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어 청ㆍ탁음(淸ㆍ濁音) 지각(知覺)에 있어서의 오용 경향과 발음지도 - 미니멀 페어를 이용한 지도법을 중심으로 -

        강연화 한국일본근대학회 2017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57

        본 연구는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 초·중급 각15명을 대상으로 일본어의 청·탁음(淸·濁音) 지각에 나타나는 오용의 경향을 조사했다. 또한 음성 지도법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김조웅·尾崎達治(1999)『동경발음 일주일에 끝내기』에서 제시하고 있는 한국어 음운 체계를 응용한 청·탁음 지도법의 효과를 밝히기 위해 실험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는 청·탁음 지각에 오용이 많고, 특히 탁음의 지각에 오용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청·탁음의 위치에 따른 오용은 어중에 탁음이 위치하는 경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도법의 효과는 한국어의 음운 체계를 응용한 청·탁음의 지도법으로 지도와 연습을 실시한 그룹이 지도와 연습을 실시하지 않은 그룹에 비해 청·탁음의 오용이 크게 감소함에 따라 지도법에 의한 지도와 연습의 효과가 밝혀졌다.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misuse tendency in perception of clear voice and voiced sound targeting respectively 15 beginning/ intermediate level Korean Japanese language learners. Furthermore,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phonological guidance method, this research determined following points through a test to review the effect of guidance method of clear voice and voiced sound using Korean phonological system suggested by Kim/ Ojaki(1999)`s 『Pronunciation clinic for Korean people』. Korean Japanese language learners frequently have misuse of clear voice and voiced sound, particularly, there are misuse in perception of voiced sound. Misuse along with the position of clear voice and voiced sound appears frequently when a voiced sound is located in the middle (in the middle of a word). In respect of the effect of guidance method, the group which received guidance and practiced regarding clear voice and voiced sound guidance method utilizing Korean phonological system much reduced misuse of clear voice and voiced sound compared to the group without guidance and practice, accordingly, the effect of guidance and practice along with guidance method became definite.

      • KCI등재

        日本書紀 平声濁音字의 無声化와 声調의 非低平調化에 대해서

        이성근 한국일어교육학회 2022 일본어교육연구 Vol.- No.60

        日本書紀에 있어서, 平声濁音字의 無声化와 声調의 非低平調化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韻書의 平聲濁音字는 書紀에서 淸音이 濁音보다도 훨씬 더 많이 나타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 한편 書紀에서 a聲(低平調)이 b聲(高平調)보다는 용례가 많지만, b聲으로 나타나는 것도 적지 않아, 非低 平調化가 상당히 진행되어있다고 할 수 있다. 3) 복수의 淸濁에 대응하는 字의 경우, 淸音에 대응하는 것이 濁音에 대응하는 것보다 훨씬 많음으로써 濁音 에 대응하는 字는 書紀에서 誤記이었을지도 모른다고 推定된다. 4) 書紀聲調에서는 a聲이 다소 우위에 있다고는 하지만, a聲과 b聲의 우열을 가리기는 매우 어렵다. 그렇지만 α群보다 β群에서 b聲化(非平調化) 현상이 두드러진다. 5) 平聲濁音字가 書紀에서 淸濁에 대응하는 例에서는 書紀區分論이 적용되지 않는다. 6) 書紀에서는 唐代 陰陽調의 분열에 따르는 平聲濁音의 無聲化를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平聲濁 音의 無聲化의 결과가 聲調에도 영향을 미치었을 것이라고 예상된다.

      • KCI등재

        『捷解新語』における清音と濁音のハングル音注 - 単子音と重ね子音の用例を中心に -

        趙來喆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4 일본학연구 Vol.42 No.-

        본고는 『捷解新語』의 일본어 청음과 탁음의 한글음주인 단자음과 중자음 용례를 중심으로 조사・고찰한 것 이다. 청음과 탁음의 개별적조사만이 아니라 『捷解新語』전체를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관점에서 분석하여 다 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① 청음의 한글음주가 원간본에서 중간본에 걸쳐 어중・어말 환경에서 중자음을 유지하는 것은 조선어 어중의 무성자음이 유성자음이 되어 탁음의 단자음과 혼동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② 원간본에 주로 사용된 한글음주 ㄸ(tt)를 개수본 이후 ㄷ(t)으로 통일함으로서 촉음과 그 밖의 청음표기인 ㄸ(tt)와 혼동을 해소하여, 한글음주로 양자를 역할 분담시켜 일본어학습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③ 탁음의 한글음주에는 비음적 요소 또는 단자음이 사용되고 청음의 한글음주에는 단자음 또는 중자음이 사 용되고 있다. 특히, 탁음과 청음의 구별에서 가장 혼동하기 쉬운 ダ行音・タ行音의 경우, ダ行音의 한글음주로 t가 사용되고 タ行音의 「た」「て」에는 중자음이, 促音「つ」는 선행음절에 -t가 사용되어 양자를 한글음주로서 변 별하고 있다. ④ 원간본에서 중간본까지 탁음의 중자음 36용례 중에서 30예가 タ行의 濁音이다. 그 이유로 ガ行의 ㄲ(kk)과 ㅇㄱ(ŋk)의 표기는 구별하기 쉬운데 비해, ダ行의 ㄸ(tt)과 ㄴㄷ(nt)은 구별하기 어려워 ㄴㄷ(nt)을 ㄸ(tt)으로 잘못 표기한 결과라고 생각한다. This paper researches both Voiceless consonants and Voiced consonants based on practical examples in the Japanese language. We analyze them independently as well as integrally and draw some conclusions as follows. ① The reason that Transcriptions of Hangul of Voiceless consonants keep the Germination in the middle or in the end of words throughout both ‘GENKANBON’(原刊本) and ‘JYŪKANBON’(重刊本) is to minimize the confusion between the Lax consonants of Voiceless consonants and the Voiced consonants inflected from Voiceless consonants of the Korean language. ② Standardizing tt of Transcriptions of Hangul mainly used in ‘GENKANBON’(原刊本) to t used since then, we resolve the confusion between ‘Soku-on’(促音) and tt of other notations. Japanese learning can take advantage of using this standardization along with replacing both for Transcriptions of Hangul. ③ Nasal character or Lax consonants have been used in the Voiced consonant of Transcriptions of Hangul, and Lax consonants or Germinations have been used in the Voiceless consonant of Transcriptions of Hangul. In especially differentiating between Voiced consonants and Voiceless consonants, we draw a line using t mainly used as Transcriptions of Hangul in the most confusing case of ‘Dagyō-on’(ダ行音)・‘Tagyō-on’(タ行音), Germinations in ‘Ta’「た」 and ‘Te’「て」 of ‘Tagyō-on’(タ行音), and -t in Consonant in a Preceding Syllable of ‘Soku-on’(促音)「つ」. ④ Thirty examples are Voiced consonants of ‘Tagyō’(タ行) among thirty six examples of Voiced Germinations from ‘GENKANBON’(原刊本) to ‘JYŪKANBON’(重刊本). We think that ㄴㄷ(nt) is marked wrongly as ㄸ(tt) because it is too hard to distinguish ㄸ(tt) with ㄴㄷ(nt), while the notation of both ㄲ(kk) and ㅇㄱ(ŋk) is easily recognized.

      • KCI등재

        漢字音 有氣音化의 濁音淸化와의 관련성 再考와 類型別 分類

        이준환 국어학회 2008 국어학 Vol.0 No.53

        이 글은 韓國漢字音 全濁音의 有氣音化가 漢語의 濁音淸化와 관련성이 있는 것인지를 再考하여 有氣音化의 성격을 논의하고, 중세 및 근대 문헌의 有氣音化 관련 용례를 가지고서 有氣音化의 전개 양상을 고찰한 후 有氣音化된 漢字音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제시하는 데에 목표를 둔 것이다. 고찰 결과 韓國漢字音의 有氣音化는, 全濁音의 平仄에 따른 有氣音 실현 비율을 내어 漢語와 비교하여 본 결과 漢語와 相關關係가 있다고 보기 어렵다는 점과, 全濁音 가운데 有氣音으로 실현되는 것 가운데 상당수가 類推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는 점에 기초하여 濁音淸化와는 상관관계를 지니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濁音淸化가 완료되기 이전에 有氣音의 체계적인 형성은 이미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후기중세국어 이후의 有氣音化는 이와 같은 韓國漢字音의 체계를 토대로 하여 국어 내부적인 요인에 의해 개별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파악된다. 有氣音化와 관련된 漢字音들을 검토한 결과 有無氣 교체를 보이며 有氣音化가 전개된 양상이 뚜렷하였는데 대체로 平音이 有氣音化된 것들이 많았으나 반대로 平音으로 남은 것들도 상당히 나타나는 양상이 관찰되었다. 이들을 그 특징에 따라 분류하여 본 결과 1) 다른 漢字音에 의한 類推, 2) 한 어휘 내 非語頭 위치에서의 사용, 3) (의존)명사화, 4) 의미론적 분화, 5) 기타로 그 유형이 나누어졌다.

      • KCI등재

        《중원음운(中原音韻)》 서성운(舒聲韻)의 예외적 성조(聲調) 변화 소고(小考)

        홍현지 중국어문학회 2016 中國語文學誌 Vol.0 No.56

        本文以《中原音韻》的舒聲字爲考察範圍與《廣韻》、《五音集韻》及《合倂字學集韻》三本不同時代韻書中所相應的小韻進行歷時比較,窺見舒聲字從中古到近古的演變軌迹,倂探索其中聲調變化的例外。聲調的演變是有規律的。淸聲母的平聲一律變爲陰平,上聲和去聲保持其聲調而不變;全濁聲母的平聲變爲次淸陽平,上聲大部分變爲全淸去聲而一部分變爲次淸上聲,去聲保持不變;次濁聲母的平聲變爲陽平,上聲和去聲保持不變。但有些字不符合音變規律,發生聲調變化的例外。其原因如下:第一,聲旁影響字音。有些字受聲符的讀音或者同聲符的其?字音的影響發生聲調變化的例外。如,淸聲母上聲字“貯”隨其聲旁“寧”的去聲讀音變爲去聲;淸聲母去聲字“? ?”各隨其聲旁“久、轉”的上聲讀音變爲上聲;濁聲母上聲字“?”隨其聲旁“欠”的去聲讀音變爲去聲;濁聲母平聲字“種”受同聲符的“?”的影響變爲陰平;濁聲母上聲字“?”和去聲字“舫”受同聲符的字音的影響各變爲去聲和上聲。第二,異體字影響字音。有些字受異體字的影響發生聲調變化的例外。如,淸聲母上聲字“?”隨其異體字“?”變爲去聲;濁聲母上聲字“拐”隨其異體字“?”仍是上聲;次濁聲母上聲字“?”隨其異體字“?”變爲陽平。第三,通用字影響字音。有些字受通用字的影響其聲發生聲調變化的例外。如,淸聲母去聲字“統”隨其同義字“總”變爲上聲;淸聲母去聲字“訪”隨其同義字“昉倣”仍是上聲;次濁聲母去聲字“俺”受其通用字“我”的影響變爲上聲。第四,濁音淸化的變化速度影響字音。濁音淸化的變化速度是不一致的。有的突變,早就變爲淸聲母而其聲調不變。如,濁聲母上聲字“盾”仍是上聲。有的漸變,元代仍處在過渡階段,還未反映聲調變化。如,濁聲母上聲字“?、?、?、?、嶼、蜃、沆”等。除了上述原因以外還有原因不詳的(?、靄?、?),和誤收的(?、瀏、剽??、瞬)例外。

      • KCI등재후보
      • 《홍무정운역훈》의 음운학적공헌과 학술적 가치

        김기석(金基石)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2014 중국조선어문 Vol.189 No.-

        조선학자들은 《홍무정운역훈》(1455)에서 홍무운계통에 대하여 전면적인 기술과 깊이 있는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론문은 홍무운음계, 탁음청화와 입성운미의 소실 등 문제에 대한 조선학자들의 공헌을 통해 《역훈》의 학술적 가치를 론의 하였다.

      • KCI등재

        일본어 발음교육에 관하여 -清音과 濁音의 교육방법-

        모세종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2019 일본언어문화 Vol.49 No.-

        The pronunciation of consonants depend on whether they are used alone or in relation with their preceding letters. When pronounced under the influence of a preceding letter, consonants tend to be pronounced in fortis. In general, ‘か’ and ‘た’ in the middle or end of a word are pronounced in fortis unlike those at the beginning of a word. Even the same word can be pronounc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way it is read. When a word is read with a pause between its syllables, even the letters in the middle or end of the word are pronounced like the letters at the beginning. Positions at the beginning, middle, and end of a word determine whether the pronunciation of a letter is under the influence of its preceding letter. The pronunciation of voiceless ‘か’ and ‘た’ sounds are influenced by their positions, but those of voiced ‘か’ and ‘た’ sounds are not influenced by their positions and can be pronounced ‘ㄱ’ and ‘ㄷ’ like ‘g’ and ‘d’ and should not be pronounced ‘ㅋ’ or ‘ㄲ’ and ‘ㅌ’ or ‘ㄸ,’ respectively. Even when they are pronounced ‘ㄱ’ and ‘ㄷ,’ their pronunciation should be heavy and not strong. The pronunciation, ‘か’ and ‘が’ sounds correspond to ‘ㅋ’ and ‘ㄱ’ sound, and ‘た’ and ‘だ’ sounds correspond to ‘ㅌ’ and ‘ㄷ’ sounds. In the phonological aspect, however, their phonetic values do not correspond one-on-one. There are subtle differences in the sound band between ‘か’ and ‘た’ and ‘ㅋ’ and ‘ㅌ’ and between ‘が’ and ‘だ’ and ‘ㄱ’ and ‘ㄷ,’ which means that a good understanding of the differences is required for accurate pronunciation. Compared with ‘ㅋ’ and ‘ㅌ’ in Korean, ‘か’ and ‘た’ sounds have weaker ‘k’ and ‘t’ elements. That is, ‘ㅋ’ and ‘ㅌ’ should be pronounced a little weaker for ‘か’ and ‘た’ for their original pronunciation. ‘ㅋ’ and ‘ㅌ’ have a stronger pronunciation than the original sounds of ‘か’ and ‘た,’ and ‘ㄱ’ and ‘ㄷ’ have a weaker pronunciation than their original sounds. ‘か’ and ‘た’ sounds are between ‘ㅋ’ and ‘ㄱ’ and between ‘ㅌ’ and ‘ㄷ,’ respectively. In addition, ‘が’ and ‘だ’ sounds are also close to ‘ㄱ’ and ‘ㄷ’ in Korean, but the strong pronunciation of ‘ㄱ’ and ‘ㄷ’ cannot reflect the accurate pronunciation of ‘が’ and ‘だ’ sounds. One can pronounce ‘ㄱ’ and ‘ㄷ’ comfortably for ‘が’ and ‘だ’ sounds in the middle or end of a word, but ‘が’ and ‘だ’ sounds at the beginning cannot be reflected simply by ‘ㄱ’ and ‘ㄷ.’ .

      • KCI등재
      • KCI등재

        上古時代에 나타난 오노마토피아의 一考察

        黃圭三 동아시아고대학회 2014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36

        上代의 固有 日本語 音韻에 있어서 構造的인 特質로서 잘 알려진 「語頭에 濁音과 ラ行音이 오지 않는다」고 하는 「語音配列則」은 上代의 一般語彙에 있어서는 이 法 則이 적용되었지만 오노마토피아 語彙群에 있어서는 이 法則이 適用되지않고 「ビシビシ」등과 같이 語頭에 濁音이 옴으로써 마이너스(-)印象을 주는 表現効果를 살리 고 있다. 上古時代의 文法的인 特徴을 살펴 보면 助詞 「と」와 「に」를 동반하는 現象이 나 타났으나 「と」를 동반하는 오노마토피아 보다 「に」를 동반하는 用例가 많았으며 時代가 내려감에 따라 「に」의 語尾는 서서히 「と」에 吸収․統合되어가는 傾向이 보여 지는데 「と」나 「に」를 동반하지 않는 오노마토피아도 이미 이 時代에 出現하 고 있음을 알 수 있다. 用法에 있어서는 오노마토피아 語幹에 붙어 「~답다(~らしくなる)」의미를 가 진 動詞化 接尾語 「-めく」의 発達이 보여 지며 語末에 오는 「ラ行音」이 語基의 母 音과 調和해서 「ラ」또는 「ロ」에 限定되어 나타나고 있는 것도 이 時代의 特徵으로 說明할 수 있다. 万葉集에 나타난 「そよ」는 바람소리의 擬声表現과 사람 등을 부르는 代名詞 表現의 連語 「其よ(=そうだよ)、其よ」와 서로 共感을 意味하는 表現으로 이 「そよ 」는 単純하게 옷깃이나 나뭇잎이 스치는 소리를 표현한 擬音語가 아니라 벼의 잎 (稲葉)이 바람에 살랑거리는 소리 「そよ」에 맞장구를 치거나 무엇인가가 생각이 났을 때 내는 感動詞 「そう(其)よ」가 내포되어 「가케고토바(掛詞)式擬音語」라는 본 래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오노마토피아를 통하여 당시의 「ハ行子音」의 音價를 추정해 볼 수가 있는 데 말(馬)의 울음소리나 사슴의 울음소리인 「比々ひひ」를 사실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보아 音価는 摩擦音의 「ɸiɸi」또는 破裂音의 「pipi」이였을 가능성도 있겠지만 上代 에도 口語性이 강한 오노마토피아에는 「P音」이 사용되었기 때문에 破裂音이였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할 수 있다. 語音結合型으로는 上代에는 「AB型」 「ABロ(ラ)型」 「ABロ(ラ)へ型」등 다양하지 는 않지만 현대어까지 이어지는 형태가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中古時代가 되면 오노마토피아의 代表的인 形態인 「ABAB型」등 매우 다양한 형태가 설화집 등 일 반 서민들의 언어생활이 스며든 작품 속에서 나타나기 시작함을 알 수 있다. The phonetic structure of Onomatope compared to general vocabulary is rather unique. The principle of “never placing a voiced sound or 「ら」line sound at the beginning of a word” is a well known fact that makes up the peculiar structural trait of Japanese phonetics. While this principle applied to the general vocabulary during the Sango era. It did not apply to the words in the onomatope group, and voiced sounds at the beginning of onomatopes added a negative effect to the expressions. Moreover, in terms of grammatical traits, the postpositional particles 「と」and 「に」came together but there are more cases of Onomatopes being accompanied by 「に」rather than 「と」. As time passed, the suffix 「と」 tendeds to be absorbed and integrated into 「に」. It can also be seen that Onomatope that were not accompanied by a 「と」or 「に」 also occur during this era. In terms of usage, a noticeable change is the development of a suffix 「~らしくな る」 that has the meaning “ to be worthy of” ’ when attached to the root of the Onomatope. Another characteristic of Onomatopes during this era is that the 「ら」line sound that comes at the end of a word is combined with the vowels of the preceding syllable and is limited to 「ら」or 「と」. In terms of grammatical characteristics, the phenomenon of bringing together the postpositional particles 「と」and 「に」, the development of a suffix that turns the world into a verb, the development of the descriptive complement and the use of modifiers are also notable, but the usage of the Onomatope is the most prominent characteristic during the middle ages. Based on these findings, it can be said that most Onomatope had formed by the middle ages and established the forms we use today in the modern time. The Onomatope has a sense of life within it. While there are vocabulary item that were born during the early ages and have survived or prospered throughout the middle ages to contemporary times, there are also vocabulary items that enjoyed only a brief life. It is only natural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history of language that some onomatopes only existed for a brief period of time and disappeared thereaf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