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기 기독교 교회의 예배스타일과 그 교훈

        최갑종 ( Gab Jong Choi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16 생명과 말씀 Vol.15 No.-

        예배는 그리스도인의 삶의 이유인 동시에, 교회 설립과 존재의 목적이기도 하다. 하나님은 예배를 위하여 사람을 자신의 형상으로 만드셨다(창 1:26-27). 예수 그리스도는 예배를 위하여 교회를 세웠다(마 18:19-20). 성령은 예배 가운데 임재 하신다(고전 12:3-11; 14:15). 따라서 교회는 처음부터 예배 공동체로 존재한다. 그리스도인은 예배에 참여함으로써 하나님께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이미 성취하신 구원의 은총을 성령 안에서 현재 여기서 누릴 뿐만 아니라, 또한 예수 그리스도의재림을 통하여 완성될 구원을 대망한다. 이 뿐만이 아니다. 그리스도인은 예배에 참여함으로써 형제자매들과 교제를 누리며, 자신의 정체성과 사명을 재확인한다. 그러나 하나님은 모든 형태의 예배를 다 받으시는 것은 아니다. 하나님은 아벨의 예배는 받으셨지만 가인이 드린 예배는 받지 않으셨다(창 4:3-5). 구약 레위기와 민수기를 통해서 알 수 있는 것처럼,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에게, 어떤 장소에서, 어떤 방법으로, 어떻게 예배를 드려야 할 것인지를 친히 말씀하셨다(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제 21장 제 1절). 예배의 중심은 삼위 하나님이시기 때문에, 우리는 사람이 만든 임의의 방식이 아닌 하나님이 정하신 성경적 방식으로 예배를 드려야 한다. 예수는 사마리아 여인에게 하나님은 영이시므로, “예배하는 자는영과 진리로 예배하여야한다”(요 4:24)고 말씀하셨고, 사도 바울도 “영적예배”, 곧 우리의 몸을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거룩한 산제사로 드릴 것을 당부했다(롬 12:1). 그렇다면 어떤 예배가 하나님이 받으시는 영과 진리로 드리는 (영적) 예배인가? 오늘날 개신교회 안에만 해도 수많은 형태의 예배가 있고, 같은 장로교 안에서도 다양한 예배가 존재하고 있다. 주일 예배에 대중음악 악기연주와 가스펠송이 동원되는 경배와 찬양이 있는가하면, 피아노와오르간 반주 대신 관현악반주를 동원하는 교회도 있다. 전통적인 3대지제목 설교를 하는 설교자가 있는가 하면, 강해설교나 이야기체의 내러티브 설교를 선호하는 설교자도 있다. 전통적인 기도, 성경봉독, 찬양, 설교, 찬송, 헌금, 폐회 중심의 예배를 선호하는 교회가 있는가하면, 매주일 예배 때마다 경배와 찬양, 간증, 치유 및 안수기도를 도입하는 교회도 있다. 매 주 혹은 매월 세례식이나 성만찬을 가지는 교회가 있는가하면, 부활절이나 감사절 등 특별한 절기 예배 때에만 세례식이나 성만찬을 가지는 교회도 있다. 예배의 대상은 시대와 문화와 인종을 초월하여 언제나 동일한데, 왜 예배의 형태가 이렇게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는가? 과연 예배의 다양성은 정당한가? 이점에서 우리는 초기 기독교의 예배 형태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들은 과연 어떤 형태의 예배를 드렸는가? 일반적으로 초기 기독교는 예수의 십자가와 부활, 그리고 오순절 성령사건 후에 형성된 예루살렘 교회를 시작(AD 30)으로 해서 콘스탄티누스 1세가 AD 313년 밀라노 칙령을 통하여 기독교를 공식적으로 인정하기까지 있었던 교회를 지칭한다. 이 시기 동안 기독교 복음은 사도들에 의해 인종과 지역을 넘어 예루살렘, 사마리아, 온 유대, 안디옥, 지중해 연안과 로마와 스페인, 아프리카와 유렵지역의 사람들에게 전파되었고 많은 교회들이 세워졌다. 그렇다면 초기 기독교교회의 예배 스타일은 어떠하였는가? 우선 기억하여야할 것은 초대 기독교가 일찍부터 특정한 날, 곧 주일에 규칙적으로 예배를 드린 것은 분명하지만 정확하게 어떤 형태로, 어떤 의식과 순서로 예배를 드렸는가를 알기는 어렵다는 사실이다. 신약성경은 물론 초기 기독교문헌들도 예배에 관한 단편적인 언급만 전할 뿐 체계적인 정보를 우리에게 전하고 있지 않다. 그리고 이 단편적인 증거들도 지역과 대상에 따라 다양성을 지니고 있고, 획일적이지 않다. 하지만 분명한 사실은 바울서신들과 복음서, 사도행전, 계시록 등 대부분의 신약성경이 예배를 위하여 기록 되었고, 예배 중에 사용되었다는 것이다. 바울의 서신들이 예배 인사와 감사기도, 성만찬과 세례의식, 아멘, 축복, 입맞춤, 그리스도에 대한 찬양과기도, ‘마라나다’(‘우리의 주여, 오시오소서’), 낭독의 요청 등 예배의식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약성경과 초창기 기독교의 예배 의식을 전하고 있는 AD 1-3세기의 현존하는 기독교 문헌들, 그리고 초기 기독교 예배와 밀접한 관계를 가졌던 유대교의 예배에 관한 자료들로부터 초기 기독교 예배 스타일을 재구성하는 것이 전혀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Not only is worship the reason for a Christian’s life but the foundational purpose of the church. It is for worship that God created man in his image (Genesis:26-27). Christ established the church for worship (Mark 18:19-20). The Holy Spirit descends from above and is present at worship (1 Corinthians 12:3-11; 14:15). As such, the raison d’etre of the church is as a community of worshipers. Christians by participating in the worship of God not only enjoy the grace of salvation already accomplished through Jesus Christ in the Holy Spirit in the here and now, but also can look forward to the long awaited salvation to be completed through the Second Coming of Jesus Christ. That is not all. Christians can also enjoy fellowship with other brethren of faith by participating in worship, and reaffirm a shared identity and mission. But God does not receive just any form of worship. Abel worshipped in a way that God accepted but God did not accept the worship given by Cain (Genesis 4: 3-5). And as can be seen through the Old Testament, especially in the books of Leviticus and Numbers, God provides detailed instructions to the children of Israel about the place, way, and how God is to be worshipped.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Chapter 21, Section 1). Since the center of worship is the triune God, We must be sure to worship God in a biblical way and not in any way ordained by man. Jesus told the Samaritan woman that as God is Spirit, “those who worship must do so in spirit and in truth” (John 4:24), as well, the apostle Paul also urged believers to “spiritual worship,” presenting our bodies as holy temples pleasing to God. (Romans 12:01). So then what constitutes worship in spirit and truth before God? Today in Protestant churches there are many forms of worship, and even in Presbyterian churches there is a great variety of worship and liturgical forms. If there are some churches that utilize gospel songs and musical instruments used in popular music during public worship services on Sundays, there is also churches which have orchestral accompaniment instead of piano and organ accompaniment during services. While there are preachers still preaching to the traditional three-point sermon, there are many others with a strong preference for lecture or narrative style preaching. While there are many services that include the traditional elements of prayer, readings from Scripture, praise, preaching, singing from the hymnal, and a time of offering and ending with the pastor’s benediction, there are others that worship with a prolonged time of heartful praise, with shared testimonies, with a time of prayer for healing, and the laying on of hands at every Sunday service. If there are churches with a weekly or monthly baptism and Lord’s Supper, there are many others churches which hold a baptism or Communion only on Easter or Thanksgiving or other such liturgically important times. If the object of worship is always the same transcending age, culture, and race, then why is there such a variety of worship types and forms? At this point we need to look at the forms of worship of the early Christians. What was the form of worship in the early church? Early Christianity started at Jesus’ crucifixion and resurrection, and Pentecost sparked the emergence of the Jerusalem church through the powerful working of the Holy Spirit starting from (AD 30), and it is the worship of this church, which grows through the periods of persecution until the age of Constantine (AD 313) where by the Milan Edict the church receives formal acceptance by the governing authorities, that we are interested in seeking to know in greater detail. During this time, the Christian gospel was preached and promulgated to many by the apostles beyond ethnic and regional boundaries to Jerusalem, Samaria, and all of Judea, Antioch, Rome and Spain in the mediterranean, african, and european regions resulting in the establishment of many churches. So what did the worship style of the early Christian church look like? The first thing that is pretty clear is that the early Christian gave worship early on a specific day - regularly on Sundays, but exactly with what liturgical elements, in what arrangement and order of worship is not exactly clear. Both the New Testament as well as early Christian literature convey only fragmentary mention of worship and fail to provide any comprehensive nor systematic information about church worship at the time. Not only is the evidence fragmentary but also quite varied depending on location and the destination with no unified standard for worship available. The most ample evidence is found in writings to the church of the New Testament, as in Paul’s letters and in the Gospels, the Book of Acts, and the Book of Revelation, in references during worship. Paul’s letters refer to service greetings and gratitude in prayer, the Lord’s Supper, baptism, the use of amen, blessings, greeting kiss, praise to Christ, prayer, “Maranatha” (“Come O Lord”), with liturgical readings; all working to convey the proper attitude for the spirit of worship. Though the New Testament and early Christian literature of the 1st-3rd century convey only fragmentary information about worship and liturgy, reconstruction of early Christian worship styles is still possible by utilizing information about Jewish worship as it paralleled closely Christian worship at the time.

      • KCI등재

        예배 공간에서의 빛의 사용과 의미에관한 연구 - 성막에서 성소피아 성당까지 -

        전창희 한국실천신학회 2015 신학과 실천 Vol.0 No.46

        예배 공간의 구조와 배열에 따라 회중들은 각각 다른 예배의 경험을 하게 된다. 실제로 예배 공간의 구조는 회중들의 예배 경험에 깊은 영향을 끼친다. 또한 예배 공간은 기독교 예배의 형식과 신학에도 영향을 끼친다. 하지만 반대로, 기독교 예배의 형식과 신학이 예배 공간의 구조를 변형시키고 변화를 초래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왜 교회 건물이 중요한지에 대한 신학적인 의미들을 찾는 것은 굉장히 중요한 일이기도 사실 현대의 회중들이 선호하는 예배 공간, 즉 사람들에게 매력적인 예배 공간은 기존의 인식과는 다르다. 큰 체육관이나 극장 혹은 콘서트 홀 같은 장소가 사람들에게 특히 젊은이들에게 매력적인 사실과 그것이 현대의 예배 공간을 디자인하는 주류가 되었음은 부인하기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끊임없이 물어야 하는 것은 예배 공간의 기능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예배 공간이 내포하고 있는 신학적인 의미들이다. 분명한 것은 그러한 신학적인 의미들이 예배 공간의 본질이 무엇인가에 대한 주제들을 담고 있다는 사실이다. 성서와 기독교 역사는 예배 공간의 본질에 대한 좋은 가르침들을 주고 있다. 이 논문은 예배 공간에서의 빛의 사용과 의미를 고찰해 봄으로써 예배 공간의 본질이 무엇인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시기적으로는 중세 이전 즉 성막에서 비잔틴 양식의 예배 공간까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조사를 통해서 우리는 ‘초기 기독교 예배 공간들이 우리에게 무엇을 가르치고 있는가?’를 관찰하게 될 것이다. The structure of the worship space makes a difference in worship experience. It profoundly impacts our experience. And it used to affect Christian worship form and theology. On the contrary, Christian worship form and theology used to change the structure of worship space. It is very important to examine the theological basis for why church building architecture is important. I have certainly noticed that the modern preference for a large gymnasium, a theatre, or a concert hall dominates the church architectural trend. Nevertheless, we should continuously ask a question in terms of the theological implication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our church architecture. And the theological implications should be subject about the nature of worship space. The Scripture and the Christian history give some good lessons about the nature of worship space. This article tries to examine the nature of worship space through the research of the use and meaning of light at worship space. Especially, this article focuses on the use and meaning of light at worship space in pre-medieval Christianity. Through article, we can observe “What do the worship spaces of early christianity teach?”

      • KCI등재

        초기 기독교의 즉흥적인 성찬 기도와 현대 목회로의 적용에 관한 연구

        김형락 한국실천신학회 2020 신학과 실천 Vol.0 No.71

        본 연구는 초기 기독교의 즉흥적 성찬 기도와 사도전승이라고 불리는 3세기에 기록된 성찬예전에 대한 연구이다. 예배학자들은 3세기 이전의 성찬 기도는 문자로 기록된 기도문을 사용했다기보다 집례자가 즉흥적인 성찬 기도를 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 중에서도 앨런 불리(Allan Bouley)의 주장은 상당히 타당성이 있는 역사적 증거들을 중심으로 중요한 가설을 제시하였다. 이 논문은 불리의 가설로부터 시작하며 이 즉흥적 성찬 기도의 역사적 발전과정 그리고 이에 관련된 여러 초기 기독교의 예배에 관련된 문헌들을 고찰하고 이에 대한 의의와 목회현장에서의 현대적인 적용을 기술하려한다.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필자는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초기 기독교의 성찬은 집례자의 즉흥적 기도로 비교적 자유로운 형식으로 거행되었다가 3세기의 사도전승의 성찬을 정점으로 점차 사라지게 되었다. 사도전승의 성찬 기도문은 자유로운 즉흥적 기도 형식의 기록된 모형으로 제시하기 위한 기도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예배 전통을 현대 목회현장에 적용한다면 비예전적 예배 전통의 교회들은 즉흥적 성찬 기도문에 따른 성찬을 집례할 수 있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된다. 2장에서는 초기 기독교에서 즉흥적 성찬 기도문이 어떻게 시작되었으며 발전했는지에 대한 역사적 고찰을 기술할 것이다. 주요한 문서로 디다케와 순교자 유스티누스의 첫 번째 변증록, 그리고 사도전승을 중심으로 다룰 것이다. 3장에서는 3세기 성찬예전의 중심자료인 사도전승에 나타난 성찬 기도문에 세밀하게 분석하면서 즉흥적 구조에서 틀을 지닌 구조로 발전하게 된 과정에 대해 다룰 것이다. 마지막 장인 4장에서 이렇게 연구한 즉흥적 성찬 기도를 현대의 목회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로 사도전승을 기준으로 하여 즉흥적 성찬 기도를 어떻게 구성하고 집례할 것인지에 대한 연구와 함께 이 논문의 요약과 결론을 짧게 기술할 것이다. This research deals with an improvised eucharistic prayer in early Christianity as well as the first written anaphora ‘so called Apostolic Tradition’ in third century. Liturgical scholars argue that the eucharistic prayers before the third century would have been improvised by the presider rather than using written prayers. Among them, Allan Bouley's arguments presented an important hypothesis focusing on highly valid historical evidences. This research begins with the hypothesis of Bully. Examining the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 of this improvised eucharistic prayer as well as the related historical resources in early Christian liturgy, I attempt to describe its significance and application in the contemporary ministry field. Researching this subject, I have arrived at following conclusions. The eucharist of early Christianity was celebrated in a relatively free form through the improvisation of the presider, but gradually disappeared at the peak of the anaphora of the apostolic tradition in the third century. The eucharistic prayer of the Apostolic Tradition was the written prayer intended to be presented as a ‘written model of free improvised prayer.’ Therefore, if this tradition is applied to the contemporary ministry field, the churches of the non-liturgical tradition may preside the Eucharist according to the improvised eucharistic prayer. This thesis proceeds in the following order. In chapter 2, I will describe a historical consideration of how the improvised eucharistic prayer began, and developed in early Christianity. I will focus on the main documents, Didache, the first apology of Justin the martyr, and the Apostolic Tradition. in chapter 3, I will deal with developing process from an improvised structure of eucahristic prayer to that of a framed structure, analyzing the eucharistic prayer appearing in the Apostolic Tradition, the crucial evidence of the third century Eucharist. In chapter 4, the last chapter of this paper, I will present how the improvised eucharistic prayer will be shaped and practiced based on the anaphora of the Apostolic Tradition in the contemporary ministry field, and described the brief summary and conclusion of this research.

      • KCI등재
      • KCI등재

        A Study of Theological Development of Eucharistic Change in Early Christian Church

        김형락 ( Hyeong-rak Kim ) 한국대학선교학회 2016 대학과 선교 Vol.32 No.-

        성찬예전은 기독교 역사상 예배안에서 신학적 주제로나 실제 예배의 상황 안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여겨져 왔는데 그 이유는 성찬에서 떡과 포도주의 변화가 기독교인들에게 예수 그리스도의 임재에 관한 믿음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기독교 성찬예전 안에서 기독교인들은 떡과 포도주가 예수 그리스도의 몸과 피로 인식되어지는 신비로운 경험에 참여하게 된다. 많은 신학자들과 목회자들은 이 신비한 예식을 이단과 핍박 그리고 철학적인 입장들의 환경 안에서 설명해왔다. 이 연구에서 필자는 초기 기독교 예배 안에서 떡과 포도주의 변화에 관한 교리의 신학적 발전에 관한 짧은 역사를 기술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초기 기독교 역사를 통해 성찬의 변화에 관한 중요한 학자들의 주장이나 성찬기도문들을 연구하였다. 예를 들면 안디옥의 이그나티우스, 순교자 유스티누스, 리용의 이레니우스, 요한 크리스소토무스의 성찬 기도문, 예루살렘의 키릴루스,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 밀라노의 암브로시우스, 그리고 아우구스티누스 같은 학자들이다. 그리고 필자는 이 연구의 정리와 함께 연구를 통한 초기 기독교의 성찬 변화의 발전에 관한 결론을 제시하였다. Eucharist has been regarded as a very crucial element in both theological theme and the actual worship services in Christian history because eucharistic change offers the belief of the presence of Christ for Christians. Within Christian eucharistic service, Christians have believed that they could participate in the mystic experience of transformation from the bread and wine to the flesh and blood of Christ. Many theologians and Christian ministers have tried to explain this mystic ritual in the environment of heresies, persecutions, and philosophical positions. In this essay, I deal with a brief history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theological implications focused on eucharistic change in early Christianity, describing the most distinctive theologians` perspectives of eucharistic change or particular eucharistic prayer, which describe the theological implications of eucharistic change throughout the early Christian history. Those theologians are Ignatius of Antioch, Justin Martyr, Irenaeus of Lyon, the Anaphora of John Chrysostom, Cyril of Jerusalem, Clement of Alexandria, Ambrose of Milan, and Augustine of Hippo. Then, finally, I summarize this research and conclude my discussion about the development of eucharistic change in early Christian church.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