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게임중독으로 인한 공격성이 폭력비행에 미치는 영향

        정승민 한국치안행정학회 2014 한국치안행정논집 Vol.10 No.4

        오늘날 인터넷의 과도한 사용은 청소년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특히 청소년에 게 있어서 인터넷 게임의 중독적 사용은 공격성이나 충동성을 유발하여 폭력비행으로 발전할 수 있는 원인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게임중독으로 인한 공격성이 폭력비 행을 야기 시키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가정환경, 학교환경, 자기통제력 등의 요인들과 폭력비 행의 관계에 있어 게임중독이 매개효과로 작용하는지, 그리고 게임중독과 폭력비행의 관계에 있어 공격성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연구를 위해 서울, 경기, 충남지 역에 거주하는 중학교 1․2․3학년, 고등학교 1․2학년 학생 총 5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 시하였다. 분석결과, 게임중독에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 부모애착, 학교부적응, 낮은 자기통제력 등이 나타 났고, 이러한 게임중독과 폭력비행간의 관계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와 애착이 약할 수록, 학교에 적응하지 못할수록, 자기통제력이 낮을수록 게임중독이 높으며, 이로 인해 폭력비행 의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음으로 게임중독이 폭력비행에 미치는 과정에서 공격성이 매개변수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게임중독이 심할수록 공격성도 강해지 며, 이로 인해 폭력비행이 많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게임중독이 청소년의 폭력비 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 폭력비행을 예방하기 위해서 게임중독을 예방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실효성 있는 적절한 규제방안이 필요하며, 가정 및 학교의 역할 또한 중요할 것이다. 특 히 부모와의 애착관계, 학교적응 등을 위한 프로그램을 모색하여 게임중독을 막고 이를 통해 폭력 비행을 예방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인터넷은 이제 청소년들 사이에서 하나의 문화로 정 착한 것은 사실이므로 이를 청소년문화로 인정하고, 바람직한 인터넷문화의 정착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Today the excessive use of the Internet can have negative influences on adolescents. The addictive play of Internet games especially can cause aggression and impulsiveness and escalate into violent delinquency among adolescents. This study thus set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ggression caused by game addiction on violent delinquency among adolescents. The study specifically aimed to examine relations between family environment, school environment, and self-control and violent delinquency and delve into how the condition effects of game addiction would work in their relations and whether aggression would have mediating effects between game addiction and violent delinquency. For those purposes, the study took a survey with total 52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the seventh grade to the eleventh grade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Chungnam Province.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adolescents' game addiction was influenced by parent attachment, school maladjustment, and low self-control.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 between their game addiction and violent delinquency. That is, the weaker attachment they formed with their parents, the more maladjustment they experienced in school, and the lower self-control they had, the higher their game addiction was and the more possibility of violent delinquency they presented. Aggression turned out to influence the process of game addiction affecting violent delinquency as a mediating variable. That is, the more serious their game addiction was, the more aggressive they became and thus the more violent delinquency they would engage in. In short, game addiction had effects on the violent delinquency of adolescents. It is thus required to take the prevention of game addiction as the top priority in order to prevent the violent delinquency of adolescents. There is a need for proper and effective control plans. Family and school should also play important roles. In particular, programs designed to promote attachment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school adjustment will help to prevent game addiction and further violent delinquency among adolescents. Most of all, given that the Internet has settled down as a culture among adolescents, it is imperative to recognize it as part of teen culture and make efforts to establish the desirable Internet culture.

      • KCI등재

        관계중독과 범죄, 형사정책의 방향

        하민경 한국중독범죄학회 2023 한국중독범죄학회보 Vol.13 No.2

        Relationship addiction refers to a condition in which one is obsessively dependent on a specific person or relationship, so that one is out of control even when it causes harmful consequences to oneself. Even though it has all the constituents to be an addiction, like substance addiction and behavioral addiction, and even holds more possibility to harm individual legal interest, it is not considered to be a serious crime-related characteristic. The types of criminal-related relationship addiction are stalking, grooming and gaslighting. The recently-enacted stalking acts shall be operated as an interventive law to inform the actors of their actions' criminality before it becomes a serious crime. Unlike stalking, in which actors are addicted to a relationship, grooming and gaslighting are types in which the victims are addicts. While grooming has become partly criminal, a law has not yet been enacted that criminalize gaslighting. However, there is a court decision that implied the possibility of gaslighting being a crime, which invites further attention on how the decisions would be developed. The traditional retributive justice paradigm can never offer a fundamental solution to relationship addiction-related crimes. The constructive criminal justice paradigm, including restorative and therapeutic justice system, can make law that can heal people who may be an addicted criminal or victim. This research would hopefully alert citizens, including addicted criminals and victims, of the seriousness that relationship addiction incurs and offer the basis for the law as therapeutic function including prevention and informing. 관계중독은 특정 대상이나 그 관계에 집착함으로써 객관적으로 스스로에게 해로운 결과를초래하더라도 그 대상이나 관계에 강박적으로 의존하여 통제가 불가능한 상태를 가리킨다. 물질중독이나 행위중독과 마찬가지로 중독의 요소를 충족하고, 심지어 형법적으로는 개인적법익을 침해하는 범죄로 이어질 위험성이 높다는 점에서 경각심을 가져야 함에도 범죄 사건의 당사자들을 포함한 시민들에게 잘 인식되지 않고 있다. 관계중독이 범죄와 관련을 맺는유형으로 스토킹, 그루밍, 가스라이팅을 들 수 있다. 먼저 사건의 행위자가 관계에 중독되어범죄를 행한 유형인 스토킹의 경우 범죄가 되기 전의 행위에 스토킹처벌법과 스토킹방지법이간섭법적 기능을 하도록 운영할 수 있다. 그루밍 성범죄의 경우에는 피해자가 관계에 중독된유형에 해당하는데, 법률과 판례를 통해 일정 부분 가해자의 책임을 인정하는 변화가 이루어졌다. 반면, 가스라이팅의 경우에는 피해자가 관계에 중독되거나 가스라이팅의 피해자가 가해자와 함께 범죄 행위자가 되기도 하는데, 이는 아직 법률적으로 범죄화되지 않은 관계중독의 유형에 해당한다. 그러나 최근 법원의 판결을 살펴보면 가스라이팅의 개념 요소를 충족하는 경우 범죄화될 수 있는 해석을 하고 있어 향후 법원의 해석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전통적응보적 형사사법만으로는 중독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 관계중독자가 범죄의 행위자이건 피해자이건 법은 응보적 기능을 넘어 회복적⋅치유적 기능을 해야 한다. 본 연구가관계중독의 심각성을 인식하게 하고 치료적 형사사법의 예방 및 교육기능을 위한 기초자료로활용되기를 바란다.

      • 중독범죄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

        김범식,김학범 한국중독범죄학회 2011 한국중독범죄학회보 Vol.1 No.1

        이 연구는 중독범죄의 유형과 개념을 밝히고, 현 대응체제의 문제점을 지적하여 중독범죄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형성하는데 기초를 제공하려 함에 그 목적이 있다. 각종의 중독범죄(마약류, 알코올, 도박, 성, 인터넷 등)에 대하여는 개별 법률에 의한 보안처분이 그 주를 이루고 있는 실정인데, 이러한 보안처분은 주로 법학 또는 사회학적 관점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일반범죄가 범죄'행위'에 중점을 두고 대응하는 것과 달리 각종의 중독범죄는 중독범죄만이 갖는 특성이 있고, 범죄'행위자'에 중점을 두고 대응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단순히 법학 또는 사회학적 관점에 의한 보안처분만으로는 그 한계가 나타날 수밖에 없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법학 또는 사회학 이외의 학문적 기반을 확보하여야하며, 특히 자연과학과 의학 분야의 학문적 기반을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 즉 중독범죄에 대한 대응은 기존의 형법적 관점에서 형벌을 통한 범죄대응과 달리 종합 과학적 관점에서 접근을 요구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청소년의 음란물중독과 우울, 외로움, 충동성, 감각추구 및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이정윤,이상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04 청소년상담연구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depression, loneliness, impulsiveness, sensation-seeking, and self-efficacy of adolescents with cybersexual addiction. The participants were 1015(boys 647, girls 368)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university students. K-IAS, K-CES-D, K-UCLA Loneliness Scale, K-Barratt Impulsiveness Scale, K-Sensation Seeking Scale, K-Self Efficacy and K-Computer Self-Efficacy were administered. Addicted and non-addicted group were selected according to Internet Addiction Scale and time length to view internet adult-only sit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tests showed that the addicted group had higher level of depression and impulsiveness than the non-addicted group, but the level of lonelines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m. The addicted group had higher level of disinhibition and boredom susceptibility among sensation-seeking scales than the non-addicted group. And the addicted group had lower level of self-efficacy at real-life situation and higher level of self-efficacy at cyber-life situation than non-addicted group. However, the level of interpersonal self-efficacy at real and cyber-life situat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Discriminant analysis showed that disinhibition, motor impulsiveness, self-efficacy at cyber-life situation, self-efficacy at real-life situation, and experience seeking correctly classified 68.6% of groups with/without cybersexual addiction.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인터넷중독 하위유형 가운데 음란물중독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지닌 심리적 특성들-우울, 외 로움, 충동성, 감각추구성향, 자기효능감-을 살펴보고, 음란물중독 청소년과 비중독 청소년을 정확하게 구분해주 는 요인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피험자는 1,015명(남자 647명, 여자 368명)의 중고등학생과 대학생이었으며, 인 터넷 중독질문지와 음란물 접촉시간을 기준으로 음란물 중독집단과 비중독집단을 선정하였다. 집단간 차이검증 결과, 음란물중독집단은 비중독집단에 비해 우울과 충동성이 높았으나 외로움은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 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각추구성향은 탈억제와 권태민감성 하위척도에서 음란물중독집단이 비중독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현실세계에서의 자기효능감은 음란물중독집단이 비중독집단에 비해 점수가 유 의하게 낮았으며, 이와 반대로 가상세계에서의 자기효능감은 음란물중독집단이 비중독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점 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현실세계나 가상세계에서의 대인관계효능감에서는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판별분석에서는 탈억제, 운동충동성, 가상공간에서의 자기효능감, 현실세계에서의 자기효 능감, 경험추구성향이 음란물 중독청소년과 비중독청소년의 68.6%를 정확하게 구분해 주는 것으로 드러났다. 마 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알코올중독자의 성격이론과 성격유형화의 영향력에 대한 연구 -알코올중독자가 되기 전 청소년기와 알코올중독자가 된 후를 중심으로-

        김종선 교회사회사업학회 2014 교회와 사회복지 Vol.0 No.25

        알코올중독에 대한 문제 인식이 높아지면서 알코올중독의 치료와 회복을 위한 원인규명을 위해 다양한 노력이 시도되어왔다. 그 결과물 가운데 하나가 알코올중독자의 성격을 유형화한 것이다. 알코올중독자는 매우 부정적이고, 수동 공격적이며, 반사회적인 경향이 강하고, 신경증적이며, 약한 자아와 우울증상이 강한 특징을 가진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알코올중독자 치료와 회복에서 성격별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본 연구자는 성격이론과 선행연구의 결과물인 성격유형화가 알코올중독자가 되는 원인인지, 아니면 알코올중독자가 된 이후 나타나는 결과로써 형성된 것인지 의문을 제기했다. 왜냐하면 그러한 유형적 성격은 일반인들에게도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의문을 뒷받침하기 위해 알코올중독자가 되기 이전 청소년기와 중독자가 된 이후 성격의 변화에 대한 비교연구를 성격의 5가지 유형(BIF)에 근거하여 수행했다. 분석결과 알코올중독자의 청소년기와 중독이 된 이후 성격은 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알코올중독자가 되기 전에는 알코올중독자의 성격유형이 대체로 형성되지 않았으며, 알코올중독자가 된 이후에는 성격유형 관련 선행연구와 유사하게 알코올중독자의 성격유형이 나타났다.

      • KCI등재

        외국의 마약류중독 수형자를 위한 교정시설 내 치료 프로그램 : 미국, 캐나다, 호주를 중심으로

        박현나 아시아교정포럼 2022 교정담론 Vol.16 No.1

        마약류사범의 지속적인 증가로 인한 교정시설의 과밀화와 마 약류중독 수형자들의 높은 재범률 및 재복역률은 우리나라 교정 당국이 직면하고 있는 심각한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의 마약류중독 수형자들의 출소 이후 마약류재사용 및 재범 억 제를 위한 효과적인 중독치료 프로그램의 도입 및 운영방안 마 련을 위해 미국, 캐나다, 호주의 교정시설 내 마약류중독 치료 프로그램들을 검토하였다. 세 국가는 마약류사범에 대한 치료적 사법(Therapeutic Jurisprudence) 이념을 기반으로 포괄적이고 다양한 교정시설 내 마약류중독 치료 프로그램들을 운영하고 있 다. 미국의 치료공동체(Therapeutic Community) 프로그램은 수 감자들의 출소 후 재범률과 재복역률을 감소시키는 데에 효과적 인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캐나다의 아편계 약물 치료 프로그램 (Opioid Agonist Treatment)과 교도소 주사기 교환 프로그램 (The Prison Needle Exchange Programs)은 마약류중독 수형 자들을 위한 위해성 감소 조치로서 교도소 내 약물 문제에 대응 하기 위한 필수적이고 효과적인 치료전략으로 평가받고 있다. 또 한 호주의 범죄 행동 및 약물 남용 치료 프로그램(The Criminal Conduct & Substance Abuse Treatment Program)은 집중 인 지행동 치료 프로그램으로서 참여집단 수형자들의 출소 후 마약 류재사용 및 재범률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우리나라 교정시설 내 마약류중독 수형자들을 위해 운영되고 있는 심리치료 프로그램의 보다 적극적인 활용뿐만 아니라, 미국의 치료공동체 프로그램, 캐나다의 아편계 약물 치료 프로그램, 호주 의 범죄 행동 및 약물 남용 치료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우리나라의 교정현장에 맞는 실효성 있는 마약류재사용 억제 및 재범방 지 대책의 마련이 필요하다. Due to the increasing numbers of substance-abusing offenders, the South Korean correctional authorities are faced with the serious problems of the high recidivism and reincarceration rates among ex-prisoners with drug abuse and addiction problems. To provide suggestions on how to design and implement effective prison-based substance abuse treatment programs for substance-abusing prisoners, the current study reviews four substance abuse treatment programs in the United States, Canada, and Australia. Based on the philosophy of therapeutic jurisprudence, the three countries provide comprehensive and diverse substance abuse treatment programs to prisoners with drug abuse and addiction problems in correctional facilities; Therapeutic Community (TC) in the United States, Opioid Agonist Treatment (OAT) and the Prison Needle Exchange Programs (PNEP) in Canada, and the Criminal Conduct & Substance Abuse Treatment Program (CCSATP) in Australia have positive impacts on reducing recidivism and drug relapse among substance-abusing prisoners. The South Korean correctional authorities should consider implementing TC, OAT, and CCSATP for prisoners with drug abuse and addiction problems to reduce their recidivism and drug relapse, and subsequently, to ensure a safe and successful return to the community.

      • KCI등재

        운동중독의 양면성에 관한 고찰

        김종호(KimJongho),김재운(KimChaeWoon),정이든(JeongEden) 한국체육학회 2016 한국체육학회지 Vol.55 No.4

        본 연구에서는 운동중독에 앞서 중독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운동중독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긍정적인 중독과 부정적인 중독의 의미를 지니는 양면성을 함의하게 되었는지를 고찰함과 동시에 이를 비판적으로 검토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운동중독의 개념화를 유도하고 운동중독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견지하는데연구의 목적이 있다.연구 결과 첫째, 운동중독은 양면성을 지니고 있지만 중독이라는 단어가 전달하는 의미가 부정적이듯 운동중독 역시 부정적인 암시에서 벗어나기 어렵다. 따라서 운동중독에 대한 폐해와 심각성에 대하여 초점을 맞추고 객관적인 관점에서 바라 볼 필요가 있다. 둘째, 운동중독은 여타 중독들에 비하여 사회적 문제가 되지 않으며, 개인의 측면이 강하다는 점을 강조하는데, 이러한 것은 논리적 오류가 있다. 중독은 말 그대로 중독이다. 그리고 운동중독은 중독이라는 큰 틀에 포함되어 있는 하나의 질병이다. 따라서 운동중독을 중독 그 자체로 온전히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성숙한 자세가 전제될 때 운동중독에 대한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운동중독을 겪고 있는 운동중독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positive and negative exercise additions are analyzed to promote a better understanding of processes that lead to two different exercise addition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ontribute to overall understanding of exercise addiction and to help maintain a critical perspective on the exercise addition.First, the public views exercise addiction as an adversity because the word, "addiction" itself implies a negative ter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parate the study from the general emotional approach and to focus on abuses and severity of exercise addiction.Second, it is highly recommended that exercise addition is dealt as a social issue not a mere individual problem in order to prevent any logical errors. Exercise addition is a disease that is included in the broader definition of addiction. Therefore the study on exercise addition will be helpful to exercise addicts only when the public accepts the exercise addiction as a form of diseases and appropriate studies based on the public understanding about exercise addiction follow.

      • KCI등재

        중독과 영성

        최주혜 한국실천신학회 2015 신학과 실천 Vol.0 No.47

        이 연구는 중독과 영성에 관한 것이다. 내담자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담학에서는 많은 이론과 기술들을 연구하여왔다. 그리고 많은 현대의 상담심리학자들은 내담자의 심리적 문제는 영적인 문제와 서로 연관되어 있음을 주장한다. 다시 말하면 내담자의 영적인 건강이 내담자의 심리적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관성에 바탕을 두고 이 글은 어떻게 영성이 내담자의 심리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특히 중독자들의 중독 회복에서 중요하게 작용하는 영성이 어떻게 중독자들의 심리적 영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중독치료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진 AA(Alcoholic Anonymous)의 영성을 중심으로 어떻게 영성이 내담자의 문제를 해결하고 중독에서 치유되는 지를 살펴보았다. AA의 영성은 공동창시자인 빌 (Bill. W)의 종교적 회심의 경험에 바탕을 둔다. 이러한 종교적 회심에 근간을 두고 발전시킨 AA의 12가지 프로그램은 중독자들로 하여금 중독에서 회복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감당한다. 알코올 중독자들은 자신이 중독을 조절할 수 없음을 깨닫는다. 이러한 이해는 자신의 중독을 회복시킬 수 있는 초월자, 즉 하나님의 은혜를 구하는 것에서부터 중독의 회복이 시작된다. 즉 중독자들의 자기에 대한 새로운 깨달음이 새로운 하나님의 이해를 가져오고 하나님의 은혜를 구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 속에서 많은 알코올 중독자들이 중독으로부터의 회복을 경험한다. AA의 이러한 영성은 목회상담학적으로 의미가 있다. 자아의 조절능력을 높여서 문제를 해결하려는 기존의 방법과는 달리 자아의 한계성과 무기력을 인정하고 초월자에 온전히 의지할 때 알코올 중독의 회복이 시작되는 것이다. 이것은 목회상담학적으로 상담 속에서 영성이라는 것을 재해석 하도록 도와준다. AA에서는 자신이 중독에 무기력하고 자신의 중독이 치유되기 위해서는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믿는다. 그리고 이러한 하나님의 은혜에 대한 사모와 신뢰는 중독자들의 삶을 바꾸고 의미 있게 살도록 도와준다. 이러한 영성은 목회상담가들에게 내담자의 자기 기만적이고 때때로는 과장된 자기 이해를 현실적인 이해로 인도해 주어야 한다는 사실의 중요성을 알게 해준다. 뿐만 아니라 중독자인 내담자의 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신비한 하나님의 은혜와 도우심이 필요한 것임을 기억하게 해준 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심리적 문제와 영적인 문제는 별개의 것이 아니며 하나님의 도우심이 내담자의 문제 해결에 중요한 일임을 된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This study is about addiction and spirituality. There are many theories and practices in counseling in order to solve patients' problems. Many modern psychologists insist that mental health and spiritual health are related to each other. In other words, spiritual health has been recognized as important aspect of recovery from mental problems. This study explores how spiritual health affects on mental health. Many people are addicted to certain substances in their life journey. Some is addicted to gambling. Some is addicted to drug. Some is addicted to alcohol. Those who experience addiction are suffering from physical and emotional attachment to substances in their life. These mental problems disturb people to connect with God. In other words, mental problem cause people to make a distance from God, Based on this, this study explores how spirituality affects on mental health among patients, especially alcohol abusers. The spirituality of AA helps alcohol abusers experience recovery from alcohol addiction and a meaningful relationship with God. Bill W is the co-founder of AA. From his personal conversation experience in his alcoholism, the spirituality of AA is beginning. Through the spirituality of AA alcohol abusers can shift their will of addiction to God through God’s help. Alcohol abusers believe that they can stop drinking through God’s grace toward them. In other words, alcohol abusers can experience recovery from the alcohol through recognizing their powerlessness over addiction and believing God can help them be sobriety. This is very important understanding in pastoral counseling, because it is a different approach from general position in psychology which emphasizes self-control as Mary Fukuyama and Todd Sevig insist. Rather than attaining individual control over the problem, alcohol abuses admit that they are powerlessness over addiction and look for God’s grace. This spirituality let us know that pastoral counselors help alcohol abusers shift self-deceit understanding of addicted people to realistic self-understanding. In addition, we should remember that God’s grace and guidance is necessary in order to heal the problem of alcohol abusers. In other words, mental health and spiritual heath are not separated and God’s grace is the important in terms of healing.

      • 알코올중독자의 성격이론과 성격유형화의 영향력에 대한 연구 -알코올중독자가 되기 전 청소년기와 알코올중독자가 된 후를 중심으로-

        김종선 ( Jong Sun Kim ) 한국교회사회사업학회 2014 교회와 사회복지 Vol.25 No.-

        알코올중독에 대한 문제 인식이 높아지면서 알코올중독의 치료와 회복을 위한 원인규명을 위해 다양한 노력이 시도되어왔다. 그 결과물 가운데 하나가 알코올중독자의 성격을 유형화한 것이다. 알코올중독자는 매우 부정적이고, 수동공격적이며, 반사회적인 경향이 강하고, 신경증적이며, 약한 자아와 우울증상이 강한 특징을 가진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알코올중독자 치료와 회복에서 성격별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본 연구자는 성격이론과 선행연구의 결과물인 성격유형화가 알코올중독자가 되는 원인인지, 아니면 알코올중독자가 된 이후 나타나는 결과로써 형성된 것인지 의문을 제기했다. 왜냐하면 그러한 유형적 성격은 일반인들에게도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의문을 뒷받침하기 위해 알코올중독자가 되기 이전 청소년기와 중독자가 된 이후 성격의 변화에 대한 비교연구를 성격의 5가지 유형(BIF)에 근거하여 수행했다. 분석결과 알코올중독자의 청소년기와 중독이 된 이후 성격은 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알코올중독자가 되기 전에는 알코올중독자의 성격유형이 대체로 형성되지 않았으며, 알코올중독자가 된 이후에는 성격유형 관련 선행연구와 유사하게 알코올중독자의 성격유형이 나타났다. As increased awareness of the problem in alcoholism, there has been attempted various efforts to identify the cause of alcoholism for its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One of results on the attempt is typology of alcoholic personality. It meant that alcoholics have symptoms in very negative, passive, aggressive and antisocial tendencies as well as weak ego, neurotic and depressive characters. Based on these studies, personality type approach has been applied in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of alcoholics. The researcher, however, raised a doubt about whether the type of personality as the result of personality theory and previous research is caused to be alcoholic or the type of personality is formed as the result of alcoholic. Since such type of personality may be seen in non-alcoholics. To support this research question, a comparative study was performed between before alcoholics as adolescence and after alcoholics based on 5 types of personality (BIF). It is found that personality was changed between before and after alcoholic upon this study. That is to say that there was not appeared the typical alcoholic personality before becoming alcoholic, and there was type of alcoholic personality after become alcoholic in similar to the personality theory and previous study.

      • KCI등재후보

        중독 치유를 위한 마음챙김의 심리적 및 신경생물학적 기제

        윤병수 한국명상학회 2016 한국명상학회지 Vol.6 No.1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약물 중독 및 기타 다른 중독에 의해 고통을 받고 있다. 그래서 치료 를 위해중독 과정의 기제를 이해하려는 노력을 많이 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중독 치료를 위한 표준화된 방법이 없어서 현재 여러 가지 개입법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새로운 개입법들 을 모색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 중독 치료의 한 방법으로 대체보완의학에서 심신치유의 한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마음챙김 명상이 주목받아 왔고 이 명상을 기반으로 중독에 대한 치유를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시도의 결과, 중독 치유에 효과가 있다는 보고들이 나오고 있 지만 아직 중독 치유를 위한 마음챙김 기반의 접근이 표준화되지 않은 상태이다. 그 이유는 중독에 대한 마음챙김 효과의 요소들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마음챙 김 명상이 중독 치유에 효과가 있게 되는 그 이유를 이해하기 위해 먼저 중독이 발생되는 심 리적 그리고 신경생물학적 요소들에 대해 살펴보고 나아가 중독 치유에 대한 마음챙김 효과 의 요소를 심리적 그리고 신경생물학적 기반에서 살펴봄에 따라 중독에 대한 마음챙김 효과 에 대한 과학적 이해를 도모하고자 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