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Use of Pedal in Selected Piano Music of Debussy
Sei-Eum Kim The Pianissimo 음악예술학회 2013 음악예술연구 Vol.3 No.1
드뷔시는 그의 피아노 음악에 페달 표시를 극히 드물게 사용하였기 때문에 연주자에게 있어서 드뷔시의 페달링에 관심을 갖게 되는건 아주 중요한 문제이다. 피아노에서 페달법은 결코 간단히 결정지을 수 있는 문제가 아니고 매우 중요한 것이다. 피아니스트가 결정한 페달로 인해 음악과 연주 전체의 본질이 바꾸어 질 수있기 때문이다. 적절한 페달링은 음악적 상상력을 고취시키지만 그렇지 못한 페달링은 음악의 본질을 왜곡시킨다. 이 연구의 목적은 연주자가 드뷔시가 그의 음악에서 의도했던 소리를 표현하기 위한 가장 적합한 페달링을 찾아내는 데에 있다. 또한 이 논문은 드뷔시의 작곡기법과, 당시의 피아노와 그에게 영향을 끼친 것들을 연구함으로써 드뷔시가 페달링을 인상주의 음악 어법의 하나로써 어떻게 다루었는지를 이해하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This paper will address the topic of the use of pedal in selected piano music of Debussy. Attention to pedaling in Debussy’s music is undoubtedly crucial for any pianists as his piano music is regarded as one of the most economical in pedal signs suggested by the composer. Piano forte pedaling is a complex subject, and an important one. The decisions that a pianist makes in this area can change the whole nature of a performance. While fine pedaling enhances musical creations, bad pedaling unavoidably distorts them. As a result, resolving the pedaling problem has been always a big assignment for perform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ppropriate pedaling, to acquire the sound Debussy intended in his music, and to stimulate the performer to have a right concept of pedal technique in playing impressionistic piano music.
김희정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9 음악교수법연구 Vol.20 No.2
미국 남부 흑인들의 춤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는 케이크워크가 19세기 말 프랑스로 유입되었다. 케이크워크의 춤과 음악은 20세기 초 프랑스 파리를 중심으로 엄청난 인기를 누렸으며, 이러한 열풍을 반영하듯 클로드 드뷔시도 자신의 여러 작품에서 그 양식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다. 본 논문은 당시 케이크워크가 프랑스로 유입된 배경과 유입을 통한 사회, 문화적 파급 현상에 대해 고찰해보고 아울러 드뷔시가 실제로 접했을 법한 케이크워크 <휘파람 부는 루퍼스>, <스모키 모크스>, <무지개 길을 건너>의 세 곡을 바탕으로 그 양식적 특성에 대해 논의해본다. 케이크워크 양식이 반영된 드뷔시의 피아노 작품 ‘골리워그의 케이크워크’, ‘괴짜 라빈 장군’은 양식에 대한 정통함을 보여주면서도 선율 구조, 차용 선율, 악곡 형식 등에 있어 각기 다른 접근방식을 취하고 있다.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cakewalk music found its way to France, originally via a military band at the 1900 Paris World Exhibition. With its characteristic syncopated rhythm, cakewalk’s popularity was phenomenal in the capital. With the subsequent arrival of an American dancing troupe not long after, Parisians experienced the new type of entertainment once again, and this time, danced to cakewalk. The dance had enjoyed tremendous success in Paris and it was against this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that Claude Debussy encountered the syncopated cakewalk music. His highly receptive approach to this American music was demonstrated in his piano pieces such as ‘Golliwogg’s cakewalk,’ the sixth piece of his piano suite <Children’s Corner>; ‘The Little Nigar,’ the short piece written in 1909; ‘Minstrel,’ the twelfth piece in his <Prelude I>; and ‘General Lavine - excentric,’ the sixth piece in his <Prelude II>. This paper addresses in detail the background of the influx of cakewalk to France and the way in which it reshaped the French cultural scene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Debussy, with clear reference to the cakewalk style in general, adopted a different approach in composing his piano pieces. ‘Golliwogg’s Cakewalk’ and ‘General Lavine – excentric’ reflect Debussy’s versatility and imagination as a composer in combining musical and extra-musical sources. By analyzing these pieces in detail, this study illuminates a different approach to dealing with form, phrase structure, and harmony and aims to provide a broader spectrum on which to understand Debussy’s music.
메테를링크-드뷔시의 오페라 《펠레아스와 멜리장드》(1902): 선율 모티프 분석을 통한 등장인물의 젠더 정체성 연구
박정숙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2019 音樂論壇 Vol.42 No.-
This article is a study of the melodic motifs and symbolic meanings used in the opera Pelléas et Mélisande(1902) by the playwright Maurice Maeterlinck(1862-1949) and composer Claude Debussy(1862-1918).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veal the problem of gender identity and the relationship of power in the work through motif analysis. I searched for about 30 melodic motifs with different meanings depending on the characters, their identity, their emotional state, and dramatic situation of the play. Based on these motifs, I examined in detail the gender identity of characters, the image of sexuality, the physicality, the problem of desire, the problem of emotion, and the process of the becoming otherness of women with ‘symbolism’. 본 논문은 극작가 모리스 메테를링크(Maurice Maeterlinck, 1862-1949) 와 클로드 드뷔시(Claude Debussy, 1862-1918)의 오페라 《펠레아스와 멜리장드》(Pelléas et Mélisande, 1902)에 사용된 선율 모티프와 그 상징 적 의미 분석에 관한 연구로, 연구의 목적은 모티프 분석을 통해 작품 안 에 기입된 젠더 정체성의 문제와, 힘의 관계가 존재하는 방식을 밝히는 것 에 있다. 이에 필자는 등장인물이나 그들의 정체성, 감정상태, 혹은 극의 분위기나 극적 상황에 따라 각각의 의미를 갖는 약 30여개의 선율 모티프 를 찾아낸다. 그리고 그 모티프를 바탕으로 오페라의 등장인물 가운데 골 로, 펠레아스, 멜리장드에 대한 젠더 정체성, 성에 따른 이미지, 육체성, 욕망의 문제, 감정의 문제, 그리고 ‘상징성’에 빗대어 여성을 타자화시키는 과정을 등을 면밀히 살펴본다.
김희정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3
<잊혀진 영상>은 클로드 드뷔시(Claude Debussy)의 피아노 독주곡으로서 1894년에 작곡되었으나 미상의 이 유로 1977년이 되어서야 비로소 출판되었다. 흥미롭게도 총 세 곡으로 구성된 작품 중 제 2곡은 1896년 2월 파리의 일간지 ‘르 그랑 저널(Le Grand Journal)’을 통해 독립적으로 발표되었으나, 제 1곡과 3곡은 자필 악보 상태로 남아 있다가 1977년 뒤늦게 출판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본 작품은 아직까지도 피아노 연주가들과 음악 애호가들에게 잘 알 려지지 않은 작품으로 남아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작품의 출판 시기, 작곡 배경에 대해 먼저 고찰해보고, 작품의 작곡 양식적 특징을 선율, 화성, 형식의 측면에서 면밀하게 분석하여 본다. 본 작품을 구성하는 세 곡은 다양 한 교회 선법, 온음음계 그리고 전통적 조성 체계의 회피를 통한 화성적 어법의 확대를 보여주며 드뷔시가 피아노 독 주곡에 즐겨 적용하였던 3악장 구성의 틀을 제시한 최초의 작품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드뷔시 피아노 독주곡 양식 에 대한 음악어법상의 이해와 함께, 잘 알려지지 않은 본 곡이 차지하는 음악사적인 가치에 대한 관심이 증대될 것을 기대한다. Claude Debussy’s <Images(Oubliées)> is a solo piano piece written in 1894. However, for unknown reasons, the entire piece was not published until 1977, despite clear evidence that Debussy intended to publish it during his lifetime. Interestingly, the second movement of the three pieces comprised in the work was published independently in February 1896 through the Parisian periodical Le Grand Journal. Partly because the work was recently published, it remains relatively more unknown to pianists and music lovers than other piano solo pieces by Debussy. Thus, this article addresses in detail the compositional background of this work, focusing on why the work was not published during Debussy's lifetime. Furthermore, by analyzing this piece in detail, this article intends to discuss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the work regarding its melody, phrase structure, harmony, and form. This survey, which would help understand the musical style embodied in this piece, aims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awareness of the work.
리스트, 라벨, 드뷔시의 ‘물’ 이미지의 형상화와 인상주의적 어법에 관한 연구
김세은 The Pianissimo 음악예술학회 2016 음악예술연구 Vol.6 No.1
본 논문에서는 프란츠 리스트(Frans Liszt, 1811-1886), 모리스 라벨(Maurice Ravel, 1875-1937), 클로드 드뷔시(Claude Debussy, 1862-1918) 이 세 작곡가가 그들의 피아노 음악에서 물의 이미지를 어떻게 음악적으로 형상화하였는지에 대하여 공통점과 차이점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별히 리스트의 <순례의 해 제 3집>(Années de pèlerinage: Troisième année, 1877) 중에서 ‘에스테장의 분수’ (Les Jeux d’eau a la Villa d’Este), 라벨의 <물의 희롱> (Jeux d’eau, 1901), 드뷔시의 <영상 제 1집>(Images I, 1905) 중에서 ‘물의 반영’ (Reflets dans l’eau) 을 선곡하였다. 리스트로부터 시작하여 라벨과 드뷔시에 이르는 흐름을 따라 그들의 물에 관한 음악을 살펴봄으로써, 리스트의 물에 관한 이미지의 구체적인 형상화가 다음 세대인 라벨과 드뷔시의 물에 관한 작품들에서 더욱 세련된 기법과, 다면적인 인상주의적 어법으로 진화, 발전되었음을 관찰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mmon thread and different aspects in evoking water imagery by Franz Liszt (1811-1886), Maurice Ravel (1875-1937) and Claude Debussy (1862-1918). This study addresses impressionistic water music for piano solo composed in the nineteenth and early twentieth century, including Les jeux d’eau à la Villa d’Este (1877) from Années de pèlerinage: Troisième année by Liszt, Jeux d’eau (1901) by Ravel, and Reflets dans l’eau from Image I (1905) by Debussy. By tracing the lineage from Liszt through Ravel and Debussy, one may observe how the depiction of water evolves from simple and recognizable figurations both visually and aurally in Liszt’s water music to the more sophisticated and multifaceted impressionistic style in the works of Ravel and Debuss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