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지체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직업준비도와의 관계

        나용기,김기룡,김삼섭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2 장애와 고용 Vol.2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job readiness skills in high school enrolled third grade students or majoring course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In order to do this, the selfesteem scale and job readiness scale of 198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was examined. First, self-esteem and job readiness skills also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gender of the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he self-esteem subfactors, as social self-esteem and academic self-esteem,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placement environment, as job readiness skills was significant difference. Academic self-esteem and all sub-factors of job readiness skill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y degree of disability. Second, self-esteem and job readiness skill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The result of cannonical correlation analysis about self-esteem and job readiness skills was that academic and social self-esteem among self-esteem sub-factors were best predictable variables daily living skills, social skills and job skills among the job readiness skills sub-factors. This study offer evidence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esteem and job readiness, to find the predictable variables of job readiness, and to apply job planning.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3학년 및 전공과에 재학 중인 정신지체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직업준비도와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정신지체 학생 198명을 대상으로 직업준 비도 검사와 자아존중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지체학생의 성별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직업준비도는 유 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배치환경에 따라서는 자아존중감의 경우 사회적 자아존 중감과 학업적 자아존중감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직업준비도의 경우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전공과, 특수학교, 특수학급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정도 에 따라서는 자아존중감의 경우 학업적 자아존중감이 직업준비도의 경우 모든 하위 요인 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과 직업준비도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지체학생의 자아존중감 중 학업적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자아존중 감이 직업준비도 중 일상생활기술, 사회기술, 작업기술 요인들을 가장 잘 예측해 줄 수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취업직전의 정신지체학생들의 자아존중감과 직업준비도와의 관계를 탐색하 고 예측변인을 밝혀 직업교육계획을 작성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종사원들의 직업존중감이 직무만족, 조직시민행동, 이직의도와의 영향관계 -상장여행사와 비상장여행사를 중심으로-

        양재영,윤경선,박영진 한국관광학회 2013 관광학연구 Vol.37 No.7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ffect of the job esteem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urnover intention of the listed and unlisted travel agency's employees. To conduct this research,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817 subjects over a one-month interval through in-person data collecting techniques. Results were computed using SPSS and AMOS statistical analysis programs. As a results of listed travel agency. First, Job esteem is effect of job satisfaction hypothesis has been accepted. Second, Job esteem is effect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hypothesis has been accepted. Third, Job esteem is effect of turnover intention hypothesis has been accepted. Forth, Job satisfaction is effect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hypothesis has been accepted. And the result of unlisted travel agency. First, Job esteem is effect of job satisfaction hypothesis has been accepted. Second, Job esteem is effect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hypothesis has been rejected Third, Job esteem is effect of turnover intention hypothesis has been accepted. Forth, Job satisfaction is effect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hypothesis has been accepted. 이 연구의 목적은 여행사 종사원들의 직업존중감이 직무만족과 조직시민행동 그리고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상장여행사와 비상장여행사별로 파악하기 위해 진행한 연구이다. 이 연구를 실증적으로 검정하기 위해서 1개월간 여행사를 개별 방문하여 설문지들을 직접 수거하는 방식으로 총 817부를 수거하여 SPSS와 AMO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상장여행사의 연구가설 검정결과 첫째, 종사원들의 직업존중감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둘째, 종사원들의 직업존중감은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셋째, 종사원들의 직업존중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넷째, 종사원들의 직무만족은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다음으로 비상장여행사의 연구가설 검정결과 첫째, 종사원들의 직업존중감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둘째, 종사원들의 직업존중감은 조직시민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기각되었다. 셋째, 종사원들의 직업존중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넷째, 종사원들의 직무만족은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이와 같이 상장여행사와 비사장여행사 종사원들의 직업존중감은 직무만족과 조직시민행동에 다소의 차이가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하게 되었다.

      • KCI등재

        정신지체학생의 적응행동, 자아존중감 및 진로자기효능감이 직업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나용기,김삼섭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3 장애와 고용 Vol.23 No.2

        In this study, relationship between job readiness skills, adaptive behavior, selfesteem,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the 160 students who are in third grade in special classroom of special school and who acquired a job after graduating from majoring course was researched. In order to do this, self-esteem, adaptive behavior,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job readiness skills were measured. As a manner of data processing, correlation analysis, STEPWISE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daptive behavior and job readiness skills, and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adaptive behavior and self-esteem in a sense of correlation among adaptive behavior, self-esteem,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job readiness skills of the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Secon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an effect of adaptive behavior, self-esteem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n job readiness skills, only adaptive behavior had a meaningful effect. The effects that adaptive behavior, self-esteem,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have on sub-factors of job readiness skill are as follows. Daily living factors of readiness skills were affected by self-esteem and adaptive behavior. Also, The recognition skills and work skills of job readiness skills were influenced by adaptive behavior. In addition, job conscience of job readiness skills are affected by adaptive behavior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be used as baseline data in searching relationships among job readiness skills, adaptive behavior, self-esteem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the mental retardation students who graduated from high school and majoring course and acquired a job, and in designing a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특수학교·특수학급 3학년 및 전공과 재학생 중 현재 직업생활을 하고 있는 정신지체학생의 적응행동, 자아존중감 및 진로자기효능감이 직업준비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106명의 정신지체학생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적응행동, 진로자기효능감 및 직업준비도를 측정하여 상관관계와 중다회귀분석을 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지체학생의 적응행동, 자아존중감 및 진로자기효능감과 직업준비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 본 결과, 적응행동과 직업준비도 간에는 정적상관관계가 있고, 적응행동과 자아존중감과는 부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적응행동, 자아존중감 및 진로자기효능감이 직업준비도에 미치는 전반적인 영향을 알아 본 결과, 세 요인들 중 적응행동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적응행동, 자아존중감 및 진로자기효능감이 직업준비도의 하위 요인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직업준비도의 일상생활요인은 자아존중감과 적응행동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준비도의 인지기술요인과 작업기술요인은 적응행동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준비도의 직업의식은 적응행동과 진로자기효능감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정신지체 특수학교, 특수학급 및 전공과 학생의 진로와 직업 교육과 정을 구성하거나 전환교육계획을 세우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골프장 캐디를 위한 직업존중감 척도의 타당화 검증

        이준우 한국골프학회 2020 골프연구 Vol.14 No.2

        [목적] 본 연구는 골프장 캐디에 맞는 직업존중감 척도를 제작하고 타당화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결과 도출을 위해 사전연구를 통해 완성된 조사도구를 이용하여 골프장 캐디 231명 자료를 수집한 다음, AMOS 21.0에 의한 확인적 요인분석과 문 항반응이론을 적용할 수 있는 Winstep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결과] 첫째, 골프장 캐디의 직업존중감 척도는 3개(개인적, 사회 적, 조직적) 하위요인에 21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골프장 캐디의 직업존중감 척도의 요인별 적합도 지수는 기준치에 충족 되었다. 셋째, 골프장 캐디의 직업존중감 척도의 구조벌 문항 신뢰도는 수용기준에 만족되었다. 넷째, 골프장 캐디의 직업존중감 척도는 5점 응답반응형태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골프장 캐디의 경력에 따라 직업존중감의 개인적 차원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5년 이상의 캐디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결론] 골프장 캐디들의 서비스질 향상을 위해 직무 개선에 필요한 자료는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를 이용하는 것이 다른 척도에 비해 결과 해석에 용이성 및 타당성을 높일 수 있다. 골프장 관계자는 캐디들 이 인식하는 직무 평가를 객관적으로 해석할 수 있어 스트레스, 부정적 인식 요소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전략 수립에 도움일 될 수 있다. 직업에 대한 전문성과 긍정적 자아인식을 높이기 위한 별도의 프로그램은 경력별 프로그램을 접근해야 골프장 캐디들의 서 비스품질 향상에 기여될 확률이 높다는 최종 결론을 도출하였다. [Purpose] Although data for golf course caddies' respect for their job is needed to provide relevant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of such service, there is no job respect scale for golf course caddies. This study created a job respect scale for golf course caddies, verified its validity.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231 pre-tests and the golf course sutes in the Gyeonggi, Chungcheong, and Jeju areas. Th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1.0, AMOS 21.0, and WINSTEP programs. and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 [Result] First, the job respect scale for golf course caddies comprised 3 sub-factors and 21 questions. Second, the goodness-of-fit-index by factor of job respect scale for golf course caddies met the standard criteria. Third, the reliability of questions by structure of job respect scale for golf course caddies met the acceptance criteria. Fourth, for the job respect scale for golf course caddies, a 5-point response type was found to be suitable. Fifth, golf course caddies' job respect by career was different according to individuals, and caddies with 5 or more years of experience showed the highest job respect. [Conclusion] In conclusion, for data necessary for job improvement aimed at improving golf course caddies' service quality, the scale proposed herein is expected to better boost feasibility and validity of the analysis of measurement results than other scales. In particular, programs aimed at boosting job professionalism and positive self-recognition of job can help improve golf course caddies' service quality when taking approach to the programs by career.

      • KCI등재

        미용사의 직업존중감과 만족도

        박은정,권혜진 대한산업경영학회 2018 산업융합연구 Vol.16 No.3

        최근 국내 화장품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피부관리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이에 피부미 용관련 직종 중 대표 직업군인 피부미용사들의 자신의 직업에 대한 직업존중감과 만족도를 조사하여 현재 뷰티산업 에 종사하는 전문가들의 직업만족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사는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현직 피부관리사 289 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응답자의 대부분은 자신의 직업존중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M=3.81). 그러나 남, 여에 따라 ‘정당한 대우’에서, 학력에 따라 ‘상대적 우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o1). 직업만족도 에서도 M=3.34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고 근무시간, 직위, 급여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자아존중감과 직업 존중감이 높을수록 직업의식에 대한 직무만족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직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사회적 인식 수준의 향 상과 자신의 직무에 대한 긍정적인 가치관이 피부미용사들의 직업 만족도를 높여 직무능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As recent domestic cosmetics market has grown rapidly, many people have become interested in skin care.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job satisfaction of experts currently working in beauty industry by conducting a survey on the job esteem and satisfaction of estheticians who are the major professional group in skin care related occupations. The survey was carried out targeting at 289 current esthetician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as a result, most of the respondents showed a high level of job esteem (M=3.81).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air treatment’ by male and female, and ‘relative superiority’ by educational background (p<.o1). The job satisfaction showed a high satisfaction as M=3.34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working hours, positions and salaries. As the level of self-esteem and job esteem became higher, job satisfaction on occupational consciousness increased. Therefore, it is judged that improving social awareness that evaluates job values and having positive values for one’s job will help improve the job performance by enhancing the job satisfaction of estheticians.

      • KCI등재

        농업계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따른 직업관 차이에 관한 연구

        강명보,손호기,김상범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19 지역산업연구 Vol.42 No.2

        In this study, high school students in agricultural field were selected for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types of jobs they desire and reasons for choosing, the route of collecting job information, and the problems of agricultural and rural jobs.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clarify the difference of career preference and career exploration ability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agricultural field according to their assessment of self-worth, i.e., the self-esteem. From September 27, 2017 to the 29 (for three days),with 310 agricultural high school students as valid sample, SPSS 23 was used to perform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K-means cluster 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The results have indicated that the high-school students ranked 10.3% for food and services as NCS-based desirable job, 9.2% for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9.1% for culture, arts, design and broadcasting, 7.9% for use and lodging, travel, entertainment, sports, and 7.7% for food processing. The reasons for choosing were their aptitude and interest were 61.3%, which was the most, good prospects for the future was 11.3%, and in line with the major field was 10.0%. The most common route of collecting job information was through the schools (employment support center, job related lecture events, etc.), which was 36.6%, personal connections (family, relatives, friends, juniors or seniors, etc.) were 23.2%, mass media (TV, radio, newspapers, magazines, etc.) was 19.5%, and job information sites of the government departments (Worknet, Career net, etc.) were 13.6%. In addition, the hypothesis test results showed that for Hypothesis 1, the four factors of job preference(Stability t=2.444/P=.015*, Prospect t=3.407/P=.001**, Challenge t=3.637/P=.000***, Specialty t=3.371/P=.001**), and Hypothesis 2, the career search ability (t=5.031/P=.000***) were significantly adopted at each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P<0.05), and the researchHypothesis 1 and Hypothesis 2 were suppor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preferred job selection factors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in agriculture were 'stability> prospects> specialty> challenge', in that order. The students with higher self-esteem showed higher level of job preference and career search ability, comparing to those with lower self-esteem. Therefore, it conclude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lf-esteem as a job-related variable by looking at various occupations of high school students in agricultural field. 본 연구에서는 농업계 고교생을 대상으로 희망직종과 선택이유, 직업정보 수집경로, 농 업·농촌 일자리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자신의 가치에 대한 평가를 의미하는 자아존중감에 대해 농업계 고등학생의 직업선호도와 진로탐색능력의 차이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 하였다. 2017년 09월 27일부터 09월 29일까지 3일간 농업계 고교 재학생 310명을 유효표본 으로 SPSS 23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K-평균 군집분석, 독립표본 t-검정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고등학생들의 NCS 기반 희망직종으로는 음식ㆍ서비스가 10.3%로 순위가 가장 높았고, 농림어업 9.2%, 문화, 예술ㆍ디자인ㆍ방송 9.1%, 이용ㆍ숙박, 여행, 오락, 스포츠 7.9%, 식품가공 7.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선택한 이유는 적성과 흥미가 맞아서 61.3%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장래전망이 좋아서 11.3%, 전공분야와 일치해서 10.0% 등으로 나타났 다. 이러한 직업정보에 대한 수집경로는 학교를 통해(취업지원센터, 취업관련 강의 행사 등) 36.6%로 가장 많았고, 개인적 인맥을 통해(가족, 친지, 친구, 선ㆍ후배 등) 23.2%, 대중매체 (TV, 라디오, 신문, 잡지 등) 19.5%, 정부부처 직업정보 사이트(워크넷, 커리어넷 등) 13.6% 등 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설검증 결과는 직업선호도에 대한 4가지(안정성 t=2.444/P=.015*, 장래성 t=3.407 /P=.001**, 도전성 t=3.637/P=.000***, 전문성 t=3.371/P=.001**)가설1과 진로탐색능력 (t=5.031/P=.000***)에 대한 가설2는 각각의 통계적 유의수준(P<0.05)에서 유의미하게 채택 되었으며, 연구가설로 세웠던 가설1과 가설2는 지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농업계 고등학생의 직업선택요인으로‘안정성>장래성>전문성>도전성’을 차례로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자아존중감이 높은 학생들이 낮은 학생들보다 직업선호도와 진로탐색 능력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농업계 고등학생의 다양한 직업관을 살펴봄으로써 자아존중감이 직업 관련 변수로써 매우 중요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항공서비스학과 재학생들의 직업존중감이 진로준비행동과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주신옥(Joo Shin ok) 대한관광경영학회 2018 觀光硏究 Vol.33 No.6

        본 연구는 항공서비스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향후 취업을 희망하는 항공기 객실승무원에 대한 직업존중감이 진로준비행동과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직업존중감은 긍정적 가치, 사회적 평판, 상대적 효익의 세 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세 개의 가설을 설정하여 연구모형을 제시하고,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설문조사는 2018년 5월 10일부터 22일까지 온라인을 통해 현재 항공서비스학과에 재학 중인 4년제 대학의 전체 학년을 대상으로 205개의 유효한 설문을 수집했으며, SPSS 18.0을 이용해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항공서비스학과 재학생들의 직업존중감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존중감은 진로결정수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준비행동은 진로결정수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직업존중감이 진로준비행동과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고, 항공서비스학과 재학생의 직업존중감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변수들 간의 영향관계 분석을 통해 항공서비스학과 재학생들은 직업존중감이 높아지면 진로를 위한 준비행동을 적극적이고 구체적으로 실천할 수 있고, 진로에 대한 긍정적인 확신도 높아진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tries to understand the job-esteem of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irline servi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decision level. The study method was to conduct a online survey research targeting the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irline service. The empirical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May 10 and May 22, 2018, and 205 vali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As an analysis method was conducted to verify a analysis of frequency, correlation analysis, factor analysis, a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study model hypothese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first, job-esteem was divided into positive value, social reputation, relative benefit according to the literature review. Analysis showed that job-esteem has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ccordingly. Secondly, job-esteem has effects career decision level. Thirdl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as effects career decision level. The findings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job-esteem,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areer decision level and academic researchers. This research has several implications such as students majoring in airline service requires what kind of curriculum focused on in order to successfully get a job in airline service field. And it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propose the educational direction, strategy and career direction of the relevant fields by checking job-esteem about jobs to the potential employees in the airline service which will be the base for its future growth.

      • KCI등재후보

        간호대학생의 직업존중감 및 영향요인

        정귀임(Jung Kwuy Im) 사단법인 안전문화포럼 2021 안전문화연구 Vol.- No.14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직업가치관, 간호전문직 자아개념 및 직업존중감을 확인하고, 직업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B광역시와 G도에 소재한 4개 대학교의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329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dows 21.0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쉐페 사후검정, 피어슨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직업존중감은 5점 만점에 3.88점이었고, 직업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업가치관(β=.557), 간호전문직 자아개념(β=.235), 연간봉사활동횟수(β=.135), 봉사교과목을 이수여부(β=.114), 성별(β=-.072)순으로 나타났으며, 직업존중감을 66.3%설명하였다. 결론적으로 직업존중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직업가치관이므로 가장 우선적으로 직업가치관 향상을 위한 다양한 교육전략을 개발하고 봉사교과목, 봉사활동 등을 포함하는 교과외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적용할 때 성별 간 차이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research to investigate work value, nursing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job-esteem an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job-esteem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329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who were recruited from the 2 Department of Nursing in B Metropolitan and 2 Department of Nursing in Gyeongsangnam-do.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self-administered from November 29 to December 5, 2018.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SPSS/WIN 21.0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Mean score for job-esteem in nursing student was 3.88 out of 5 point. The factors of work value(β=.557), professional self-concept(β=.235), annual number of volunteers(β=.135) and take a service course(β=.114) were the positive impact and gender(β=-.072) were the negative impact on the job-esteem level of nursing students. The total explanatory power accounted for 66.3%.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 a work value and nursing professional self-concept, annual number of volunteers, take a service course according to gender use specific strategies to improve job-esteem. In order to enhance the positive job-esteem of nursing students, there is a need to develop educational intervention that improves the work value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the need to plan ways to increase participation and provide information and opportunities is to invigorate the function of the volunteering service which is also considered as one of the functions of the university.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봉사활동, 자아존중감 및 직업존중감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신미아(Mi-A Shin)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1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봉사활동, 자아존중감 및 직업존중감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전라남북도에 소재한 2개 대학교의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1~4학년 33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봉사활동은 대상자의 34.8%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아존중감은 성별, 종교, 경제상태, 학교생활만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직업존중감은 종교와 학교생활만족에서 전공만족도는 학년, 경제상태, 학교생활만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봉사활동 특성에 따른 자아존중감은 봉사활동만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직업존중감은 봉사활동경험과 봉사활동횟수에서 그리고 전공만족도는 봉사활동횟수, 봉사활동일, 봉사활동만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교생활만족, 자아존중감, 직업존중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교생활만족, 자아존중감 및 직업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n the effects of volunteering, self-esteem and job-esteem on major satisfaction among the nursing students. This study used a descriptive research desig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39 nursing students at 2 university in south and north Jeolla-do. 34.8% of the respondents have done volunteer work. Self-esteem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sex, religion, economic status, satisfaction of school life and Job-esteem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religion, satisfaction of school life. Major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grade, economic status, satisfaction of school life. Satisfaction on the volunteering work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self-esteem statistically and volunteering experience and the number of volunteering has significant effect on the job-esteem. Major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number of volunteering work, days of volunteering and satisfaction in volunteering work. Related factors affecting major satisfaction was satisfaction of school life, self-esteem and job-esteem. Through this result, it could be suggested that is a need for a strategies to increase satisfaction of school life, self-esteem and job-esteem in order to improve major satisfaction among nursing students.

      • KCI우수등재

        병원간호사의 직업존중감에 대한 개념분석

        최현주,정귀임 간호행정학회 2019 간호행정학회지 Vol.25 No.4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and define the concept of job-esteem of the hospital nurses. Methods:Data were analyzed using the hybrid model, introduced by Schwartz-Barcott and Kim. Data were obtained from arelevant literature review and also from the in-depth interviews of twelve nurses with clinical experience of more than3 years. Results: The concept of job-esteem of the hospital nurses was finally analyzed with 5 attributes and 13 indicatorsof 3 dimensions. The attributes of the personal dimension were professional self-awareness, professionalcompetence, the attribute of organizational dimension was respect and recognition of the organization, the attributesof social dimension were social trust and respect, driving forces of job retention. Conclusion: The job-esteem of hospitalnurses is defined as beliefs and values used to evaluate or as expectations of self in the job through which hospitalnurses van find professional self-awareness and competence, identify respect and recognition of the organization,recognize the driving forces of social trust, respect and job maintenan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conceptof job respect of hospital nurses was analyzed and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job-esteem scale for hospitalnurses was provided. 목적: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의 직업존중감의 개념을 정립하고 정의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법: 분석방법은 Schwarts-Barcott 과 Kim의 혼종모형(Hybrid model)을 이용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임상경력 3년 이상의 간호사 12명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과 관련 문헌으로부터 수집하였다. 결과: 병원간호사의 직업존중감은 3개 차원의 5가지 속성, 13가지 지표가 최종 분석되었다. 개인적 차원의 속성은 직업적 자아인식, 직업적 유능감, 조직적 차원의 속성은 조직의 존중과 인정, 사회적 차원의 속성은 사회적 신뢰와 존중, 직업유지의 원동력으로 나타났다. 결론: 병원간호사의 직업존중감은 병원 간호사가 직업적 자아인식과 유능감을 찾고, 조직의 존중과 인정을 확인하며, 사회적 신뢰와 존중 및 직업유지의 원동력을 인식하여, 이를 통해 간호사라는 본인 직업에 대해 스스로 평가하거나 기대하는 신념과 가치로 정의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직업존중감의 개념을 최초로 분석하였다는 것과, 병원간호사 직업존중감 도구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것에 의의를 두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