, psychological studies on it are very rare. However, Ven. Daehaeng's ideology provides psychological healing methods and healing principles, and has a theoretical system on Juingong as a personality theory. For psychological analysis, it is most appropriate to analyze it within the framework of transpersonal psychology, which integrates human spiritual and religious aspects with psychology. Among the theories of transpersonal psychology, psychosynthesis of Roberto Assagioli(1888-1974), which explains in detail and clearly the spiritual development process such as the state of going beyond the ego, transformation of consciousness, and mental performance, shares close similarities with Ven. Daehaeng’s thought and practice. The Comparison between the contemplation method of Ven. Daehaeng and Assagioli’s disidentification can lay the foundation for future exploration and analysis of Ven. Daehaeng’s teachings using the methodology of scientific and empirical psychology.

      • KCI등재

        동성애적 정체성 형성의 퀴어이론적 분석: 노년 게이 남성의 구술생애사를 중심으로

        임동현(Donghyeon Lim)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9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4 No.3

        이 논문은 동성애적 욕망을 지닌 개인이 중층적인 동일시의 과정을 통해 섹슈얼리티를 형성하는 양상과 이들의 일상성이 갖는 특징이 동성애적 정체성을 재절합하는 과정을 분석한다. 동성애적 정체성이 담론적으로 부상하지 않은 시기에 동성애적 욕망을 지닌 개인들은 성장 과정에서 이 욕망을 동일시할 수 있는 대상들을 마주한다. 이 때 구술자들은 동성애적 욕망을 정체성이 아닌 실천적이고 수행적인 것의 형태로 동일시한다. 동시에 이성애적 삶의 경로에 진입하는 것이 일정한 계급성을 담지하기 때문에 구술자들은 동성애적 욕망을 부정적으로 인식한다. 이후 에이즈 담론을 통해 부상한 동성애자 정체성을 획득한 구술자들은 새로운 일상성을 구성한다. 이로부터 새로운 시간성의 하비투스를 체화하는데 자본주의적 재생산과 미래주의를 거부함으로써 계급성에 대한 탈동일시적 관점을 드러내고 이는 가부장적 정체성을 동시에 지닌 주체들의 그것과는 대비된다. 또한 이들이 경험하는 특유한 친밀성 역시 정체성에 대한 다양한 동일시의 형태를 추동한다. 이처럼 퀴어 일상에서 나타나는 특성들은 정체성에 되먹임된다. 따라서 하나의 고정적이고 본질적인 것으로 상정되는 담론적인 동성애자 정체성은 구술자들이 스스로 의미화하는 성적 욕망들과 불안정하게만 접합되며 탈동일시되는 과정에 놓여진다. 이 같은 연구 결과는 퀴어 일상과 정체성의 역동적 과정을 이해하고 내적 차이를 적극적으로 드러내는 것을 통해 비규범적 주체들을 단순한 인정 정치 차원에서 분석하는 것을 지양하고 여러 정상성에 급진적으로 도전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is thesis analyzes the process of forming sexuality through the identification of homosexual desires and the process of rearticulating homosexual identity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everyday life. By analyzing homosexual identity at the micro level through oral history, I tried to recontextualize it and suggest new politics of sexuality representation. Individuals with homosexual desires in heterosexuality-centered society face others that can be identified with this desire during the process of their growth. In their growing period, homosexual identity was not emerged discursively. At this time, oralists identified homosexual desire in the form of the performative rather than identity. At the same time, oralists perceive homosexual desires negatively because entering heterosexual paths of life carries a certain degree of classicity. Oral acquaintances who have acquired a homosexual identity after the AIDS discourse constitute a new everyday life. From this, new Habitus of the Time is formed, which reveals a disidentificated view of the transition to class by rejecting capitalist reproduction and the future. And this contrasts with that of subjects with patriarchal identity at the same time. The distinctive intimacy they experience also drives a variety of forms of identification. In this way, the characteristics that appear in queer everyday life are fed back to identity. Thus, the discursive homosexual identity, which is supposed to be fixed and essential, is unstably connected with the sexual desires that they signify and placed in a process which constantly disidentified. These findings understand the dynamic process of queer life and identity and actively reveal inner differences. Through this, we can challenge non-normative subjects to various kinds of normality, not merely to analyze politics.

      • KCI우수등재

        자아의 확립과 초월의 상관관계

        박성현 불교학연구회 2018 불교학연구 Vol.57 No.-

        The ego-establishment and the ego-transcendence are the terms that represent the specific goal of western psychotherapy and Buddhist practice respectively. Due to the oppositive direction representing these two terminologies, it has been confused to understand the possibility of integration of western psychotherapy and Buddhist practice. Many western psychotherapists have believed that ‘Must be self before selflessness’. This article discussed the three questions for the self vs selflessness problem. First, which self should be transcended if the self is a indispensible condition of human development? Second, how does the process of self-transcendence proceed? Lastly, is the mature self indispensible for Buddhist practice that is a path toward the self-transcendence? To solve these questions, this article tried to clarify the self to be transcended and the self to be established, classifying the self as the knower (I-self, the functional self) and the self as the known (me-self, the representative self) following a western psychological tradition. For the second question, we presented a dynamic unfolding process of self-transcendence through an identification and dis-identification asserted by Ken Wilber. Finally, we discussed which meditation could serve to improve a functional self capability and cure the narcissistic desires that is rooted from the infantile period. 자아 확립과 자아 초월은 각각 서구 심리치료와 불교 수행의 독특한 목표를 표현하는 말이다. 이 두 용어가 지시하는 대립적인 방향 때문에 심리치료와 불교 수행의 통합 가능성에 대한 이해는 혼란을 겪어왔다. 서구 심리치료 특히 정신역동적 전통은 독립적이고 통합적이며 안정된 자아구조의 확립을 치료의 핵심원리로 삼는다. 반면 불교 수행에서는 무상하며 실체로 존재하지 않는 허구의 자아에 대한 집착을 소멸하는 것이 해탈의 요체가 된다. 명상을 연구하는 다수의 서구 심리치료자들은 ‘무아가 되기 전 유아가 되어야 한다’는 명제를 받아들이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심리치료와 불교 수행을 대립적이 아닌 상보적인 관계로 이해하려 한다. 이 논문은 위의 명제가 충분히 답하고 있지 못하는 것으로 보이는 세 가지 질문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자아가 인간 발달에서 필수불가결한 것이라면, 초월되어야 할 자아란 무엇인가? 두 번째, 자아의 초월이란 어떠한 과정을 통해 일어나는가? 세 번째, 자아초월의 방편이라고 할 수 있는 불교 수행은 반드시 자아의 충분한 성숙 이후에야 가능한 것인가? 혹은 불교 수행이 자아의 성장을 위해 기여할 수는 없는가? 첫 번째 질문에 답하기 위해 이 논문에서는 심리학 전통에서 구분해 온 두 가지 종류의 나 즉, 인식 주체로서의 나(I-self, 기능적인 자기)와 인식 대상으로서의 나(me-self, 표상적 자기)를 제시함으로써 초월해야 할 나와 확립해야 할 나를 명료화하고자 했다. 자아 동일시와 탈동일시의 역동적인 전개 과정을 통해 자아 초월을 설명하고 있는 윌버의 모델을 통해 두 번째 질문에 답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불교 수행이 유아기적 투사의 잔여물인 자기애적 소망을 직면하게 하고 표상적 자기의 성립 과정에 대한 자각의 역량을 키움으로써 기능적 자기 능력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는 주장을 고찰하였다.

      • KCI등재

        불교에서 본 아싸지올리(Assagioli)의 명상관 -『니까야』와 『청정도론』을 중심으로-

        김지명 ( Ji-myeong Kim )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구 한신인문학연구소) 2014 종교문화연구 Vol.- No.23

        로베르토 아싸지올리(Roberto Assagioli, 1888~1974)는 이탈리아의 정신과 의 사이자 심리학자로서, 인간의 정신구조를 의식, 무의식, 집단 무의식 등으로 세분화한 정신통합(Psychosynthesis)이론의 창시자이다. 정신통합이론이 여타의 심리학 이론과 다른 점은 인간의 잠재력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인간의 무의식에 내재한 잠재력의 개발은 통합을 위한 중요한 요소가되는데, 잠재력의 개발에서 강조되는 것이 ‘의지’이다. 인간은 모두 자유의지를 가지며 이것을 인지하는 것이 정신활동에 유용하다는 것을 부각시켰다. 이것은 붓다가 의지적 작용을 업이라 정의하고 의지가 수반된 행위를 강조한 것과 상통한다. 또 내가 경험하는 상황과 나, 내 마음과 나를 분리하는 탈동일시 기법은 불교의 무아체득과 유사하다. 아싸지올리는 이론뿐 아니라 치료에도 연구활동을 집중하였다. 아싸지올리의 명상치료는 마음의 안정에서 시작하여, 문제를 숙고하는 사색적 명상, 상위의식의 메시지를 수용하는 수용적 명상, 실제 생활에서의 표현과 실천의 단계인 창조적 명상을 거친다. 이는 마음의 통제를 위한 마음챙김, 명상주제에 집중하는 사마타, 통찰지를 개발하는 위빠사나, 불교의 실천 강조와 상응한다. 본고에서는 정신통합이론을 불교의 관점에서 고찰하고, 정신통합의 명상치료를 불교의 사마타ㆍ위빠사나와 비교 연구한다. 아싸지올리의 명상에서 불교의 영향을 바로 밝히고, 앞으로 불교의 심리치유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Roberto Assagioli is an Italian psychiatrist and psychologist. He is the founder of Psychosynthesis Theory which categorized the mental structure of human into the consciousness, unconscious, collective unconscious, etc. This theory is different from other psychological theories with its keen interest in the human potential. Assagioli understood that the spiritual energy such as the spiritual insight and creative inspiration is embedded in the higher unconscious and used it in his psychotherapy. According to him, the development of potential embedded in the unconscious of human mind is an important element for the integration and human ‘will’ is emphasized in the development of potential. He emphasized that everyone has free will and that recognizing it is useful for the mental activities. This is in line with Buddha defining the intentional action as karma and emphasizing the deed accompanied by the will. In addition, disidentification technique that separates the self from the experience and the self from the mind is similar to mastering anatma. Assagioli focused his research activities not only in theories but also in his therapies. In the therapeutic aspect, the goal of Psychosynthesis is ‘to unify the individual’s talent and skills to one skill.’ Meditation therapy is an important therapeutic technique for Psychosynthesis. Meditation therapy of Assagioli is useful not only for the development of will but also in consciousness training for the psychosynthesis. The meditation process of Assagioli starts from the a state of balance and progresses through reflective meditation, a phase dwelling on a subject, receptive meditation, a phase embracing the message of higher consciousness, and creative meditation, a phase of expression and practice in the reality. These correspond with mindfulness for the control of mind, samatha focusing on the meditation topic, vipassana developing the knowledge on the insight and emphasizing practice in Buddhism. This study considers the Psychosynthesis theory from the Buddhistic perspective and compares the meditation therapy of Psychosynthesis and samatha vipassana of Buddhism. I hope that this study would identify the Buddhist influence in the meditation of Assagioli and help establishing the direction of Buddhistic psychological healing in the future.

      • KCI등재

        『반야심경』 명상과 심리치료

        강미자 한국선학회 2010 한국선학 Vol.27 No.-

        본 논문은 반야심경을 활용한 止觀명상과 심리치료적 요인 그리고 空통찰이 정신분석치료ㆍ인지치료와 어떻게 소통·보완 될 수 있는지 고찰하였다. 먼저 반야심경을 활용한 止명상인 집중명상의 방법으로는 반야심경에서 일체 苦를 없앤다는 반야바라밀다 주문인 “아제 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사바하”라는 만트라(진언)를 염송하거나 또는 반야심경 독경을 통해 집중명상을 한다. 집중명상 수행의 결과는 삼매 또는 定을 얻는 것이다. 마음이 대상에 깊게 집중되어 있을 때 욕정, 탐욕, 분노, 무지, 자만과 같은 번뇌들이 대상에 몰입해 있는 마음에서 멀리 떨어져 나가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야심경의 觀명상은 반야심경의 핵심사상인 空性을 관하는 것이다. 空 통찰명상의 심리치료적 요인으로, 먼저 sati명상의 ‘지금-여기’에 대한 자각력은 자신이 가지는 느낌, 감정, 생각을 더욱 명료화하고 깨어 있게 하여 자기이해와 자기수용을 깊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sati명상은 觀명상으로 이어지게 하는 기본이 된다. 空통찰명상의 심리치유적 요인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감정・생각・갈망・의지 등은 자기 자신이 아니며 단지 관찰되어야하는 대상이며, 대상의 무상함과 실체 없음을 깨닫게 되면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보았다. 이것은 대상에 대해 있는 그대로 거리를 두고 관찰하면서 경험을 허용하고 내버려두는 방법이다. 대상에 대해 간섭하지 않고 단지 바라봄으로써 몸과 마음에서 일어나는 모든 현상이 空하다는 것을 체득하게 되고, 그 체득함에 의해 대상에 대한 자아동일시(self-identification)에서 벗어나서 집착에서 자유로워짐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것은 자신의 몸과 마음에서 일어나는 모든 것에 대해 여실지견(如實知見)하게 바라볼 수 있는 힘이 심리치료적 요인이다. 반야심경의 공통찰과 정신분석치료에서 인간의 실존적 고통이 어디에서 연유하는지[무의식]를 알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통찰을 활용한다는 점이 유사하다. 또한 정신분석치료에서의 의식과 무의식을 반야심경 가운데 오온과 관련지어 의식과 무의식은 受想行識에 해당되며, 수상행식의 空性은 곧 의식과 무의식의 空性과 연결된다. 자아는 색(色)에 해당되며 자아의 강화를 통해 통찰하는 힘을 길러 그 힘으로 반야심경에서 자아[色]의 공성(空性)을 통찰할 수 있다. 이렇게 정신분석치료와 반야심경의 空통찰은 서로 소통하고 보완될 수 있다. 반야심경에서 전도몽상(顚倒夢想)으로 인해 고통을 겪게 되는 심리적인 문제는 인지치료에서 잘못된 사고, 신념이나 불합리한 인지가 곧 괴로움의 원인이라고 보는 것과 일맥상통한다. 그러나 인지치료의 한계를 극복한 통찰명상에 기반한 인지치료[MBCT]에서는 명상을 통해 모든 감정과 생각 그리고 감각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라고 한다. 이것은 단순히 사물이 존재하는 방식을 있는 그대로 관찰하게 하는 ‘탈동일시’와 ‘탈중심화’를 통해 괴로움에서 벗어나는 것이다. 이것은 생각과 감정은 일어났다 사라지는 생멸하는 것으로, 그 생각이나 감정이 자기 자신이 아니라는 것을 자각케 하여 고통에서 벗어나게 하는 반야심경의 空통찰 명상과 일맥상통한다. 결국 반야심경명상은 정혜쌍수(定慧雙修)의 효과를 거둘 수 있는 기제가 되며, 심리치료적인 효과까지도 거둘 수 있다고 본다.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communication of śamatha vipaśyanā of The sūtra of the heart of prajñ and psychotherapy factor of meditation, and śūnya discernment of vipaśyanā with psychoanalysis therapy and cognitive therapy. First, śamatha using The sūtra of the heart of prajñ does concentration mediation through mantra mediation and sūtra chanting. Through concentration mediation, one can gain sam dhi or settle, and prajñ that knows as it is emerges. In the mind of being immersed in the object, one can have the effect of anguish like The three poisons mind falling away. Second, vipaśyanā of The sūtra of the heart of prajñ is regarding śūnya, the core idea of The sūtra of the heart of prajñ . It regards The five skandhas, The eighteen dh tu(including Dv daśayatan ni), catur- rya-satya(including The eight right ways) and śūnyata thereof, and learning śūnyata appears in ṣaṭ-p ramit . Psychotherapy factor of Śūnya discernment meditation is that it can first increase self-awareness of now-here through sati meditation. Being awake clarifies and awakens one's own emotions, feelings and thoughts, thus deepening self-understanding and self-acceptance. Śūnya discernment meditation does not interfere with one's emotions, thoughts and desires but simply looks at them, through which one can learn that all phenomena are empty (Śūnya), and by learning one can get away from self-identification with the object and be free from obsession. Finally the psychotherapy factor is the power to see everything that happens in body and mind with evamjñ na through meditation. Third, utilizing discernment in psychoanalysis therapy to realize unconsciousness is similar to discernment mediation of The sūtra of the heart of prajñ . Also,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in psychoanalysis therapy are relevant to feeling, ideation, reaction, consciousness and connect to śūnyata. Also, it sees ego as the center of rūpa, and enhancement of ego is the power to discern śūnyata of rūpa. In The sūtra of the heart of prajñ , cognition error in vipary sa and cognitive therapy is the cause of pain and agony. MBCT, which combined discernment meditation and cognitive therapy, examines the way that an object exists as it is and is free from agony through 'disidentification' and 'decentering' with the object. Through śamatha meditation using The sūtra of the heart of prajñ , one can acquire k ruṇya with supernatural power of Avalokiteśvara; and through vipaśyanā one can adhigama prajñ . But the final goal we pursue is to acquire bodhisattva idea of 'Above to seek bodhi, below to save all.' Bodhisattva has prṇaidh na of wanting all sattva who are suffering to be happy, with k ruṇya after adhigama prajñ . The incantation that holds bodhisattva's prṇaidh na, “a je a je bara a je bara sungaje mogi sabaha”, shows that enlightenment is being pariāmanā to sattva.

      • KCI등재

        남아프리카공화국 동시대 미술에서 슈퍼히어로의 탈동일시적 차용: 브리짓 베이커와 메리 시반데의 작업을 중심으로

        민경소 한국미술이론학회 2024 미술이론과 현장 Vol.0 No.37

        이 논문은 호세 에스테반 무뇨즈의 탈동일시 개념을 바탕으로 아파르트헤이트 해체 이후의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여성 노동자의 젠더적, 인종적, 계층적 정체성을 새롭게 탐색하고 그에 따른 사회적 역할을 재정의하는 미술 작업을 조명한다. 브리짓 베이커의 장소-특정적 퍼포먼스 사진인 《블루칼라 소녀》 연작과 메리 시반데의 ‘블루 시기’ 소피의 극사실주의 조각 및 사진은 슈퍼히어로의 속성이 덧입혀진 블루칼라 노동자 캐릭터가 등장한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이에 주목한 본 연구는 두 작업의 매체적, 형식적 특성, 서술의 구조, 그리고 창작과 전시의 맥락 등을 촘촘히 분석하며 베이커와 시반데가 각각 어떻게 슈퍼히어로의 이미지와 서사가 지닌 전통과 권위를 비판적으로 차용하여 여성 노동의 사회정치적 개념을 재구축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지 논의한다. 나아가, 베이커와 시반데의 작업이 공유하는 노동과 패션 사이의 시각적, 정치적 역학, 그리고 작가의 예술적 실천과 캐릭터의 노동 모두에 내재한 수행적 속성이 남아공 여성 노동자들의 사회정치적 영향력의 확장으로 연결되고 있음을 밝힌다. Based on José Esteban Muñoz’s concept of disidentification, this paper investigates the artworks that challenge conventional perceptions of gender, race, and class identities among female workers, thereby redefining their social roles in post-Apartheid South Africa. Bridget Baker’s site-specific performance photographs The Blue Collar Girl and Mary Sibande’s hyper-realistic sculptures and photographs of Sophie from the Blue-Phase feature protagonists who embody both blue-collar workers and superheroe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and form, narrative structures, and the contexts of creation and exhibition of these works, this paper explores how Baker and Sibande subversively appropriate the tropes and authority of the superhero to reconceptualize the notion of female labor. It further demonstrates that the visual and political dynamics between labor and fashion embedded in Baker’s and Sibande’s projects, along with the performativity in both their artistic practice and the characters’ labor, underscore a heightened socio-political empowerment of South African female workers.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지식요가(jñāna yoga)를 통한 심리치료의 가능성

        곽미자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04 동서정신과학 Vol.7 No.2

        본 연구에서는 삶의 궁극적인 목적인 자기실현을 염두에 두면서도 구체적으로 자기실현에 이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는 지식요가를 바탕으로 심리치료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지식요가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위하여 지식의 고차원적인 것과 저차원적인 것을 살펴보았다. 지식요가는 궁극적인 실재 즉 참나에 대한 직접적인 앎(고차원적 지식)을 통하여 참나와 합일하는 것이다. 지식요가에서는 참나가 아닌 것과의 비동일시가 매우 중요시 되고 있다. 지식요가에 의하면 고통은 ‘나라는 생각’이 일어남으로써 자신을 몸, 마음과 동일시하는데서 비롯된다. 따라서 참나가 아닌 것과의 비동일시와 참나와의 동일시를 위한 지식요가의 기본적인 수행법인 자기탐구, ‘나는 브라만이다’라는 긍정의 길과 ‘이것도 아니고 저것도 아니다’라는 의미의 네티 네티(neti neti)의 수행법을 살펴보았다. 또한 지식요가에서는 강한 의구심과 탐구심이 기본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강한 의구심과 탐구심이 없다면 ‘나는 브라만이다’ 혹은 ‘나는 누구인가?’라는 수행법은 단지 생각차원에 머물기 때문이며 진정한 지식요가가 아니라는 것도 이해하였다. 지식요가의 기본수행법들을 토대로 심리치료 장면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들을 연구자의 경험을 토대로 소개하였다. 그 중 참나가 아닌 것과의 비동일시 기법에서는 주로 바라봄(witness)을 발달시킴으로써 자신은 경험의 대상이 아닌 그 경험들을 바라보는 자임을 인식하도록 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