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동경력과 가족경로 분석을 통해 본 청년기 연장(long youth)의 젠더 차이

        이순미(Lee, Soon-Mi) 한국여성학회 2017 한국여성학 Vol.33 No.2

        이 연구는 ‘위기에 처한 청년’ 담론이 가진 남성중심성과 ‘독립’ 혹은 결혼 정상성의 규범성을 비판하기 위한 목적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선험적 가정을 전제하지 않는 발견적 접근을 취하는 배열분석을 방법론적 전략으로 채택하였다. 구체적으로 노동패널 17개년 자료를 이용하여 청년층의 거주형태 배열분석을 중심으로 개인의 일대기적 선택과 기획에 가족이 접합되어 있는 정도와 방식, 그리고 그것의 성별차이를 분석하였다. 2,30대 청년기를 결혼 바깥에서 통과하는 청년들의 규모는 남성은 63.9%, 여성은 45.9%로 상당한 수준이나 이러한 탈근대적 청년기 경로가 경제적 강제인 점은 남성보다 여성에게 더 분명하게 나타났다. 또한 탈근대적 청년기 경로 중 부모와 장기간 동거하는 ‘가족주의적 청년기 연장형’의 경우, 남성은 일방적 의존이 아니라 기존의 가족주의와는 다른 대안적 관계성이 구성될만한 유형이 존재하였으나 여성은 부모에의 의존이 지배적이었다. 이는 청년 여성 대부분이 저임금 노동이나 시장배제로 수렴되는 상황과 밀접히 연관된다. 결국 결혼이 부모에의 의존으로 대체되면서 여성에게 탈근대적 청년기 연장은 결혼 중심, 남성 중심의 삶에 균열을 내는 지속가능한 생애모델이기보다는 결혼 중심 생애모델의 일시적 유예에 머물 가능성이 크다. 이상의 결과는 여성의 자율성 실현이 결혼 이외 다양한 선택지에 대한 사회적 인정체계의 확립을 요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여성의 사회경제적 지위 향상을 위한 제도적 조치와 함께 불안정한 생애전망에도 불구하고 자율성을 실현할 수 있는 개인 단위의 사회정책, 로맨스를 벗어난 관계모델의 구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dismantling of male-centrality and normality for independence or marriage of the discourse ‘Youth in crisis’. To this end, I used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and analyzed gender difference of career trajectory and family pathway, which is focused on articulation of family and individual biographical project. First, the size of post-modernity youth pathway type, which they did not marriage and living together with parents or alone during aged from 20 to 39, accounted for a considerable part to 63.9% of men and 45.9% of women. But It was more apparent to women than men that post-modernity pathway was resulted by economic crisis. Second, for men, some of ‘long youth in familism’ types among post-modernity pathway, could have been interpreted as an alternative relationship not unilateral dependence. However for women, the types were dominated by unilateral dependence. This is closely linked to situation in which most young women converge on low-wage labor and market exclusion. It can conclude that young women’s dependence on parents is to be replaced by marriage, So post-modernity youth pathway is more likely to be a transitory suspension of the marriage-centered life model than to the sustainable life model that breaks the male-centrality and normality for marriage.

      • KCI등재

        천경자의 청년기(1945-1954) 작품세계 연구

        홍윤리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9 美術史學 Vol.- No.37

        A leading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painter, Chun Kyung-ja (1924-2015) was a unique female painter, an Oriental painter of colored pictures, a painter who portrayed figures and snakes with originality, and a prolific essayist. Living and working in Gwangju from 1945 to 1954, Chun had a hard time in her 20s. All the same, she forged her artistic foundations with her active production, holding her own solo shows. Her individual situations involve anxiety and depression of the times. Her paintings at the time advanced, closely connected with her essays and her paintings afterwards. Although her paintings during this period were caught up in the controversy of colored pictures in the Japanese style, she laid a solid basis for her colored pictures by enhancing both her materials and technique. This study focuses primarily on disclosing her activity and her painting’s hallmarks during her youth through an examination of her exhibitions and artworks such as drawings, colored pictures, and illustration, reviewing how her works reflect her personal situations and aspects during the Korean War. At that time, Chun represented her experiences of marriage and divorce, her meeting and conflict with a married man, and her younger sister’s death in her paintings. These aspects of her life made her concentrate more on her inner world rather than any social situations caused by ideological conflict or the Korean War. Her work was particularly marked by an expression of her inner self and unique experiences. Undergoing ideological conflict between leftists and rightists and the Korean War at the time, Chun went through exhausted historical aspects. She displayed her works at the exhibition held by the Joseon Federation of Fine Arts Gwangju Branch in 1947 under the historical, social circumstances of the turbulent era but she worked as a member of the following the army painters’ corps during the Korean War and also presented her works to the art show hosted by the Korean Association of Fine Arts with a strong anti-communist inclination. Her walk of this artistic life can be interpreted to have underlined the fact that the artist herself and her family had nothing to do with any leftwing or rightwing ideology through her expression of emotions close to her everyday life. And yet, the works Chun did in her youth based on her personal experiences represent aspects of the times such as anxiety during the Korean War and sorrow caused by the losing of her family. In her youth, Chun Kyung-ja explored ways to consistently bring experiences to her works, drawings colored pictures, illustrations and cover-page paintings. During this period she laid the foundation to become an up-and-coming painter with the active holding of solo shows and joining numerous group exhibitions. She did not give up colored pictures despite controversy that such paintings had been influenced by the Japanese style and forged her own distinctive idioms of colored pictures by constantly developing its material and technique since her youth. Her works of young days particularly marked by her autobiographical life, her younger sister’s death, and a paradoxical contrast between flowers and snakes have constantly affected her oeuvre after her young years. 한국근현대의 대표적인 화가 천경자(千鏡子, 1924-2015)는 동시대 몇 명 안 되는 여 성화가, 채색화를 고수한 동양화가, 뱀과 여성 인물을 독창적으로 그린 화가, 그리고 다수의 수필을 썼던 수필가였다. 광주에서 활동했던 1945년부터 1954년까지 20대 천경자의 청년기는 힘겹고 어려운 시기였지만 작가로서 작품 제작과 전시회를 개최하며 작가적 토대를 형성했고 무엇보 다 천경자의 개인적 상황은 시대의 불안과 암울함을 동시에 내포했다. 그래서 당시 회화는 이후의 수필과 작품 세계 전반과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발전했다. 또한, 이 시기 채색화의 일본화 논란에도 불구하고 채색화의 재료와 기법을 변화 발전시켜 채색화를 탄탄하게 구축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전시회 개최 등의 작가 활동과 더불어 드로잉, 채 색화, 삽화 등의 당대 제작했던 작품을 조사하여, 개인적 상황과 함께 한국전쟁기의 시 대성이 작품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청년기 천경자의 작품활동과 회화의 특징을 밝혀 보았다. 천경자는 결혼과 이혼, 기혼자와의 만남과 갈등, 그리고 동생의 죽음 등 현실에서 겪은 당시 경험을 작품으로 제작했다. 이러한 복잡다단한 생활은 좌우 이념의 논쟁과 한국전쟁이라는 사회적 상황보다 자신의 내면세계에 더욱 집중하게 했다. 자신의 생활경 험에서 오는 내면 표현은 천경자의 작품 특징이었고, 여성이 갖는 독특한 경험과도 연 결되어 개성적 표현으로 여겨졌다. 당시 그녀는 해방직후 좌우의 이데올로기와 한국전쟁을 경험하며 급격하게 변하는 좌우 분열의 고단한 역사적 상황을 겪었다. 천경자는 격동기의 역사적 사회적 상황에서 1947년 조선미술동맹 광주지부에서 전시회를 하며 활동했으나 한국전쟁 기간 동안 종군화가단에 가입하여 활동했고, 반공적 성향이 강한 대한미협 전시회에 적극적으로 작품을 출품했다. 이러한 그녀의 행보는 생활 감성에 밀착된 작품표현을 통하여 자신 과 자신의 가족이 좌우대립의 이데올로기적 역사상황과 무관함을 강조했었던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하지만, 천경자의 청년기 작품은 개인적 경험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지 만 동시에 한국전쟁기의 불안감과 가족을 잃은 슬픔 등 당시의 시대성이 담겨 있다. 천경자는 청년기 삶의 고통을 드로잉과 채색화, 삽화와 표지화 등의 끊임없는 작품 제작으로 승화시켰으며 다수의 개인전과 단체전을 개최하며 왕성한 활동을 전개해 화가로 성장하기 위한 토대를 만들었고, 일본화의 영향이라는 채색화 논쟁 속에서도 채색화를 포기하지 않고 청년기부터 재료와 기법을 지속해서 발전시켜 자신만의 개성적 표현으로 만들었다. 또한, 자신의 자전적 삶, 여동생의 죽음, 꽃과 뱀의 역설적 대비효과 등 청년기 천경자 작품은 이후 그녀의 전반적 작품에 계속해서 영향을 미쳤다.

      •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정책효과 분석(II) : 사전 및 사후조사 비교

        유영성,윤성진,정원호,김재신,마주영,김교성,백승호,서정희,조문영,한치록,김미리,이지은 경기연구원 2020 정책연구 Vol.- No.-

        이 연구는 2019년에 수행한 연구,《경기도 청년기본소득의 정책효과 분석-사전 및 사후조사 비교-, 2019》의 후속 연구(2020년 연구)이다. 본 연구는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사업이 실시된 4월 1일을 기점으로 사전과 사후(청년기본소득을 4회차 수령하여 사용한 경우)를 설정하고, 청년기본소득을 수급받기 전과 수령하여 사용한 후에 청년들에게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양적분석과 질적분석으로 구성된다. 양적분석의 경우, t-검정과 이중차분법 분석(DID)을 적용하였다. 질적분석의 경우, 개별 인터뷰와 FGI 대상을 세세한 분류에 따라 다양하게 그룹핑하여 실시하였다. 먼저 양적 조사의 경우, 경기도 청년들(실험집단)과 비경기도 청년들(비교집단)에게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포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설문지의 문항 내용은 시점 차이에 따른 조정 부분을 제외하고는 사전조사와 사후조사가 동일하도록 하여 패널 자료가 구축될 수 있도록 하였다. 경기도에 거주하는 청년 중 청년기본소득을 제공받기 전·후 조사 모두에 응답한 11,335명을 실험집단으로 구성하였고, 경기도 외에 거주하는 청년 중 800명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여 사전·사후검사를 진행하였다. 분석의 범주로는 크게 행복, 건강과 식생활, 인식과 태도, 경제활동, 꿈-자본 등을 설정하였다. 양적조사의 T-검정 결과는 아래와 같이 여러 측면에서 경기도 청년기본소득의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첫째, 청년들의 전반적인 복지 수준이 향상; 둘째, i) 경기도 청년들은 다른 지역의 청년들에 비해 주당 노동시간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다소 증가; ii) 지출항목의 변화에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모두 소득은 증가하였지만, 경기도 청년기본소득을 받는 실험집단의 경우 용돈에 대한 의존도가 줄었고, 교제 및 여가활동비에 대한 지출이 증가; 셋째, 경기도 실험집단과 경기도 외 지역 비교집단 모두가 본인의 경제 상황이 평균적으로 ‘불안정적’이라고 느꼈지만, 사후조사에서는 경기도 청년집단의 경우가 자신의 경제활동이 나아졌다고 인식; 넷째, 인식과 태도에서도 경기도 청년집단의 변화가 크게 나타남. 기본소득 수급 이후에 법과 제도에 대한 신뢰, 정치인과 언론에 대한 신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증가; 다섯째, 경기도 청년들의 꿈-자본수준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남. 양적조사의 이중차분법 분석(DID) 결과도 대부분의 항목에서 경기도 청년기본소득이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첫째, 청년들의 행복을 제고; 둘째, 정신건강, 운동빈도, 좋은 식생활과 정(+)의 상관관계; 셋째, 인식과 태도 측면에서 신뢰와 젠더인식, 평등사회 인식을 증대; 넷째, 꿈-자본과 관련하여 상상력, 희망, 낙관성, 회복탄력성 등 모든 부분에서 유의; 다섯째, 경제활동의 경우 경제활동참여자들의 노동시간은 다른 변수들을 통제하였을 때 정(+)의 상관관계를 확보; 여섯째, 시간의 부족 및 여유에 대해서는 수면시간을 제외하고 식사시간, 가사활동시간, 가족과 함께 보내는 시간, 자기계발/학습/운동시간, 교제 및 여가활동시간, 사회적활동 및 봉사시간 등 자기발전이나 사회적 활동에 대한 다양한 영역에서 시간 부족이 감소하고 여유가 증가; 일곱째, 지출액의 경우 자기계발비/교육비에 사용된 지출액이 유의하게 증가. 질적 조사는 경기도 청년에 대해서만 실시하였으며, 경기도 청년기본소득을 총 4회 모두 다 받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질적조사는 개별인터뷰와 초점집단인터뷰(FGI)로 구성되며,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개별인터뷰와 초점집단인터뷰에 참여한 연구 참여자는 모두 42명이었다. 질적조사를 통해 크게 경기도 청년기본소득의 신청과 수급, 청년기본소득에 대한 인식과 소비, 청년의 삶, 기본소득에 대한 이해, 미래의 기본소득과 삶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질적조사를 통해 청년기본소득 수급자들이 아래와 같은 내용의 의사를 피력하였다. 첫째, 청년기본소득 정책에서의 ‘청년’과 ‘기본’의 의미가 무엇인지 여러 가지 심도있게 문제 제기; 둘째, 충분하지 않았음에도 청년기본소득이 연구 참여자들의 삶에서 어떻게 도움이 되었는지, 충분성이 결여된 급여가 ‘기본’소득의 간극을 어떻게 인식하게 하는지 보여줌; 셋째, 한시적인 급여가 계획 있는 소비를 불가능하게 하는 문제가 있음을 제시. 그럼에도 지역화폐 방식의 급여의 의미, 연구 참여자들이 지역화폐 방식의 급여를 통해 자신의 소비를 지역 경제 활성화로 치환하고 지역을 재발견하게 되는 의미 등을 보여줌; 넷째, 사전적 의미에서의 푸른 세대라는 의미인 청년이 연구 참여자들에게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 보여줌; 다섯째, 한국 사회를 심한 경쟁 사회이자 불평등 사회로 강하게 느낌; 여섯째, 기본소득에 대해 무조건성과 보편성, 충분성을 인식하고 있었고, 기본소득이 다시 시작할 수 있는 기회와 도전이 가능한 사회를 만드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 동시에 기본소득에 대해 우려하기도 함; 일곱째, 충분한 수준에서의 기본소득이 삶의 변화를 추동할 가능성이 있음을 내비치기도 함. 결론적으로 경기도 청년기본소득은 수급자들의 지난 1년간의 경험에 비춰볼 때 양적조사나 질적조사 모두에 걸쳐 다양한 측면에서 청년 수급자들에게 긍정적 효과를 발휘하였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a follow-up study (2020 study) of a study conducted in 2019,《Analysis on the Policy Effects of Youth Basic Income in Gyeonggi Province : Comparison of Ante and Post Surveys, 2019》. This study sets before and after (when receiving and using youth basic income four times) starting on April 1, when the Gyeonggi-do Youth Basic Income Project was conducted, and before and after receiving and using youth basic income. We considered what changes were made to the people. This study is largely composed of quantitative analysis and qualitative analysis. For quantitative analysis, t-test and double difference analysis (DID) were applied. In the case of qualitative analysis, individual interviews and FGI subjects were group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detailed classification. First, in the case of a quantitative survey,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young people in Gyeonggi Province (experimental group) and young people in non-Gyeonggi Province (comparative group). The content of the questionnaire in the questionnaire was made to be the same as the pre- and post-review except for the adjustment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ime point, so that the panel data could be constructed. Among the young adults living in Gyeonggi-do, 11,335 people who responded to both the pre- and post-youth basic income surveys were organiz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800 of the young people living outside Gyeonggi-do were selected as the comparative group and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Happiness, health and diet, perception and attitude, economic activity, dream-capital, etc. were largely set as the categories of analysis.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survey"s T-test show the positive effects of Gyeonggi-do youth basic income in several aspects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level of well-being of young people improves; Second, i) young people in Gyeonggi Province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working hours per week compared to young people in other regions; ii) In the change of expenditure items, income increased in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but in the case of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ing basic income for youth in Gyeonggi-do, dependence on pocket money decreased, and expenditure on social and leisure activities increased; Third, both the experimental group in Gyeonggi-do and the comparative group outside of Gyeonggi-do felt that their economic situation was “unstable” on average, but the follow-up survey recognized that their economic activities improved in the case of the Gyeonggi youth group; Fourth, in perceptions and attitudes, the youth group in Gyeonggi Province showed a significant chang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rust in laws and institutions, trust in politicians and the media after receiving basic income; Fifth, the dream-capital level of youth in Gyeonggi Province is generally high. The results of the difference-in-difference(DID) analysi of the quantitative survey also show that Gyeonggi-do youth basic income had a positive effect in most of the items. First, enhancing the happiness of young people;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mental health, exercise frequency, good diet and positive (+); Third, increase trust, gender awareness, and equal social awareness in terms of awareness and attitude; Fourth, in relation to dream-capital, be aware in all areas such as imagination, hope, optimism, and resilience; Fifth, in the case of economic activity, the working hours of economic activity participants secured a positive (+) correlation when other variables were controlled; Sixth, for lack of time and spare time, excluding sleep time, meal time, housework time, time spent with family, self-development/learning/exercise time, fellowship and leisure time, social activity and volunteer time, etc. Reduced time shortages and increased margins in various areas of social activity; Seventh, in the case of expenditure,

      • KCI등재

        ‘묻기’와 ‘찾기’를 통한 성장 - 무질의 『생도 퇴를레스의 혼란』 연구

        신혜선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7 獨語敎育 Vol.68 No.68

        In seinem anonym erschienenen Essay Über Robert Musil’s Bücher kritisiert Musil die zeitgenössische Rezeption seines Romans Die Verwirrungen des Zöglings Törleß, d. h. sie beschränke sich zu einseitig auf den psychologischen Aspekt. Musil versucht einerseits die Besonderheiten des Jugendalters aufzuheben bzw. zu relativieren, andererseits aber auch Individualisierung der Wahrnehmung und des Subjekts hervorzuheben. Der Jugendliche stelle somit für Musil lediglich ein Instrument dar, welches das als Individuum zu entfaltende Subjekt zum Vorschein bringt. Diese apologetische Erklärung bekräftigt ironischerweise auch das Gegenteil und unterstützt somit eine Tatsache, die sich von seiner eigentlichen Absicht entfernt - wie adäquat und empfänglich die ‘Geschichte des Sechzehnjährigen’ für die literarische Selbstreflexion über einen individuellen Lebenslauf ist. Im Roman sind ausreichende Hinweise zur Entwicklung der Jugendlichen vorzufinden, wie zum Beispiel die Äußerungen des Erzählers über das “Alter des Übergangs” oder den “Abschnitt seiner Entwicklung”. Somit sind die psychosozialen und sexuellen Verwirrungen des Protagonisten Törleß, wie auch die Irritationen der Mitschüler mit gutem Recht als zentrale Problematik der Adoleszenz zu betrachten. Aus entwicklungspsychologischer Hinsicht benötigt die adoleszente Individuierung Spiel und Risiko, das Austesten und Überschreiten von Grenzen, das Experimentieren mit den eigenen kreativen Potenzialen. In diesem Zusammenhang beleuchtet die vorliegende Abhandlung die im Roman veranschaulichten verschiedenen Merkmale des Adoleszenzverlaufs als Individualisierungsprozess. Zugleich setzt sie sich mit den differenzierten Schilderungen auseinander, wobei der Entwicklungsprozess des Törleß in der ‘eigentlichen Adoleszenz’ als das verwirrende Labyrinth vom ‘Fragen’ und ‘Suchen’ geprägt wird. 로베르트 무질의 첫 번째 소설 『생도 퇴를레스의 혼란』은 출판 이후 커다란 반향과 함께 기대이상의 성공을 거두었고, 작가 무질에게는 “심리학자의 명성 Ruf des Psychologen” (Musil 1955, 808)을 안겨주었다. 사관학교라는 고립된 공간 내에서의 동성애적 일탈의 충격적 사건에 초점을 맞춰, 권위적인 교육과 폭력의 관계, 그 안에서 청년개인의 심리와 인식의 변화 등을 매우 섬세한 필치로 보여주었음이 강조된 것이다. 그러나 정작 무질은 이러한 문학계의 평판을 탐탁지 않게 여긴다.익명으로 기고한 에세이 「로베르트 무질의 저서에 관하여 Über Robert Musil's Bücher」(1913)에서 무질은 이러한 일차원적 수용을 비판하면서 자기의 본래 의도를 밝힌다. “열여섯 살짜리 주인공은 [...] 하나의 전략이다. Der Sechzehnjährige […] ist eine List.”(TAER 776) 그의 주장에 따르면 성인들은 뒤따르는 제반의 요소들로 인한 복합성 때문에 소재로 다루기에 부적합한 면이 있는데 반해, 젊은이들은 영혼의 연관관계를 형상화하기에 비교적 단순하고도 생생한 재료가 된다는 것이다(Vgl. TAER 776). 이 해명에는 자신의 소설을 단순히 심리학 또는 교육학적으로 읽어내는 당시 비평계에 대한 작가의 거부감이 잘 드러난다(Vgl. Gunia 1999, 310). 무질은 이 에세이에서 청년기라는 연령의 특수성을 상대화시키며 약화시키고, 주체의 인식과 감성(감각)의 개성화 과정을 강조한다. 즉 청년기를 선택한 이유는 주체의 개체화과정을 드러내기 위한 수단이자 재료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무질이 ‘작가’의 의도를 익명으로 곡진하게 밝혔음에도 불구하고, 이 주장은 역설적으로 다른 사실을 내포하고 있다. 즉 주체의 개체화과정을 위한 문학적 자기고찰에 ‘열여섯 살짜리 청(소)년의 이야기’가 얼마나 적합하며, 또 얼마나 상응하는가를 웅변한다. 바로 이 문제제기에서 본고의 논지가 시작된다. 본고는 따라서 퇴를레스의 성장단면들이 단지 예민하고 특별한 한 청년 퇴를레스 뿐만 아니라, 작가가 의도했든 아니든, 청년기 성장의 여러 특징들을 잘 드러내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이 소설에서 화자는 여러 번 청년기의 발전에 대하여 언급한다. 예를 들어 소설에는 “과도기의 나이 Alter des Übergangs”, “발전의 단계 Abschnitt seiner Entwicklung” 그리고 ‘성장’과 연관된 표현들이 매우 자주 사용된다. 물론 이러한 표현들과 청년 인물들의 사건을 하나의 상징적 표현으로 파악하여, 세기전환기 모더니즘 사회를 대면하고 있는 개인, 그리고 주체의 자화상으로 읽어낼 수 있다. 본고에서는 그러나 작가 무질의 완곡한 부인과는 별개로, 혹은 그 부인 때문에 오히려 더욱 그 문제로부터 출발하여, 작품 속에 매우 뚜렷이 제시되고 있는 청(소)년의 발전단계의 특성과 소설진행의 연관성에 초점을 맞추어 논지를 진행하고자 한다. 이 문제의 논의가 작가 의도의 왜곡이나, 작품의 표면적 분석은 아니다. 이러한 분석은 오히려 청년기 단계를 자세히 조명함으로써, 자아의 발전과정을 더욱 구체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과정의 무질적 문학의 형상화를 함께 되짚어 보는 과정이 될 것이다. 필자는 『생도 퇴를레스의 혼란』을 ‘교소설 Schulroman’의 한 종류인 ‘생도소설 Kadettengeschichte’이자, 동시에 ‘청년기소설 Adoleszenzroman’로서 파악하고자 한다.1980년대 말에서 1990년대 초반이후 현재까지 독일 및 영미권에서 ...

      • KCI등재

        드라마를 통해 본 청년기 자폐성 장애인의 삶 연구 -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를 중심으로 -

        김세령,남세현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2

        본고는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에 재현된 청년기 자폐성 장애인의 발달과업과 완전 통합의 문제를 고찰해보고 그 의의와 한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현실과의 대비를 통해 청년기 자폐성 장애인의 생애주기에 부합하며 완전 통합을 지향할 수 있는 현실에서의 과제를 모색하였다. 드라마 <우영우> 속 청년기 자폐성 장애인의 삶을 조망하기 위해 문화 연구와 장애학의 융복합적 관점에서 접근하였고, 드라마 내용 분석 후 분석 결과를비판적으로 평가하였다. 드라마 <우영우>의 주인공은 자폐성 장애인으로서 부모로부터 독립하여 사회로 완전 통합을 하는 중요한 기점이 될 수 있는 청년기에 주변 인물들과 의미 있는 소통을 통해 일, 사랑, 자립이라는 청년기발달과업을 성공적으로 이루어내고 있다. 또한 드라마 <우영우>는 한국 사회가 자폐성 장애인뿐만 아니라 또 다른형태의 편견으로 차별받고 있는 다양성을 가진 사람들이 함께 살아가고 있는 공간임을 부각하면서 완전 통합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그러나 이러한 드라마의 판타지는 현실과는 괴리되어 있다. 현실에서도자폐성 장애인 당사자의 발달과업 성취와 완전 통합의 문제들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다양성과 차이를 고려한 적절한사회적 제도와 프로그램의 지원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s)과 청년기 외로움의 관계: 우울과 사회적지지의 순차적 이중매개 효과

        강희주,최려나,노충래 한국청소년학회 2024 청소년학연구 Vol.31 No.6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s)과 청년기 외로움의 관계에서 우울과 사회적지지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2016년부터 2020년까지 만 15세에서 39세 2,04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21년 청년 사회·경제 실태조사」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순차적 이중매개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Hayes(2017)가 제안한 SPSS PROCESS Macro model 6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CEs는 우울에 정적영향을 미쳤고, 사회적지지에 부적 영향을 미쳤으나 ACEs가 청년기 외로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ACEs와 외로움의 관계에서 우울과 사회적지지의 단순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우울은 매개효과가 유의하였고, 사회적지지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ACEs와 청년기 외로움과의 관계에서 우울과 사회적지지의 순차적 이중매개 효과가 유의미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청년기 외로움 예방을 위한 ACEs 생존자 발굴, ACEs와 우울증에 효과적인 치료기법으로 알려진 증거기반의 인지치료(CBT), 마음챙김기법(MBCT) 활용, 우울감에 따른 사회적지지 감소 예방의 필요성을 도출하여 청년기의 외로움에 대한 대응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study explored how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mediate the link between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ACEs) and youth loneliness. Using data from the "2021 Youth Social and Economic Survey"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2016-2020), with 2,041 participants, sequential dual mediation effects were analyzed through SPSS 26.0 and Hayes' (2017) PROCESS Macro model 6. ACEs were found to positively affect depression and negatively impact social support but did not directly influence youth loneliness. Depression, but not social support, significantly mediated the ACEs-youth loneliness relationship. Sequentially, both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played significant mediating roles. Recommendations included identifying ACE survivors for prevention and using CBT and MBCT to address depression related to ACEs while maintaining social support to prevent loneliness.

      • KCI등재후보

        청년기 신체장애여성의 여성 정체성 형성 경험 연구

        홍서윤,문영민 한국장애학회 2017 한국장애학 Vol.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질적연구를 통해 청년기 신체장애여성의 정체성 형성 과정을 탐색하는 것이다. 다섯 명의 연구 참여자들과의 심층 면담을 통해 청년기의 여성 정체성 경험에 관한 질적 탐색을 시도하였다. 사례 내 비교와 사례 간 비교를 토대로 분석을 실시하여 주제를 추출하고 분류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장애여성으로서 몸의 이미지에서 비롯되는 여성 정체성 논의가 주요하였다. 먼저 정상성 이데올로기에서 비롯된 여성성의 억압이 가정, 직장, 그리고 연애관계에서 드러났다. 또한 현대사회의 청년 문화와 여성 정체성이 교차되는 지점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여성성을 새롭게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장애여성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에서 탐색하지 않았던 청년기 신체장애여성의 정체성을 탐구하였으며, 생물학적․사회적으로 여성 정체성 확립이 요구되는 청소년기와 성인기 여성 사이에 놓인 청년기 장애여성 집단의 정체성을 현대의 청년 문화 속에서 탐색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e aim of this qualitative research is to explore the awareness of forming identity of young physically disabled females. To explore the process of forming female identity of five participants, the narrative research methodology is applied. To analyze the data, constant comparison and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re used to extract the themes. Major finding of the study is related the body image of physically disabled females, which lead the discussion to oppression of female identity by social ideology and the awareness of gender image by intersection of the basic female identity and changing culture of youngs in modern society. The major difference of the study from advanced researches is concentrating the group of young physically disabled females.

      • KCI등재

        新청년기본소득 제도의 도입에 관한 연구

        이삼열 ( Sam Youl Lee ),함성득 ( Sung Deuk Hahm )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2021 국정관리연구 Vol.16 No.4

        최근 기본소득에 대한 논의는 정책적 장점에도 불구하고 지나친 재정 비용과 충분치 못한 지급액 등과 관련된 논란으로 한 치도 앞으로 나가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은 충분한 기본소득을 청년들에게 제공하는 新청년기본소득이 기존에 제기된 전 국민을 수혜자로 한 기본소득의 한계를 극복하고 상대적 취약계층인 청년들의 행동 전환을 가능케 할 수 있는 정책이라고 주장한다. 즉, 新청년기본소득이 기본소득의 정책적 장점을 살리는 동시에 재정적으로 가능한 정책이라는 것이다. 본 논문은 먼저 기본소득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그 가능성과 제한점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新청년기본소득의 현실도입을 위한 구체적인 대안으로 청년기본소득의 정책적 논리를 제시하고 해외 유사 사례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청년기본소득 월 100만원 지급정책에 대한 비용 추계와 재원 조달 방안에 대한 탐색 및 논의를 통해 新청년기본소득의 현실적 도입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Despite its policy advantages, the recent debate on basic income has not moved forward due to controversies related to excessive financial costs and insufficient payments. This paper proposes a new basic income policy for youth, which can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basic income policy that has been proposed for all citizens as beneficiaries. The New Youth Basic Income can provide sufficient basic income to young people, and is expected to enable behavioral changes for young people since it is financially feasible while retaining advantages of basic income. This paper first analyzes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basic income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Next, the policy logic of the New Youth Basic Income is presented as an alternative for introducing the basic income into reality, and similar cases abroad are analyzed. Lastly, this paper discusses the fiscal possibility of introducing the New Youth Basic Income in detail by estimating the cost for paying one million won per month for youth.

      • KCI등재후보

        후기 청년기 여성의 미술치료 체험에 관한 질적 연구

        홍은주 ( Eun Joo Hong ),정혜선 ( Hae Sun Chung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4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미술치료’ 강좌를 수강한 후기 청년기 대학원 여성들의 미술치료 체험을 통해 그들이 경험한 ‘나 이해’에 대한 체험의 의미를 내러티브 방법론을 적용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시내 00여대 대학원에 개설된 ‘미술치료’ 강좌에 참여한 대상들 중 자신에 대한 고민과 삶의 의미를 찾아가는 청년기의 특성과 청년기의 기간이 연장됨을 고려하여 20대 중반에서 30대 초반에 있는 후기 청년기 여성으로 제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미술작업을 통해 자기에 대해 인식하기 시작하면서 지금까지 본래의 모습을 잃고 살아왔다는 점과 본래의 모습을 보기 시작하면서 직면하기 힘든 불편감, 앞으로의 독립에 대한 불안을 경험하고 있었다. 둘째, 미술치료 작업을 통해 자신의 긍정적, 부정적 모습 등 다양한 모습을 발견했을 뿐 아니라 감정이완을 경험하면서 지금까지 드러내지 못했던 깊은 내면의 그림자를 발견하였고 결국에는 여러 가지 자신의 모습을 수용하고 통합할 수 있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자기 인식 과정이 쉽지는 않지만 계속되어야 하는 과정으로 경험하고 있었다. 더불어 본 연구결과에 대한 의미와 제한점에 대해서 서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se the narrative inquiry methodology to better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young women in their post-adolescence by participating in art therapy graduate school lectures. The study comprised a total of 6 female participants, who were able to explore the meanings of their personal concerns and life by better understanding the adolescent nature of the middle phase of their 20s to the early phase of their 30s.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artwork of the participants in research, they were able to begin perceiving the original shape of the selves they had lost. They were able to do this because, by confronting this anxiety and discomfort while graduate school students, they will be able to have greater independence in the future. Second, through the artwork they produced during the art therapy sessions,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ments of their could be discerned and developed more clearly, in all their variety. In addition, their desires, which had remained hidden been unknown were exposed, enabling them to have a deeper insight into their inner world, through this process, they were able to embrace all shapes of themselves. Finally, this exercise demonstrates, that, although the process of becoming more self awareness is not easy, there is clearly no end to the process and experience with it must continue. In additio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paper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기 빈곤이 청년기 노동시장 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변금선 ( Geum Sun Byun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3 사회복지정책 Vol.40 No.4

        본 연구는 청소년기 빈곤이 청년기 노동시장 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적으로 확인하였다. 1999년~2009년 한국노동패널자료(KLIPS)를 이용해 만 17세 시점 가구빈곤이 만 20~26세 시점의 노동시장 성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다항로지스틱모형, 표본선택모형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제한적이지만 청소년기 빈곤이 청년기 노동시장 성취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확인되었다. 만 17세 시점 빈곤이 고용상태와 근로소득, 근로시간에 미치는 영향은 확인하기 어려웠으나, 만 17세 시점 빈곤했던 청소년은 비빈곤 청소년에 비해 청년기 임금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소득이 최저생계비 미만이었던 청소년은 비빈곤청소년에 비해 시간당임금 14.4% 낮았다. 재학 중이거나 휴학 중인 학생을 제외한 청년층으로 대상으로 한정했을 때에도 유사한 결과(-14.6%)를 보였으며, 이러한 부정적 영향은 극빈층 집단에서 더 크며 교육수준을 매개하여 나타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빈곤을 경험한 청소년이 성인으로의 이행기인 청년기의 노동시장 성취에 있어서 낮은 성과를 얻을 수 있음을 보여주며, 가구빈곤이 자녀에게도 지속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아동이 있는 빈곤가구의 탈빈곤과 빈곤예방을 위한 현금이전과 서비스를 확충하고, 교육 지원 이외에 청소년에 대한 진로지도서비스 및 청년층에 대한 취업지원 서비스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stimate the effect of poverty in adolescence (ages 17) on labor market achievements during young adulthood (ages 20-26). This study analyzed the 1999-2009 data from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 using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model and Heckman`s sample selection model. Controlling fo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family backgrounds, poverty in adolescence decrease wage(-14.6%) in young adulthood who were not student and the negative relation has increased from extremely poor group(-40.9%). These findings showed that the effect of adolescence poverty can last in later life. Considering high education level of young adults, academic achievement could not be enough to get high gains in labor market.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 that anti-poverty policies have to concentrate on welfare services for job ability of young adults who have grown up in poor families as well as improving educational attainment. Anti-poverty programs (e.g. National Basic Livelihood Protection Program) should consider families who live with children and social policies support children growing up in poor families in long term view and strateg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