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주지역의 바람길 특성 분석 및 활용 방안

        엄정희 한국환경생태학회 2019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3 No.3

        본 연구는 폭염 및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계획요소인 바람길의 활용 가능성을 논의해보고자, 전주시를 대상으로 바람길의 특성을 분석하고, 바람길 활용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호남정맥에 위치하는 전주지역 일대의 찬공기 흐름 및 찬공기 층 높이 등 찬공기 특성을 분석하였고, 전주시의 주요한 바람길을 특정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전주시 일대의 산림관리 및 도시계획 활용방안을 제안하였다. 찬공기 특성 분석을 위해 독일에서 개발된 모형인 KALM(Kaltluftabflussmodell)을 이용하여 야간 6시간 동안 생성되는 찬공기 흐름 및 찬공기층 높이를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전주시 외곽 북동쪽 및 동쪽에 위치한 산림에서 생성된 찬공기의 흐름이 뚜렷해지고, 계곡지역과 농경지 일대에서 찬공기층의 높이가 증가하였다. 특히, 전주시의 찬공기 흐름은 북동쪽과 동쪽에서 생성된 찬공기가 전주시 중심 시가지로 유입되어 남쪽으로 흘러나가는 형태를 가지고 있어, 이상적인 바람길 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례였다. 찬공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찬공기 생성이 활발한 산림지역 일대를 ‘찬공기 보전지역’ 으로 지정하고, 원활한 찬공기 흐름을 위해 관리가 필요한 지역을 ‘찬공기 관리지역’으로 지정하여, 찬공기 흐름을 유지 및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전주시의 기후변화 적응 정책, 바람길숲 조성 사업 등 폭염과 미세먼지 해결을 위한 정책 수립과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ventilation corridor and propose its utilization strategies in Jeonju city in order to discuss how to utilize urban ventilation corridors as a planning factor for reducing heat wave impact and fine particle pollution. For these purposes, cold air characteristics such as cold air flow and height of cold air in Jeonju area located in the Honam Jeongmaek were analyzed and major ventilation corridors were specified. Based on them, we proposed mountain management strategies for securing and utilizing ventilation corridors. We used KALM (Kaltluftabflussmodell), a cold air simulation model developed in Germany and identified both the cold air flow and the height of cold air layer generated during 6 hours at night. As a result, the cold air flow generated in the forests located in the northeast and east sides of the Jeonju city became clear and the height of cold air layer increased in the valley terrain and farmland areas with time. In particular, Jeonju City has an ideal structure of urban ventilation corridor. Based on the results, the area where the cold air generation is active was designated as the 'cold air conservation area', and the area requiring the management for the good cold air flow was as the 'cold air management area'.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of policy making and research for reducing heat wave impact and fine particle pollution such as climate change adaptation policy and urban forest plans for ventilation corridor composition.

      • KCI등재

        한남금북·금북정맥 일대의 찬공기 특성 분석을 통한 청주시 찬공기 관리방안

        손정민 ( Jeong-min Son ),엄정희 ( Jeong-hee Eum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9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22 No.2

        본 연구는 한남금북정맥과 금북정맥을 대상으로 정맥에서 생성되는 찬공기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관리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였다. 또한 한남금북정맥에 위치한 청주시를 대상으로 상세 찬공기 흐름을 파악한 후 관리전략을 제안했으며, 청주시 내에 설치된 지상기상관측소의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정맥의 야간기온저감 특성을 분석하였다. 찬공기 특성 분석을 위해서 독일에서 개발된 KALM(Kaltluftabflussmodell) 모형을 활용하여 야간 6시간 동안 생성되는 찬공기 흐름 및 풍속, 그리고 찬공기 층 높이를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정맥에서 생성되는 찬공기는 강해졌으며, 특히 한남금북정맥의 서쪽과 금북정맥의 북쪽에서 뚜렷하게 나타났다. 찬공기 생성 360분 경과 후에는 평균적으로 약 0.45m/s의 찬공기 풍속이 분석되었으며, 최대 2.70m/s의 풍속이 관찰되었다. 찬공기 층 높이는 평균적으로 104.27m, 최대 255.00m의 두께로 쌓였다. 청주시의 찬공기 흐름의 풍속은 상당구가 0.51m/s로 평균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찬공기 층의 높이는 흥덕구가 48.87m로 높게 분석되었다. 야간기온저감 효과 분석 결과는 찬공기 층이 높은 청남대관측소(-3.8℃)에서 저감정도가 가장 크게 나타남으로써, 정맥에서 생성된 찬공기의 영향이 야간기온저감에 효과를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찬공기 특성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찬공기 생성이 활발한 정맥의 주요 산지 일대를‘온도조절기능 보전지역’으로 지정하여 현재의 산림 및 지형 보전에 대해 제안했으며, 생성된 찬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해주는 지역을 ‘온도조절 기능 확대지역’으로 지정하여 정맥의 기능을 보완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남금북정맥과 금북정맥의 체계적인 관리계획을 수립하고, 향후 청주시의 바람길 계획 수립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d air generated in Hannamgeumbuk and Geumbuk-Jeongmaek and proposed their management strategies. We also suggested management strategies after analyzing detailed cold airflows for Cheongju located Hannamgeumbuk-Jeongmaek and we compared the degree of nighttime temperature reduction of the Jeongmaek by using data obtained from observatories located on Cheongju. We used KALM(Kaltluftabflussmodell), a cold air simulation model developed in Germanay and identified both cold airflows and altitude of cold air layers generated during 360minutes at night. As a result, the cold airflow generated in the Jeongmaek became strong and the cold air was appeared clearly in the western part of the Hannamgeumbuk-Jeongamek and in the northern part of the Geumbuk-Jeongmaek. The average velocity of cold airflow was recorded at 0.45m/s, and the maximum speed of cold airflow was recorded at 2.70m/s. The average height of the cold air layer was 104.27m/s and the maximum thickness was 255.0m. The average velocity of cold airflows in Cheongju was 0.51m/s and the average height of cold air layer was 48.87m high. The highest degree of nighttime temperature reduction appeared in the Cheongnamdae observatory(-3.8℃), where the altitude of the cold air layer is high. The results showed that cooling effect of Jeongmaek actually affected the temperature reduction during nighttime. Based on the results, we designated the main mountain area of the Jeongmaek with active cold air generation as “cold air conservation areas” and proposed the current forest and topography conservation. We also proposed to designate areas that facilitate the cold airflows as “cold air management areas” and to complement the function of Jeongmaek. This study could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systematic management plans of the Jeongmaek.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can be applied as basic data for ventilation paths of Cheongju.

      • KCI등재

        바람길 활용을 위한 정맥의 찬공기 관리 방안 - 낙남정맥을 사례로 -

        엄정희 ( Jeong-hee Eum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9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22 No.1

        기후변화에 따른 각종 환경문제가 발생하는 가운데, 도시에서는 폭염, 열대야와 같은 도시 열환경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한국은 찬공기 생성에 유리한 산림지역이 국토면적의 약 63%을 차지하고 있으며, 주요 산줄기인 정맥은 도시지역과 밀접하게 위치해 있기 때문에 찬공기를 활용하는 것은 도시 열환경 완화에 매우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낙남정맥을 대상으로 정맥에 위치한 도시들의 바람길 활용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정맥의 찬공기 특성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낙남정맥의 찬공기 관리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낙남정맥에 위치한 진주시와 산청군을 대상으로 상세분석을 수행하여, 정맥에서 생성된 찬공기 흐름이 인근 도시 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시지역에서 찬공기를 활용하기 위한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찬공기 특성 분석을 위해 독일에서 개발된 모형인 KALM(Kaltluftabflussmodell)을 활용하였으며, 야간 6시간 동안 생성되는 찬공기 흐름 및 찬공기층 높이를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정맥에서 생성된 찬공기 흐름이 뚜렷해지고, 찬공기층의 높이는 증가하였다. 찬공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찬공기 흐름을 유지 및 확대할 수 있는 관리방안을 제안하였다. 예를 들어, 찬공기 생성이 활발한 산림지역 일대를‘찬공기 보전지역’으로 지정하고, 원활한 찬공기 흐름을 위해 관리가 필요한 지역을‘찬공기 관리지역’으로 지정하여 전략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낙남정맥에 위치한 도시지역의 쾌적한 열환경 조성을 위한 바람길 활용방안의 일환으로 낙남정맥의 체계적인 관리계획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s urban heat environment problems occur due to climate change, urban thermal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heat waves and tropical nights are becoming more serious in cities. In South Korea, forest areas favorable for generating cold air account for about 63 percent of the land area. Furthermore, the Jeongmaek, the axis of the main mountain ranges of Korea, is located close to the cities. Hence, the management of cold air is an effective way to improve the thermal environment of Korean cities. We selected the Nak-nam Jeongmaek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r as well as two cities (Jinju-si and Sancheong-gun) located at the Jeongmaek to analyze its cold air characteristics and suggest management strategies of cold air. We used KALM (Kaltluftabflussmodell), a cold air simulation model developed in Germany and identified both the cold air flow and the height of cold air layer generated during 6 hours at night. As a result, the cold air flow generated in the Jeongmaek became clear and the height of cold air layer increased with time. Based on the results, we proposed management plans to maintain and expand the cold air flow. For example, forest areas with active cold air generation were designated as‘cold air conservation areas’, and areas requiring management for good cold air flow were as‘cold air management area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establishing systematic urban ventilation plan to improve thermal environment in Korea cities.

      • KCI등재

        도시환경개선을 위한 산림 기반 바람길 관리 계획- 낙동정맥을 사례로 -

        성욱제,손정민,엄정희,민진규 한국지리정보학회 2023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26 No.1

        This study analyzed the cold air characteristics of the Nakdong Jeongmaek, which is advantageous for the formation of cold air that can flow into the city, in order to suggest the wind ventilation corridor plans, which have recently been increasing interest as a way to improve the urban thermal environment. In addition, based on the watershed analysis, specific cold-air watershed areas were established and management plans were suggested to expand the cold air function of the Nakdong Jeongmaek.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cold air in the Nakdong Jeongaek, cold air was strongly generated in the northern forest of the Jeongamek, and flowed into nearby cities along the valley topography. On average, the speed of cold air was high in cities located to the east of the Jeongmaek, while the height of cold air layer was high in cities located to the west. By synthesizing these cold air characteristics and watershed analysis results, the cold-air watershed area was classified into 8 zones, And the plans were proposed to preserve and strengthen the temperature reduction of the Jeongmaek by designating the zones as‘Conservation area of Cold-air’,‘Management area of Cold-air’, and ‘Intensive management area of Cold-air’. In addition, in order to verify the temperature reduction of cold air, the effect of night temperature reduction effect was compared with the cold air analysis using weather observation data. As a result, the temperature reduction of cold air was confirmed because the night temperature reduction was large at the observation station with strong cold air characteristic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in establishing a systematic preservation and management plan to expand the cold air function of the Nakdong Jeongmaek. 본 연구는 도시 환경 개선을 위한 방안으로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바람길 관리방안을 제안하고자, 도시로 유입될 수 있는 찬공기 형성에 유리한 낙동정맥을 대상으로 찬공기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유역 분석을 기반으로 낙동정맥의 구체적인 바람길 유역을 설정하고 유역별 찬공기 기능 확대를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낙동정맥의 찬공기 분석 결과, 찬공기는 낙동정맥의 북부 산림에서 강하게 생성되었으며, 계곡 지형을 따라 인근 도시로 유입되었다. 평균적으로는 낙동정맥의 동쪽에 위치한 도시에서 찬공기 풍속이 높았으며, 반면 서쪽에 위치한 도시에서는 찬공기층 높이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찬공기 특성 및 유역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낙동정맥의 바람길 관리유역을 8개로 분류하였으며, 이를‘찬공기 기능 보전유역’,‘찬공기 기능 관리유역’,‘찬공기 기능 집중관리구역’으로 설정하여 정맥의 기온 저감 기능을 보전 및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찬공기의 기온 저감 기능을 검증하고자 기상관측 정보를 활용하여 야간 기온 저감 효과를 찬공기 분석 결과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찬공기 특성이 강한 지점의 관측소에서 야간 기온 저감 효과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 찬공기의 기온 저감 기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낙동정맥의 찬공기 기능 확대를 위한 체계적 보전 및 관리계획 마련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우수등재

        냉각에너지를 활용한 바람길 구성요소 분류 - 대구광역시를 사례로 -

        성욱제,엄정희 한국조경학회 2023 韓國造景學會誌 Vol.51 No.5

        최근 산림청이 기후 변화 대응 대책으로써 지자체 바람길숲 조성 사업을 시행함에 따라 다양한 바람길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 오고 있다. 바람길숲 조성을 위해서는 바람길 기능에 대한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하지만, 현재 바람길을 직접적으로 평가하고, 바람길의 유형에 따라 공간을 구분할 평가 지표가 없어 간접적인 지표를 기준으로 분석을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냉각에너지 분석을 찬공기 생성에 대한 평가 지표로 활용함으로써 바람길을 평가 및 분류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Kaltluftabflussmodell_21(KLAM_21)이라는 찬공기 분석 모형을 활용하여 냉각에너지 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시뮬레이션 분석 결과에 따라 바람길을 찬공기 생성지역, 찬공기 취약지역, 찬공기 유동지역으로 분류하였다. 냉각에너지량을 기준으로 상위 5퍼센트를 찬공기 생성지역, 하위 5퍼센트를 찬공기 취약지역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찬공기 유동지역은 찬공기 생성지역에서 이동하는 찬공기의 흐름을 파악하여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 대구광역시의 바람길 6개의 바람 생성지역이 존재하며, 찬공기 취약지역은 시가지 내부에 집중되어 있었고, 찬공기 유동지역은 대구광역시의 주요 하천과 도로를 따라 형성되어 있었다. 본 연구의 방법론을 통해 바람길의 효과를 정량적 평가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바람길숲 조성 사업지 선정에 제시할 수 있는 평가 지표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Recently, the Korea Forest Service has implemented a planning project about wind corridor forests as a response measure to climate change. Based on this, research on wind corridors has been underway. For the creation of wind corridor forests, a preliminary evaluation of the wind corridor function is necessary. However, currently, there is no evaluation index to directly evaluate and spatially distinguish the types of wind corridors, and analysis is being performed based on indirect indicator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a method to evaluate and classify wind corridors by utilizing heat deficit analysis as an evaluation index for cold air generation. Heat deficit was analyzed using a cold air analysis model called Kaltluftabflussmodell_21 (KLAM_21).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imulation analysis, the wind path was functionally classified. The top 5% were classified as cold-air generating Areas (CGA), and the bottom 5% as cold-air vulnerable Areas (CVA). In addition, the cold-air flowing Areas (CFA) were classified by identifying the flow of cold air moving from the cold air generation area. It is expected that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n evaluation method for the effectiveness of wind corridors. It is also anticipated to be used as an evaluation index to be presented in the selection of wind corridor forest sites.

      • KCI등재

        도시 바람길 활용을 위한 수원시 찬공기 유동 분석

        차재규,최태영,강다인,정응호 한국지리정보학회 2019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22 No.4

        Due to the dramatic spatial changes caused by industrialization, environmentalproblems such as air pollution and urban heat island phenomenon, etc. are occurring incities. In this case, the wind corridor, which is a passage through which fresh and cool air generated in forests outside cities move to the downtown, can be used as a spatialplanning method for improving urban environmental problems. Cold air is determined bythe characteristics of the flow depending on the topography and land use of cities, andbased on this, the medium- and long-term plan should be established. Therefore, thisstudy analyzed the flow of cold air at night through the KLAM_21 model in Suwon-si,Gyeonggi-do, to prepare the basic data required to apply the wind corridors. As aresult, it turned out that cold air of Suwon-si was mainly generated from GwanggyoMountain that is a large mountain area in the north, and flowed into the urbanizationpromotion area, and about three hours after sunset, cold air flowed into the downtown. By district, the depth, wind speed, and direction of the cold air layer were formed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pography and land use. In the areaswhere large forests were adjacent, the flow of cold air was active. There are threemain wind corridors where cold air flows to the downtown of Suwon-si, all of whichare formed around rivers. Especially, if the connection between rivers and thesurrounding green areas is high, the effect of wind corridors is found to be significant. In order to utilize the wind corridors of Suwon-si,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is necessary to make climate maps through actual survey and complex analysis of coldair flow and establish mid-to-long-term plans for the conservation and expansion ofmajor wind corridors. 도시는 산업화에 따른 극적인 공간적 변화로 대기오염 및 도시열섬현상 등 환경문제가 발생하고있다. 도시 외곽의 산림에서 생성된 신선하고 차가운 공기가 도심으로 이동하는 통로인 바람길은도시 환경문제 개선을 위한 공간계획적 방안으로 활용할 수 있다. 찬공기는 도시의 지형 및 토지이용에 따라 유동의 특성이 결정되며 이를 기반으로 한 중장기적인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바람길 활용에 필요한 기초 자료 마련을 위해 경기도 수원시를 대상으로 KLAM_21모델을 통해 야간의 찬공기 유동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수원시의 찬공기는 주로 북쪽의대규모 산지인 광교산에서 생성되어 시가화지역으로 유입되며, 일몰 후 약 3시간이 지나서 도심까지 찬공기가 유입되었다. 구별로 지형 및 토지이용의 특성에 따라 찬공기 층의 깊이, 풍속, 풍향이다르게 형성되고 있으며, 대규모 산림 인접 지역에서 찬공기의 유동이 활발하게 나타났다. 수원시도심으로 찬공기가 유동되는 주요 바람길은 3개이며 모두 하천을 중심으로 형성되고 있다. 특히하천과 주변 녹지의 연결성이 높으면 효과가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수원시의 바람길 활용을 위해서는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찬공기 유동에 대한 실측과 복합적 분석을 통해 기후지도를 작성하고 주요한 바람길의 보전과 확대를 위한 중장기적인 계획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유역의 찬공기 특성을 고려한 도시 바람길 활용 전략 - 경기도 의정부 및 과천 일대를 사례로 -

        엄정희 ( Jeong-hee Eum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9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22 No.2

        본 연구는 찬공기 특성을 유역단위로 분석하고, 유역 내 생성되는 찬공기를 도시 바람길 계획에서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경기도 지역의 북쪽에 위치한 중랑천 유역의 의정부시, 남쪽에 위치한 안양천 유역 및 양재천·탄천 유역의 과천시를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찬공기 특성 분석을 위해 독일에서 개발된 모형인 KALM(Kaltluftabflussmodell)을 활용하였으며, 야간 6시간 동안 생성되는 찬공기 흐름 및 찬공기층 높이를 파악하였다. 중랑천 유역의 주요 바람길이 흐르는 곳에 위치해 있는 의정부시는 남쪽 외곽에서부터 유입된 찬공기가 의정부시 전체 바람길 계획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서쪽의 사패산 일대에서 생성된 찬공기는 시청 인근의 중심상업지구까지 유입되고 있어 도심의 열환경을 조절하는 주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의정부시 동쪽지역은 바람길 이용이 원활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 되었다. 동쪽의 관악산과 서쪽의 청계산 등에서 생성된 찬공기 흐름은 과천시의 북쪽 지역에서 가장 활발하였는데, 이 흐름은 안양천 및 양재천·탄천 유역 전체에서도 주요한 바람길이다. 이에 비해, 찬공기 흐름이 원활하지 않은 남쪽지역에‘과천지식정보타운 공공주택지구’조성이 계획되어 있어 향후 이 지역의 주거환경이 저하될 가능성이 크다. 향후, 이 지역을 개발할 경우 상세한 바람길 분석을 통한 바람길 활용 계획을 추가적으로 수립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cold air characteristics in the watershed areas and to suggest strategies for utilizing them in urban ventilation corridor plans. For this purpose, the Jungnangcheon watershed and Uijeongbu-si in the northern part of Gyeonggi province, and Anyangcheon watershed as well as Yangjaecheon·Tancheon watershed and Gwacheon-si in the southern part were selected as study areas. We used KALM (Kaltluftabflussmodell), a cold air simulation model developed in Germany and identified both the cold air flow and the height of cold air layer generated during 6 hours at night. Uijeongbu City is located on the main stream of the Jungnangcheon watershed, and the local cold air from the southern outskirts is an important part of Uijeongbu-si's overall ventilation corridor planning. In addition, the cold air generated in the vicinity of Mt. Sapae flows into the central business district near the city hall and plays a major role in regulating the thermal environment of the city. But, the cold air flows in the eastern part of Uijeongbu-si was not smoothly. The cold air flow generated in the east of Gwanak Mountain and in the west of Cheonggye Mountain was the most active in the northern part of Gwacheon-si. This flow is also a major ventilation corridor in Anyangcheon watershed as well as Yangjaecheon·Tancheon watershed. But, the southern part where the cold air flow is not smooth is planed to be developed as 'Gwacheon Knowledge Information Town Public Housing District', so rapid development is expected in the future. Hence, it is suggested that an additional ventilation corridor plan should be established based on the detailed local wind flow analysis.

      • KCI등재

        바람길 조성을 위한 도시공간유형별 찬공기 유동 특성 분석 - 창원시 도시지역을 중심으로 -

        이수아,송봉근,박경훈 한국지리정보학회 2022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25 No.2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cold air flow according to spatial types in urban areas of Changwon-si, Gyeongsangnam-do. The spatial types were classified by cluster analysis considering the land use map, building information, and topographic characteristics produced on the Changwon biotope map. The amount of cold air and wind speed were derived by KLAM _ 21 modeling. As a result, spatial types were classified into a total of 14 types considering the density and height of buildings, land use types, and topographic characteristics. Cold air flow was found to generate cold air in the valley of the forest area outside urban area, move through roads and open spaces, and accumulate in the low-lying national industrial complex, and then spread cold air throughout the urban areas. There was a lot of cold air flow in the tall building area, and the cold air accumulation was less in the slope and ridge area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ble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cold air flow according to building density, land use type, and topography, which will be usefully used as basic data for urban wind road construction to mitigate climate and improve air quality in urban areas. 본 연구는 경상남도 창원시 도시지역을 대상으로 공간유형에 따른 찬공기 유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공간유형은 창원시 도시생태현황지도의 토지이용현황도와 건물 정보, 지형 특성을 활용하여 군집분석을 통해 분류하였다. 찬공기 유동은 KLAM _ 21 모델링을 활용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른 찬공기 양과 풍속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공간유형은 건물의 밀집도와 높이, 토지이용 유형, 그리고 지형 특성인 평지, 계곡, 능선, 경사지가 고려되어 총 14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찬공기 유동은 도시 외곽의 산림지역 계곡부에서 찬공기가 생성되어 도로와 평지를 통해 이동하여 저지대인창원국가산업단지에 축적되기 시작하고, 이후 도시지역 전반에 찬공기가 확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물이 높은 지역은 찬공기의 유동이 많았고, 경사지와 능선부는 찬공기 축적이 적어 유동량이상대적으로 작았다. 본 연구결과는 건물 밀집도와 토지이용 유형, 지형 형태에 따른 찬공기 유동특성 파악이 가능하였고, 이는 도시지역의 기후 완화 및 대기질 개선을 위한 도시 바람길 조성의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 KCI등재

        KLAM_21을 활용한 바람생성기능 평가분석 연구 -대구시를 대상으로-

        류지원 ( Ji Won Ryu ),정응호 ( Eung Ho Jung ),김대욱 ( Dae Wuk Kim ),차재규 ( Jae Gyu Cha ),손경수 ( Kyung Su Son ) 한국지리정보학회 2008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1 No.2

        본 연구는 KLAM_21을 활용한 바람형성기능 평가분석에 관한 연구로서 대구시를 사례대상지로 실제 도시공간상에서 지형조건과 토지이용에 따라 어떻게 바람이 유동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먼저, 신천상류 가창골 일대의 계곡과 주변산지 경사면에서 형성된 찬공기는 신천상류를 따라 북쪽으로 유동되어 확장되고 있었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찬공기의 양과 높이 그리고 유속 및 방향 등에 있어서도 점점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었다. 이는 이 지역의 공간적 특성이 찬공기가 생성되고 유동하는데 있어서 매우 양호한 조건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앞산공원지역에서는 앞산공원일대를 가로지르는 고가도로와 바람의 유동을 방해하는 대규모의 아파트단지 밀집, 그리고 공원내의 건축물 등의 도시개발의 행위로 인하여 찬공기의 생성 및 유동이 크게 방해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찬공기의 양과 높이에 있어서도 미약하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바람길의 공간적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바람길생성의 기본 형태인 찬공기 형성 및 유동, 그리고 찬공기 축적 및 유지지역이 공간적으로 연계되어야 하며, 이러한 공간적 연계는 지역의 공간적 특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the one concerning the evaluation analysis of the function of the wind generation using KLAM_21, has examined closely how the wind really flows on the space of the city, working with the object of case location. In the first place, the cold air formed at upper stream of Sincheon river, a ravine of whole area of Gachang gully and an inclined plane of neighboring mountainous district, flows to the north and expands itself along the upper stream of the Sincheon river, and as the time passes, it is tending upwards in the change of the volume and height as well as of the velocity and direction, of the cold air. It was learned that this phenomenon has made it clear that the spatial features of this area give rise to very good condition in generating and flowing the cold air. Meanwhile, it has been shown that in the area of park in the Ap-mountain, the generation and flow of the cold air are much interrupted because of the overpass traversing the whole area of the park of Ap-mountain, the congested area of large-scaled apartments and the urban development activities constructing the building in the park, and the volume and height of the cold air has been grown very small. In conclusion, It has been learned that for maximization of the spatial effect of the wind corridor, the areas where the cold air is generated, flowed, accumulated, and maintained, have to be connected spatially, and this spatial connection has a close relation with spatial features of the area.

      • KCI등재

        고밀도 관측자료를 이용한 야간 지면냉각과 찬공기 이동 분석 -서울 은평구 뉴타운 사례

        이채연 ( Chae Yeon Yi ),김규랑 ( Kyu Rang Kim ),최영진 ( Young Jean Choi ),원혜영 ( Hye Young Won ),( Dieter Scherer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2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5 No.4

        기후분석은 도시 쾌적도를 고려하는 도시계획에 있어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도시지역의 기후는 종관규모보다 작은 국지규모의 기후 영향을 받는데, 본 연구에서는 도시 안에서의 야간 지면냉각과 찬공기 생성 및 유입의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도시지역의 국지기후에 대한 영향을 정량화 하고자 하였다. 서울관측소 풍속에 미치는 종관 기상의 영향은 30%정도인 반면, 관측소 주변의 지형·건물·열적 현상의 영향은 70%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울 은평구 뉴타운의 연구지역에 대하여 서울기후분석(CAS, Climate Analysis Seoul) 모델로 분석한 결과, 국지영향 기온편차 분포에서 토지피복률에 따라 도시 및 도시외곽 지역의 기온 특성이 함께 존재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고밀도 관측 자료로부터 각 지점들의 시간대별 열적반응이 국지영향 기온편차 분포와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관측지점들 중 실개천을 따라 설치된 지점들의 일변동은 유사하게 나타났는데, 인근 산으로부터 경사면을 따라 유입된 찬공기의 생성, 이동, 정체는 관측된 수직기온경도를 이용하여 표현되었다. 실개천의 입구에서 관측된 수직기온경도는 지면 냉각에 의한 것과 외부로부터의 찬공기 유입이라는 두 가지로 설명될 수 있다. 지면냉각은 풍속과 관계없이 존재하지만, 찬공기 유입에 의한 냉각효과는 풍속이 낮을 때만 일어났다. 풍속의 강약에 따른 회귀분석식을 이용하여, 찬공기 유입 냉각효과는 국지적인 지면 냉각의 84%였다는 것을 밝혔다. 본 연구를 통해 지역특성이 국지기후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를 기존의 정적인 기온영향 분석에서 동적인 찬공기 유입분석으로 확장하였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기후분석에서는 도시민의 쾌적도를 지원하기 위한 도시개발계획의 찬공기 특성 변화를 분석할 수 있게 될 것이다. Climate analysis is important in urban planning for human comfort. Synoptic weather conditions can only resolve the 30% of local variance of wind conditions whereas 70% of the variance arise from local terrain, buildings, and other small scale thermal conditions. Climate Analysis Seoul (CAS) was developed to resolve such micro-scale climate. The Local-scale air temperature Deviation (LD) analysis map from CAS showed the co-existence of built-up and suburban areas in the study region (CR, Cold-air analysis Region) despite its small extent. Temperature, humidity, wind speed, and wind direction were monitored in CR. Hourly observed cooling rate agreed well with LD. Cold air production, transportation, and stagnation was visualized by the observed Vertical Temperature Gradient (VTG) along the small stream in CR. VTG observed at the upper-most stream can be divided into two components: radiative cooling and cold air inflow from outside. Radiative cooling exists regardless of the wind speed whereas cold air inflow occurs only with calm wind. From the regression analyses based on the wind speed, the inflow portion was determined as 84% of radiative cooling. Climate analysis in the future will be able to characterize the changes in cold air by urban development plan to support the human comfo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