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상사건 경험자들의 탄력성이 정신적 웰빙과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에 미치는 영향 : 외상 후 성장 및 외상 후 부정적 인지의 매개효과

        조용래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4 인지행동치료 Vol.14 No.3

        본 연구는 외상사건 경험자들의 정신건강에 대한 탄력성의 영향을 검증하고, 그 구체적 기제를 밝히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정신건강에 대한 탄력성의 작용기제와 관련하여, 선행 연구들 및 문헌 리뷰에 기초하여, 외상경험자들의 탄력성과 정신적 웰빙 및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 간의 관계를 외상 후 성장 또는 외상 후 부정적 인지가 매개한다고 가정하는 세 가지 부분매개모형과 한 가지 완전매개모형이 상정되었다. 321명의 외상사건 경험 대학생들로부터 탄력성, 외상 후 성장, 외상 후 부정적 인지, 정신적 웰빙,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 우울과 불안증상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탄력성은, 다른 관련 변인들을 모두 통제한 후에도, 정신적 웰빙과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 각각에 고유하게 기여하였다. 하지만 탄력성과 외상 노출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외상 후 성장과 외상 후 부정적 인지는 둘 다 탄력성과 정신적 웰빙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고 외상 후 부정적 인지는 탄력성과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가정된 통합적인 부분매개모형의 적합도가 다른 매개모형들에 비해 우수하였다. 결론적으로, 탄력성은 다른 관련변인들의 영향을 넘어서서 정신적 웰빙과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을 각각 예측하는데 있어 고유하게 기여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아울러, 탄력성이 정신적 웰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경로는 직접 경로 외에 외상 후 성장을 증진시키고 외상 후 부정적 인지를 개선하는 두 가지 간접 경로가 더 있다는 점과, 탄력성은 외상 후 부정적 인지의 완전 매개를 통하여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mpact of resilience on mental health and to shed light on its specific mechanism.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review, three partial and one full mediational models in which post-traumatic growth or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s would mediate the relations between resilience and mental well-being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were proposed. Three hundred twenty one trauma-exposed undergraduate students completed self-report inventories measuring resilience, post-traumatic growth,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s, mental well-being, post-traumatic stress, depressive, and anxiety symptoms. Resilience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mental well-being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fter controlling for the other relevant predictors, but did not moderate the relations between trauma exposure and mental well-being or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supported an integrated partial mediational model in which both post-traumatic growth and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s would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resilience and mental well-being, and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s would fully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resilience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silience uniquely contributes to mental well-being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that these impacts may be mediated through post-traumatic growth or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s.

      • KCI등재

        탄력성 구성요소에 대한 탐색적 연구 1)

        구아름(AReum Ku),남상인(SangIn Nam)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5

        Resilience attracts wide atten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ositive psychology as is one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addition to self-efficacy and hope. Although resilience research has been gradually increasing over the last 20 years, the concepts of resilience are different among the existing studies depending on the theoretical position or perspective that explain resilience. Therefore, seven resilience scales developed in Korea were examined to investigate the components of resilience. Components of resilience have multidimensional characteristics, and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resilience in terms of interaction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resources. In conclusion, since the concept of resilience is very complex, it is important to select the appropriate scale for the study purpose and the target. Finally, we proposed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resilience programs and effectiveness validation studies to establish the main concept of resilience in explaining the successful adaptation of youth in psychologically difficult situation. 탄력성은 자기효능감, 희망 등과 더불어 긍정심리자본 중의 하나로 긍정심리학 관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 20년간 점차적으로 탄력성 관련 연구가 증가하고 있으나, 기존 연구들이 탄력성을 설명하는 이론적 입장이나 관점에 따라 탄력성의 구성개념에 상이한 차이가 있다. 이에 따라 탄력성 측정도구를 바탕으로 탄력성 개념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국내에서 개발된 청소년 탄력성 측정도구 7개를 대상으로 탄력성의 구성요소를 살펴보았다. 탄력성의 구성요소는 다차원적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개인 내적 자원과 외적 자원들의 상호작용 관점에서 탄력성의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결론적으로 탄력성 개념이 매우 복합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으므로 탄력성 구성요소를 면밀하게 이해하고 연구목적과 대상에 적합한 척도를 선정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하여 논하였다. 심리적으로 어려운 상황에 놓인 청소년들이 자신의 개인적 강점과 삶의 의미를 알고 성공적인 적응을 설명하는데 탄력성이 주요 개념으로 안착하기 위해 긍정심리학 관점에서 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성 검증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탄력성에 대한 이론적 관점의 비교

        이연실 한국자치행정학회 2015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9 No.1

        본 연구에서는 탄력성 개념에 대한 이론적인 개념화 정립을 돕고자 이론적인 관점을 크게 3가지로 구분하였다. 이를 위해 각 관점의 탄력성 요인별 구분을 포함하여 연구 및 접근방 법 그리고 탄력성을 정의하는 전제조건을 비롯한 탄력성의 특성과 변화의 개념 등 이론적 관점 각각을 면밀하게 분석하였다. 또한, 이런 준거를 바탕으로 하여 그들과의 차이를 비교 하는 과정을 통해 각 관점의 차이점과 공통점에 대해 비교하여 논하였다. 첫째, 탄력성의 정신분석학적 관점은 탄력성을 개인의 내적인 특성이나 성격의 한 유형으로 보았다. 둘째, 탄력성의 발달정신병리학적 관점은 탄력성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발달해 가는 역동적인 변 화의 과정으로 보았다. 셋째, 탄력성의 발달맥락주의 관점은 개인내적인 특성과 역동적인 과정과의 상호작용으로 보았다. 넷째, 탄력성의 각 3가지 관점은 각각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탄력성의 개념과 이론적인 관점의 비교과정을 보다 면밀히 알 수 있으며, 탄력성이 보다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는 이론적인 기초와 근거를 마련하는데 활 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oretical viewpoint is divided into three parts in order to define theoretical conceptualization about resilience concept. Firstly, each viewpoint of resilience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factors and approaches. Secondly, this study analysed a definition of resilience, feature of resilience and concept of change based on each theoretical viewpoint . Thirdly, each theocratical viewpoint was compared with each other. Several differences and commons were found as a resul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viewpoint of psychoanalytical theory is that the resilience is individual internal character or personality. Secondly, the viewpoint of developmental psychopathological theory is that the resilience is a process of dynamic change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Thirdly, according to the viewpoint of developmental contextual theory, the resilience is based on an interaction between individual internal character and process of dynamic change. Finally, the viewpoint of three theoretical theories show several differences and commons. We learned the concept of resilience and the theoretical viewpoints through this study. This study can be useful to arrange the theoretical foundation and basis for making full use of resilience concept.

      • KCI등재

        초등학교 일반아동과 학습부진아동의 탄력성 연구

        임은주,최승숙 한국학습장애학회 2015 학습장애연구 Vol.12 No.1

        The purpose of study is to examine the overall resilience level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differences of resilience between normal children and low-achieving children. Nationally 705 students who are at 4 to 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y completed the ‘Resilience Quotient Test: RQT’, and the results present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ilience degree of normal children is the average 23.83 (SD 20.00). The level of empathy and optimism was relatively high in the sub-factors meanwhile causal analysis appeared to be the lowest factor among them. The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4 to 6th graders on the overall resilience. However, girls showed statistically higher than boys in the degree of resilience. In the sub-factors of impulse control has influence highest on the correlation of resilience degree. Second, the resilience of low-achieving children is the average 13.00 (SD 18.85). The level of empathy and optimism was relatively high as normal children in the sub-factors meanwhile causal analysis appeared to be the lowest factor.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s of low-achieving students in degree of resilience, but these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of resilience among 4 to 6th graders. In the sub-factors of emotional regulation has an effect highest on the correlation of resilience degree. Third, there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normal children and low-achieving children in the overall degree of resilience. Implication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탄력성에 관한 전반적인 양상을 파악하고, 일반아동과 학습부진아동의 탄력성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국 4개 권역의 초등학교 4~6학년, 705명을 대상으로 ‘탄력성 지수 검사(Resilience Quoitient Test: RQ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아동의 탄력성 정도는 평균 23.83(SD 20.00)점이며, 하위요인에서는 공감능력과 낙관성이 높고, 원인 분석력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탄력성 하위요인 중 충동통제력이 탄력성 전체 정도와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다. 학년에 따른 분석에서 탄력성 전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하위요인에서는 학년별 차이가 나타났다. 성별에서 여아가 남아보다 탄력성 전체 정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정도가 나타났다. 둘째, 학습부진아동의 탄력성은 평균 13.00(SD 18.85)점이며, 하위요인별로는 공감능력과 낙관성이 높고, 원인분석력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하위요인 중 정서조절력이 탄력성 전체 정도와 가장 상관이 높았다. 학습부진아동의 학년에 따른 탄력성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셋째, 일반아동과 학습부진아동은 대부분의 탄력성 하위요인에서 유사한 발달 양상을 보이나 탄력성 전체 정도에 있어서는 학습부진아동이 일반아동보다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의 탄력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추후 일반아동과 학습부진아동의 특성을 고려한 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청소년 행복감에 관한 연구

        권세원(Kwon, Se-Won),이애현(Lee, Ae-Hyun),송인한(Song, In-Ha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2 한국청소년연구 Vol.2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건강과 탄력성의 중요성에 초점을 둔 청소년탄력성모델(Adolescent Resilience Model)을 검증하여 청소년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청소년탄력성모델의 한국청소년에의 적용가능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청소년정책 연구원의 한국 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의 중학교 1학년과 그들의 학부모 각각 2,351명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 건강 요인 중 주관적 건강과 행복감 사이에서 탄력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가짐이 발견되었다. 둘째, 자아존중감은 탄력성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탄력성을 매개로 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요인인 부모의 양육행동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통하여 탄력성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정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넷째, 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요인인 또래관계 및 교사관계, 지역사회관계가 자아존중감과 탄력성에 이르는 경로가 정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개효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청소년의 행복감에 탄력성과 관련된 다양한 요인의 영향 중에서, 특히 청소년의 건강요인이 탄력성을 통해 행복감에 영향을 미침을 보여준다. 청소년의 행복감 증진을 위해 건강 상태와 탄력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직접적인 개입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the happiness of adolescents by examining the Adolescent Resilience Model (ARM), which focuses on the importance of health and resilience among factors affecting happiness among adolescents, and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ARM among Korean adolescents. The data, consisting of 2,351 fir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nd 2,351 of their parents/guardians was taken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of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of South Korea. The data was then analyz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indicate that: First, resilience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from subjective health to happiness. Second, self?esteem had a positively significant impact on resilience and had a positive impact on happiness. Third, parenting behaviors, a family factor that affects resilience, affected resilience through self?esteem as a mediator. Fourth, the pathways of relationships with peers, teachers, and communities, all of which are social factors that affect resilience, were positively significant in regards to self?esteem and resilience.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toward happiness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findings imply that among the various resilience?related factors which impact upon the level of adolescent happiness, health factor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happiness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To promote greater happiness amongst adolescents, program and intervention efforts need to be directed at improving both their health conditions and resilience levels.

      • KCI등재

        탄력성 척도의 비교 및 탄력성과 정서적 특성과의 관계 탐색

        김수안,민경환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5 No.2

        본 연구는 각기 다른 탄력성 개념을 가지는 탄력성 척도를 비교하고, 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정서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 1에서는 세 개의 탄력성 척도(단축형 탄력성 척도(BRS), Block의 자아 탄력성 척도(ER), Klohnen의 자아 탄력성 척도(ERK))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세 가지 척도에서 제시한 탄력성 개념 중 어떤 탄력성 개념이 개인의 신체적, 심리적 건강과 가장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영차 상관에서는 세 척도 모두 건강 관련 변인들과 유의미한 상관이 관찰되었으나 편 상관에서는 Klohnen의 자아 탄력성 척도(ERK)만이 여전히 개인의 건강 관련 변인들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여줌으로써 개인의 신체적,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 2에서는 연구 1에서 선정한 ERK를 가지고 탄력성 향상에 기여하는 정서 변인들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일상에서 개인이 경험하는 전반적인 정서성은 탄력성을 예언하는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정서의 경험적 특성 중에서는 정서 명료성, 정서주의, 정서 개선에 대한 믿음이, 정서의 조절적 특성에 서는 회피 분산적 조절방략이, 정서의 표현적 특성에서는 친밀감 표현이 탄력성을 향상시키는 예언 변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추후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ree resilience scales and explore emotional characteristics influencing resilience. Study 1 compared with three resilience scales(e.g., Brief resilience scale, Block's ego-resiliency scale, and Klohnen's ego-resiliency scale) and investigated which concept of resilience was most significantly related to health-related variables. Findings revealed that Klohnen's ego-resiliency scale had significant effect on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in both zero-order correlation and partial correlation but other scales didn't. Study 2 investigated which emotional characteristics significantly predicted resilience.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emotional clarity, emotional attention, emotional repair significantly predicted resilience as well as emotionality. Also, avoidance-distraction regulation strategy and intimacy expression strategy significantly predicted resilience. Limitations,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유아의 탄력성 군(群)탐색과 성과 연령과의 관계

        이연실(Yon Sil Lee) 한국아동복지학회 2014 한국아동복지학 Vol.- No.45

        본 연구는 유아들의 탄력성 유형을 탐색하여 성별과 연령에 따른 군집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측정도구는 이연실(2012)의 유아의 탄력성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통계방법으로는 Cronbach a, 기술통계량, 군집분석, t-test, x² 검증을 실시하였다. 유아들에게 가장 강하게 나타나는 탄력성의 하위요인으로는 ‘수용과 인내’, ‘적극성’ 그리고 ‘문제해결력’이었다. 그리고 유아의 탄력성을 군(群)으로 분류한 결과 ‘탄력성이 극히 취약한 집단’, ‘관계적 탄력성이 뒤떨어지는 집단’, ‘정서적 탄력성이 극히 뒤떨어지는 탄력성취약 집단’, ‘균형적 탄력성 발달 집단’, ‘보통 탄력성 집단’, ‘정서적 탄력성이 낮고 관계적, 능력적 탄력성이 높은 집단’, ‘관계적, 능력적 탄력성이 뒤떨어지는 탄력성 취약 집단’으로 나타났다. 여자 유아들은 ‘균형적 탄력성발달 집단’과 ‘보통 탄력성 집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남자 유아들은 ‘정서적 탄력성이 극히 뒤떨어지는 탄력성 취약 집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만4세는 만5세에 비해’정서적 탄력성이 극히 뒤떨어지는 탄력성취약 집단‘을 가장 많이 형성하였으며, 만5세의 경우 ‘보통 탄력성 집단‘과 ‘관계적 탄력성이 뒤떨어지는 집단’을 가장 많이 형성 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understand group features based on resilience type and its relationship with age and sex. Children`s resilience scale(Yon sil, Lee 2012) was used as a measurement tool. Cronbach`s α, t-test, x2, group analysis and statistics were also used. We mainly found acceptance, patience, initiative and troubleshooting ability as major subfactors of resilience. Children`s resilience was classified into 7 types which are as follows. "Low resilience group", "low relational resilience group", "low emotional resilience group", "balanced resilience group", "regular resilience group", "low emotional resilience, high relational and competence resilience group", and "low relational and competence resilience group". Most female children belonged to the "balanced resilience group". Most male children belonged to the "low emotional resilience group". Most children around the age of 4 belonged to the "low emotional resilience group" when compared to children around the age of 5. And most children around the age of 5 belonged to the "regular resilience group", and "low relational resilience group" when compared to children around the age of 4.

      • KCI등재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탄력성과 한국판 동적가족화 반응특성 관계 연구

        현은민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3 예술심리치료연구 Vol.9 No.4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 탄력성과 가족의 역동성 및 심리적 측면을 반영하고 있는 동적가족화의 반응특성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G지역 대학생 348명(남:149명/여:199명)을 대상으로 가족탄력성 질문지와 한국판 동적가족화를 측정도구로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19.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대학생이 지각하는 가족탄력성에서 가족탄력성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간 가족탄력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성별에 따라 가족탄력성(가족강점/가족자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한국판 동적 가족화 반응특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인물상의 행위와 특징, 역동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여자가 남자보다 얼굴․눈의 완성도가 높고, 얼굴표정이 우호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가족탄력성에 따른 한국판 동적가족화 반응특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인물상의 행위와 특징, 역동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가족탄력성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인물상의 얼굴표정을 우호적으로, 어머니상과 자기상을 더 크게 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탄력성은 한국판 동적가족화의 하위영역인 인물상의 행위와 역동성, 동적가족화 전체와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동적가족화는 가족탄력성의 예측, 선별도구로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is to analyze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ption of family resilien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Kinetic Family Drawing(KFD) response completed by 348 Korean university students (149 male and 199 female) in the G a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family resilience level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high and low group. Second, the family resilience (family strength/family resource) level also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sex. The characteristics of the KFD respons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igure action, figure characteristics, and dynamics, where the female students drew more perfect faces and more friendly facial expressions.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the KFD response in relation to family resilience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igure action, figure characteristics, and dynamics. The high family resilience group drew more friendly facial expressions and larger mother figures and self-figures when compared with the low family resilience group. Fourth, the perception of family resilience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figure action and subdomain dynamics of the KFD, and with the whole KFD. Therefore, the above findings suggest that KFD is a useful tool for the selection and estimation of family resilience.

      • KCI등재

        자기효능감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와 자기통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배소피아앤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4 인문사회과학연구 Vol.32 No.2

        · 연구 주제: 본 논문은 자기효능감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를 미치는지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하고, 심리적 안녕감이라는 매개변수를 통해 이 관계가 보다 강화됨을 규명한다. 그리고 자기효능감이 회복탄력성 간의 관계에서 자기통제가 어떠한 조절효과가 있는지 대해서도 실증분석을 통해 연구결과를 제시한다. · 연구 배경: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 간의 관계에 대한 선행 연구들이 있지만, 이들 사이의 정확한 인과관계와 그 영향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는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다. 따라서 자기효능감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입증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이해함으로써 정신건강 및 스트레스 관리에 대한 다양한 영역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탐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자기효능감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심리적 안녕감은 매개역할을 통해 자기효능감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보다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자기통제는 자기효능감과 관련이 깊으며, 회복탄력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자기통제는 자기효능감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조절하는 요인으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첫째, 본 논문은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면서,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와 자기통제의 조절효과에 초점을 두고 연구하였다. 즉,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과 비교하여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의 관계만 검증하는 것이 아니며,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와 자기통제의 조절효과에 중점을 두고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둘째, 본 논문은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 심리적 안녕감 및 자기통제 간의 관계와 상호작용을 탐구하였다. 실증분석시, 자기효능감을 자기조절감, 자신감, 도전감의 하위요인으로 구분하여 각각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심리적 안녕감을 삶의 만족감, 긍정적 정서의 하위요인으로 구분하여 각각 분석을 수행하였다. 셋째, 본 연구는 심리상담의 관점에서 실무적으로 상담자에게 자기효능감을 심어주는 것이 회복탄력성을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되는지에 대하여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심리적 안녕감이 매개역할을 한다면 회복탄력성 향상에 더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자기통제가 필요함에 대해서도 본 논문의 결과는 의미있는 정보를 제시한다. ·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만 20세 이상의 성인 2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및 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통계 분석에는 IBM 버전 29.0을 사용하였다. 표본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 분석과 기술통계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측정 항목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 분석과 Cronbach's α 계수를 사용한 신뢰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자기효능감이 회복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파악하고, 이 관계에서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매개효과 검정을 수행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자기효능감이 회복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자기통제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조절효과 검정도 실시하였다. · 연구결과: “자기조절감은 회복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연구가설 1-1과 “자신감은 회복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연구가설 1-2, 그리고 “과업도전감은 회복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 KCI등재

        수도권 가구원수별 주택수요탄력성에 대한 실증연구

        김순용 한국주거환경학회 2022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20 No.1

        In this study, the income elasticity and price elasticity of housing demand in the metropolitan area were estimated from 2017 to 2019 using the Korean Housing Survey data. For the analysis, the housing demand function was estimated using the Hackman two-step model. As a result, Income and price elasticity were greater for owners than for renters. By region, most of Seoul and Gyeonggi-do showed similar fluctuations, while Incheon showed a different pattern. Price elasticity increased in all income categories of household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in 2018. However, in the case of income elasticity in the same year, most income categories of households in all regions declined, and in 2019, high income rose in all regions. Rent households also showed an increase in price elasticity in all income categories in 2018. However, in the case of income elasticity in the same year, most income categories in all regions increased, and in 2019, all income categories in all regions decreased. Also,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by number of household memb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ncome and price elasticity of own and rent households. 본 연구에서는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수도권의 주택수요의 소득탄력성과 가격탄력성을 추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자가와 차가를 소득별로 구분하였고 더 나아가 가구원별로도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통계청의 주거실태자료를 이용하였고 Hackman 2단계 모형을 사용하여 주택수요함수를 추정하였다. 분석결과를 크게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소득 및 가격탄력성은 자가가 차가보다 컸다. 지역별로는 서울,경기는 대부분 비슷한 변동을 보인 반면 인천은 다른 양상을 보였다. 또한 탄력성은 서울,경기가 인천보다 대체로 크게 나타났다. 연도별로는 2017년,2019년의 소득 및 가격탄력성은 비슷했는데 2018년은 큰 변동폭을 보였다, 가격탄력성의 변동폭은 컸으며 소득탄력성은 대부분 변동폭이 크지 않았다. 연도별로 보면 2017년,2019년은 소득탄력성이 가격탄력성보다 컸으나 2018년은 그 반대였다. 둘째, 소득구분별로 나눠보면 2018년에 서울,경기의 자가의 모든 소득구분에서 가격탄력성이 상승했다. 그러나 같은 연도에서 소득탄력성의 경우 전지역의 대부분의 소득구분이 하락했고 2019년에는 고소득은 모든 지역에서 상승했다. 차가 역시 2018년에 모든 소득구분에서 가격탄력성이 상승했다. 그러나 같은 연도에서 소득탄력성의 경우 전지역의 대부분의 소득구분이 상승했고 2019년에는 전지역의 모든 소득구분이 하락했다. 셋째, 가구원별로 구분한 분석결과를 보면 가구원별로 자가와 차가의 소득 및 가격탄력성 연도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지역별로는 대체로 인천이 큰 탄력성을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