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일반아동과 학습부진아동의 탄력성 연구

        임은주,최승숙 한국학습장애학회 2015 학습장애연구 Vol.12 No.1

        The purpose of study is to examine the overall resilience level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differences of resilience between normal children and low-achieving children. Nationally 705 students who are at 4 to 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y completed the ‘Resilience Quotient Test: RQT’, and the results present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ilience degree of normal children is the average 23.83 (SD 20.00). The level of empathy and optimism was relatively high in the sub-factors meanwhile causal analysis appeared to be the lowest factor among them. The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4 to 6th graders on the overall resilience. However, girls showed statistically higher than boys in the degree of resilience. In the sub-factors of impulse control has influence highest on the correlation of resilience degree. Second, the resilience of low-achieving children is the average 13.00 (SD 18.85). The level of empathy and optimism was relatively high as normal children in the sub-factors meanwhile causal analysis appeared to be the lowest factor.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s of low-achieving students in degree of resilience, but these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of resilience among 4 to 6th graders. In the sub-factors of emotional regulation has an effect highest on the correlation of resilience degree. Third, there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normal children and low-achieving children in the overall degree of resilience. Implication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탄력성에 관한 전반적인 양상을 파악하고, 일반아동과 학습부진아동의 탄력성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국 4개 권역의 초등학교 4~6학년, 705명을 대상으로 ‘탄력성 지수 검사(Resilience Quoitient Test: RQ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아동의 탄력성 정도는 평균 23.83(SD 20.00)점이며, 하위요인에서는 공감능력과 낙관성이 높고, 원인 분석력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탄력성 하위요인 중 충동통제력이 탄력성 전체 정도와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다. 학년에 따른 분석에서 탄력성 전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하위요인에서는 학년별 차이가 나타났다. 성별에서 여아가 남아보다 탄력성 전체 정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정도가 나타났다. 둘째, 학습부진아동의 탄력성은 평균 13.00(SD 18.85)점이며, 하위요인별로는 공감능력과 낙관성이 높고, 원인분석력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하위요인 중 정서조절력이 탄력성 전체 정도와 가장 상관이 높았다. 학습부진아동의 학년에 따른 탄력성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셋째, 일반아동과 학습부진아동은 대부분의 탄력성 하위요인에서 유사한 발달 양상을 보이나 탄력성 전체 정도에 있어서는 학습부진아동이 일반아동보다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의 탄력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추후 일반아동과 학습부진아동의 특성을 고려한 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유아의 탄력성 척도개발 및 타당화

        이연실 ( Yon Sil Lee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3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9 No.4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탄력성 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유아 1002명, 교사 50명을 측정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실시하였고, 자료분석 방법은 요인분석, pearson의 상관분석, t-test, Cronbach α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는 크게 3개의 차원으로 나뉘어, 정서적 탄력성, 관계적 탄력성, 능력적 탄력성이 나왔다. 각각의 차원에 대해 다시 요인분석한 결과 정서적 탄력성은 수용과 인내, 타인이해, 몰입성, 자기위로로 나뉘고, 관계적 탄력성은 개방성, 적극성, 놀이성, 친밀성으로 나뉘며, 능력적 탄력성은 도전과 성취, 표현력, 문제해결력으로 나눠진다. 유아의 탄력성 척도의 각 하위요인과 전체와의 상관, DECA와의 상관관계는 유의하여 타당성이 검증되었다. 또한 변별타당도를 보기 위해 문제행동을 상하집단으로 구분하고, 탄력성의 차이를 본 결과 대부분의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변별타당도도 입증되었다. 유아의 탄력성의 신뢰도를 검증한 결과, 전체 Cronbach a는 .98이며, 각 하위요인의 전체 Cronbach a는 정서적 탄력성은 .96, 관계적 탄력성은 .94, 능력적 탄력성은 .96으로 비교적 높은 수준의 신뢰도를 보였다. 정서적 탄력성의 하위변인의 신뢰도는 .84, -.94 관계적 탄력성의 하위변인은 .87, -.90 능력적 탄력성의 하위변인의 신뢰도는 .84, -.94로 모든 하위변인이 높은 신뢰도 수준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is based on data from 1002 children and 50 teachers in order to develop resilience measure. Data is analysed by factorial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Cronbach a. Resilience measure is sorted into 3 categories which are emotional resilience, relational resilience and competence resilience. 3 categories are also classified into several subfactors. Emotional resilience is related with understanding for others, self-consolation, immersion, acceptance and patience. Relational resilience is related with openness, activeness, closeness and playfulness. Competence resilience is related with expression, an ability of solving problems, challenge and accomplishment. The child resilience measure, measure`s subfactors, overall measure and DECA are very related and a validity of their correlation is verified. A problem behavior group is sorted into two groups which show statistical distinction. So distinction validity is also prov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esting the measure`s reliability, the overall Cronbach a is .98. Cronbach a of the emotional resilience is .96. Cronbach a of the relational resilience is .94. Cronbach a of the competence resilience is .96. Therefore the child`s resilience measure is quit reliable. Finally, reliability of emotional resilience`s subfactor is between .84and .94. Reliability of relational resilience`s subfactor is between .87and .90. Reliability of competence resilience`s subfactor is between .84and .94. According to the result, all subfactors show high reliability.

      • KCI등재후보

        탄력성 개념에 대한 이론적 고찰

        이연실 ( Yon Sil Lee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3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16 No.4

        본 연구에서는 탄력성의 개념에 대한 이론적인 고찰을 돕고자 탄력성을 개념화하는 정의와 발달 과정 그리고 탄력성의 개념과 관련한 관점 및 탄력성의 개념을 구성하는 구성요인과 더불어 탄력성을 개념화할 때 논쟁되어지는 주요한 딜레마에 대해 살펴보았다. 첫째, 탄력성은 크게 세 차례의 연구 발달과정을 거쳐 주요한 개념으로 자리 잡았으며, 연령에 따라 탄력성의 개념은 변화한다고 보았다. 둘째, 탄력성이 개념화하는 발달과정에서 크게 3가지의 탄력성 관점이 전개되었으며, 측정학적인 관점에서는 탄력성의 영역을 세분화하여 다차원적으로 보았다. 셋째, 탄력성의 개념을 구성하는 구성요인은 다차원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넷째, 탄력성은 각 4가지의 주요한 논쟁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탄력성의 개념화에 대한 내용을 보다 깊이 있고 면밀하게 알 수 있으며, 탄력성이 보다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는 이론적인 기초와 근거를 마련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rmulate theoretical consideration about a resilience concept. Firstly, a definition and process of development was examined in order to conceptualize resilience. Secondly, a viewpoint and organizing factor of a resilience concept was also examined. Finally, A controversial dilemma was checked during conceptualizing resilie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a resilience has become a major concept through three research development processes. A resilience concept can be changed and it is depending on an age. Secondly, three major viewpoints of resilience have been found from a development process of resilience conceptualization. The study also shows that a domain of resilience was multidimensional Thirdly, organizing factors of a resilience concept have a multidimensional feature. Finally, resilience has four major points of dispute. A conceptualization of resilience can be understood more detailed based on this study. This study is also useful to prepare a theoretical foundation and basis for application of resilience.

      • KCI등재

        탄력성 척도의 비교 및 탄력성과 정서적 특성과의 관계 탐색

        김수안,민경환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5 No.2

        본 연구는 각기 다른 탄력성 개념을 가지는 탄력성 척도를 비교하고, 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정서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 1에서는 세 개의 탄력성 척도(단축형 탄력성 척도(BRS), Block의 자아 탄력성 척도(ER), Klohnen의 자아 탄력성 척도(ERK))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세 가지 척도에서 제시한 탄력성 개념 중 어떤 탄력성 개념이 개인의 신체적, 심리적 건강과 가장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영차 상관에서는 세 척도 모두 건강 관련 변인들과 유의미한 상관이 관찰되었으나 편 상관에서는 Klohnen의 자아 탄력성 척도(ERK)만이 여전히 개인의 건강 관련 변인들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여줌으로써 개인의 신체적,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 2에서는 연구 1에서 선정한 ERK를 가지고 탄력성 향상에 기여하는 정서 변인들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일상에서 개인이 경험하는 전반적인 정서성은 탄력성을 예언하는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정서의 경험적 특성 중에서는 정서 명료성, 정서주의, 정서 개선에 대한 믿음이, 정서의 조절적 특성에 서는 회피 분산적 조절방략이, 정서의 표현적 특성에서는 친밀감 표현이 탄력성을 향상시키는 예언 변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추후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ree resilience scales and explore emotional characteristics influencing resilience. Study 1 compared with three resilience scales(e.g., Brief resilience scale, Block's ego-resiliency scale, and Klohnen's ego-resiliency scale) and investigated which concept of resilience was most significantly related to health-related variables. Findings revealed that Klohnen's ego-resiliency scale had significant effect on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in both zero-order correlation and partial correlation but other scales didn't. Study 2 investigated which emotional characteristics significantly predicted resilience.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emotional clarity, emotional attention, emotional repair significantly predicted resilience as well as emotionality. Also, avoidance-distraction regulation strategy and intimacy expression strategy significantly predicted resilience. Limitations,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탄력성에 대한 이론적 관점의 비교

        이연실 한국자치행정학회 2015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9 No.1

        본 연구에서는 탄력성 개념에 대한 이론적인 개념화 정립을 돕고자 이론적인 관점을 크게 3가지로 구분하였다. 이를 위해 각 관점의 탄력성 요인별 구분을 포함하여 연구 및 접근방 법 그리고 탄력성을 정의하는 전제조건을 비롯한 탄력성의 특성과 변화의 개념 등 이론적 관점 각각을 면밀하게 분석하였다. 또한, 이런 준거를 바탕으로 하여 그들과의 차이를 비교 하는 과정을 통해 각 관점의 차이점과 공통점에 대해 비교하여 논하였다. 첫째, 탄력성의 정신분석학적 관점은 탄력성을 개인의 내적인 특성이나 성격의 한 유형으로 보았다. 둘째, 탄력성의 발달정신병리학적 관점은 탄력성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발달해 가는 역동적인 변 화의 과정으로 보았다. 셋째, 탄력성의 발달맥락주의 관점은 개인내적인 특성과 역동적인 과정과의 상호작용으로 보았다. 넷째, 탄력성의 각 3가지 관점은 각각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탄력성의 개념과 이론적인 관점의 비교과정을 보다 면밀히 알 수 있으며, 탄력성이 보다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는 이론적인 기초와 근거를 마련하는데 활 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oretical viewpoint is divided into three parts in order to define theoretical conceptualization about resilience concept. Firstly, each viewpoint of resilience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factors and approaches. Secondly, this study analysed a definition of resilience, feature of resilience and concept of change based on each theoretical viewpoint . Thirdly, each theocratical viewpoint was compared with each other. Several differences and commons were found as a resul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viewpoint of psychoanalytical theory is that the resilience is individual internal character or personality. Secondly, the viewpoint of developmental psychopathological theory is that the resilience is a process of dynamic change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Thirdly, according to the viewpoint of developmental contextual theory, the resilience is based on an interaction between individual internal character and process of dynamic change. Finally, the viewpoint of three theoretical theories show several differences and commons. We learned the concept of resilience and the theoretical viewpoints through this study. This study can be useful to arrange the theoretical foundation and basis for making full use of resilience concept.

      • KCI등재

        탄력성 구성요소에 대한 탐색적 연구 1)

        구아름(AReum Ku),남상인(SangIn Nam)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5

        Resilience attracts wide atten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ositive psychology as is one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addition to self-efficacy and hope. Although resilience research has been gradually increasing over the last 20 years, the concepts of resilience are different among the existing studies depending on the theoretical position or perspective that explain resilience. Therefore, seven resilience scales developed in Korea were examined to investigate the components of resilience. Components of resilience have multidimensional characteristics, and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resilience in terms of interaction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resources. In conclusion, since the concept of resilience is very complex, it is important to select the appropriate scale for the study purpose and the target. Finally, we proposed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resilience programs and effectiveness validation studies to establish the main concept of resilience in explaining the successful adaptation of youth in psychologically difficult situation. 탄력성은 자기효능감, 희망 등과 더불어 긍정심리자본 중의 하나로 긍정심리학 관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 20년간 점차적으로 탄력성 관련 연구가 증가하고 있으나, 기존 연구들이 탄력성을 설명하는 이론적 입장이나 관점에 따라 탄력성의 구성개념에 상이한 차이가 있다. 이에 따라 탄력성 측정도구를 바탕으로 탄력성 개념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국내에서 개발된 청소년 탄력성 측정도구 7개를 대상으로 탄력성의 구성요소를 살펴보았다. 탄력성의 구성요소는 다차원적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개인 내적 자원과 외적 자원들의 상호작용 관점에서 탄력성의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결론적으로 탄력성 개념이 매우 복합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으므로 탄력성 구성요소를 면밀하게 이해하고 연구목적과 대상에 적합한 척도를 선정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하여 논하였다. 심리적으로 어려운 상황에 놓인 청소년들이 자신의 개인적 강점과 삶의 의미를 알고 성공적인 적응을 설명하는데 탄력성이 주요 개념으로 안착하기 위해 긍정심리학 관점에서 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성 검증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외상사건 경험자들의 탄력성이 정신적 웰빙과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에 미치는 영향 : 외상 후 성장 및 외상 후 부정적 인지의 매개효과

        조용래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4 인지행동치료 Vol.14 No.3

        본 연구는 외상사건 경험자들의 정신건강에 대한 탄력성의 영향을 검증하고, 그 구체적 기제를 밝히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정신건강에 대한 탄력성의 작용기제와 관련하여, 선행 연구들 및 문헌 리뷰에 기초하여, 외상경험자들의 탄력성과 정신적 웰빙 및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 간의 관계를 외상 후 성장 또는 외상 후 부정적 인지가 매개한다고 가정하는 세 가지 부분매개모형과 한 가지 완전매개모형이 상정되었다. 321명의 외상사건 경험 대학생들로부터 탄력성, 외상 후 성장, 외상 후 부정적 인지, 정신적 웰빙,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 우울과 불안증상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탄력성은, 다른 관련 변인들을 모두 통제한 후에도, 정신적 웰빙과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 각각에 고유하게 기여하였다. 하지만 탄력성과 외상 노출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외상 후 성장과 외상 후 부정적 인지는 둘 다 탄력성과 정신적 웰빙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고 외상 후 부정적 인지는 탄력성과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가정된 통합적인 부분매개모형의 적합도가 다른 매개모형들에 비해 우수하였다. 결론적으로, 탄력성은 다른 관련변인들의 영향을 넘어서서 정신적 웰빙과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을 각각 예측하는데 있어 고유하게 기여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아울러, 탄력성이 정신적 웰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경로는 직접 경로 외에 외상 후 성장을 증진시키고 외상 후 부정적 인지를 개선하는 두 가지 간접 경로가 더 있다는 점과, 탄력성은 외상 후 부정적 인지의 완전 매개를 통하여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mpact of resilience on mental health and to shed light on its specific mechanism.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review, three partial and one full mediational models in which post-traumatic growth or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s would mediate the relations between resilience and mental well-being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were proposed. Three hundred twenty one trauma-exposed undergraduate students completed self-report inventories measuring resilience, post-traumatic growth,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s, mental well-being, post-traumatic stress, depressive, and anxiety symptoms. Resilience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mental well-being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fter controlling for the other relevant predictors, but did not moderate the relations between trauma exposure and mental well-being or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supported an integrated partial mediational model in which both post-traumatic growth and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s would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resilience and mental well-being, and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s would fully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resilience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silience uniquely contributes to mental well-being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that these impacts may be mediated through post-traumatic growth or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s.

      • KCI등재

        청소년 행복감에 관한 연구

        권세원(Kwon, Se-Won),이애현(Lee, Ae-Hyun),송인한(Song, In-Ha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2 한국청소년연구 Vol.2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건강과 탄력성의 중요성에 초점을 둔 청소년탄력성모델(Adolescent Resilience Model)을 검증하여 청소년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청소년탄력성모델의 한국청소년에의 적용가능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청소년정책 연구원의 한국 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의 중학교 1학년과 그들의 학부모 각각 2,351명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 건강 요인 중 주관적 건강과 행복감 사이에서 탄력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가짐이 발견되었다. 둘째, 자아존중감은 탄력성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탄력성을 매개로 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요인인 부모의 양육행동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통하여 탄력성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정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넷째, 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요인인 또래관계 및 교사관계, 지역사회관계가 자아존중감과 탄력성에 이르는 경로가 정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개효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청소년의 행복감에 탄력성과 관련된 다양한 요인의 영향 중에서, 특히 청소년의 건강요인이 탄력성을 통해 행복감에 영향을 미침을 보여준다. 청소년의 행복감 증진을 위해 건강 상태와 탄력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직접적인 개입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the happiness of adolescents by examining the Adolescent Resilience Model (ARM), which focuses on the importance of health and resilience among factors affecting happiness among adolescents, and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ARM among Korean adolescents. The data, consisting of 2,351 fir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nd 2,351 of their parents/guardians was taken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of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of South Korea. The data was then analyz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indicate that: First, resilience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from subjective health to happiness. Second, self?esteem had a positively significant impact on resilience and had a positive impact on happiness. Third, parenting behaviors, a family factor that affects resilience, affected resilience through self?esteem as a mediator. Fourth, the pathways of relationships with peers, teachers, and communities, all of which are social factors that affect resilience, were positively significant in regards to self?esteem and resilience.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toward happiness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findings imply that among the various resilience?related factors which impact upon the level of adolescent happiness, health factor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happiness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To promote greater happiness amongst adolescents, program and intervention efforts need to be directed at improving both their health conditions and resilience levels.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탄력성 -(유아,가족,지역사회)에 관한 인식 연구

        이금옥 ( Geum Ok Lee ),송연숙 ( Yeon Sook Song ),김영주 ( Yeong Ju Kim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1 아동교육 Vol.20 No.1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유아의 탄력성, 가족의 탄력성, 지역사회의 탄력성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나아가 이 세 가지 탄력성(유아, 가족, 지역사회) 간에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U와 B시에 소재한 유치원에 다니는 유아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이들 어머니들이 유아의 탄력성, 가족의 탄력성, 지역사회의 탄력성에 대해 어떻게 느끼는지 설문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은 유아의 탄력성에 대해 긍정적이고 낙관적인 태도와 어려울 때 기꺼이 도우려는 자기 주도적인 특성을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둘째 가족의 탄력성에 대해서는 가족원의 지지와 사랑, 가족원간의 믿음과 부모자녀간의 돈독한 애정 즉 가족의 응집력을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지역사회의 탄력성으로는 어려움에 처한 지역주민을 위한 지원 서비스가 마련되어 있어 필요시 언제든지 지원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일반적 변인 중 학력만이 공통적으로 유아의 탄력성, 가족의 탄력성, 지역사회의 탄력성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가져왔으며 다섯째, 이 세 가지 탄력성(유아, 가족, 지역사회) 간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상호 유기적인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how mothers with young children in kindergarten recognize the characteristic of children`s resilience, family`s resilience and community`s resilience and there are any differences, relationships between resilience of young children, resilience of family and resilience of community. In this study, 250 mothers with young children in kindergarten located in Ulsan and Busan area were subjected to questionnaire survey. To measure resilient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 family, community, The questionnaires(2010) survey developed by researchers in this study were used. Data collected was analyzed by using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multiple answer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factor analysis by using SPSS 12.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with young children recognized optimism and positiveness as resilient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 Second, mothers recognized family cohesion and role stability as resilient characteristics of family. Third, mothers recognized community service and support system as resilient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Fourth,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n resilience of young children, family and community in only mother`s education level. Fifth, mothers recognized illustrates mutually organic relationship among them, resilience of young children was found to be closely related to resilience of family.

      • KCI등재

        자기효능감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와 자기통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배소피아앤,최광현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4 人文 社會科學硏究 Vol.32 No.2

        · 연구 주제: 본 논문은 자기효능감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를 미치는지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하고, 심리적 안녕감이라는 매개변수를 통해 이 관계가 보다 강화됨을 규명한다. 그리고 자기효능감이 회복탄력성 간의 관계에서 자기통제가 어떠한 조절효과가 있는지 대해서도 실증분석을 통해 연구결과를 제시한다. · 연구 배경: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 간의 관계에 대한 선행 연구들이 있지만, 이들 사이의 정확한 인과관계와 그 영향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는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다. 따라서 자기효능감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입증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이해함으로써 정신건강 및 스트레스 관리에 대한 다양한 영역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탐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자기효능감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심리적 안녕감은 매개역할을 통해 자기효능감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보다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자기통제는 자기효능감과 관련이 깊으며, 회복탄력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자기통제는 자기효능감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조절하는 요인으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첫째, 본 논문은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면서,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와 자기통제의 조절효과에 초점을 두고 연구하였다. 즉,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과 비교하여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의 관계만 검증하는 것이 아니며,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와 자기통제의 조절효과에 중점을 두고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둘째, 본 논문은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 심리적 안녕감 및 자기통제 간의 관계와 상호작용을 탐구하였다. 실증분석시, 자기효능감을 자기조절감, 자신감, 도전감의 하위요인으로 구분하여 각각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심리적 안녕감을 삶의 만족감, 긍정적 정서의 하위요인으로 구분하여 각각 분석을 수행하였다. 셋째, 본 연구는 심리상담의 관점에서 실무적으로 상담자에게 자기효능감을 심어주는 것이 회복탄력성을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되는지에 대하여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심리적 안녕감이 매개역할을 한다면 회복탄력성 향상에 더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자기통제가 필요함에 대해서도 본 논문의 결과는 의미있는 정보를 제시한다. ·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만 20세 이상의 성인 2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및 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통계 분석에는 IBM 버전 29.0을 사용하였다. 표본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 분석과 기술통계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측정 항목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 분석과 Cronbach's α 계수를 사용한 신뢰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자기효능감이 회복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파악하고, 이 관계에서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매개효과 검정을 수행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자기효능감이 회복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자기통제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조절효과 검정도 실시하였다. · 연구결과: “자기조절감은 회복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연구가설 1-1과 “자신감은 회복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연구가설 1-2, 그리고 “과업도전감은 회복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 Research topics: This paper verifies the effect of self-efficacy on resilience through empirical analysis, and clarifies that this relationship is strengthened through the parameter of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dition, the results of research are present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resilience. · Research background: Although there have been previous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resilience, the exact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 of their influence have not been clearly identifi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e the effect of self-efficacy on resilience, and by understanding this, it will be possible to explore its applicability in various areas of mental health and stress management.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s of self-efficacy on resilience, psychological well-being is expected to be able to further streng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on resilience through a mediating role. In addition, self-control is deeply related to self-efficacy and can affect resilie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self-control plays a role in controlling the influence relationship of self-efficacy on resilience.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First, while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resilience, this paper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ntrol. In other words,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this study did not only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resilience, but also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ntrol. Second, this paper explored the relationship and interaction between self-efficacy, resilienc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control. In the empirical analysis, self-efficacy was divided into sub-factors of self-regulation, confidence, and challeng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divided into sub-factors of life satisfaction and positive emotions, and each analysis was performed. Third, this study provides useful information on whether instilling a sense of self-efficacy in counseling in counseling practically helps improve resilience. At this time, if psychological well-being plays a mediating role, it has a more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resilience, and the results of this paper also suggest meaningful information about the need for self-control. · Research metho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online and offline surveys on 250 adults over the age of 20, and IBM version 29.0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ere performed to understan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using Cronbach's α coefficient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ment items. In addition, a mediating effect test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influence relationship of self-efficacy on resilience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is relationship. In addition, a moderating effect test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s of self-efficacy on resilience. · Research results: Research Hypothesis 1-1 of "Self-regulation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resilience," "Confidence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resilience," and research Hypothesis 1-2 of "Overwork challenges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resilience." Research Hypothesis 1-3 of "Self-efficacy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resilience" was adopted. Therefore, research hypothesis 1 of "Self-efficacy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resilience" was adopted. Research hypothesis 2-1 of "Satisfaction with life wi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